KR101651746B1 -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746B1
KR101651746B1 KR1020140159135A KR20140159135A KR101651746B1 KR 101651746 B1 KR101651746 B1 KR 101651746B1 KR 1020140159135 A KR1020140159135 A KR 1020140159135A KR 20140159135 A KR20140159135 A KR 20140159135A KR 101651746 B1 KR101651746 B1 KR 101651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roller
guide
intermedia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9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7909A (ko
Inventor
김형진
임보규
이철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체
Priority to KR1020140159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746B1/ko
Publication of KR20160057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간 프레임에 형성한 가이드와 창호 프레임의 요 홈 사이의 틈새에 알맞은 크기의 롤러와 같이 구를 수 있는 처짐 방지 장치를 장착함으로써, 항상 처질 우려가 있던 틈새 사이에 처짐 방지 장치가 이를 지지하므로 중간 프레임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이 때문에 생기는 소음 발생 문제가 창호를 쉽게 열고 닫을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구름 작용을 하는 롤러의 양쪽 부분이 상기 가이드와 요 홈의 안쪽 면에 각각 맞닿아서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롤러가 쉽고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게 하여 처짐을 방지하면서도 누구든지 쉽게 소음 발생이 없이 열고 닫을 수 있게 한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디에 장착하는 상기 롤러를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1~4개를 미리 정한 간격만큼 떨어지게 구성함으로써, 구름 작용을 도모하여 부드럽게 창호가 열리고 닫히게 안내할 뿐만 아니라 중간 프레임을 폭넓게 지지하게 하여 이러한 처짐 방지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TECTING DEFLECTION OF MIDDDLE FRAME IN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간 프레임과 그 아래에 시공한 미닫이 방식의 창호 프레임 사이의 틈새에 끼워져서 그 틈을 없애면서 구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중간 프레임 위에 시공한 창호의 하중이 이 중간 프레임에 가해지더라도 중간 프레임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창호의 여닫이가 쉽고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창호(Windows & Doors)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한다. 그 중에서, 강당이나 사무소와 같이 여러 사람이 움직일 수 있도록 시공한 건축물에는 상하 2단으로 창호를 구성한 2단 창호를 많이 시공한다.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2단으로 시공한 창호에 사용하는 창호 프레임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창호 프레임은, 창호가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간격을 유지하며 위치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들과 간격을 띄우고 측면 프레임들 사이로 나란히 위치하는 중간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과 중간 프레임 사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과 중간 프레임 사이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제공되는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제1체결 부재로 측면 프레임 및 중간 프레임에 조립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제2체결 부재로 측면 프레임 및 중간 프레임에 조립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제3체결 부재로 측면 프레임 및 중간 프레임에 조립식으로 고정되는 조립식 창호 프레임을 제공한다.
하지만, 2단으로 이루어진 창호는, 이 외에도 도 1과 같이 소정의 크기를 가진 창호 프레임(200)에 상하 2단으로 창호를 장착할 수 있게 중간 프레임(210)을 장착한다. 이때, 상부에 장착한 창호(100a)는 통상적으로 고정식이 많고, 하부에 장착한 창호는 미닫이 창호(100b)가 많은 데, 이런 2단 창호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창호 프레임에 미닫이 창호를 장착하는 경우, 창호 프레임과 미닫이 창호 사이에 틈새가 있어야만 미닫이 창호를 장착하거나 필요에 따라 분리할 수 있다.
(2) 즉, 1 및 도 2와 같이, 창호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과 중간 프레임(210)의 마주 보는 면에는 각각 미닫이 창호(100b)를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211)를 형성한다. 이때, 미닫이 창호(100b)를 창호 프레임에 장착했을 때, 중간 프레임(210)에 형성한 가이드(211)의 선단과 이 가이드(211)에 끼워지도록 미닫이 창호(100b)의 상단에 형성한 요 홈(110)의 안쪽 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G)이 있어야 한다.
