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539A -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539A
KR20170141539A KR1020160074736A KR20160074736A KR20170141539A KR 20170141539 A KR20170141539 A KR 20170141539A KR 1020160074736 A KR1020160074736 A KR 1020160074736A KR 20160074736 A KR20160074736 A KR 20160074736A KR 20170141539 A KR20170141539 A KR 20170141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guide frame
glass door
doors
glass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프
Priority to KR1020160074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1539A/ko
Publication of KR20170141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0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 E05D7/101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biased by free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0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2Wings made completely of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 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은, 내측에 레일이 형성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개되거나 접철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일 외측으로 접철되는 복수의 유리도어와,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가 접철되도록 연결하는 경첩부와,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의 각 상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가 회동하도록 지지하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출입구를 견고하게 밀폐하여 실내의 단열을 유지하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유리도어의 외측에 볼트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 외관이 향상되고 조립 작업성이 우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FOLDING GLASS DOOR SYSTEM}
본 발명은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철식으로 설치되는 유리도어를 전개하거나 접철시키는 기술이 개시된다.
접이식 도어(Folding Door)는 건물의 출입구나 실내 공간을 가치 있게 활용하고자 다수의 유리도어가 출입구의 일측으로 접철되거나 타측으로 전개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접철식 유리도어는 경첩에 의해 연결되고, 유리도어 자체에 롤러가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개되거나 접철된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6822호(2013년 07월 06일 공개)는 샤워부스용 접이식 유리도어에 관한 것으로, 욕실의 타일 벽면에 고정되는 우측 고정유리판에 제 1 유리도어의 우측단이 제 1 힌지 유니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 1 유리도어의 좌측단과 제 2 유리도어의 우측단이 제 2 힌지 유니트에 의해 연결되며, 제 1 힌지 유니트와 제 2 힌지 유니트가 서로 반대로 배치되고, 욕실의 타일 벽면에 양단이 고정되는 상부 가이드 바아가 상기 제 1 유리도어와 제 2 유리도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유리도어의 상단에 가이드 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의 바디부의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대차부가 가이드 바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의 기술은 유리도어를 연결하기 위해 측면에 별도의 프레임을 설치해야 하므로 외관이 아름답지 못하고, 전개시 유리도어들은 일정 간격 벌어져 있어 방음 및 방풍이 완벽하게 이루어 지지 않고 벌어진 틈으로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접이식 유리도어를 전개하거나 접철시키며, 유리도어의 외측에 볼트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 외관이 향상되고 조립 작업성이 우수할 수 있으며, 유리도어 간에 스프링 경첩으로 연결하여 적은 힘으로도 접철시킬 수 있으며, 유리도어를 전동뿐만 아니라 수동으로 전개하거나 접철시킬 수 있으며, 유리도어를 전개시에는 일렬로 정렬시켜 밀폐할 수 있는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은, 내측에 레일이 형성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개되거나 접철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일 외측으로 접철되는 복수의 유리도어와,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가 접철되도록 연결하는 경첩부와,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의 각 상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가 회동하도록 지지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도어는 상부유리판과, 상기 상부유리판의 일측에 위치하는 하부유리판과, 상기 상부유리판과 상기 하부유리판 사이에 위치하여 접착고정하는 접착시트와, 상기 하부유리판을 테이퍼지게 관통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상부유리판과 상기 하부유리판이 접합됨에 따라 고정되는 볼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첩부는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 중 제1유리도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의 일단에서 힌지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제1고정홀과, 상기 제1고정부의 타단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유리도어의 볼트와 결합되는 제1볼트홈을 포함하는 제1경첩유닛과,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 중 제2유리도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의 일단에서 힌지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제2고정홀과, 상기 제2고정부의 타단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유리도어의 볼트와 결합되는 제2볼트홈을 포함하는 제2경첩유닛과, 상기 제1고정홀과 제2고정홀에 삽입되는 힌지핀과, 상기 제1고정홀 사이에서 상기 힌지핀의 외주면에 감싸지며 일단이 상기 제1고정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2고정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1경첩유닛과 제2경첩유닛이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탄성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 중 하나의 고정 유리도어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 중 복수의 이동 유리도어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슬라이딩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켜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를 전개 또는 접철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출력축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와 