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703A - 접이식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703A
KR20180006703A KR1020160087395A KR20160087395A KR20180006703A KR 20180006703 A KR20180006703 A KR 20180006703A KR 1020160087395 A KR1020160087395 A KR 1020160087395A KR 20160087395 A KR20160087395 A KR 20160087395A KR 20180006703 A KR20180006703 A KR 20180006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actuator
door frame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013B1 (ko
Inventor
김중삼
김국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제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제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제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087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013B1/ko
Publication of KR20180006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0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 구조로 형성되어 접거나 펴는 방식으로 개폐되는 접이식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구동기 조립체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개폐가 가능하고 힌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프레임 사이를 밀폐시켜 방음, 방수 및 방풍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10)과;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도어 프레임(20)과; 도어 프레임(20)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레일(11)과; 인접한 두 개의 도어 프레임(20)이 각각 힌지 연결되도록 양측에 복수의 힌지가 설치된 하나 이상의 가동 프레임(12)과; 인접한 두 개의 도어 프레임(20)이 각각 힌지 연결되도록 양측에 복수의 힌지가 설치되고, 하부에 상기 레일(11)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 부재(14)가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프레임(13)과; 메인 프레임(10)과 슬라이딩 프레임(13)의 상측에 각각 설치되어 도어 프레임(20)을 회동시키는 복수의 작동기 조립체(30)와; 가동 프레임(11)에 설치되는 록킹부재(40)와; 도어 프레임(20)과 다른 프레임들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키는 밀폐수단과; 도어를 개폐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도어 장치{Folding Door System}
본 발명은 절첩 구조로 형성되어 접거나 펴는 방식으로 개폐되는 접이식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구동기 조립체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개폐가 가능하고,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으며, 힌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감을 해치지 않고, 프레임 사이를 밀폐시켜 방음, 방수 및 방풍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접이식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 실내 등의 출입구를 여닫기 위한 도어는 다양한 구조와 형태가 있으며, 여닫는 방식에 따라 미닫이 도어, 여닫이 도어, 회전식 도어 및 접이식 도어 로 구분할 수 있다.
미닫이 도어(Sliding Door)는 도어 프레임을 옆으로 밀어서 출입구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여닫이 도어(Hinged Door)는 경첩을 중심으로 도어 프레임을 회전시켜 출입구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식 도어는 복수의 도어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도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접이식 도어(Folding Door)는 복수의 도어 프레임을 접었다 펴면서 출입구를 열거다 닫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접이식 도어와 유사한 홀딩 도어(Holding Door)가 있는데, 이는 주로 실내의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접이식 도어는 출입구를 완전히 개폐할 수 있어 발코니나 테라스 등에 많이 설치되고 있으며, 상업용 건물의 커피숍 등에 슬라이딩 도어의 형태로 설치되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접이식 도어는 복수의 도어 프레임이 경첩들에 의해 절첩되도록 구성되어, 이 도어 프레임을 완전히 전개하면 출입구가 닫히고 도어 프레임을 접으면 출입구가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접이식 도어는, 대부분 도어 프레임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 프레임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접이식 도어는, 손으로 직접 도어 프레임을 여닫거나 하나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도어 프레임을 절첩하고 있어 개폐 동작이 느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접이식 도어는, 힌지 부위에서 도어 프레임 사이가 완전히 밀폐되지 않기 때문에 방음 및 방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별도의 문틈 차단수단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문틈 차단수단이 도어 프레임의 동작을 방해하고 쉽게 손상되어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제1풀리가 일측에 고정되며 전원인가시 회전력이 발생되는 모터와, 상기 제1풀리와 일정간격 떨어져 고정된 제2풀리와, 상기 제1풀리의 회전력을 제2풀리에 전달하는 타이밍벨트가 구비된 구동부에 의해 경첩에 고정된 도어가 회전되는 접이식 자동문에 있어서, ┏자 형태로 가공되어 벽에 고정된 지지박스와 결합되되, 중앙에 마름모 형상의 레일이 돌출된 상부가이드레일과, 상기 상부가이드레일 하단에 고정되며 지지박스와 결합되는 연장바가 형성되고, 하부 내측에 롤러홈이 형성된 하부가이드레일과, 상기 레일의 상하부에 맞물려 회전되는 다수개의 롤러가 고정된 롤러고정판과, 상기 롤러고정판 상부 또는 하부에 고정되어 타이밍벨트와 고정되는 벨트고정판과, 상기 롤러고정판 하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브라켓이 형성된 이송부와,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제1고정축과, 상기 제1고정축 하단에 결합된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 타측단에 