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781B1 -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 Google Patents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781B1
KR101989781B1 KR1020180118070A KR20180118070A KR101989781B1 KR 101989781 B1 KR101989781 B1 KR 101989781B1 KR 1020180118070 A KR1020180118070 A KR 1020180118070A KR 20180118070 A KR20180118070 A KR 20180118070A KR 101989781 B1 KR101989781 B1 KR 101989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astening
safety
door frame
safet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숙
Original Assignee
서원상협(주)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상협(주),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filed Critical 서원상협(주)
Priority to KR1020180118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2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being constructed in a way to remain too small or too wide to cause injury
    • E06B2007/365Rounded shape at gap, e.g. cylind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커버가 장착되는 구조임에도 출입구의 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구조를 간소화한 안전도어에 관한 것으로, 문틀에 체결고정되는 체결대와, 문짝에 체결고정되는 도어틀과, 상기 문틀을 기준으로 문짝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유동부재와, 상기 문짝을 개방함에 따라 문틀과 문짝의 벌어지는 틈을 차단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구비되는 안전커버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안전커버는 문짝이 개방된 상태에서 체결대의 일단으로부터 도어틀에 이르는 이격공간을 차단하도록 체결대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체결대는 안전커버 내측의 개구된 방향으로 체결공을 형성하여 체결대와 안전커버가 일체로 피스 체결되도록 하고, 상기 유동부재는 문틀과 문짝이 직교하는 모서리의 꼭지점에 근접하게 힌지를 배치하고, 유동부재는 날개부가 체결대에 보조피스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안전도어의 장착폭을 축소시키고 간단한 구조로 조립되도록 하여 출입구 폭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Safety door to secure doorway width}
본 발명은 문틀과 문짝 사이의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커버가 구비되는 안전도어에 관한 것으로, 안전커버의 장착구조를 간소화하고 그 장착구조의 부피를 최소화한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에 관한 것이다.
주택에 주로 시공되는 여닫이 도어의 기본 구조는 문틀에 문짝이 경첩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필연적으로 문틀과 문짝 사이에서 틈이 생기고, 반대로 문짝이 닫힐 때에는 문틀과 문짝 사이의 틈이 없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문이 닫힐 때 이 틈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끼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러한 안전도어의 설치가 법적인 권고사항이 되었고, 준공심사권을 가지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안전도어의 설치를 요구하는 상황이어서 문틀과 문짝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는 안전도어의 설치가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등록특허 제1630135호(2016.06.07.)에 개시된 바와 같이 문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곡면의 안전커버를 장착한 안전도어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도어는 문틀, 도어, 힌지, 안전커버 등 안전도어를 구성하는 모든 부속의 조립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향상시키면서도 안전하게 사용가능하도록 한 것인데, 이렇게 안전도어의 조립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구조가 복잡해질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필연적으로 그 부피가 늘어날 수밖에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출입구의 폭이 좁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건축분야에서는 인체공한적인 설계 또는 가구나 가전제품의 출입을 감안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문짝의 사이즈가 있기 때문에 문틀의 사이즈 또한 규격화된 설계사이즈가 존재하는데, 종래의 문틀 사이즈에 안전도어를 적용하는 경우 출입구의 폭이 좁아지게 되므로 사용이 매우 번거롭고, 현장에 따라서는 새로운 문틀로 교체한 후 안전도어를 설치해야만 하는 어려움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커버가 장착되는 구조임에도 출입구의 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구조를 간소화하여 저렴하게 제작 및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문틀에 체결고정되는 체결대와, 문짝에 체결고정되는 도어틀과, 상기 문틀을 기준으로 문짝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유동부재와, 상기 문짝을 개방함에 따라 문틀과 문짝의 벌어지는 틈을 차단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구비되는 안전커버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안전커버는 문짝이 개방된 상태에서 체결대의 일단으로부터 도어틀에 이르는 이격공간을 차단하도록 