일단이 상기 모터의 상기 출력축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며 외주면에 45˚각도로 경사진 복수의 기어치가 형성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며, 외주면에 45˚각도로 경사진 복수의 기어치가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와 치합 연동되며 일단에 스프로킷이 형성되는 제2기어 및 일단이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개시 유리도어에 형성된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프로킷에 장착되어 상기 모터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가 일렬로 전개되도록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의 상부 측면을 가압하여 정렬시키는 정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롤러는 상기 유리도어들의 상단 일측에서 나사 고정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서 상기 샤프트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는 구름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롤러는 상기 복수의 이동 유리도어의 상단 외곽부에 각각 위치하되, 상기 복수의 이동 유리도어가 지그재그 형태로 접철되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일 외측으로 접철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 유리도어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축공에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핀 및 상기 결합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축공에 대향하여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일측면과 나사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부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개시 유리도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일측에 하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판과, 가이드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판을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최외곽 유리도어가 기 설정된 지점을 통과하면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켜 상기 가압판이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의 상단을 가압하여 일렬로 전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된다.
첫째, 출입구를 견고하게 밀폐하여 실내의 단열을 유지하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둘째, 유리도어의 외측에 볼트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 외관이 향상되고 조립 작업성이 우수할 수 있다.
셋째, 유리도어 간에 스프링 경첩으로 연결하여 적은 힘으로도 접철시킬 수 있어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넷째, 자동으로 유리도어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으며, 전원이 차단시 수동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유리도어를 전개시에는 일렬로 정렬시켜 밀폐하여 방음 및 방풍이 완벽하게 이루어져 소음을 방지하고 외부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에서 유리도어들이 닫혀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에서 유리도어의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유리도어에 경첩부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도 1에 따른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에서 경첩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도 1에 따른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에서 구동부이 세부 구성도,
도 8은 도 1에 따른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에서 정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에서 유리도어들이 닫혀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에서 유리도어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유리도어에 경첩부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에서 경첩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따른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에서 구동부이 세부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1에 따른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에서 정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100)은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거나 또는 실내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천장과 바닥 및 양 측벽(미도시) 사이에서 둘러싸여 지도록 형성된다.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100)은 가이드 프레임(110)과 복수의 유리도어(120), 경첩부(130) 및 이동부(140)를 포함한다.
가이드 프레임(110)은 천장에 설치되며 내측에 레일(111)이 형성된다. 레일(111)에는 후술할 이동부(140)의 복수의 슬라이딩 롤러(142)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가이드 프레임(110)의 양측에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0)이 구비되며, 바닥에는 가이드 프레임(110)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바닥프레임(20)이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유리도어(120)는 고정 유리도어(121)와 복수의 이동 유리도어(122)를 포함한다. 고정 유리도어(121)는 가이드 프레임(110)의 일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고정 유리도어(121)는 후술할 이동부(140)의 지지부(141)에 의해 일측이 가이드 프레임(110)에 지지되면서 회동된다. 고정 유리도어(121)는 복수의 이동 유리도어(122)와 달리 가이드 프레임(100)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회동만 가능한 유리도어를 의미한다.
복수의 유리도어(120) 중 복수의 이동 유리도어(122)는 가이드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개되거나 접철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복수의 이동 유리도어(122)의 각 상단에는 이동부(140)의 복수의 슬라이딩 롤러(142)가 각각 결합되며, 이러한 복수의 이동 유리도어(122)는 슬라이딩 롤러(142)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술한, 고정 유리도어(121)와 복수의 이동 유리도어(122)는 지그재그 형태로 접철되되, 가이드 프레임(110)의 일 외측으로 접철된다. 따라서, 복수의 이동 유리도어(122)가 접철되어도 실내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복수의 유리도어(12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유리판(120a), 하부유리판(120b), 접착시트(120c), 삽입홈(120d) 및 볼트(120e)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유리판(120a)은 기 설정된 투명도와 두께를 가진 유리도어로, 후술하는 하부유리판(120b)과 접착시트(120c)에 의해 접착된다.