고정된 제2고정축 하단에 결합되며 도어에 삽입되어 고정된 제1피벗암이 형성된 링크부와, 도어의 상하부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된 제2,3피벗암과, 상기 제2,3피벗암에 하부가 고정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부 또는 하부가 고정된 홈이 형성된 상/하부피벗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하부가이드레일에 의해 직선으로 이송되는 이송부 및 이송부와 도어에 고정되어 일정각도로 회동되는 링크부로 인하여 도어가 접혀지게 되어 자동문을 위해 필요한 건물면적이 감소되도록 한, 직선운동기구와 링크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자동문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천장, 바닥, 제1 측면과 제2 측면에 의하여 둘러싸인 출입구를 여닫기 위하여 복수의 경첩들에 의하여 절첩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단, 하단, 제1 측단과 제2 측단을 갖는 복수의 문짝들; 복수의 문짝들이 여닫히는 제1 방향과 정렬되도록 닫혀 있는 제1 위치와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열려 있는 제2 위치 사이를 운동하는 복수의 문짝들 중 첫 번째 문짝의 방향 전환을 안내하기 위하여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제1 가이드프레임; 첫 번째 문짝의 상단에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회전 및 미끄럼 운동하도록 장착되는 제1 슬라이딩롤러; 첫 번째 문짝의 방향 전환을 안내하기 위하여 바닥에 설치되어 있고, 제1 방향과 정렬되어 있는 제1 레일과 제1 레일의 후단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레일을 갖는 제2 가이드프레임; 제1 레일을 따라 구름 및 미끄럼 운동되도록 첫 번째 문짝의 하단에 장착된 제2 슬라이딩롤러; 인접하는 두 문짝들 사이를 덮어주는 커버링장치와; 바닥과 문짝들 사이의 문틈을 여닫는 문틈차단장치와; 마지막 번째 문짝의 로킹과 언로킹을 위한 잠금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접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여닫을 수 있고 방풍과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로킹 및 언로킹이 용이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접이식 도어 시스템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수납 부재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복수의 도어 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도어로서, 상기 복수의 도어 부재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롤러 부재; 상기 복수의 도어 부재를 상호 힌지 결합하는 도어 힌지; 및 상기 복수의 도어 부재와 상기 롤러 부재를 연결하는 롤러 힌지를 포함함으로써, 설치가 편리면서도 방풍 및 방음 성능이 우수한, 접이식 도어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KR 20-2010-0001237 U KR 10-1056382 B1 KR 10-2013-0000207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도어를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고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 사이를 완전히 밀폐시켜 우수한 방음, 방수 및 방풍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장 조립이 가능하여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전원이 차단될 경우에도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레일의 이물질을 밀어내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출입구의 일측벽에 설치되는 사각 기둥 형상의 메인 프레임과; 출입구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도어 프레임과; 상기 출입구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레일과;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인접한 두 개의 도어 프레임이 각각 힌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힌지 프레임과; 인접한 두 개의 도어 프레임이 각각 힌지 연결되고, 상부와 하부에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가동 프레임과 교대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과 슬라이딩 프레임의 상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을 회동시키는 복수의 작동기 조립체와; 상기 가동 프레임이 상기 레일에 구속 또는 구속 해제되도록 상기 가동 프레임에 설치되는 록킹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키는 밀폐수단과; 상기 작동기 조립체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면과 상기 도어 프레임과 가동 프레임 및 슬라이딩 프레임의 양쪽 측면에, 각각 힌지 프레임이 힌지 부분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 도어 프레임과, 복수의 힌지 프레임이 부착되며 상기 수평 도어 프레임의 양쪽 측면에 스크류로 결합되어 사각틀을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에 설치되는 고정구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베어링 휠이 전방측과 후방측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고정구와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몸체의 앞쪽과 뒤쪽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레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기 조립체는,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에 고정된 지지 브래킷과, 후단부의 리어 브래킷이 상기 지지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액추에이터와, 상기 도어 프레임의 상단 측부에 고정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로드에 구비된 탑 브래킷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도어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 도어 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장착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와, 상기 도어 프레임이 전개되는 경우 상기 가동 프레임 또는 슬라이딩 프레임에 밀착 및 변형되는 원형 탄성부로 이루어진 실링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 부재는,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 엔드 플레이트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록킹 