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660B1 -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문 구조물 - Google Patents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문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2660B1 KR101602660B1 KR1020140139035A KR20140139035A KR101602660B1 KR 101602660 B1 KR101602660 B1 KR 101602660B1 KR 1020140139035 A KR1020140139035 A KR 1020140139035A KR 20140139035 A KR20140139035 A KR 20140139035A KR 101602660 B1 KR101602660 B1 KR 1016026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nge
- door
- point
- hinge point
- block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1272720 Medialuna californ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009—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are necessarily performed simultaneously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와 미닫이 겸용 문 구조물을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건물 등의 벽에 형성되는 출입구를 개폐하는 것인 본 발명에 따른 문 구조물은, 상기 출입구를 폐쇄할 수 있도록 출입구의 형상에 맞추어 마련되고, 일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평으로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이 설치되는 문; 상기 출입구의 일측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 힌지와 하부 힌지; 상기 상부 레일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부 블록; 상기 하부 레일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부 블록; 상기 상부 힌지와 상기 상부 블록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상부 힌지에 대해서는 회전 운동이 구속되며 상기 상부 블록과 상대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상부 힌지축; 및 상기 하부 블록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힌지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는 하부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힌지는 상기 상부 힌지축의 회전 운동을 구속하는 제1 힌지 지점 및 제2 힌지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힌지는 상기 하부 힌지축이 회전 운동할 수 있는 제1 힌지 지점 및 제2 힌지 지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힌지축과 상기 하부 힌지축이 각각 상기 상부 힌지의 제1 힌지 지점과 상기 하부 힌지의 제1 힌지 지점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블록은 상기 상부 힌지축과 상대 회전운동을 하고 상기 하부 힌지축은 상기 상부 힌지의 상기 제1 힌지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문이 회전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힌지축과 상기 하부 힌지축이 각각 상기 상부 힌지의 제2 힌지 지점과 상기 하부 힌지의 제2 힌지 지점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블록과 상기 하부 블록은 각각 상기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에 대해 슬라이드함으로써 상기 문이 슬라이드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 힌지와 상기 하부 힌지의 제1 힌지 지점은 상기 출입구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힌지 지점들은 상기 출입구로부터 상기 벽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상부 힌지축과 하부 힌지축은 상기 제1 힌지 지점과 제2 힌지 지점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 등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미닫이 문과 여닫이 문으로 겸용할 수 있는 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건물이나 공장 또는 설비 구조물 등의 벽에 형성된 출입구를 개폐하는 문은 출입구의 한 모서리에 마련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는 여닫이 문과 출입구와 평행하게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하여 개폐되는 미닫이 문이 있다.
통상의 여닫이 문은, 문과 출입구의 한쪽 모서리 상하에 문이 회전 운동을 하는 힌지 축을 마련하고 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문이 회전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문의 힌지축의 반대쪽 모서리와 출입구의 모서리 사이에 시건 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문의 잠금 장치를 쉽게 설치할 수 있고, 문으로 출입구를 폐쇄하였을 때 문이 출입구에 밀착되어 별도의 밀폐 요소가 없어도 방풍과 방음이 잘 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여닫이 문은 그 회전으로 인하여 상당히 큰 공간을 점유하기 때문에 그 회전 경로 상의 공간이 이른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로 되어 건물이나 구조물의 공간 활용성이 좋지 않고, 특히 문을 장시간 개방하여 놓고 사람이나 물품이 출입구를 통하여 빈번히 드나드는 경우에는 개방되어 있는 문이 출입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한다. 또한, 문을 닫을 때 힌지축에 가까울수록 상당히 큰 힘이 작용하는데 힌지축 근처의 출입구 벽과 문 사이의 공간에 사람의 손 등이 끼여 부상을 당할 우려가 크다.
반면, 미닫이 문은 건물 등의 벽면과 평행하게 슬라이드되어 개폐되므로 문의 개폐를 위한 공간이 최소화되고 문을 열어 놓았을 때 문이 벽면에 밀착되어 있게 되어 여닫이 문에서 생기는 '데드 스페이스'가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고, 여닫이 문에서 발생하는 사람의 부상의 우려도 적다.