체결대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체결대는 안전커버 내측의 개구된 방향으로 체결공을 형성하여 체결대와 안전커버가 일체로 피스 체결되도록 하고, 상기 유동부재는 문틀과 문짝이 직교하는 모서리의 꼭지점에 근접하게 힌지를 배치하고, 유동부재는 날개부가 체결대에 보조피스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안전도어의 장착폭을 축소시키고 간단한 구조로 조립되도록 하여 출입구 폭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는, 안전커버의 사용으로 손까락 끼임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문짝이 개방되는 힌지구조가 최대한 문틀에 가깝게 배치되므로 출입구의 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를 제공하고, 기시공된 건출물에 적용하여 안전도어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사용상 불편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 안전도어가 장착되는 구조임에도 그 조립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및 설치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이점이 있고, 또한 신규 건축구조임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작업자가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시간을 단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안전도어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안전도어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안전도어의 각 부품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안전도어의 설치순서도
도 5는 도 1의 안전도어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안전도어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안전도어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도 8의 안전도어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안전도어의 각 부품의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안전도어의 설치순서도
도 12는 도 8의 안전도어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도 8의 안전도어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의 안전도어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16은 도 15의 안전도어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7은 도 15의 안전도어의 각 부품의 단면도
도 18은 도 15의 안전도어의 설치순서도
도 19는 도 15의 안전도어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20 및 도 21은 도 15의 안전도어의 사용상태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도어는 문틀(10)에 체결고정되는 체결대(100)와, 문짝(20)에 체결고정되는 도어틀(200)과, 상기 문틀을 기준으로 문짝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유동부재(300)와, 상기 문짝을 개방함에 따라 문틀과 문짝의 벌어지는 틈을 차단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구비되는 안전커버(4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문틀(10)은 벽체(W)의 내벽에 장착되는 것으로, 벽체는 콘크리트나 목재에 석고보드가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문틀(10)은 이 벽체의 외관을 마감하고 문짝(20)의 장착을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벽체의 내면에 장착되는 마감판(12)과 문짝이 장착되는 부분의 모서리의 벽체를 가리고 체결대의 벽체조립을 견고하도록 하기 위한 마감대(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마감판(12)은 벽체의 외관을 마감하기 위하여 구성되고, 마감대(14)는 체결대(100)의 조립을 위하여 구성된 것일 수 있으며, 마감대(14)의 재질은 체결판의 견고한 조립 및 미관을 위하여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판(12)은 문짝이 닫힘된 상태에서 체결대(1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가려지는 두께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마감대(14)는 마감판과 연결부위가 마감판의 내측으로 내입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그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대(100)와 안전커버(400)가 일체로 구비되고, 체결대(100)에는 도어(20)가 장착된 도어틀(200)이 힌지(320)에 의하여 절첩작동되게 장착되도록 유동부재(300)에 의하여 체결대(100)와 연결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체결대(100)는 문틀(10)의 내면에 밀착되게 판상의 형태로 기본틀이 구성될 수 있으며, 피스(P)에 의하여 문틀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안전커버(400)는 문짝이 개방된 상태에서 체결대(100)의 일단으로부터 도어틀(200)에 이르는 이격공간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체결대(100)의 일단으로부터 도어틀(200)의 선단까지 연장되게 만곡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도어틀(200)에는 내입공간(220)이 형성되어 문짝을 닫은 상태에서 유동부재(300) 및 안전커버(400)가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도어틀(200)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진 프레임바로 구성되고, 그 일단에는 유동부재(300)가 타단에는 안전커버(400)의 선단이 내입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부재(300)는 문틀과 문짝이 직교하는 모서리의 꼭지점에 근접하게 힌지(320)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안전도어의 문짝의 축이 문틀과 최대한 