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756B1 - 조립식 창호프레임 - Google Patents

조립식 창호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756B1
KR101099756B1 KR1020090037939A KR20090037939A KR101099756B1 KR 101099756 B1 KR101099756 B1 KR 101099756B1 KR 1020090037939 A KR1020090037939 A KR 1020090037939A KR 20090037939 A KR20090037939 A KR 20090037939A KR 101099756 B1 KR101099756 B1 KR 101099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efabricated
fastening member
reinforcement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9030A (ko
Inventor
고철인
Original Assignee
인우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우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우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7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756B1/ko
Publication of KR20100119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with screws blocking the connecting piece inside or on the fram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창호프레임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들을 용접을 하지 않고 조립식으로 형성할 수 있는 조립식 창호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식 창호프레임은, 창호가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간격을 유지하며 위치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들과 간격을 띄우고 측면프레임들 사이로 나란히 위치하는 중간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과 중간프레임 사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과 중간프레임 사이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제공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은 제1체결부재로 측면프레임 및 중간프레임에 조립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제2체결부재로 측면프레임 및 중간프레임에 조립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보강프레임은 제3체결부재로 측면프레임 및 중간프레임에 조립식으로 고정되는 조립식 창호프레임을 제공한다.
창호프레임, 조립식, 체결부재, 고정플레이트, 지지플레이트