그러나, 통상의 미닫이 문은 출입구를 전부 개방할 수 없고 절반은 항상 닫혀 있게 되므로, 미닫이 문과 동일하게 출입을 위한 개방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벽면에 더 넓은 면적으로 출입구를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미닫이 문이 출입구에 대해 슬라이드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출입구 모서리와 벽면을 따라 문이 슬라이드하는 레일을 길게 설치하여야 하고, 출입구와 문 사이의 밀착성이 좋지 않아 방풍과 방음을 위해서는 문의 둘레에 별도의 밀폐 장치를 마련하여야 하는 등, 여닫이 문에 비해 그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 비용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건물 등의 출입구에 문을 마련할 때에는 전술한 미닫이 문과 여닫이 문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예컨대 주거용 건물의 경우, 창문은 미닫이 문으로 구성하고 방문이나 현관문 등은 여닫이 문으로 하는 등, 해당 출입구의 용도에 따라 여닫이 문과 미닫이 문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미닫이 문과 여닫이 문의 장점을 활용하여 필요에 따라 미닫이 문으로 작동하거나 여닫이 문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출입구에 하나의 문 구조물을 설치하되 이 문 구조물을 상황에 따라 미닫이 문과 여닫이 문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문 구조물, 즉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문 구조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그 장착을 위한 구조가 간단하고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여닫이 문의 구조를 기초로 하되, 건물 등의 벽이나 출입구에 미닫이용 레일을 시공하는 일이 없이 필요에 따라 미닫이 문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문 구조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벽에 형성되는 출입구를 개폐하는 문 구조물로서,
상기 출입구를 폐쇄할 수 있도록 출입구의 형상에 맞추어 마련되고, 일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평으로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이 설치되는 문; 상기 출입구의 일측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 힌지와 하부 힌지; 상기 상부 레일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부 블록; 상기 하부 레일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부 블록; 상기 상부 힌지와 상기 상부 블록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상부 힌지에 대해서는 회전 운동이 제한되며 상기 상부 블록과 상대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상부 힌지축; 및 상기 하부 블록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힌지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는 하부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힌지는 상기 상부 힌지축의 회전 운동을 구속하는 제1 힌지 지점 및 제2 힌지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힌지는 상기 하부 힌지축이 회전 운동할 수 있는 제1 힌지 지점 및 제2 힌지 지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힌지축과 상기 하부 힌지축이 각각 상기 상부 힌지의 제1 힌지 지점과 상기 하부 힌지의 제1 힌지 지점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블록은 상기 상부 힌지축과 상대 회전운동을 하고 상기 하부 힌지축은 상기 상부 힌지의 상기 제1 힌지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문이 회전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힌지축과 상기 하부 힌지축이 각각 상기 상부 힌지의 제2 힌지 지점과 상기 하부 힌지의 제2 힌지 지점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블록과 상기 하부 블록은 각각 상기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에 대해 슬라이드함으로써 상기 문이 슬라이드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 힌지와 상기 하부 힌지의 제1 힌지 지점은 상기 출입구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힌지 지점들은 상기 출입구로부터 상기 벽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상부 힌지축과 하부 힌지축은 상기 제1 힌지 지점과 제2 힌지 지점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인 문 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문 구조물의 구성에 따르면, 상부 힌지축과 하부 힌지축이 각각 상부 힌지와 하부 힌지의 제1 힌지 지점에 놓여진 상태에서 문은 여닫이 문으로 작동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힌지축에 결합된 상부 블록은 문의 상부 레일에 놓인 상태에서 상부 힌지축에 대해 회전하고, 하부 블록 및 하부 힌지축은 하부 힌지의 제1 힌지 지점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으므로, 문은 제1 힌지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문을 미닫이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 힌지축과 하부 힌지축을 각각 상부 힌지와 하부 힌지의 제2 힌지 지점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은 벽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 힌지와 하부 힌지를 제외한 문 구조물 전체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힌지축과 하부 힌지축이 제2 힌지 지점으로 이동하면, 여기서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이 각각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에서 슬라이드 함으로써 문은 출입구와 평행하게 슬라이드하는 미닫이 문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벽에 고정하는 힌지에 2개의 힌지 지점을 두고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을 통하여 문에 결합되는 힌지축들을 이들 2개의 힌지 지점 사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문을 미닫이 또는 여닫이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미닫이 문은 출입구와 벽의 상하에 레일을 설치하고 이 레일을 따라 문을 슬라이드 시켜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문의 상하로 레일을 설치하고 힌지에 결합되는 상하부의 블록이 이 레일들을 따라 슬라이드하여 문이 개폐되므로, 레일을 벽이나 출입구에 설치함으로써 출입구의 구조가 복잡하고 출입에 지장이 초래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가 해소된다.