하부유리판(120b)은 상부유리판(120a)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접착시트(120c)에 의해 상부유리판(120a)에 접착하며, 일측에는 삽입홈(120d)이 형성된다. 삽입홈(120d)은 볼트(120e)가 끼워지는 홈으로, 볼트(120e)의 헤드 형상에 대응하여 테이퍼지게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부유리판(120b)에 볼트(120e)가 삽입된 후, 접착시트(120c)에 의해 상부유리판(120b)이 삽입홈(120d)을 밀폐시켜 고정한다.
접착시트(120c)는 폴리비닐계 접착제 성분이 포함되어 상부유리판(120a)과 하부유리판(120b) 사이를 밀폐시킨다.
볼트(120e)는 하부유리판(120b)의 삽입홈(120d)에 삽입되는 부재로, 볼트(120e)의 헤드는 하부유리판(120b)에 끼워진다. 볼트(120e)의 몸체는 하부유리판(120b)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경첩부(130)와 결합한다.
한편, 하부유리판(120e)의 삽입홈(120d)에는 패킹(120f)이 삽입될 수 있다. 패킹(120f)은 삽입홈(120d)과 볼트(120e)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부재이다. 패킹(120f)은 고무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경이 삽입홈(120d)에 삽입될 수 있으며, 내경이 볼트(120e)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복수의 이동 유리도어(122) 중 최외곽에 배치된 유리도어는 개시 유리도어(122-1)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개시 유리도어(122-1)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복수의 유리도어(120)는 도면에서는 복수의 유리도어(120)를 6개로 구비하여 예시하였으나 그 개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각 유리도어의 내측에는 시야를 확보하도록 투명의 유리가 부착되거나 또는 미감을 일으키도록 다양한 모양의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경첩부(130)는 복수의 유리도어(120)를 접철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것으로서, 제1경첩유닛(131), 제2경첩유닛(132), 힌지핀(133) 및 코일스프링(134)을 포함한다.
제1경첩유닛(131)은 제1고정부(131-1), 제1고정홀(131-2), 제1연결부(131-3) 및 제1볼트홈(131-4)을 포함한다. 제1고정부(131-1)는 복수의 유리도어(120) 중 제1유리도어(120-1)의 일측에 형성된다. 제1고정홀(131-2)은 제1고정부(131-1)의 일단에서 힌지 결합을 위하여 형성된다. 제1연결부(131-3)는 제1고정부(131-1)의 타단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부재이다. 제1볼트홈(131-4)은 제1연결부(131-1)의 일단에 형성되어 제1유리도어(120-1)의 볼트(120e)와 결합된다.
제2경첩유닛(132)은 제2고정부(132-1), 제2고정홀(132-2), 제2연결부(132-3) 및 제2볼트홈(132-4)을 포함한다. 제2고정부(132-1)는 제1고정부(131-1)에 대향하며 인접하는 제2유리도어(120-2)의 타측에 위치한다. 제2고정홀(132-2)은 제1고정홀(131-1)의 양단부에서 각각 위치하며 제2고정부(132-2)의 일단에 형성되고 힌지 결합을 위해 한쌍의 홀로 형성된다. 제2연결부(132-3)은 제2고정부(132-1)의 타단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부재이다. 제2볼트홈(132-4)은 제2연결부(132-3)의 일단에 형성되어 제2유리도어(120-2)의 볼트(120e)와 결합된다.
한편, 제1유리도어(120-1) 및 제2유리도어(120-2)는 경첩부(13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하는 유리도어로써, 제1유리도어(120-1)는 복수의 유리도어(120) 중 어느 하나의 유리도어이고, 제2유리도어(120-2)는 제1유리도어(120-1)와 인접하는 유리도어이다.