도그와, 상기 가동 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 도그를 출몰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가동 프레임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캠 휠과, 상기 록킹 도그 중 하나에 연결된 록킹 바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로드가 연결된 브래킷이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캠 휠에 편심 연결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의 측면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제1 캠 링크와, 상기 록킹 도그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록킹 바가 연결되고 상기 제1 캠 링크와 대칭된 위치에서 상기 캠 휠에 편심 연결되어 상기 캠 휠의 회전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캠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는 가동 프레임의 내측에 완전 매립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 부재는,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 엔드 플레이트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록킹 도그와,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 도그를 출몰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가동 프레임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로드가 편심 연결되는 피니언과, 상기 록킹 도그에 연결된 커넥팅 로드의 끝단에 설치되며 서로 대칭된 위치에서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는 한 쌍의 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이 출입구의 일측벽에 설치된 타측면이 개방되는 측면 개방구조로 형성되거나, 상기 메인 프레임이 출입구의 양측벽에 각각 설치되고 도어 프레임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중앙이 개방되는 중앙 개방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기 조립체를 구성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록킹 부재를 구성하는 액추에이터를 연동시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모드는, 도어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작동기 조립체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모드와, 복수의 작동기 조립체가 일시에 작동되는 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모드는, 도어가 좌우 대칭으로 설치된 경우, 좌측의 작동기 조립체 또는 우측의 작동기 조립체를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일시에 작동시키는 모드와, 전체 작동기 조립체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도어 장치에 의하면, 인접한 두 개의 도어 프레임이 힌지 연결된 가동 프레임과 슬라이딩 프레임이 교대로 배치되고, 메인 프레임과 슬라이딩 프레임의 상측에 각각 작동기 조립체가 구비됨에 따라, 도어를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프레임과 다른 프레임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수단이 구비되므로, 방수, 방음 및 방풍 효과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된 롤러 부재에 베어링 휠이 전후좌우로 배치됨에 따라 롤러 부재가 도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이동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롤러 부재에 스크레이퍼가 구비되어 도어가 이동하면서 레일의 이물질을 밀어내게 되므로 이물질로 인한 개폐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록킹 장치에 캠 휠 또는 랙-피니언 구조가 구비되어, 슬라이딩 프레임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된 록킹 도그를 동시에 출몰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상 배터리가 구비되므로 외부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자동 조작이 가능하고, 수동으로도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의 설치 위치에 따라 개방 방식을 선택할 수 있고, 작동기 조립체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도어의 개방 정도와 개방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동기 조립체와 록킹 장치가 연동하여 작동됨에 따라 도어 개폐가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부재를 분리하여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는 녹 다운 방식이므로, 부피가 축소되어 포장 및 이송이 용이하고, 현장에서 각 부재를 운반하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도어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접이식 도어 장치에서 도어 개방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접이식 도어 장치의 개방 형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메인 프레임과 레일, 도어 프레임 및 슬라이딩 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슬라이딩 프레임과 레일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슬라이딩 프레임과 도어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슬라이딩 프레임과 도어 프레임의 결합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인 메인 프레임과 레일의 연결부를 나타낸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인 도어 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요부인 롤러 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요부인 롤러 부재의 구성도 및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요부인 롤러 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작동기 조립체의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요부인 록킹 부재를 나타낸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캠 휠과 캠 링크의 확대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요부인 록킹 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요부인 제어부의 제어 계통도.