본 발명의 문 구조물이 추가적인 특징으로서, 상기 상부 힌지축의 상단에는 상기 제1 힌지 지점과 상기 제2 힌지 지점에 배치되어 그 회전 및 이동이 구속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힌지에는 상기 고정부가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면이 상기 제1 힌지 지점과 상기 제2 힌지 지점 사이에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성에 따르면, 상부 힌지축의 상단의 고정부가 제1 힌지 지점 또는 제2 힌지 지점에 배치되어 그 회전 및 이동이 구속됨으로써 상부 블록의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의 지지점이 될 수 있고, 상부 힌지축을 제1 힌지 지점과 제2 힌지 지점 사이에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부를 이들 사이의 슬라이드면을 따라 슬라이드시키게 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부 힌지의 슬라이드면은 제1 힌지 지점 및 제2 힌지 지점보다 더 높은 표면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힌지축의 고정부는 제1 힌지 지점 또는 제2 힌지 지점에서 그 회전 및 이동이 구속되지만, 슬라이드면을 이들 힌지 지점보다 더 높은 표면으로 함으로써 상측으로 힘을 가하여야 상부 힌지축의 고정부가 제1 힌지 지점 또는 제2 힌지 지점에서의 구속 상태에서 벗어나 슬라이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은 외력의 작용 또는 작동 상의 실수로 인하여 고정부가 제1 힌지 지점에서 제2 힌지 지점으로 또는 제2 힌지 지점에서 제1 힌지 지점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 구조물에서는. 상기 상부 힌지에는 상기 상부 힌지축이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관통홀이 상기 제1 힌지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힌지 지점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부 힌지축은 그 고정부가 상부 힌지의 제1 또는 제2 힌지 지점이나 슬라이드면에 놓인 상태에서 나머지 부분이 상부 힌지의 관통홀을 통하여 상부 힌지의 바로 아래에 놓이게 되므로 상부 힌지와 상부 힌지축 및 상부 블록을 포함하는 상부 힌지 구조가 매우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고, 상부 힌지축이 제1 또는 제2 힌지 지점 사이에서 슬라이드하여 이동할 때 상부 힌지로부터 이탈하는 일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적 특징으로서, 상기 하부 힌지축의 하단은 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힌지의 제1 힌지 지점과 제2 힌지 지점은 상기 하부 힌지축의 하단이 접촉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힌지축의 하단의 형상과 상보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하부 힌지축의 하단이 하부 힌지에 지지되어 문의 하중이 하부 힌지에 의해 지지되면서도 간단한 구조로 하부 힌지축이 하부 힌지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힌지에는 상기 하부 힌지축의 하단이 슬라이드하는 안내홈이 상기 제1 힌지 지점과 제2 힌지 지점 사이에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안내홈은 상기 하부 힌지의 상기 제1 힌지 지점 및 상기 제2 힌지 지점보다 더 높은 표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추가의 구성에 따르면, 하부 힌지축은 제1 힌지 지점 또는 제2 힌지 지점에 놓여 있다가 문의 기능 전환을 위해 하부 힌지축을 다른 힌지 지점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부 힌지축에 상측으로 힘을 가하여 상향 이동시켜 하부 힌지의 하단이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고,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나 작동 상의 실수로 하부 힌지축이 힌지 지점 사이에서 이동하는 일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간단한 구성으로 하부 힌지축이 하부 힌지의 제1 힌지 지점 또는 제2 힌지 지점에 유지되면서도 필요에 따라 간단한 동작으로 제1 힌지 지점과 제2 힌지 지점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적 구성으로서, 상기 하부 힌지의 상기 제1 힌지 지점에는 상기 하부 힌지축의 하단과 맞물려 상기 하부 힌지축의 회전 운동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는 저항 요소가 마련될 수 있다.
여닫이 문은 문을 개방하면 문이 폐쇄 상태로 전환하도록 강제하는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저항 요소를 두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저항 요소를 하부 힌지의 제1 힌지 지점에 설치하고 이 저항 요소가 문과 함께 회전하는 하부 힌지축과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하부 힌지축의 회전에 대해 문이 폐쇄되는 쪽으로 힘을 가하게 한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부가의 구성에서는 별도의 장치나 요소를 두는 일이 없이 저항 요소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추가의 특징적 구성으로서, 상기 상부 힌지와 상기 하부 힌지의 제2 힌지 지점은 상기 문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힌지 지점으로부터 이격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및 제2 힌지축이 제2 힌지 지점에 배치되어 문이 미닫이로 기능할 때, 문을 최대한 슬라이드시켜 출입구를 최대한으로 개방하였을 때, 문의 일부가 출입구의 일부를 막고 있는 상태로 되지 않고 출입구가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의 특징적 구성으로서, 상기 상부 레일 또는 상기 하부 레일 또는 이들 양자에는, 상기 상부 힌지축과 상기 하부 힌지축이 각각 상기 상부 힌지의 제1 힌지 지점과 상기 하부 힌지의 제1 힌지 지점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블록 또는 상기 하부 블록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정지 요소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힌지축과 하부 힌지축이 제1 힌지 지점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는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은 각각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에서 슬라이드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추가의 구성에서 상부 레일 또는 하부 레일에 상부 블록 또는 하부 블록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정지 요소를 둠으로써, 문이 미닫이로서 기능할 때 