힌지핀(133)은 제1경첩유닛(131)과 제2경첩유닛(132)을 힌지 결합하도록 제1고정홀(131-2)과 제2고정홀(132-2)에 삽입된다. 이 경우, 힌지핀(133)의 가운데 부분은 제1고정홀(131-2) 사이에서 노출된다.
코일스프링(134)은 제1고정홀(131-2) 사이에 배치되며 힌지핀(133)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코일스프링(134)은 힌지핀(133)의 외주면에 감싸진 형태가 되며 여기서 코일스프링(134)은 일단이 제1고정부(131-1)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2고정부(132-1)에 지지된다. 이러한 코일스프링(134)은 제1경첩유닛(131)과 제2경첩유닛(132)이 탄성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유리도어(120-1)와 제2유리도어(120-2)가 접철되는 경우 코일스프링(134)의 탄성력에 의해 용이하게 접철될 수 있다.
이동부(140)는 복수의 유리도어(120)의 각 상부 일측에 연결된다. 이동부(140)는 가이드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의 유리도어(12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부(140)는 지지부(141) 및 복수의 슬라이딩 롤러(142)를 포함한다. 지지부(141)는 복수의 유리도어(120) 중 고정 유리도어(121)를 가이드 프레임(110)의 일측에 고정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141)는 결합핀(141-1)과 고정플레이트(141-2)를 포함한다. 결합핀(141-1)은 복수의 유리도어(120) 중 고정 유리도어(121)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축공(121-1)에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플레이트(141-2)는 결합핀(141-1)의 타단에 형성되며 축공(121-1)에 대향하여 가이드 프레임(110)의 일측면과 나사 고정된다. 이와 같은 지지부(141)는, 고정 유리도어(1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 유리도어(121)의 하단과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딩 롤러(142)는 샤프트(142-1) 및 구름바퀴(142-2)를 포함한다. 샤프트(142-1)는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복수의 이동 유리도어들(122)의 상단 일측과 나사결합된다. 구름바퀴(142-2)는 샤프트(142-1)의 타단에서 샤프트(142-1)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름바퀴(142-2)는 가이드 프레임(110)의 레일(111)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 롤러(142)는 복수의 이동 유리도어(122)를 가이드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이동부(140)는 복수의 하부롤러(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하부롤러(143)는 일측이 복수의 이동 유리도어(122)의 각 하단과 연결되고 타측은 바닥프레임(20)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100)은 구동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50)는 가이드 프레임(110)의 일측에 배치되며 이동부(140)를 이동시켜 복수의 유리도어(120)를 전개하거나 접철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모터(151), 제1기어(152), 제2기어(153) 및 체인(154)을 포함한다.
모터(151)는 구동부(150)의 동력원으로서 가이드 프레임(110)과 나란한 ?항으로 설치되며 출력축(151-1)이 연결된다. 모터(151)는 출력축(151-1)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1기어(152)는 모터(151)의 출력축(151-1)에 연결되며 모터(151)의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1기어(151)는 외주면에 45˚각도로 경사진 복수의 기어치가 형성된다. 제2기어(153)는 제1기어(15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된다. 제2기어(153)는 외주면에 45˚각도로 경사진 복수의 기어치가 형성되며 제1기어(152)와 치합되어 연동된다. 제2기어(153)의 일측에는 스프로킷(153-1)이 형성되며 스프로킷(153-1)에는 후술할 체인(154)의 일단이 장착된다.
체인(154)은 가이드 프레임(110)의 내측에서 가이드 프레임(110)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체인(154)의 일단은 복수의 유리도어(120) 중 최 외곽의 개시 유리도어(122-1)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체인(154)의 일단은 슬라이딩 롤러(142)와 연결되고 타단은 스프로킷(153-1)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체인(154)은 모터(151)가 정역방향으로 회전시 개시 유리도어(122-1)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롤러(142)를 전진 또는 후퇴 시킨다. 여기서, 개시 유리도어(122-1)는 복수의 이동 유리도어(122) 중 최외곽에 위치한 유리도어로서 구동부(15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모터(151)와 제1기어(152) 및 제2기어(153)는 기어박스(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감싸지며 체인(154)이 이동 가능하게 관통된다. 아울러 내부에는 복수의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며 출력축(151-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100)은 정렬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렬부(160)는 가이드 프레임(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복수의 유리도어(120)가 일렬로 정렬되도록 복수의 유리도어(120)의 상부 측면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정렬부(160)는 감지부(161), 가압판(162), 액추에이터(163) 및 제어부(164)를 포함한다.