도 18은 본 발명의 요부인 제어부의 제어모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도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도어 장치는, 도 1 내지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의 일측벽에 설치되는 사각 기둥 형상의 메인 프레임(10)과; 출입구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도어 프레임(20)과; 상기 출입구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20)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레일(11)과;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인접한 두 개의 도어 프레임(20)이 각각 힌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가동 프레임(12)과;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인접한 두 개의 도어 프레임(20)이 각각 힌지 연결되고, 상부와 하부에 상기 레일(11)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 부재(14)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가동 프레임(12)과 교대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프레임(13)과; 상기 메인 프레임(10)과 슬라이딩 프레임(13)의 상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20)을 회동시키는 복수의 작동기 조립체(30)와; 상기 가동 프레임(12)이 상기 레일(11)에 구속 또는 구속 해제되도록 상기 가동 프레임(12)에 설치되는 록킹부재(40)와; 상기 도어 프레임(20)과 다른 프레임들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키는 밀폐수단과; 상기 작동기 조립체(3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일측면과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도어 프레임(20)의 일측면과, 나머지 도어 프레임(20)과, 가동 프레임(12) 및 슬라이딩 프레임(13)의 양쪽 측면에, 각각 힌지 프레임(10')(23)(12')(13')이 힌지 부분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부착됨으로써,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프레임(20)이 다른 프레임들과 힌지 결합된다.
상기 레일(1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스크류에 의해 연결되어 도어의 상측과 하측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도어 프레임(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 도어 프레임(21)과, 복수의 힌지 프레임(23)이 부착되며 상기 수평 도어 프레임(21)의 양쪽 측면에 스크류로 결합되어 사각틀을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 도어 프레임(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부재(14)는, 도 10과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3)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구(14a)와, 출입구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된 레일(11)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베어링 휠(14b)이 전방측과 후방측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몸체(14c)와, 상기 고정구(14a)와 몸체(14c)를 연결하는 연결구(14d)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3)의 하단에 설치되는 롤러부재(14)의 경우에는, 상기 몸체(14c)의 앞쪽과 뒤쪽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레일(11)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연질 합성수지로 형성된 스크레이퍼(14e)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부재(14)는, 슬라이딩 프레임(13) 외에 상기 도어 프레임(20) 중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도어 프레임(20)의 외측 하부에도 설치된다.
이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14d)가 몸체(14c)의 중앙이 아닌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14c)가 다른 부분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상기 작동기 조립체(3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3)에 고정된 지지 브래킷(31)과, 후단부의 리어 브래킷(33)이 상기 지지 브래킷(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액추에이터(32)와, 상기 도어 프레임(20)의 상단 측부에 고정되며 상기 액추에이터(32)의 로드(32')에 구비된 탑 브래킷(34)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 브래킷(35)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32)가 작동되어 로드(32')가 신장되면, 상기 액추에이터(32)가 지지 브래킷(3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어 프레임(20)이 펼쳐지게 된다.
또한 액추에이터(32)가 작동되어 상기 로드(32')가 축소되면, 상기 액추에이터(32)가 지지 브래킷(3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어 프레임(20)이 접혀지게 된다.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도어 프레임(20)을 구성하는 수직 도어 프레임(22)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장착홈(25)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15a)와, 상기 도어 프레임(20)이 전개되는 경우 다른 프레임에 밀착 및 변형되는 원형 탄성부(15b)로 이루어진 실링부재(15)로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 부재(40)는, 도 14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 프레임(12)의 상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 엔드 플레이트(47)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록킹 도그(41)와, 상기 가동 프레임(12)의 중간 부분에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 도그(41)를 출몰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42)와, 상기 가동 프레임(12)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캠 휠(43)과, 상기 록킹 도그(41) 중 하나에 연결된 록킹 바(44)와 상기 액추에이터(42)의 로드(42')가 연결된 브래킷(46')이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캠 휠(43)에 편심 연결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42)의 측면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제1 캠 링크(46)와, 상기 록킹 도그(41)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록킹 바(44)가 연결되고 상기 제1 캠 링크(46)와 대칭된 위치에서 상기 캠 휠(43)에 편심 연결되어 