문이 힌지 요소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정지 요소는 상기 상부 레일 또는 상기 하부 레일에서 상기 상부 블록 또는 상기 하부 블록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의 표면에 탄성적으로 돌출 배치되는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는 상기 상부 블록 또는 상기 하부 블록을 일정한 힘 이상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상부 레일 또는 하부 레일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후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지 요소를 구성함으로써, 문을 슬라이드시키고자 할 때에는 탄성적으로 설치된 돌기를 레일의 표면 내측으로 후퇴시킬 수 있을 정도의 힘을 가하여야 하므로, 문을 여닫이로서 사용할 때에는 문이 힌지 요소에 대해 슬라이드하지 않게 되어 우발적으로 문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문이 벽에 충돌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문을 미닫이로서 이용할 때에도 돌기에 의해 문이 폐쇄 상태를 유지하고 일정 정도 이상의 힘으로 문을 슬라이드시켜야만 문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문이 의도하지 않게 개방되는 일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 구조물의 구성과 작용에 따르면, 하나의 문을 필요에 따라 미닫이 문과 여닫이 문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특히 그러한 미닫이와 여닫이의 전환은 전환시마다 문의 구조의 일부를 변경하는 일이 없이 단지 문의 상하의 힌지축을 출입구측에 고정된 힌지의 2개의 힌지 지점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작업만으로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따른 여닫이 문의 구성을 기초로 하되 단지 여닫이 문에 사용하는 힌지에 추가의 힌지점을 마련하고 본 발명에 적합한 힌지축과 블록 등을 구비하여야 하는 것 외에 여닫이 문의 기능을 겸용하기 위해 건물이나 구조물의 벽과 출입구의 구조를 변경하는 일이 없이 여닫이 문으로의 겸용이 가능한 문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문구조물에서는 미닫이 문으로서 기능하도록 문의 상하에 레일을 마련하여야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미닫이 문에서 출입구나 벽 등에 레일을 마련하는 것에 비해 더욱 간단한 구조로 되고, 특히 슬라이드하는 미닫이 문의 구조에서 필수적인 레일을 문에 설치함으로써 오히려 문 구조물이 설치되는 건물 등의 공간 활용이 더욱 효율적으로 되는 잇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 구조물이 여닫이 문으로 이용될 때 문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2a는 도 1의 'A' 부분에서 문 구조물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는 상부 힌지, 상부 힌지축, 상부 블록 및 상부 레일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로서, 상부 힌지의 관통홀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례의 단면도이고,
도 4a은 도 1의 'B' 부분에서 문 구조물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 구조물이 여닫이 문으로 이용될 때 문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6a는 도 5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b는 도 5의 'B'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 구조물이 미닫이 문으로 이용될 때 문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8a는 도 7의 'A' 부분의 확대도이며 ,
도 8b는 도 7의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 구조물이 미닫이 문으로 이용될 때 문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10a는 도 8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0b는 도 8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a는 도 1의 'A' 부분에서 문 구조물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는 상부 힌지, 상부 힌지축, 상부 블록 및 상부 레일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로서, 상부 힌지의 관통홀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례의 단면도이고,
도 4a은 도 1의 'B' 부분에서 문 구조물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 구조물이 여닫이 문으로 이용될 때 문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6a는 도 5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b는 도 5의 'B'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 구조물이 미닫이 문으로 이용될 때 문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8a는 도 7의 'A' 부분의 확대도이며 ,
도 8b는 도 7의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 구조물이 미닫이 문으로 이용될 때 문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10a는 도 8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0b는 도 8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건물 벽(1)의 출입구(2)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10)이 설치되어 여닫이로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A'로 표시된 부분과 'B'로 표시한 부분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구조가 마련되어 있고, 문(10)의 상하로는 폭 방향으로 서로 수평인 상하부 레일(11, 15)이 설치되어 있다.
먼저, 도 2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상측의 힌지 구조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부의 힌지 구조는 건물의 출입구(2)의 일측 모서리에 고정되는 상부 힌지(20), 이 상부 힌지(20)에 삽입되어 회전 운동의 축이 되는 상부 힌지축(40), 상부 힌지축(40)과 결합되어 상부 힌지축(40)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는 상부 블록(60) 및 문(10)의 상부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부 블록(60)이 슬라이드하는 상부 레일(11)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 힌지축(40)은 상단에 블록 형태의 고정부(41)가 마련되고, 이 고정부(41)의 하단이 상부 힌지(20)의 양단에 마련되는 제1 힌지 지점(21)에 놓여져 있다. 고정부(41)의 하단은 직사각형의 둘레가 모떼기(chamfer)되어 있고, 상부 힌지(20)의 제1 힌지 지점(21)과 제2 힌지 지점(25)은 이에 상응하는 직사각형의 둘레가 모떼기 되어 있어서, 고정부(41)의 하단이 상부 힌지(20)의 제1 힌지 지점(21)과 제2 힌지 지점(25)이 모떼기된 부분에 배치되면,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그 회전 및 이동이 구속되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상부 힌지축(40)에 가해지는 문(10)의 하중이 고정부(41)를 통하여 상부 힌지(20)에 의해 지지된다.