Description

조립식 창호프레임{PREFABRICATED SASH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조립식 창호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프레임을 용접을 하지 않고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창호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건물에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켜 온도 및 기상변화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면서 채광을 위한 목적으로 창호가 설치된다.
이러한 창호의 설치를 위하여 건물의 벽 또는 출입구 등에는 창호프레임이 고정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창호프레임에는 개폐 가능한 상태 또는 고정형태로 창호가 설치된다.
창호프레임의 통상적인 구조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과 이들 측면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창호의 구조 및 크기 등에 따라서 측면프레임 사이에는 중간프레임이 제공될 수도 있고,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는 보강프레임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창호프레임은 프레임이 서로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으로 고정하는 방법으로 제작하게되는데, 이에 따라 제작시간이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제작된 제 품의 품질도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용접된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므로 미관을 나쁘게 하는 것은 물론이고, 용접으로 인하여 창호프레임이 부식되거나 견고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프레임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들을 용접을 하지 않고 조립식으로 형성할 수 있는 조립식 창호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조립식 창호프레임은,
창호가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간격을 유지하며 위치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들과 간격을 띄우고 측면프레임들 사이로 나란히 위치하는 중간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과 중간프레임 사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과 중간프레임 사이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은 제1체결부재로 측면프레임 및 중간프레임에 조립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제2체결부재로 측면프레임 및 중간프레임에 조립식으로 고정되는 조립식 창호프레임을 제공한다.
상기 제1,제2,체결부재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과 조립되는 다른 프레임의 내부로 위치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를 서로 고정하는 고정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가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간격을 유지하며 위치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들과 간격을 띄우고 측면프레임들 사이로 나란히 위치하는 중간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과 중간프레임 사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과 중간프레임 사이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제공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은 제1체결부재로 측면프레임 및 중간프레임에 조립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제2체결부재로 측면프레임 및 중간프레임에 조립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보강프레임은 제3체결부재로 측면프레임 및 중간프레임에 조립식으로 고정되는 조립식 창호프레임을 제공한다.
상기 제1,제2,체결부재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과 조립되는 다른 프레임의 내부로 위치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를 서로 고정하는 고정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체결부재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과 조립되는 다른 프레임의 내부로 위치하며 나사홀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를 나사체결로 고정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창호프레임은 인접된 프레임들을 고정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 및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조립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각각의 프레임을 용접으로 고정하는 것에 비하여 정확한 규격으로 제작할 수 있 으면서 창호프레임의 견고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이유로 창호프레임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창호프레임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에서 보강부재와 체결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창호프레임이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창호프레임은, 창호가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간격을 유지하며 위치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0)과, 상기 측면프레임(10)들과 간격을 띄우고 측면프레임들 사이로 나란히 위치하는 중간프레임(20)과, 상기 측면프레임(10)과 중간프레임(20) 사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상부프레임(30)과, 상기 측면프레임(10)과 중간프레임(20) 사이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하부프레임(4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프레임(30)과 하부프레임(40) 사이에는 보강프레임(50)이 더 제공될 수 있는데, 비교적 작은 크기의 창호의 설치되거나 또는 구조적인 강도가 크지 않아도 되는 창호프레임의 경우에는 본 실시 예에 비하여 중간프레임(20)의 개수를 줄일 수도 있고 보강프레임(50)을 생략할 수도 있다.
반대로 비교적 큰 크기의 창호의 설치되거나 또는 구조적인 강도가 크게 요구되는 창호프레임의 경우에는 본 실시 예에 비하여 중간프레임(20)의 개수를 더 많게 할 수도 있고 보강프레임(50)의 개수를 더 많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각각의 프레임(10)(20)(30)(40)(50)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각 프레임들의 외곽부분은 대략적인 사각형태를 이루면서 내부는 공간부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 상기 프레임(10)(20)(30)(40)(50)의 내부에는 구조적인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보강부재(12)(22)(32)(42)(52)가 더욱 제공될 수 있다.
이 보강부재(12)(22)(32)(42)(52)는 각각의 프레임(10)(20)(30)(40)(50)의 형상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면서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각 프레임 내부에 긴밀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렇게 삽입된 각각의 보강부재(12)(22)(32)(42)(52)는 각각의 프레임(10)(20)(30)(40)(50)에 용접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프레임을 조립식으로 고정하여 하나의 완성된 창호프레임을 이루도록 하는 고정플레이트 및 지지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각각의 프레임(10)(20)(30)(40)(50) 내측에 설치된 보강부재(12)(22)(32)(42)(52)에 설치되거나 지지된다.
또 창호프레임에 유리 또는 패널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부프레임(30)의 하부면과 보강프레임(50)의 상부면 및 하부면과, 하부프레임(40)의 상부면에는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립식 창호프레임은 측면프레임(10) 및 중간프레임(20)은 지주 형태로 위치하고, 이들 사이에 상부프레임(30)과 하부프레임(40) 및 보강프레 임(50)이 제1,제2,제3체결부재를 통하여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구성이다.
즉, 본 발명의 조립식 창호프레임은 상부프레임(30)은 제1체결부재로 측면프레임(10) 및 중간프레임(20)에 조립식으로 고정되고, 하부프레임(40)은 제2체결부재로 측면프레임(10) 및 중간프레임(20)에 조립식으로 고정되고, 보강프레임(50)은 제3체결부재로 측면프레임(10) 및 중간프레임(20)에 조립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상부프레임(30)의 조립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30)의 양쪽단부를 제1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측면프레임(10)과 중간프레임(20)상부 내측면에 각각 고정 지지하는 방법으로 조립한다.