감지부(161)는 개시 유리도어(122-1)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가이드 프레임(110)의 일단에 설치된다. 부연하면, 감지부(161)는 가이드 프레임(110)의 일단 내측에 설치되어 개시 유리도어(122-1)를 지지는 슬라이딩 롤러(142)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 경우, 슬라이딩 롤러(142)가 감지부(161)의 기 설정된 지점을 통과하면 감지부(161)는 후술할 제어부(164)에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가압판(162)은 가이드 프레임(110)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가압판(162)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가이드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방향으로 형성되며 가이드 프레임(110)의 전면 하단에서 하부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액추에이터(163)는 가이드 프레임(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가압판(162)을 회동시킨다. 한편, 액추에이터(163)는 가이드 프레임(110)의 양측에 설치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압판(162)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면 그 개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가이드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163)에는 가압판(162)이 회동시 안정성을 갖으며 동시에 용이하게 회동하도록 접철부재(163-1)가 결합된다. 즉, 접철부재(163-1)는 2개의 패널이 힌지결합되며 일측이 가압판(162)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액추에이터(163)에 결합된다. 이러한 접철부재(163-1)는 액추에이터(163)의 구동에 따라 가압판(162)을 하방으로 회동시킨다.
제어부(164)는 가이드 프레임(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며 액추에이터(163)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제어부(164)는 최외곽의 개시 유리도어(122-1)가 감지부(161)의 기 설정된 지점을 통과하면 감지부(161)의 신호를 전달받아 액추에이터(163)를 구동시킨다. 이 경우, 가압판(162)은 복수의 유리도어(120)의 상단을 가압하여 복수의 유리도어(120)를 일렬로 정렬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4)는 액추에이터(163)의 구동뿐만 아니라, 구동부(1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복수의 유리도어(120)를 가이드 프레임(110)에서 전개하거나 접철되도록 스위치나 리모콘(미도시)을 조작하면 구동부(150)는 이동부(140)를 이동시켜 복수의 유리도어(120)를 전개하거나 반대로 접철시킬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100)의 작동순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스위치나 리모콘 (미도시)을 이용하여 복수의 유리도어(120)들이 전개되도록 조작하면 구동부(150)는 그 신호를 전달받아 모터(151)를 회전시킨다.
이때, 모터(151)의 출력축(151-1)에 연결된 제1기어(152) 및 제2기어(153)는 치합하여 연동되고 이에 따라, 제2기어(153)에 연결된 스프로킷(153-1)은 제2기어(153)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스프로킷(153-1)에 장착된 체인(154)은 전진하게 되어 개시 유리도어(122-1)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유리도어(142)는 전진된다.