상부 힌지축(40)의 하단에는 대경축(43)이 마련되는데, 이 대경축(43)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부 블록(60)의 베어링부(63)에 삽입되어 이 베어링부(63)와 미끄럼 접촉 상태로 상대 회전함으로써, 문(10)이 여닫이로서 기능할 때 상부 블록(60)이 상부 힌지축(40)에 대해 회전하여 문(10)이 회전할 수 있게 해준다. 상부 힌지축(40)의 고정부(41)와 대경축(43)은 소경축(4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 힌지(20)는 일면이 출입구(2)의 일측 모서리 상측에 고정되어 있는데, 전체적으로 반달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단에는 제1 힌지 지점(21)이, 타단에는 제2 힌지 지점(25)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부 힌지(20)의 제1 힌지 지점(21)은 출입구(2)의 일측 모서리 측에 배치되어, 문(10)이 여닫이로서 기능할 때는 상부 힌지축(40)의 고정부(41)는 이 제1 힌지 지점(21)에 배치되며, 제2 힌지 지점(25)은 제1 힌지 지점(21)으로부터 벽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고 또한 문이 미닫이로서 기능할 때 문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제1 힌지 지점(21)과 제2 힌지 지점(25) 사이에는 슬라이드면(24)이 연장되는데, 슬라이드(24)면은 제1 힌지 지점(21)과 제2 힌지 지점(25)의 상측 표면으로부터 점차로 높아지는 표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힌지 지점(21)의 중심으로부터 슬라이드면(24)의 중심선을 따라 제2 힌지 지점(25)의 중심까지는 관통홀(23)이 연장되어 있는데, 상부 힌지축(40)의 소경축(42)과 대경축(43)은 고정부(41)로부터 이 관통홀(23)을 통과하여 상부 힌지(20)의 아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부 힌지축(40)이 제1 힌지 지점(21) 또는 제2 힌지 지점(25)에 문(10)의 하중이 지지되는 상태로 놓여 있다가, 문(10)을 위쪽 방향으로 약간 들어올리면서 상부 힌지축(40)이 제1 힌지 지점(21)으로부터 제2 힌지 지점(25) 방향으로 또는 그 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문(10)을 밀거나 당기면 상부 힌지축(40)은 그 고정부(41)가 제1 힌지 지점(21) 또는 제2 힌지 지점(25)으로부터 이탈하면서 슬라이드면(24)을 따라 다른 힌지 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의 과정에서 상부 힌지축(40)은 소경축(42)이 상부 힌지(20)의 관통홀(23)을 따라 이동하므로 상부 힌지축(40)의 고정부가 상부 힌지(20)의 슬라이드면(24)으로부터 이탈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상부 블록(60)은 상부 힌지축(40)의 대경축(43)과 소경축(42)의 일부를 내측에 수용하고, 대경축(43)이 맞닿아 지지되면서 회전할 수 있는 베어링부(63)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첨부 도면들에는 상부 블록(60)의 반쪽(61)만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부 힌지축(40)이 상부 블록(60)의 반쪽(61)에 삽입된 후에 이 반쪽(61)과 대칭인 형상의 나머지 반쪽(도 3a의 62)이 나사(미도시)에 의해 결합되어, 그 내부에 상부 힌지축(40)의 소경부(42) 일부와 대경축(43)을 수용한다. 도시의 편의 및 내부 구조의 이해를 위해 도 4a 외의 다른 도면들에서 나머지 반쪽은 도시하지 아니하였다.
문(10)의 상부에는 문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레일(11)이 설치되어 있다. 도 3a를 제외한 다른 첨부 도면들에서는 도시의 편의 및 실시예의 내부 구조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상부 레일(11)의 일부만을 표시하였는데, 도 3a를 참조하면, 상부 레일(11)은 채널 형태로 형성되어 채널의 내측에 상부 블럭(60)이 이탈하지 않고 그 내부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 레일(11)의 채널의 내측 표면에는 돌기(13)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돌기(13)는 일정한 힘을 가하면 상부 레일(11)의 채널 표면 내측으로 후퇴하고 그 힘을 제거하면 탄성적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돌기(13)는 상부 블록(60)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로에 마련되는데, 돌기(13)는 상부 힌지축(40)이 상부 힌지(20)의 제1 힌지 지점(21)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 블록(60)의 일 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힌지축(40)이 상부 힌지(20)의 제1 힌지 지점(21)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 블록(60)은 상부 레일(11)에 마련된 돌기(143)에 의해 그 슬라이드 운동이 제한되고 상부 블록(60)이 상부 레일(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돌기(13)가 상부 레일(11)의 내측으로 후퇴할 정도의 힘을 가하여야 한다. 즉, 돌기(13)는 상부 블록(6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정지 요소로서 기능한다.
한편, 도 3b에는 상부 블럭과 상부 레일이 다른 형태로 결합된 변형례를 도시하였는데, 이 변형례에서는 상부 블럭(60')의 반쪽(61')에 사다리꼴의 홈(64)을 형성하고, 상부 레일(11')을 이 홈(64)과 상보하는 형상의 사다리꼴로 형성하여 문(10)에 부착하여, 상부 블럭(60')의 홈(64)에 상부 레일(11')이 삽입되어 상부 블럭(60')이 문(10)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하측의 힌지 구조의 구성을 설명한다.
하부의 힌지 구조는 건물의 출입구(2)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 힌지(30), 이 하부 힌지(20)에 놓여 회전 운동의 축이 되는 하부 힌지축(40), 하부 힌지축(40)의 일부를 이루며 그 상단에 형성된 하부 블록(51) 및 문(10)의 하부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하부 블록(51)이 슬라이드하는 하부 레일(15)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 힌지(30)는 상부 힌지(20)가 고정된 출입구(2)의 일측 모서리의 하부에 고정되데, 하부 힌지(30)에는 하부 힌지축(50) 하단의 구형 회전축(53)이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1 힌지 지점(31)과 제2 힌지 지점(35)이 구형 회전축(53)과 상보하는 형상의 구형 표면으로 마련되어 있다.