상기 제1체결부재는 상부프레임(30)을 구성하는 보강부재(22) 각각의 끝단부 내부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02)와, 이 고정플레이트(102)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측면프레임(10) 또는 중간프레임(20)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플레이트(104)와, 이들 고정플레이트(102)와 지지플레이트(104)를 서로 고정하는 고정볼트(106) 및 너트(108)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02)에는 고정볼트(106)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110)이 뚫려지고, 지지플레이트(104)에는 고정볼트(106)가 통과할 수 있도록 홀(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측면프레임(10)의 상단부는 고정볼트(106)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절개된다.
또 고정볼트(106) 및 너트(108)의 체결력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볼트(106)의 양쪽으로는 와셔(114)가 더욱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부프레임(30)을 조립하려면, 먼저 도 3에 서와 같이 측면프레임(10)의 상부 끝단부 내측에 상부프레임(30)의 끝단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와셔(114)를 끼운 고정볼트(106)를 지지플레이트(104)의 홀(112)에 삽입한 다음, 이 고정볼트(106)를 상부프레임(20)의 일측 단부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102)의 홀(110)에 끼운다. 그리고 고정플레이트(102)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볼트(106)에 와셔(114)를 끼운 후 너트(108)를 나사 체결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고정볼트(106)와 너트(108)를 모두 체결하면 하나의 상부프레임(30) 일측은 측면프레임(10)에 고정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또 다른 제1체결부재를 이용하여도 4에서와 같이 상부프레임(30)의 타측을 중간프레임(20)에 고정하면 하나의 상부프레임(30)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제1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다른 상부프레임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중간프레임(20)들 사이 및 중간프레임(20)과 측면프레임(10) 사이에 각각 설치하여 상부프레임을 모두 조립한다.
이와 같이 상부프레임(30)이 조립 완료되면 복수로 이루어진 하부프레임(40)을 설치한다.
하부프레임(40)의 조립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40)의 양쪽단부를 제2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측면프레임(10)과 중간프레임(20)하부 내측면에 각각 고정 지지하는 방법으로 조립한다.
상기 제2체결부재는 하부프레임(40)을 구성하는 보강부재(42) 각각의 끝단부 내부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202)와, 이 고정플레이트(202)와 대응 되는 방향으로 측면프레임(10) 또는 중간프레임(20)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플레이트(204)와, 이들 고정플레이트(202)와 지지플레이트(204)를 서로 고정하는 고정볼트(206) 및 너트(208)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02)에는 고정볼트(206)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210)이 뚫려지고, 지지플레이트(204)에는 고정볼트(206)가 통과할 수 있도록 홀(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측면프레임(10)의 하단부는 고정볼트(206)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절개된다.
또 고정볼트(206) 및 너트(208)의 체결력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볼트(206)의 양쪽으로는 와셔(214)가 더욱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하부프레임(40)을 조립하려면, 먼저 도 5에서와 같이 측면프레임(10)의 하부 끝단부 내측에 하부프레임(40)의 끝단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와셔(214)를 끼운 고정볼트(206)를 지지플레이트(204)의 홀(212)에 삽입한 다음, 이 고정볼트(206)를 하부프레임(40)의 일측 단부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202)의 홀(210)에 끼운다. 그리고 고정플레이트(202)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볼트(206)에 와셔(214)를 끼운 후 너트(208)를 나사 체결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고정볼트(206)와 너트(208)를 모두 체결하면 하나의 하부프레임(40) 일측은 측면프레임(10)에 고정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또 다른 제2체결부재를 이용하여도 6에서와 같이 하부프레임(40)의 타측을 중간프레임(20)에 고정하면 하나의 하부프레임(40)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제2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다른 하부프레임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중간프레임(20)과 측면프레임(10) 사이에 설치하여 하부프레임을 모두 조립한다.
이와 같이 하부프레임(40)이 조립 완료되면 복수로 이루어진 보강프레임(50)을 설치한다.
보강프레임(50)의 조립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프레임(50)의 양쪽단부를 제3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측면프레임(10)과 중간프레임(20) 내측면에 각각 고정 지지하는 방법으로 조립한다.
이와 같은 보강프레임(50)의 조립 시 그 내부로는 보강바(60)가 삽입되어 조립된 창호프레임의 구조를 더욱 튼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보강바(60)는 보강프레임(50)을 조립하면서 그 양단부를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측면프레임(10)에 각각 고정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제3체결부재는 보강프레임(50)을 구성하는 보강부재(52) 각각의 끝단부 내부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302)와, 이 고정플레이트(302)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측면프레임(10) 또는 중간프레임(20) 내부로 위치하는 지지플레이트(304)와, 이들 고정플레이트(302)와 지지플레이트(304)를 서로 고정하는 고정볼트(306)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302) 또는 지지플레이트(304)에는 고정볼트(306)가 나사체결 될 수 있도록 나사홀(308)이 뚫려지고, 고정플레이트(302) 또는 지지플레이트(304)에는 고정볼트(306)가 통과할 수 있도록 홀이 뚫려진다.
상기 고정플레이트(302) 및 지지플레이트(304)에는 보강바(60)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보강바 관통홀(310)홀이 각각 뚫려진다. 그리고 측면프레임(10)에는 보강바(6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절개된다.
이러한 제3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보강프레임(50)을 조립하려면, 먼저 도 7에서와 같이 측면프레임(10)의 내측에 보강프레임(50)의 끝단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306)를 지지플레이트(304)의 홀에 삽입한 다음, 이 고정볼트(306)를 보강프레임(50)의 일측 단부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302)의 나사홀(308)에 나사 체결한다. 이러한 조립시 보강바(60)의 끝단부를 고정플레이트(302) 및 지지플레이트(304)형성된 보강바 관통홀(310)에 끼우면서 조립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고정볼트(306)를 모두 체결하면 하나의 보강프레임(50) 일측은 측면프레임(10)에 고정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또 다른 제3체결부재를 이용하여도 8에서와 같이 보강프레임(50)의 타측 및 다른 보강프레임의 일측을 중간프레임(20)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보강프레임(50)을 조립한다.
상기와 같은 제3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보강프레임(50)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중간프레임(20)들 사이 및 중간프레임(20)과 측면프레임(10) 사이에 각각 설치하여 보강프레임을 모두 조립한다.
이와 같이 보강프레임(50)이 모두 설치되면 측면프레임(10)의 양쪽으로는 숫나사부가 가공된 보강바(60)의 끝단부가 돌출 되는데, 도 9에서와 같이 보강바(60)의 양쪽 끝단부에 와셔(64)를 끼우고 너트(66)를 체결하면 보강바(60)는 양쪽 측면 프레임(10)에 고정되면서 창호프레임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예시를 목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창호프레임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에서 보강부재와 체결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창호프레임이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
도 3a는 도 2의 "A"부분을 분해하여 확대한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조립단면도.
도 4a는 도 2의 "B"부분을 분해하여 확대한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조립단면도.
도 5a는 도 2의 "C"부분을 분해하여 확대한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조립단면도.
도 6a는 도 2의 "D"부분을 분해하여 확대한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조립단면도.
도 7a는 도 2의 "E"부분을 분해하여 확대한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조립단면도.
도 8a는 도 2의 "F"부분을 분해하여 확대한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조립단면도.
도 9a는 도 2의 "G"부분을 분해하여 확대한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조립단면도.