상기 캠 휠(43)의 회전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캠 링크(4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액추에이터(42)는 가동 프레임(12)의 내측에 완전 매립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캠 휠(43)을 사용하지 않고 랙-피니언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록킹 부재(4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액추에이터(42)의 로드(42')가 편심 연결되는 피니언(48)과, 상기 록킹 도그(41)에 연결된 커넥팅 로드(44)의 끝단에 설치되며 서로 대칭된 위치에서 상기 피니언(48)에 치합되는 한 쌍의 랙 부재(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 프레임(12)에는 핸들(16)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록킹 부재(40)의 액추에이터(42)에 이상이 있을 경우,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2)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도록, 수동으로 상기 캠 휠(43) 또는 피니언(48)을 회전시키거나 상기 커넥팅 로드(44)를 수직 이동시킬 수 있는 수동 작동부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수동 작동부를 이용하여 록킹 로드를 가이드 엔드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시킨 후, 상기 핸들(16)을 이용하여 가동 프레임(12)을 잡아당김으로써 도어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차단시에도 작동기 조립체(30)의 액추에이터(32)와 록킹 부재(40)의 액추에이터(42)가 작동될 수 있도록 비상 배터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메인 프레임(10)이 출입구의 양측벽에 각각 설치되고 도어 프레임(20)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중앙이 개방되는 중앙 개방 구조를 예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메인 프레임(10)이 출입구의 일측벽에 설치된 타측면이 개방되는 측면 개방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기 조립체(30)를 구성하는 액추에이터(32)와 상기 록킹 부재(40)를 구성하는 액추에이터(42)를 연동시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작동기 조립체(30)를 구동하면, 상기 록킹 부재(40)의 액추에이터(42)가 먼저 작동되어 상기 록킹 도그(41)가 가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작동기 조립체(30)의 액추에이터(32)가 작동되어 도어 프레임(20)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의 제어모드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작동기 조립체(30)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모드와, 복수의 작동기 조립체(30)가 일시에 작동되는 모드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도어가 좌우 대칭으로 설치된 경우, 좌측의 작동기 조립체(30) 또는 우측의 작동기 조립체(30)를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일시에 작동시키는 모드와, 전체 작동기 조립체(30)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일부 도어만 개방할 수도 있고, 도어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도어 장치는, 각 부재를 분리하여 포장 및 이송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도록 하도록 구성되며, 설치 위치에 따라 측면 개방 구조 또는 중앙 개방 구조로 설치할 수 있다.
측면 개방 구조의 경우에는, 출입구의 일측벽에만 메인 프레임(10)을 설치하여 출입구의 타측벽에는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도어 프레임(20)이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또한 중앙 개방 구조의 경우에는, 출입구의 양쪽 측벽에 각각 메인 프레임(10)을 설치하고, 출입구의 중간 부분에서 양측의 도어 프레임(20)이 서로 밀착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도어 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제어부를 통해 도어를 개폐시키면, 록킹 부재(40)의 액추에이터(42)가 구동되어 가동 프레임(12)의 양단에 위치한 록킹 도그(41)를 가이드 엔드 플레이트(47)의 내측으로 수용하여, 상기 가동 프레임(12)이 레일(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메인 프레임(10)과 슬라이딩 프레임(13)의 상측에 위치한 작동기 조립체(30)의 액추에이터(32)가 구동되어 도어 프레임(20)을 회동시킴으로써, 인접한 도어 프레임(20)이 상기 가동 프레임(12)을 기준으로 절첩되어 도어가 개폐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3)의 하부에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도어 프레임(20)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부재(14)는 레일(11)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롤러 부재(14)에 구비된 스크레이퍼(14e)는 레일(11) 상의 이물질을 밀어줌으로써 도어가 원활하게 개폐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프레임(20)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실링부재(15)는, 도어가 완전히 전개될 때 원형 탄성부(15b)가 인접하는 다른 프레임에 밀착되면서 변형되어 내부와 외부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 실링부재(15)의 원형 탄성부(15b)는 도어 프레임(20)이 회동하여 인접하는 다른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메인 프레임(Main Frame)
11...레일(Rail)
12...가동 프레임(Hinge Frame)
12'...핸들(Handle)
13...슬라이딩 프레임
14...롤러 부재
14a...고정구
14b...베어링 휠(Bearing Wheel)
14c...몸체
14d...연결구
14e...스크레이퍼(Scraper)
15...실링(Sealing)부재
15a...끼움부
15b...원형 탄성부
20...도어 프레임(Door Frame)
25...장착홈
30...작동기 조립체
31...지지 브래킷
32..액추에이터(Actuator)
32'...로드(Rod)
33...리어 브래킷(Rear Bracket)
34...탑 브래킷(Top Bracket)
35...고정 브래킷
40...록킹(Locking) 부재
41...록킹 도그(Locking Dog)
42...액추에이터
42'...로드
43...캠 휠(Cam Wheel)
44...록킹 바(Locking Bar)
45...제2 캠 링크(Cam Link)
46...제1 캠 링크
46'...브래킷(Bracket)
47...가이드 엔드 플레이트(Guide End Plate)
48...피니언(Pinion)
49...랙(Rack) 부재

Claims (15)

  1. 출입구의 일측벽에 설치되는 사각 기둥 형상의 메인 프레임(10)과;
    출입구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도어 프레임(20)과;