개시 유리도어(122-1)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유리도어(142)가 가이드 프레임(110)의 일측에 설치된 감지부(161)의 기 설정된 지점을 통과하면 감지부(161)는 제어부(164)에 신호를 전달한다. 이 경우, 감지부(161)의 신호를 전달받은 액추에이터(162)는 가압판(163)을 하부로 회동시켜 복수의 유리도어(120)의 상단을 가압한다. 이 경우, 복수의 유리도어(120)는 가이드 프레임(110)에서 일렬로 전개되도록 정렬시켜 출입구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100)은, 출입구를 견고하게 밀폐하여 실내의 단열을 유지하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방음 및 방풍이 완벽하게 이루어져 소음을 방지하고 외부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자동으로 유리도어의 개방 및 폐쇄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등록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측면프레임
20 : 바닥프레임
100 :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
110 : 가이드 프레임
120 : 복수의 유리도어
120a : 상부유리판
120b : 하부유리판
120c : 접착시트
120d : 삽입홈
120e : 볼트
120f : 패킹
120-1 : 제1유리도어
120-2 : 제1유리도어
121 : 고정 유리도어
121-1 : 축공
122 : 이동 유리도어
122-1: 개시유리도어
130 : 경첩부
131 : 제1경첩유닛
131-1 : 제1고정부
131-2 : 제1고정홀
131-3 : 제1연결부
131-4 : 제1볼트홈
132 : 제2경첩유닛
132-1 : 제2고정부
132-2 : 제2고정홀
132-3 : 제2연결부
132-4 : 제2볼트홈
133 : 힌지핀
134 : 코일스프링
140 : 이동부
141 : 지지부
141-1 : 결합핀
141-2 : 고정플레이트
142 : 슬라이딩 롤러
142-1 : 샤프트
142-2 : 구름바퀴
143 : 하부 롤러
150 : 구동부
151 : 모터
151-1 : 출력축
152 : 제1기어
153 : 제2기어
153-1 : 스프로킷
154 : 체인
160 : 정렬부
161 : 감지부
162 : 가압판
163 : 액추에이터
163-1 : 접철부재
164 : 제어부

Claims (9)

  1. 내측에 레일(111)이 형성되는 가이드 프레임(110);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개되거나 접철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의 일 외측으로 접철되는 복수의 유리도어(120);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120)가 접철되도록 연결하는 경첩부(130); 및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120)의 각 상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120)가 회동하도록 지지하는 이동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유리도어(120)는,
    상부유리판(120a)과, 상기 상부유리판(120a)의 일측에 위치하는 하부유리판(120b)과, 상기 상부유리판(120a)과 상기 하부유리판(120b) 사이에 위치하여 접착고정하는 접착시트(120c)와, 상기 하부유리판(120b)을 테이퍼지게 관통하는 삽입홈(120d)과, 상기 삽입홈(120d)에 삽입되는 상기 상부유리판(120a)과 상기 하부유리판(120b)이 접합됨에 따라 고정되는 볼트(120e)를 포함하는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부(130)는,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120) 중 제1유리도어(120-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131-1)와, 상기 제1고정부(131-1)의 일단에서 힌지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제1고정홀(131-2)과, 상기 제1고정부(131-1)의 타단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131-3)와, 상기 제1연결부(131-1)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유리도어(120-1)의 볼트(120e)와 결합되는 제1볼트홈(131-4)을 포함하는 제1경첩유닛(131);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120) 중 제2유리도어(120-2)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고정부(132-1)와, 상기 제1고정부(132-1)의 일단에서 힌지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제2고정홀(132-2)과, 상기 제2고정부(132-1)의 타단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연결부(132-3)와, 상기 제2연결부(132-3)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유리도어(120-2)의 볼트(120e)와 결합되는 제2볼트홈(132-4)을 포함하는 제2경첩유닛(132);
    상기 제1고정홀(131-2)과 제2고정홀(132-2)에 삽입되는 힌지핀(133); 및
    상기 제1고정홀(131-2) 사이에서 상기 힌지핀(133)의 외주면에 감싸지며 일단이 상기 제1고정부(131-1)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2고정부(132-1)에 지지되어 상기 제1경첩유닛(131)과 제2경첩유닛(132)이 상기 힌지핀(133)을 중심으로 탄성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134)을 포함하는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140)는,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120) 중 하나의 고정 유리도어(121)를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의 일측에 고정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41); 및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120) 중 복수의 이동 유리도어(122)가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슬라이딩 롤러(142)를 포함하는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140)를 이동시켜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120)를 전개 또는 접철시키는 구동부(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150)는,
    출력축(151-1)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151);
    일단이 상기 모터(151)의 상기 출력축(151-1)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며 외주면에 45˚각도로 경사진 복수의 기어치가 형성되는 제1기어(152);
    상기 제1기어(15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며, 외주면에 45˚각도로 경사진 복수의 기어치가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152)와 치합 연동되며 일단에 스프로킷(153-1)이 형성되는 제2기어(153); 및