Claims (7)

  1. 창호가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간격을 유지하며 위치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들과 간격을 띄우고 측면프레임들 사이로 나란히 위치하는 중간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과 중간프레임 사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과 중간프레임 사이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은 제1체결부재로 측면프레임 및 중간프레임에 조립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제2체결부재로 측면프레임 및 중간프레임에 조립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제2체결부재는 측면프레임 또는 중간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과 조립되는 다른 프레임의 내부로 위치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를 서로 고정하는 고정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진 조립식 창호프레임.
  2. 창호가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간격을 유지하며 위치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들과 간격을 띄우고 측면프레임들 사이로 나란히 위치하는 중간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과 중간프레임 사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과 중간프레임 사이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제공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은 제1체결부재로 측면프레임 및 중간프레임에 조립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제2체결부재로 측면프레임 및 중간프레임에 조립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보강프레임은 제3체결부재로 측면프레임 및 중간프레임에 조립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제2체결부재는 측면프레임 또는 중간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과 조립되는 다른 프레임의 내부로 위치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를 서로 고정하는 고정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체결부재는 보강프레임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보강프레임과 조립되는 측면프레임 또는 중간프레임 위치하며 나사홀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를 나사체결로 고정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진 조립식 창호프레임.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 중간프레임,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내부에는 보강부재가 더 제공된 조립식 창호프레임.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 내부에는 보강부재가 더 제공된 조립식 창호프레임.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 내부에는 보강바가 더 제공된 조립식 창호프레임.
KR1020090037939A 2009-04-30 2009-04-30 조립식 창호프레임 KR101099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939A KR101099756B1 (ko) 2009-04-30 2009-04-30 조립식 창호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939A KR101099756B1 (ko) 2009-04-30 2009-04-30 조립식 창호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030A KR20100119030A (ko) 2010-11-09
KR101099756B1 true KR101099756B1 (ko) 2011-12-28

Family

ID=43405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939A KR101099756B1 (ko) 2009-04-30 2009-04-30 조립식 창호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7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603Y1 (ko) 2010-03-16 2012-03-06 (주) 장진플라테크 슬라이딩 도어
KR20160057909A (ko) 2014-11-14 2016-05-24 주식회사 윈체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
KR102208199B1 (ko) 2020-02-27 2021-01-27 (주)헤드어반스튜디오 인테리어용 조립식 창호 및 이를 이용한 창호 구조물의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707Y1 (ko) 2000-01-08 2000-08-01 이용권 중문용 격자프레임
KR200261570Y1 (ko) * 2001-10-12 2002-01-23 주식회사샤인 창틀프레임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707Y1 (ko) 2000-01-08 2000-08-01 이용권 중문용 격자프레임
KR200261570Y1 (ko) * 2001-10-12 2002-01-23 주식회사샤인 창틀프레임 연결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603Y1 (ko) 2010-03-16 2012-03-06 (주) 장진플라테크 슬라이딩 도어
KR20160057909A (ko) 2014-11-14 2016-05-24 주식회사 윈체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
KR102208199B1 (ko) 2020-02-27 2021-01-27 (주)헤드어반스튜디오 인테리어용 조립식 창호 및 이를 이용한 창호 구조물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030A (ko) 201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086B1 (ko) 45°의 이음부위를 갖는 창호문 조립구조
KR101939898B1 (ko) 간단한 연결구조로 형성되어 다양한 시공방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커튼월.
US20030145538A1 (en) Covers for door jambs and mullions
KR101185026B1 (ko) 스틸 알루미늄 조합형 유닛 타입 커튼월
KR101099756B1 (ko) 조립식 창호프레임
KR100863577B1 (ko) 창호프레임
KR101591862B1 (ko) 커튼월과 스윙도어의 연결구조
KR200405447Y1 (ko) 지붕패널
KR200423362Y1 (ko) 창틀 프레임의 모서리 결합장치
JPH06299758A (ja) 窓枠の取付方法及びその装置
US10941605B2 (en) Modular storefront system
KR100656854B1 (ko) 공동주택의 개폐가능한 방범창
KR101075035B1 (ko)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
KR20160063893A (ko) 창호용 프로파일의 단열 브라켓 유닛
JP3420550B2 (ja) 窓 枠
JP7277352B2 (ja) 建造物の2重壁構造
KR101740550B1 (ko) 단열복합 커튼 월
CN217379390U (zh) 标准截面杆件的集成墙构造
KR200381364Y1 (ko) 방화문
KR102247641B1 (ko) 건축물용 바닥 구조체
JP6303041B2 (ja) 門扉
JP7067964B2 (ja) 建具及び改装サッシの施工方法
JP2008267005A (ja) 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引戸式建具や補強金具
JP3994972B2 (ja) フェンス体、およびフェンス
KR101001299B1 (ko) 칸막이용 문틀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