밀착하게 배치되며 출입구의 폭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대(100)는 일체로 형성된 안전커버(400) 내측의 개구된 방향으로 체결공(120)이 형성되어 체결대(100)가 문틀에 피스(P)체결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로써 일체로 이루어진 체결대(100)와 안전커버(400)가 피스(P) 동시에 체결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공(120)은 안전커버(400)의 개구된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경사진 체결공에 의하여 피스(P)가 안내되어 피스가 잘못체결되거나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이고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동부재(300)는 힌지(320)의 일측으로 면상의 날개부(340)가 형성되어 체결대(100)에 장착될 수 있는 것으로, 이 날개부(340)는 체결대(100)에 보조피스(P-1)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대(100)는 장착판(140)이 이격되게 형성되도록 하면 피스(P)로 체결판(100)을 문틀(10)에 체결 고정할 때 이중 판 구조에 의하여 조립되므로 더욱 견고함을 유지하고 유동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에 밀착되게 하나의 장착판(140)이 형성되고 그 장착판으로부터 이격되게 또 하나의 장착판(140)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장착판이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피스 조립시 피스(P)가 두 개의 장착판에 나선결합되므로 더욱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체결공(120)은 두 개의 이격된 장착판을 연결하도록 이음대(160)로 연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체결판(100)이 피스(P) 고정된 상태에서 조임에 의하여 체결판이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는데, 이격된 두 개의 장착판(140)이 이음대(160)에 의하여 장착판(140)의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는 자체복원력에 의하여 체결판(100)과 피스(P)의 조립이 더욱 견고하게 되며 유동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대(100)에는 유동부재(300)는 날개부(340)가 체결대의 장착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조피스(P-1)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판(140)의 이격된 사이에는 상술한 이음대(160)가 형성되어 보조피스(P-1)의 조립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며, 이음대(160)는 보조피스의 조립방향과 직교하게 형성되어 보조피스(P-1)가 다중 고정되면서 체결된 상태에서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며, 이음대(160)를 다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이격되게 분리구성된 장착판(140)을 현수연결하는 복수의 이음대(160)에 의하여 보조피스(P-1)가 이음대를 다층으로 관통하여 연결됨으로써 보조피스의 결합력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체결대(100)와 도어틀(200)과 유동부재(300)와 안전커버(400)의 구조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체결대(100)는 문틀(10)의 내면에 밀착되게 판상의 형태로 기본틀이 구성될 수 있으며, 피스(P)에 의하여 문틀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안전커버(400)는 문짝이 개방된 상태에서 체결대(100)의 일단으로부터 도어틀(200)에 이르는 이격공간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체결대(100)의 일단으로부터 도어틀(200)의 선단까지 연장되게 만곡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도어틀(200)에는 내입공간(220)이 형성되어 문짝을 닫은 상태에서 유동부재(300) 및 안전커버(400)가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도어틀(200)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진 프레임바로 구성되고, 그 일단에는 유동부재(300)가 타단에는 안전커버(400)의 선단이 내입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부재(300)는 문틀과 문짝이 직교하는 모서리의 꼭지점에 근접하게 힌지(320)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안전도어의 문짝의 축이 문틀과 최대한 밀착하게 배치되며 출입구의 폭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대(100)는 유동부재(300)의 날개부(340)와 연결되게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체결대(100)와 날개부(340)가 직각으로 연결되어 체결대(100)는 문틀(10)에, 날개부(340)는 힌지(320)에 연결되어 절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대(100)에는 체결공(120)이 형성되어 체결대(100)가 문틀에 피스(P)체결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로써 일체로 이루어진 체결대(100)와 날개부(340)가 피스(P)에 의하여 동시에 체결가능하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체결대(100)와 유동부재(300)가 일체로 조립된다.
한편, 상기 안전커버(400)는 체결대(100)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분리 구성되어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안전커버(400)는 유동부재와 체결이 이루어지는 조립부(420) 및 문짝이 개방된 상태에서 체결대의 일단으로부터 도어틀에 이르는 이격공간을 차단하는 커버부(440)가 포함될 수 있다.