    상기 출입구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20)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레일(11)과;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인접한 두 개의 도어 프레임(20)이 각각 힌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가동 프레임(12)과;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인접한 두 개의 도어 프레임(20)이 각각 힌지 연결되고, 상부와 하부에 상기 레일(11)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 부재(14)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가동 프레임(12)과 교대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프레임(13)과;
    상기 메인 프레임(10)과 슬라이딩 프레임(13)의 상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20)을 회동시키는 복수의 작동기 조립체(30)와;
    상기 가동 프레임(12)이 상기 레일(11)에 구속 또는 구속 해제되도록 상기 가동 프레임(12)에 설치되는 록킹부재(40)와;
    상기 도어 프레임(20)과 다른 프레임들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키는 밀폐수단과;
    상기 작동기 조립체(3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일측면과 상기 도어 프레임(20)과 가동 프레임(12) 및 슬라이딩 프레임(13)의 양쪽 측면에, 각각 힌지 프레임(10')(23)(12')(13')이 힌지 부분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20)은,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 도어 프레임(21)과,
    복수의 힌지 프레임(23)이 부착되며 상기 수평 도어 프레임(21)의 양쪽 측면에 스크류로 결합되어 사각틀을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 도어 프레임(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14)는,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3)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구(14a)와,
    상기 레일(11)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베어링 휠(14b)이 전방측과 후방측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몸체(14c)와,
    상기 고정구(14a)와 몸체(14c)를 연결하는 연결구(14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14)는,
    상기 몸체(14c)의 앞쪽과 뒤쪽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레일(11)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14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 조립체(30)는,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3)에 고정된 지지 브래킷(31)과,
    후단부의 리어 브래킷(33)이 상기 지지 브래킷(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액추에이터(32)와,
    상기 도어 프레임(20)의 상단 측부에 고정되며 상기 액추에이터(32)의 로드(32')에 구비된 탑 브래킷(34)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 브래킷(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40)은,
    상기 도어 프레임(20)을 구성하는 수직 도어 프레임(22)의 외측면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장착홈(25)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15a)와,
    상기 도어 프레임(20)이 전개되는 경우 다른 프레임에 밀착 및 변형되는 원형 탄성부(15b)로 이루어진 실링부재(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40)는,
    상기 가동 프레임(12)의 상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 엔드 플레이트(47)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록킹 도그(41)와,
    상기 가동 프레임(12)의 중간 부분에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 도그(41)를 출몰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42)와,
    상기 가동 프레임(12)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캠 휠(43)과,
    상기 록킹 도그(41) 중 하나에 연결된 록킹 바(44)와 상기 액추에이터(42)의 로드(42')가 연결된 브래킷(46')이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캠 휠(43)에 편심 연결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42)의 측면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제1 캠 링크(46)와,
    상기 록킹 도그(41)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록킹 바(44)가 연결되고, 상기 제1 캠 링크(46)와 대칭된 위치에서 상기 캠 휠(43)에 편심 연결되어, 상기 캠 휠(43)의 회전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캠 링크(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42)는 가동 프레임(12)의 내측에 완전 매립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40)는,
    상기 가동 프레임(12)의 상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 엔드 플레이트(47)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록킹 도그(41)와,
    상기 가동 프레임(12)의 중간 부분에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 도그(41)를 출몰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42)와,
    상기 가동 프레임(1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액추에이터(42)의 로드(42')가 편심 연결되는 피니언(48)과,
    상기 록킹 도그(41)에 연결된 커넥팅 로드(44)의 끝단에 설치되며 서로 대칭된 위치에서 상기 피니언(48)에 치합되는 한 쌍의 랙 부재(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이 출입구의 일측벽에 설치된 타측면이 개방되는 측면 개방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이 출입구의 양측벽에 각각 설치되고, 도어 프레임(20)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중앙이 개방되는 중앙 개방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기 조립체(30)를 구성하는 액추에이터(32)와 상기 록킹 부재(40)를 구성하는 액추에이터(42)를 연동시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모드는,
    도어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작동기 조립체(30)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모드와,
    복수의 작동기 조립체(30)가 일시에 작동되는 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모드는,
    좌우 대칭으로 설치된 경우 좌측의 작동기 조립체(30) 또는 우측의 작동기 조립체(30)를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일시에 작동시키는 모드와,
    전체 작동기 조립체(30)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 장치.