하부 힌지(30)의 제1 힌지 지점(31)과 제2 힌지 지점(35)은, 상부 힌지(20)마찬가지로, 제1 힌지 지점(31)은 출입구(2)의 일측 모서리의 하측에 배치되어, 문(10)이 여닫이로서 기능할 때는 하부 힌지축(50)의 구형 회전축(53)은 이 제1 힌지 지점(31)에 배치되며, 상부 힌지(20)의 제2 힌지 지점(25)과 마찬가지로, 하부 힌지(30)의 제2 힌지 지점(35)도 제1 힌지 지점(31)으로부터 벽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고 또한 문이 미닫이로서 기능할 때 문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제1 힌지 지점(31)과 제2 힌지 지점(35) 사이에는 안내홈(24)이 연장되는데, 안내홈(34)면은 제1 힌지 지점(31)과 제2 힌지 지점(35)으로부터 점차로 높아지는 표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하부 힌지축(50)의 구형 회전축(53)은 하부 힌지(30)의 제1 힌지 지점(31) 또는 제2 힌지 지점(35)에 놓여 있다가, 문(10)을 위쪽 방향으로 약간 들어올리면서 하부 힌지축(50)이 하부 힌지(30)의 제1 힌지 지점(31)으로부터 제2 힌지 지점(35) 방향으로 또는 그 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문(10)을 밀거나 당기면 하부 힌지축(50)은 그 구형 회전축(53)이 제1 힌지 지점(31) 또는 제2 힌지 지점(35)으로부터 이탈하면서 안내홈(34)을 따라 다른 힌지 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하부 블록(51)은 하부 힌지축(50)의 일부로서 그 상단에 블록 형태로 마련되고 된다.
문(10)의 하부에는 문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레일(15)이 설치되어 있다. 하부 레일(15)은 도시의 편의 및 실시예의 내부 구조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그 일부만을 표시하였는데, 도 3a에 도시한 상부 레일(11)과 마찬가지로 채널 형태로 형성되지만, 구형 회전축(53) 및 이것과 하부 블록(51)을 연결하는 연결축(54)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채널의 개방측이 아래를 향하도록 문(10)에 부착되어, 하부 블록(51)이 이탈하지 않고 그 내부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도 3b의 상부 레일(11')의 변형례와 같이, 하부 블록에 사다리꼴의 홈이 형성되고 문(10)에는 이에 상보하는 형상의 사다리꼴 단면의 하부 레일이 형성되어 하부 블록의 홈에 하부 레일이 삽입된 상태로 하부 블록이 하부 레일에 대해 슬라이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힌지(30)의 제1 힌지 지점(31)의 저면에는 댐퍼(37)이 배치되어 있고, 하부 힌지축(50)의 구형 회전축(53)의 저면에는 이 댐퍼(37)가 결합되는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서, 하부 힌지축(50)이 제1 힌지 지점(31)에 배치되어 있을 때 댐퍼(37)는 구형 회전축(53)의 형성한 홈에 맞물린다.
댐퍼(37)는 도시하지 않은 유압 기구에 연결되어, 하부 힌지축(50)이 회전하면 그러한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는 저항 요소로서 기능한다. 즉, 문(10)이 여닫이로서 기능할 때, 문(10)을 회전시켜 개방하려고 하면 이에 따라 회전하는 하부 힌지축(50)에 유압 기구에 의한 반력을 제공한다. 댐퍼 및 이에 연결하는 유압 기구는 공지의 요소이므로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문(1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요소로서 돌기(15)를 상부 레일(11)에 설치하였지만, 돌기(15)와 같은 정지 요소는 하부 레일(15)에 설치하여도 되고, 상하부 레일에 모두 설치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상부 힌지 구조와 하부 힌지 구조를 갖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 구조물이 미닫이 문과 여닫이 문으로서 작용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5,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문 구조물이 미닫이로 작용할 때 문(10)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문(10)은 출입구(2)의 한쪽 모서리 부근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출입구(2)가 개방되는 여닫이 문으로서 작동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 6a를 참조하면, 상부 힌지축(40)의 고정부(41)은 상부 힌지(20)의 제1 힌지 지점(21)에 배치되어 그 회전이 방지되는 상태로 되어 있고, 상부 블록(60)은 상부 힌지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한 상태이지만, 상부 레일(11)의 채널 내측에 마련된 돌기(13)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은 제한되고 있다.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 6b를 참조하면, 하부 힌지축(50)의 구형 회전축(53)은 하부 힌지(30)의 제1 힌지 지점(31)에 배치되어 제1 힌지 지점(31)을 중심으로 회전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상부 힌지축(40)은 상부 힌지(20)의 제1 힌지 지점(21)에 고정되고, 상부 블럭(60)이 상부 힌지축(40)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하부 힌지축(50)은 하부 힌지(30)의 제1 힌지 지점(31)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에 있으므로, 문(10)은 상부 힌지(20)의 제1 힌지 지점(21)과 하부 힌지(30)의 제1 힌지 지점(31)을 연결하는 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문(10)을 미닫이 문으로서 개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문 구조물이 미닫이로 작동할 때 문(10)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의 문 구조물의 상하부의 힌지 구조를 보여주는 도 7의 'A' 부분과 'B' 부분의 확대도인 도 8a와 도 8b에는 상하부 힌지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8a에서 상부 힌지축(40)은 상부 힌지(20)의 제2 힌지 지점(25)에 배치되어 있고, 도 8b에서 하부 힌지축(50)은 하부 힌지(30)의 제2 힌지 지점(35)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힌지축(40)과 하부 힌지축(50)이 각각 상부 힌지(20)와 하부 힌지(30)의 제2 힌지 지점들(25, 35)에 배치되기 위해서는 문(10)을 위쪽으로 올리듯 것과 것과 같이 힘을 가하면서 문을 평행하게 당기면, 상부 힌지축(40)의 고정부(41)는 상부 힌지(20)의 제1 힌지 지점(21)으로부터 이탈하여 슬라이드면(43)을 따라 슬라이드 하여 제2 힌지 지점(25)으로 이동하여 안착되고, 하부 힌지축(50)의 구형 회전축(53)은 하부 힌지(30)의 제1 힌지 지점(31)으로부터 이탈하여 안내홈(34)을 따라 제2 힌지 지점(35)으로 이동하여 안착된다.