조립부(420)는 유동부재의 날개부(340)와 보조피스(P-1)로 조립될 수 있으며, 보조피스의 조립방향과 직교하게 보강면(422)이 형성되어 형성되어 보조피스(P-1)를 체결할 때 보강면(422)에 의하여 견고하게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이 보강면(422)은 두 개 이상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보조피스(P-1)로 고정시 여러 층의 리브를 관통하여 다중 고정되면서 체결된 상태에서 유동을 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커버(400)는 안전커버가 체결대와 유동부재의 장착된 사이공간에 강제끼움으로 조립되도록 조립부(420)에 유동부재의 날개부(340)와 밀착되게 밀착면(4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날개부(340)와 밀착면(430)에는 서로 대응하게 걸림부(342,43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대(100)에 도어틀(200)과 유동부재(3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안전커버(400)를 강제로 끼워 조립하면 밀착면(430)의 걸림부(432)가 날개부(340)의 걸림부(342)에 끼워져 조립될 수 있으며, 이때 걸림부는 어느 일측을 돌기로 형성하고 다른 일측을 그 돌기에 대응하게 홈으로 형성함으로써 강제 끼움으로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면(430)의 걸림부(432)를 홈으로 형성할 경우, 홈을 돌기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돌기가 홈에 진입할 경우 쉽게 진입되어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고, 이미 진입된 상태에서는 돌기가 홈의 일측 단부에 걸려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면(430)이 탄성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면 안전커버를 조립할 때 더욱 쉽게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안전커버(400)를 형성함에 있어서 조립부(420)와 밀착부(430)와 커버부(440)가 각각 면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면상의 구조가 환의 형태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면 안전커버의 내측에 중공부(435)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로써 밀착부(430)가 중공부 측으로 또는 바깥 방향으로 유연성 있게 움직임되면서 안전커버(400)를 강제 끼움으로 조립할 때 탄성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립되면서도 이미 조립된 상태에서는 탄성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부재(300)는 문짝의 개폐를 위하여 힌지(320)가 장착되고, 힌지(320)는 날개부(340)와 조립부(420)의 보조피스 조립이 가능하도록 문틀과 문짝이 직교하는 모서리의 꼭지점으로부터 날개부(340)의 폭에 대응하게 힌지(320)가 이격 배치된 수 있으며, 상기 날개부(340)의 조립된 전방으로는 문틀과 힌지(320)의 사이 이격된 공간에 삽입되어 날개부(340)가 가려지고 손끼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림막(5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림막(500)은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바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림막의 막힌 면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안전도어가 설치된 상태에서 힌지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가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사못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조립이 가능하도록 가림막의 형태를 상기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구성하고 그 일면 또는 양면이 자체탄성력에 의하여 벌어짐이나 오그라짐이 가능한 탄성조립부(520)를 형상함으로써 가림막(500)이 강제 끼움으로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부재(300)의 힌지(320)가 작동할 때 힌지에는 도어틀(200)의 개방된 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외주연에 개방 스토퍼(360)를 형성하고, 반대로 상기 안전커버(400)의 커버부(440)에는 폐쇄 스토퍼(460)를 형성하여 상기 스토퍼 들에 의하여 도어틀(200)의 개방 또는 폐쇄된 각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힌지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5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체결대(100)와 도어틀(200)과 유동부재(300)와 안전커버(400)의 구조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체결대(100)는 문틀(10)의 내면에 밀착되게 판상의 형태로 기본틀이 구성될 수 있으며, 피스(P)에 의하여 문틀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안전커버(400)는 문짝이 개방된 상태에서 체결대(100)의 일단으로부터 도어틀(200)에 이르는 이격공간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체결대(100)의 일단으로부터 도어틀(200)의 선단까지 연장되게 만곡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도어틀(200)에는 내입공간(220)이 형성되어 문짝을 닫은 상태에서 유동부재(300) 및 안전커버(400)가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도어틀(200)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진 프레임바로 구성되고, 그 일단에는 유동부재(300)가 타단에는 안전커버(400)의 선단이 내입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부재(300)는 문틀과 문짝이 직교하는 모서리의 꼭지점에 근접하게 힌지(320)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안전도어의 문짝의 축이 문틀과 최대한 밀착하게 배치되며 출입구의 폭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대(100)는 출입구측으로 돌출되게 끼움대(180)가 형성되고, 안전커버(400)에는 끼움부(480)가 형성되어 체결대와 안전커버가 분리 구성되면서 끼움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부재(300)는 날개부(340)의 단부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체결대(100)와 면접촉 되도록 연장면(345)이 형성되어 피스(P) 조립에 의하여 조립될 수 있다.