(3) 이는, 창호 프레임에서 미닫이 창호(100b)를 떼어내려면, 이 간격(G)만큼 미닫이 창호(100b)를 들어올려서 미닫이 창호(100b)의 하부가 하부 프레임의 가이드에서 빠져나오게 해야 하기 때문이다.
(4) 이 같은 이유로, 미닫이 창호의 경우, 중간 프레임에 형성한 가이드의 안쪽 면과 미닫이 창호의 상단 사이에는 필수적으로 간격을 형성해야 하나, 이 간격 때문에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d"와 같이 중간 프레임(210)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5) 이는 창호 프레임에, 통상, 고정식으로 장착한 창호의 하중 때문으로, 중간 프레임이 처짐에 따라 그 아래에 장착한 미닫이 창호를 제대로 여닫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6) 즉, 중간 프레임이 아래로 처지면, 그 아래의 가이드가 미닫이 창호의 상단과 맞닿아서 마찰을 일으킨다. 이 때문에, 중간 프레임이 처진 상태에서 미닫이 창호를 닫거나 열 때에는 접촉한 부분 때문에 불쾌한 소음이 생길 뿐만 아니라 쉽게 닫히거나 열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7) 이는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 미닫이 창호를 쉽게 열거나 닫기 어려워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99756호 (등록일 : 2011.12.21)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발명한 것으로, 중간 프레임에 형성한 가이드와 창호 프레임의 요 홈 사이의 틈새에 알맞은 크기의 롤러와 같이 구를 수 있는 처짐 방지 장치를 장착함으로써, 항상 처질 우려가 있던 틈새 사이에 처짐 방지 장치가 이를 지지하므로 중간 프레임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이 때문에 생기는 소음 발생 문제가 창호를 쉽게 열고 닫을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구름 작용을 하는 롤러의 양쪽 부분이 상기 가이드와 요 홈의 안쪽 면에 각각 맞닿아서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롤러가 쉽고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게 하여 처짐을 방지하면서도 누구든지 쉽게 소음 발생이 없이 열고 닫을 수 있게 한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디에 장착하는 상기 롤러를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1~4개를 미리 정한 간격만큼 떨어지게 구성함으로써, 구름 작용을 도모하여 부드럽게 창호가 열리고 닫히게 안내할 뿐만 아니라 중간 프레임을 폭넓게 지지하게 하여 이러한 처짐 방지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는, 상부는 고정식 창호이고 하부는 미닫이 방식의 창호를 구분하는 중간 프레임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 프레임에 형성한 가이드와 미닫이 방식의 창호 선단 사이에 끼워서 장착하는 처짐 방지 장치로서,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고 양쪽 면이 서로 마주 보게 형성한 보디(10); 상기 보디(10)의 마주 보는 양쪽 면 사이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일부가 보디(10)의 개방된 위로 돌출하게 형성한 적어도 하나의 롤러(20); 및 상기 보디(10)의 개방되지 않은 하부에서 수직으로 접어서 창호(100b)의 측면과 밀착시킬 수 있게 형성되고, 한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구멍(31)을 형성한 고정 편(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롤러(20)는 1~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디(10)의 하부에서 롤러(20) 상부까지의 높이(H)는, 창호(100b)를 창호 프레임(200)에 장착하였을 때, 중간 프레임(210)에 형성한 가이드(211)에서 돌출한 끝단과 이 가이드(211)에 끼워진 창호(100b)의 요홈(110) 안쪽 면까지의 간격(G)과 같거나 조금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디(10)는 하부가 일부 더 개방되고, 개방된 부분을 통해 롤러(20) 하부가 보디(10) 아래로 돌출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20)의 지름(D)은, 창호(100b)를 창호 프레임(200)에 장착하였을 때, 중간 프레임(210)에 형성한 가이드(211)에서 돌출한 끝단과 이 가이드(211)에 끼워진 창호(100b)의 요홈(110) 안쪽 면까지의 간격(G)과 같거나 조금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중간 프레임과 창호 사이에 창호를 달거나 뺄 수 있게 하려고 만든 틈새(간격) 사이에 구를 수 있는 롤러를 장착하므로, 이 롤러가 중간 프레임이 처지는 것을 막아준다.