KR1020160087395A 2016-07-11 2016-07-11 접이식 도어 장치 KR101874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395A KR101874013B1 (ko) 2016-07-11 2016-07-11 접이식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395A KR101874013B1 (ko) 2016-07-11 2016-07-11 접이식 도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703A true KR20180006703A (ko) 2018-01-19
KR101874013B1 KR101874013B1 (ko) 2018-07-04

Family

ID=6102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395A KR101874013B1 (ko) 2016-07-11 2016-07-11 접이식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0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8545A (zh) * 2018-07-18 2018-11-23 南京金星宇节能技术有限公司 一种转向电动侧移门
CN110056284A (zh) * 2019-05-31 2019-07-26 河南科技大学 一种应用于折叠窗的开窗器
KR102052506B1 (ko) * 2018-09-04 2019-12-05 정지성 접이식 도어
CN113039339A (zh) * 2018-11-14 2021-06-25 优利思百隆有限公司 用于引导可运动地支承的门扇的引导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712B1 (ko) * 2022-01-12 2023-01-17 박건 열림 방향의 선택이 가능한 접이식 도어
KR102541467B1 (ko) * 2022-01-12 2023-06-13 박건 접이식 도어
KR102628399B1 (ko) 2023-03-28 2024-01-23 주식회사 제이제이시스템 접이식 문의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85944B1 (en) * 2011-12-02 2017-04-12 Allegion (UK) Limited Roller assembly for a folding door system
KR101255238B1 (ko) * 2012-07-06 2013-04-16 알에스시스템(주) 폴딩 도어의 핸들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8545A (zh) * 2018-07-18 2018-11-23 南京金星宇节能技术有限公司 一种转向电动侧移门
KR102052506B1 (ko) * 2018-09-04 2019-12-05 정지성 접이식 도어
CN113039339A (zh) * 2018-11-14 2021-06-25 优利思百隆有限公司 用于引导可运动地支承的门扇的引导系统
US11913270B2 (en) 2018-11-14 2024-02-27 Julius Blum Gmbh Guide system for guiding a movably mounted door leaf
CN110056284A (zh) * 2019-05-31 2019-07-26 河南科技大学 一种应用于折叠窗的开窗器
CN110056284B (zh) * 2019-05-31 2024-03-12 河南科技大学 一种应用于折叠窗的开窗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013B1 (ko)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013B1 (ko) 접이식 도어 장치
US8671633B2 (en) Foldable sliding wall and carriage
US8365796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movable partitions
US8046954B2 (en) Outswinging window assembly having an operational mode and a wash mode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730612B1 (ko) 전동접이식 도어 시스템
US20120260460A1 (en) Running gear arrangement having a guide rail for a sliding door
US20140224435A1 (en) Sliding Folding Door System
KR101932938B1 (ko)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문 구조물
CN101936117A (zh) 推拉平开门窗
CA2842510A1 (en) Moving body drive apparatus
EP2019180A2 (en) An operating device for windows
US20170342754A1 (en) Tensioners for movable partition systems, movable partition systems including such tensioners, and related methods
EP3680439B1 (en) Movement system for a closure structure with folding movement
KR101330750B1 (ko) 슬라이드 접철식 도어의 수직축 높이조절장치
KR101602660B1 (ko)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문 구조물
KR20150104694A (ko) 래크와 피니언을 이용한 창짝 자동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20080036571A (ko) 절첩식 무빙 도어 장치
JP3626441B2 (ja) 鉄道車両の側出入口用プラグドア装置
KR101936360B1 (ko) 전동 폴딩도어
JP2007154615A (ja) 折りたたみ式自動門扉
JP2014520727A (ja) 航空機内ドアアセンブリ
KR102179836B1 (ko) 이중 레일 구조의 폴딩 도어 개폐장치
KR102246407B1 (ko) 이동식 도어 일체형 힌지 어셈블리
KR20130115919A (ko) 삼중 상부 레일 구조를 갖는 폴딩 도어 작동시스템
KR20170141539A (ko)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