이와 같이 이동한 도 7 및 도 8a와 도 8b의 상태에서, 상부 힌지축(40)과 하부 힌지축(50)이 배치된 제2 힌지 지점들(25, 35)는 벽(1)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이므로 문(10)은 출입구(2)로부터 벗어나 벽(1)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도 7의 상태에서 문(10)을 벽(1)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부 블록(60)이 슬라이드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돌기(13)가 상부 레일(11)의 내측으로 후퇴할 정도의 힘으로 밀면, 상부 블록(60)과 하부 회전축(50)의 하부 블록(51)이 각각 상부 레일(11)과 하부 레일(15)을 따라 슬라이드하면서 문(10)이 출입구와 평행한 방향으로 개방된다.
이러한 문의 여닫이식 개방 상태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에서, 문(10)은 도면 상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출입구(2)가 개방되어 있는데, 힌지 구조가 장착된 'A' 부분과 'B' 부분을 그 확대도인 도 10a와 도 10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부 힌지축(40)은 상부 힌지(20)의 제2 힌지 지점(25)에 배치되어 있고(도 10a), 하부 힌지축(50)은 하부 힌지(30)의 제2 힌지 지점(35)에 안착된 상태에서 문(10)을 벽(1)과 평행한 방향으로 미는 동작에 따라, 상부 블록(60)이 상부 레일(1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고 하부 블록(51)이 하부 레일(15)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문(10)을 상부 힌지(20)와 하부 힌지(30)의 제2 힌지 지점(25, 35)을 중심으로 벽(1)과 평행하게 이동하여 출입구(2)가 개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 구조물은 출입구(2) 내측의 회전축선(상하부 힌지의 제1 힌지 지점들을 연결하는 선)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여닫이 문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문(10)을 당기는 동작에 의해 출입구(2)로부터 빼내어 벽(1)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미닫이 문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 구조물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구성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구성의 부가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러한 수정, 변경 및 구성의 부가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벽 2: 출입구
10: 문 20: 상부 힌지
30: 하부 힌지 40: 상부 힌지축
50: 하부 힌지축
10: 문 20: 상부 힌지
30: 하부 힌지 40: 상부 힌지축
50: 하부 힌지축
Claims (10)
- 벽에 형성되는 출입구를 개폐하는 문 구조물로서,
상기 출입구를 폐쇄할 수 있도록 출입구의 형상에 맞추어 마련되고, 일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평으로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이 설치되는 문;
상기 출입구의 일측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 힌지와 하부 힌지;
상기 상부 레일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부 블록;
상기 하부 레일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부 블록;
상기 상부 힌지와 상기 상부 블록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상부 힌지에 대해서는 회전 운동이 구속되며 상기 상부 블록과 상대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상부 힌지축; 및
상기 하부 블록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힌지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는 하부 힌지축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힌지는 상기 상부 힌지축의 회전 운동을 구속하는 제1 힌지 지점 및 제2 힌지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힌지는 상기 하부 힌지축이 회전 운동할 수 있는 제1 힌지 지점 및 제2 힌지 지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힌지축과 상기 하부 힌지축이 각각 상기 상부 힌지의 제1 힌지 지점과 상기 하부 힌지의 제1 힌지 지점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블록은 상기 상부 힌지축과 상대 회전운동을 하고 상기 하부 힌지축은 상기 상부 힌지의 상기 제1 힌지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문이 회전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힌지축과 상기 하부 힌지축이 각각 상기 상부 힌지의 제2 힌지 지점과 상기 하부 힌지의 제2 힌지 지점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블록과 상기 하부 블록은 각각 상기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에 대해 슬라이드함으로써 상기 문이 슬라이드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 힌지와 상기 하부 힌지의 제1 힌지 지점은 상기 출입구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힌지 지점들은 상기 출입구로부터 상기 벽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상부 힌지축과 하부 힌지축은 상기 제1 힌지 지점과 제2 힌지 지점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상부 힌지축의 상단에는 상기 제1 힌지 지점과 상기 제2 힌지 지점에 배치되어 그 회전 및 이동이 구속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힌지에는 상기 고정부가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면이 상기 제1 힌지 지점과 상기 제2 힌지 지점 사이에 연장되어 마련되는 것인 문 구조물.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힌지의 상기 슬라이드면은 상기 제1 힌지 지점 및 상기 제2 힌지 지점보다 더 높은 표면으로 마련되는 것인 문 구조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힌지에는 상기 상부 힌지축이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관통홀이 상기 제1 힌지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힌지 지점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인 문 구조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힌지축의 하단은 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힌지의 제1 힌지 지점과 제2 힌지 지점은 상기 하부 힌지축의 하단이 접촉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힌지축의 하단의 형상과 상보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인 문 구조물.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 힌지에는 상기 하부 힌지축의 하단이 슬라이드하는 안내홈이 상기 제1 힌지 지점과 제2 힌지 지점 사이에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안내홈은 상기 하부 힌지의 상기 제1 힌지 지점 및 상기 제2 힌지 지점보다 더 높은 표면으로 마련되는 것인 문 구조물.