(2) 이에, 처진 중간 프레임 때문에 창호를 여닫을 때 발생하는 소음 방지 효과와 더불어 창호를 부드럽고 원활하게 열거나 닫을 수 있다. 특히, 노약자들도 쉽게 창호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3) 새로 시공하는 창호 뿐만 아니라 이미 설치한 창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처짐 방지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하게 중간 프레임의 처짐 방지 효과와 보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4) 특히, 본 발명은 구름 작용을 하는 롤러를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미리 정한 간격으로 2~4개를 보디에 구성함으로써, 중간 프레임을 지지하는 부분을 넓게 구성할 수 있어, 이 중간 프레임의 처짐 현상을 더욱더 방지할 수 있게 하면서도 롤러의 구름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5) 이러한 구성은 중간 프레임의 길이가 긴 창호일수록 그 효과가 크다.
(6) 또한, 본 발명은 이처럼 구름 작용을 하는 롤러가 보디의 양쪽으로 돌출하게 하고, 돌출한 부분이 가이드와 요 홈 안쪽 면과 맞닿아서 구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중간 프레임을 지지한 상태에서 구름 효과를 높여 더욱 부드럽고 신속하게 창호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도 1은 상하 2단으로 이루어진 창호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창호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중간 프레임과 미닫이 창호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를 창호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를 창호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미리 정한 형태로 이루어진 보디(10), 이 보디(10)에 일부가 돌출되어 구를 수 있게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롤러(20), 그리고 보디(10)에서 절곡 형성하여 이 보디(10)를 창호(100b)에 장착하기 위한 고정 편(3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특히, 상기 보디(10)를 중간 프레임(210)의 가이드(211)와 창호(100b) 상부에 형성한 요 홈(110) 사이에 끼웠을 때, 롤러(20)가 이 가이드(211)의 선단 면과 밀착하여 구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롤러(20)가 중간 프레임(210)을 지지하여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디(1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한쪽 면 중에서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한다. 이때, 보디(10)는 양쪽 면이 서로 마주 보게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폭 단면이 요(凹)자 형상으로 강판을 접어서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디(10)는, 도 3에서, 윗면 전체가 개방된 형태로 제작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개방된 양쪽 테두리 부분이 이어지게 하여 그 사이만 개방되게 구성함으로써 구조적 강성을 높일 수 있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디(10)는, 도 3 내지 도 5에서, 플레이트를 접어서 형성한 형태를 예로 보여주고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평면 형태에 도시하지 않은 강성 보강용 리드를 더 형성하여 플레이트를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하여, 보디(10)의 구조적 강성을 보완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20)는, 도 3 냐자 도 5와 같이, 보디(10)의 양쪽 면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다. 이때, 롤러(20)는 일부 구간이 상술한 보디(10)의 개방된 면 위로 돌출하게 형성함으로써, 이렇게 돌출한 롤러(20) 부분을 통해 구를 수 있게 구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20)는 구름 작용을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롤러(20)로는 창호가 속한 기술 분야에서 미닫이 형식의 창호에서 사용하는 호차(戶車)에 적용한 롤러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2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보디(10)에 하나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20)는 1~4개를 장착하는 것이 좋다. 이는 롤러(20)의 개수가 많을수록 롤러 사이의 거리만큼 중간 프레임(210)을 지지하는 효과가 있어 그만큼 지지 구간이 넓어지므로 처짐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20)를 여러 개 장착할 때, 보디(10)는 개방하는 면을 하나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각 롤러(20)가 독립적으로 돌출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보디(10)의 구조적 강성을 높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편(30)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상술한 보디(10)에 형성한다. 이때, 고정 편(30)은 보디(10)의 개방되지 않은 하부에서 수직으로 접어서 형성한다. 이는 보디(10)가 도 4와 같이 중간 프레임(210)의 가이드(211)와 창호(100b)의 요 홈(110) 사이에 끼워졌을 때, 이 고정 편(30)이 창호(100b)의 측면과 밀착될 수 있게 설치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편(30)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구멍(31)을 형성한다. 이 체결 구멍(31)은 고정 편(30)을 창호(100b)에 밀착시킨 다음 보디(10)를 고정하는 데 사용한다.