즉, 체결대(100)가 문틀(10)에 밀착된 상태에서 연장면(345)을 체결대(100)에 덧대어 그 상태에서 피스(P)조립에 의하여 체결대와 유동부재를 일체로 조립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의 제1 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에 언급되어 있는 보조피스(P-1)와 같은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체결대(100)와 유동부재(300)를 일체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날개부(340)는 유동부재(300)의 힌지(320)로부터 종방향 전체의 길이에 맞도록 형성하기 보다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340)가 여러 개의 면상으로 분할되도록 하여 각각의 날개부(340)가 체결대(100)에 덧대어 안착된 상태에서 피스(P)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대(100)와 안전커버(400)를 분리 구성함으로써 피스(P)를 문틀에 체결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피스를 먼저 체결한 이후에 안전커버(400)를 조립하여 안전도어의 설치가 마감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안전커버(400)가 체결대(100)에 조립되는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순 끼움 구조로 조립될 수 있드며, 이를 위하여 끼움대(180)와 끼움부(480)에는 서로 대응하게 탄성력을 갖는 끼움편을 형성하여 강제 끼움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부재(300)는 문짝의 개폐를 위하여 힌지(320)가 장착되고, 힌지(320)는 날개부(340)의 폭에 대응하게 문틀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힌지와 문틀의 사이 공간에는 틈새를 막고 손끼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림막(5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가림막은 문틀과 힌지(320)의 사이 공간을 차단하도록 체결대(100)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가림막(500)은 체결대(1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막(500)을 일체로 형성할 경우에는 체결대(100)의 노출된 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조립구가 필요없기 때문에 체결대(100)와 도어틀(200)과 유동부재(300)와 안전커버(400)가 하나의 피스(체결대에 조립되는 한 종류의 피스)만으로도 모든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가림막(500)을 체결대(100)로부터 분리 구성할 경우 가림막(500)은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바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림막의 막힌 면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안전도어가 설치된 상태에서 힌지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가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사못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조립이 가능하도록 가림막의 형태를 'ㄷ'자 형상으로 구성하고 그 일면 또는 양면이 자체탄성력에 의하여 벌어짐이나 오그라짐이 가능한 탄성조립부를 형상함으로써 가림막(500)이 강제 끼움으로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10: 문틀 12: 마감판 14: 마감대
20: 도어
100: 체결대
120: 체결공 140: 장착판
160: 이음대 180: 끼움대
200: 도어틀
220: 내입공간
300: 유동부재
320: 힌지 340: 날개부
360: 개방 스토퍼
400: 안전커버
420: 조립부 430: 밀착면
440: 커버부
460: 폐쇄 스토퍼
500: 가림막
520: 탄성조립부

Claims (15)

  1. 문틀(10)에 체결고정되는 체결대(100);
    문짝(20)에 체결고정되는 도어틀(200);
    상기 문틀을 기준으로 문짝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유동부재(300);
    상기 문짝을 개방함에 따라 문틀과 문짝의 벌어지는 틈을 차단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구비되는 안전커버(400);
    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커버(400)는 문짝이 개방된 상태에서 체결대(100)의 일단으로부터 도어틀(200)에 이르는 이격공간을 차단하도록 체결대(10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대(100)는 안전커버 내측의 개구된 방향으로 체결공(120)이 형성되어 체결대와 안전커버가 일체로 피스(P) 체결되고,
    상기 유동부재(300)는 문틀과 문짝이 직교하는 모서리의 꼭지점에 근접하게 힌지(320)가 배치되며,
    상기 유동부재(300)는 날개부(340)가 체결대(100)에 보조피스(P-1)로 체결되어 안전도어의 장착폭을 축소시키고 간단한 구조로 조립되는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대(100)는 피스(P)체결시 피스가 이중 고정되면서 체결된 상태에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장착판(1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대(100)에는 유동부재(300)는 날개부(340)가 체결대의 장착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조피스(P-1) 조립되고, 상기 장착판(140)의 이격된 사이에는 보조피스의 조립방향과 직교하게 형성되어 보조피스(P-1)가 다중 고정되면서 체결된 상태에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판을 현수 연결하는 복수의 이음대(1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4. 문틀(10)에 체결고정되는 체결대(100);
    문짝(20)에 체결고정되는 도어틀(200);
    상기 문틀을 기준으로 문짝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유동부재(300);
    상기 문짝을 개방함에 따라 문틀과 문짝의 벌어지는 틈을 차단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구비되는 안전커버(400);
    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대(100)는 유동부재(300)의 날개부(340)와 직각으로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대(100)가 문틀에 피스(P) 조립되어 체결대(100)와 유동부재(300)가 일체로 조립되며,