    일단이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120)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개시 유리도어(122-1)에 형성된 상기 이동부(14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프로킷(153-1)에 장착되어 상기 모터(151)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140)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체인(154)을 포함하는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120)가 일렬로 전개되도록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120)의 상부 측면을 가압하여 정렬시키는 정렬부(160)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롤러(142)는,
    상기 유리도어들(120)의 상단 일측에서 나사 고정되는 샤프트(142-1); 및
    상기 샤프트(142-1)의 타단에서 상기 샤프트(142-1)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되는 구름바퀴(142-2)를 포함하는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롤러(142)는,
    상기 복수의 이동 유리도어(122)의 상단 외곽부에 각각 위치하되, 상기 복수의 이동 유리도어(122)가 지그재그 형태로 접철되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의 일 외측으로 접철되도록 안내하는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41)는,
    상기 고정 유리도어(121)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축공(121-1)에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핀(141-1); 및
    상기 결합핀(141-1)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축공(121-1)에 대향하여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의 일측면과 나사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141-2)를 포함하는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160)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120)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개시 유리도어(122-1)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161);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의 일측에 하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판(162);
    가이드 프레임(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판(162)을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163); 및
    상기 최외곽 유리도어(122-1)가 기 설정된 지점을 통과하면 상기 액추에이터(163)를 구동시켜 상기 가압판(162)이 상기 복수의 유리도어(120)의 상단을 가압하여 일렬로 전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64)를 포함하는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
KR1020160074736A 2016-06-15 2016-06-15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 KR20170141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736A KR20170141539A (ko) 2016-06-15 2016-06-15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736A KR20170141539A (ko) 2016-06-15 2016-06-15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539A true KR20170141539A (ko) 2017-12-26

Family

ID=60936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736A KR20170141539A (ko) 2016-06-15 2016-06-15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15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6097A (zh) * 2019-09-20 2019-12-13 重庆合源信门业有限公司 一种具有自锁结构的智能家用木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6097A (zh) * 2019-09-20 2019-12-13 重庆合源信门业有限公司 一种具有自锁结构的智能家用木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612B1 (ko) 전동접이식 도어 시스템
US8671633B2 (en) Foldable sliding wall and carriage
JP6268424B2 (ja) 案内装置、走行装置及び走行レール
US20140047768A1 (en) Kit for motorized closure assembly
US9127453B2 (en) Drive modules for movable partition systems and components thereof and related methods of installing drive modules
KR20180006703A (ko) 접이식 도어 장치
US9695623B2 (en) Powered folding doors
WO2006059657A1 (ja) 折戸の吊設機構及びこの吊設機構を用いた折戸システム
KR101173022B1 (ko) 절첩식 출입문 구조
KR20170141539A (ko) 접이식 유리도어 시스템
JP2008019612A (ja) 電動式開閉戸
KR101841725B1 (ko) 폴딩도어 구조
ITMI20082016A1 (it) Dispositivo meccanico motorizzato di manovra delle ante, in particolare della porta lato cabina degli ascensori
JP2007170150A (ja) 切妻屋根を備えた折畳み構造物
KR101330750B1 (ko) 슬라이드 접철식 도어의 수직축 높이조절장치
KR101949583B1 (ko) 양방향 미닫이 개폐도어
KR101936360B1 (ko) 전동 폴딩도어
US8667624B2 (en) Shower door with pivoted side by side panels
JP2009097238A (ja) 連動式引き違い戸装置
IT201900018392A1 (it) Tapparella avvolgibile a lamelle orientabili provvista di mezzi semplificati per la rotazione angolare
JP3085644B2 (ja) 浴室戸の上部取付構造
KR200365180Y1 (ko) 길이와 넓이가 가변되는 조립식 주택
JPH05209437A (ja) 蛇腹状折畳み自在構築物
JP2023043791A (ja) 自動ドア
ES1260424U (es) Espacio transformable con muro funcional desplaz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