(처짐 방지 장치의 시공)
본 발명에 따른 처짐 방지장치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하로 2단의 창호(200)를 구분하는 방식의 창호에 사용한다. 이때, 상부는 고정식 창호(100a)이고 하부는 미닫이 방식의 창호(100b)일 경우가 많다.
한편, 상기 보디(1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2단의 창호를 구분하는 중간 프레임(210)과 고정식의 창호(100b) 사이에 삽입 설치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정식의 창호(100b)는 상부에 전체 길이에 걸쳐 요 홈(110)이 형성되고, 중간 프레임(210)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이 요 홈(110)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할 수 있게 가이드(211)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211)에 요 홈(110)을 끼워서 고정식 창호(100b)를 장착하면, 가이드(211)의 선단과 요 홈(110)의 안쪽 면 사이에 도 2와 같이 소정의 간격(G)이 생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보디(10)를, 도 4 및 도 5와 같이 이 가이드(211)의 선단과 요 홈(110)의 안쪽 면 사이의 공간에 끼워서 설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처럼 보디(10)를 장착하므로, 도 5와 같이 보디(10)의 바닥면에서 위로 돌출한 롤러(20) 상부까지의 높이(H)는, 도 2에서 상술한 가이드(211)의 선단과 요 홈(110)의 안쪽 면 사이 간격(G)과 같거나 조금 작게 형성함으로써, 보디(10)는 요 홈(110)의 안쪽 면과 밀착하게 설치하고, 롤러(20)는 가이드(211)의 선단과 접촉하여 구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디(10)는, 도 4와 같이, 요 홈(110) 부분에 끼워짐에 따라서, 고정 편(30)은 창호(100b)의 측면과 밀착한다. 이에, 고정 편(30)에 형성한 체결 구멍(31)에 체결 수단(32)으로 체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처짐 방지 장치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의 요 홈과 중간 프레임의 가이드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없애면서 구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중간 프레임이 처질 수 있는 공간을 없애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처짐 방지장치는, 도 6과 같이,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보디(10')의 형상을 변경하여 롤러(20)의 양쪽이 보디(10') 바깥쪽으로 돌출하게 구성한 것이다. 이에, 여기서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2에서, 보디(10')는 도 6과 같이 서로 마주 보는 면이 개방되게 구성하고, 여기에 설치하는 롤러(20)는 그 양쪽 부분이 이처럼 개방한 보디(10') 양쪽으로 돌출하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에서는 서로 마주 보는 상하면의 일부를 개방한 형태를 보여준다.