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 힌지의 상기 제1 힌지 지점에는 상기 하부 힌지축의 하단과 맞물려 상기 하부 힌지축의 회전 운동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는 저항 요소가 마련되는 것인 문 구조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힌지와 상기 하부 힌지의 제2 힌지 지점은 상기 문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힌지 지점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인 문 구조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레일 또는 상기 하부 레일 또는 이들 양자에는, 상기 상부 힌지축과 상기 하부 힌지축이 각각 상기 상부 힌지의 제1 힌지 지점과 상기 하부 힌지의 제1 힌지 지점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블록 또는 상기 하부 블록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정지 요소가 마련되는 것인 문 구조물.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정지 요소는 상기 상부 레일 또는 상기 하부 레일에서 상기 상부 블록 또는 상기 하부 블록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의 표면에 탄성적으로 돌출 배치되는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는 상기 상부 블록 또는 상기 하부 블록을 일정한 힘 이상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상부 레일 또는 하부 레일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후퇴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문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9035A KR101602660B1 (ko) | 2014-10-15 | 2014-10-15 |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문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9035A KR101602660B1 (ko) | 2014-10-15 | 2014-10-15 |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문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02660B1 true KR101602660B1 (ko) | 2016-03-11 |
Family
ID=55583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39035A KR101602660B1 (ko) | 2014-10-15 | 2014-10-15 |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문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266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84387A (ko) | 2017-01-17 | 2018-07-25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도어 시스템 |
KR101932938B1 (ko) | 2017-08-16 | 2018-12-27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문 구조물 |
KR200488569Y1 (ko) | 2018-11-29 | 2019-02-20 | 차지훈 | 여닫이와 미닫이를 겸한 장롱 도어 개폐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48686A (ja) * | 2009-04-10 | 2010-11-04 | Imaoka Seisakusho:Kk | 引き戸兼用開き戸 |
KR101056382B1 (ko) * | 2010-05-19 | 2011-08-11 | 이종안 | 접이식 도어 시스템 |
US20120279130A1 (en) * | 2011-05-06 | 2012-11-08 | Spacesaver Doors Inc. | Swinging-sliding door |
JP2013091901A (ja) * | 2011-10-24 | 2013-05-16 | Panasonic Corp | ヒンジ装置 |
-
2014
- 2014-10-15 KR KR1020140139035A patent/KR10160266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48686A (ja) * | 2009-04-10 | 2010-11-04 | Imaoka Seisakusho:Kk | 引き戸兼用開き戸 |
KR101056382B1 (ko) * | 2010-05-19 | 2011-08-11 | 이종안 | 접이식 도어 시스템 |
US20120279130A1 (en) * | 2011-05-06 | 2012-11-08 | Spacesaver Doors Inc. | Swinging-sliding door |
JP2013091901A (ja) * | 2011-10-24 | 2013-05-16 | Panasonic Corp | ヒンジ装置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84387A (ko) | 2017-01-17 | 2018-07-25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도어 시스템 |
KR101932938B1 (ko) | 2017-08-16 | 2018-12-27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문 구조물 |
KR200488569Y1 (ko) | 2018-11-29 | 2019-02-20 | 차지훈 | 여닫이와 미닫이를 겸한 장롱 도어 개폐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53571B1 (ko) |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 |
RU2404346C1 (ru) | Створчатое распашное окно с фиксиру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 |
KR101932938B1 (ko) |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문 구조물 | |
KR101602660B1 (ko) |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문 구조물 | |
KR20080053259A (ko) | 폴딩, 틸트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창호 | |
KR20180006703A (ko) | 접이식 도어 장치 | |
KR20170081886A (ko) |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 |
KR101085433B1 (ko) | 도어의 보조 잠금 장치 | |
KR20090006190U (ko) |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도어 시스템 | |
RU2581561C1 (ru) | Окно с функцией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перемещения | |
KR101023954B1 (ko) | 전동방식에 의한 창호의 리프트 및 슬라이드 장치 | |
KR20080086599A (ko) | 창문설치구조 | |
RU2649819C2 (ru) | Фурнитура для подъемной и/или передвижной створки окна или двери | |
KR20140013655A (ko) | 문 고정장치 | |
KR100970596B1 (ko) | 선상이동이 가능한 도어벽체 구조 | |
KR100985753B1 (ko) |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 |
RU2751705C2 (ru) | Приводной механизм распашной двери | |
KR100895900B1 (ko) | 회동식 도어용 잠금장치 | |
KR101764957B1 (ko) | 래크와 피니언을 이용한 창짝 자동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 |
EP2017415A2 (en) | An operating device for doors and windows | |
KR20110002241U (ko) | 비상 자동문 잠금장치 | |
EP2526245B1 (en) | Door leaf system for closing and/or opening an entrance | |
KR101829937B1 (ko) | 개폐가능한 고정창을 갖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 |
KR101627692B1 (ko) | 슬라이딩 자동문 밀폐장치 | |
KR102191551B1 (ko) | 역회동 방지형 폴딩도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