이에, 도 6과 같이, 보디(10')의 바깥쪽으로 돌출한 롤러(20) 부분이, 각각 가이드(211)의 선단 및 요 홈(110)의 안쪽 면과 접촉하여 구를 수 있게 함으로써, 창호를 더욱 부드럽게 열고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때의 롤러(20) 지름(D)은, 도 2와 같이 가이드(211)의 선단과 요 홈(110)의 안쪽 면 사이의 간격(G)과 같거나 조금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보디
20 : 롤러
30 : 고정 편
31 : 체결 구멍
100 : 창호
110 : 요 홈
200 : 창호 프레임
210 : 중간 프레임
211 : 가이드

Claims (5)

  1. 상부는 고정식 창호이고 하부는 미닫이 방식의 창호를 구분하는 중간 프레임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 프레임에 형성한 가이드와 미닫이 방식의 창호 선단 사이에 끼워서 장착하는 처짐 방지 장치로서,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고 양쪽 면이 서로 마주 보게 형성한 보디(10);
    상기 보디(10)의 마주 보는 양쪽 면 사이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일부가 보디(10)의 개방된 위로 돌출하게 형성한 적어도 하나의 롤러(20); 및
    상기 보디(10)의 개방되지 않은 하부에서 수직으로 접어서 창호(100b)의 측면과 밀착시킬 수 있게 형성되고, 한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구멍(31)을 형성한 고정 편(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20)는 1~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10)의 하부에서 롤러(20) 상부까지의 높이(H)는,
    창호(100b)를 창호 프레임(200)에 장착하였을 때, 중간 프레임(210)에 형성한 가이드(211)에서 돌출한 끝단과 이 가이드(211)에 끼워진 창호(100b)의 요홈(110) 안쪽 면까지의 간격(G)과 같거나 조금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10)는 하부가 일부 더 개방되고, 개방된 부분을 통해 롤러(20) 하부가 보디(10) 아래로 돌출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20)의 지름(D)은,
    창호(100b)를 창호 프레임(200)에 장착하였을 때, 중간 프레임(210)에 형성한 가이드(211)에서 돌출한 끝단과 이 가이드(211)에 끼워진 창호(100b)의 요홈(110) 안쪽 면까지의 간격(G)과 같거나 조금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
KR1020140159135A 2014-11-14 2014-11-14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 KR101651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135A KR101651746B1 (ko) 2014-11-14 2014-11-14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135A KR101651746B1 (ko) 2014-11-14 2014-11-14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909A KR20160057909A (ko) 2016-05-24
KR101651746B1 true KR101651746B1 (ko) 2016-08-26

Family

ID=56113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9135A KR101651746B1 (ko) 2014-11-14 2014-11-14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7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242B1 (ko) * 2022-04-22 2023-12-04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창호의 환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043Y1 (ko) 2000-06-15 2000-11-01 이석춘 창문용 호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756B1 (ko) 2009-04-30 2011-12-28 인우시스템 주식회사 조립식 창호프레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043Y1 (ko) 2000-06-15 2000-11-01 이석춘 창문용 호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909A (ko)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763B1 (ko) 폴딩도어
KR101456898B1 (ko) 폴딩도어
KR101779561B1 (ko) 폴딩도어
KR20190046771A (ko) 커버 부재를 가지는 슬라이딩 벽 장치
KR101966890B1 (ko) 폴딩도어용 롤러장치장치
KR20160135680A (ko)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
KR101651746B1 (ko)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
KR101884911B1 (ko) 슬라이딩 벨트모듈을 구비한 방풍형 미닫이 창호 시스템
JP6120719B2 (ja) トイレブースのパネル体取り付け構造
KR101236524B1 (ko) 접이문
US20190292843A1 (en) Perimetrical frame for glass doors
KR101204813B1 (ko) 구름 컨베이어를 갖는 창호 개폐 장치
KR102413978B1 (ko) 창호용 개폐 시스템
KR101618580B1 (ko) 안전창호
JP6781500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2016017303A (ja) 網戸の取付構造及びその網戸
JP6722892B2 (ja) 引戸装置
KR102503629B1 (ko) 무피스 착탈구조를 가진 창호용 호차
JP7339180B2 (ja) 窓用緩衝装置
KR20180049783A (ko) 은폐판을 이용한 폴딩도어의 가이드프레임 은폐 구조
KR20120000004U (ko) 자동으로 닫혀지는 현수식 교실출입문
KR102025185B1 (ko) 연동 도어 장착용 도어 수직 프레임
JP6994322B2 (ja) 引戸の窓構造
KR200163589Y1 (ko) 미닫이창의다중차단구조
KR20100001878A (ko) 슬라이딩 창호가 구비된 커튼월의 개선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