    상기 안전커버(400)는 유동부재와 체결이 이루어지는 조립부(420) 및 문짝이 개방된 상태에서 체결대의 일단으로부터 도어틀에 이르는 이격공간을 차단하는 커버부(440)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부(420)는 유동부재의 날개부(340)와 보조피스(P-1)로 조립되어 안전도어의 장착폭을 축소시키고 간단한 구조로 조립되는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커버(400)는 안전커버가 체결대와 유동부재의 장착된 사이공간에 강제끼움으로 조립되도록 조립부(420)에 유동부재의 날개부(340)와 밀착되게 밀착면(430)이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340)와 밀착면(430)에는 서로 대응하게 걸림부(342,4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어느 일측이 돌기로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그 돌기에 대응하게 홈으로 형성되며, 홈이 돌기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7. 제 6항에 있어서, 안전커버를 체결대와 유동부재의 장착된 사이공간에 강제 끼움으로 조립함에 있어서 밀착면(430)이 탄성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립부(420)와 밀착부(430)와 커버부(440)가 연결된 내측에 중공부(43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재(300)는 문짝의 개폐를 위하여 힌지(320)가 장착되고,
    힌지(320)는 날개부(340)와 조립부(420)의 보조피스 조립이 가능하도록 문틀과 문짝이 직교하는 모서리의 꼭지점으로부터 날개부(340)의 폭에 대응하게 힌지(320)가 이격 배치되며,
    문틀과 힌지(320)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날개부(340)가 가려지고 손끼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림막(5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500)은 유동부재의 힌지(320)의 외주연에 밀착되며 자체탄성력에 의하여 강제 끼움으로 조립되는 탄성조립부(5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320)에는 도어틀(200)의 개방된 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외주연에 개방 스토퍼(3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커버(400)는 도어틀(200)의 폐쇄된 각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커버부(440)의 표면에 폐쇄 스토퍼(4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는 보조피스의 조립방향과 직교하게 형성되어 보조피스(P-1)가 다중 고정되면서 체결된 상태에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면(4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13. 문틀(10)에 체결고정되는 체결대(100);
    문짝(20)에 체결고정되는 도어틀(200);
    상기 문틀을 기준으로 문짝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유동부재(300);
    상기 문짝을 개방함에 따라 문틀과 문짝의 벌어지는 틈을 차단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구비되는 안전커버(400);
    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대(100)는 출입구측으로 돌출되게 끼움대(180)가 형성되고, 안전커버(400)에는 끼움부(480)가 형성되어 체결대와 안전커버가 분리 구성되면서 끼움 조립되고,
    상기 유동부재(300)는 날개부(340)의 단부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체결대(100)와 면접촉 되도록 연장면(345)이 형성되어 연장면을 체결대(100)에 덧댄 상태에서 피스(P)조립에 의하여 체결대와 유동부재를 일체로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안전도어의 장착폭을 축소시키고 간단한 구조로 조립되는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재(300)는 문짝의 개폐를 위하여 힌지(320)가 장착되고, 힌지(320)는 날개부(340)의 폭에 대응하게 문틀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힌지와 문틀의 사이 공간에는 틈새를 막고 손끼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림막(5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500)은 문틀과 힌지(320)의 사이 공간을 차단하도록 체결대(100)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KR1020180118070A 2018-10-04 2018-10-04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KR101989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070A KR101989781B1 (ko) 2018-10-04 2018-10-04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070A KR101989781B1 (ko) 2018-10-04 2018-10-04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781B1 true KR101989781B1 (ko) 2019-06-17

Family

ID=67064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070A KR101989781B1 (ko) 2018-10-04 2018-10-04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7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5545A (zh) * 2019-09-04 2020-01-14 杭州宏迅电力科技有限公司 门吸隐蔽安装的防夹手的配电室门
KR20210001799A (ko) * 2019-06-29 2021-01-06 서원상협(주) 여닫이 문의 개폐시 손끼임방지를 위한 장치의 설치방법
KR102210864B1 (ko) * 2020-05-27 2021-02-02 윔코리아 주식회사 손 끼임 방지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연결장치
KR20220156410A (ko) * 2021-05-18 2022-11-25 정태영 빛 샘 방지 경첩 및 이를 구비한 안전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891A (ko) * 2016-09-26 2018-04-04 이미숙 부품의 간소화로 조립과 생산성을 향상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891A (ko) * 2016-09-26 2018-04-04 이미숙 부품의 간소화로 조립과 생산성을 향상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799A (ko) * 2019-06-29 2021-01-06 서원상협(주) 여닫이 문의 개폐시 손끼임방지를 위한 장치의 설치방법
KR102255955B1 (ko) 2019-06-29 2021-05-26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여닫이 문의 개폐시 손끼임방지를 위한 장치의 설치방법
CN110685545A (zh) * 2019-09-04 2020-01-14 杭州宏迅电力科技有限公司 门吸隐蔽安装的防夹手的配电室门
KR102210864B1 (ko) * 2020-05-27 2021-02-02 윔코리아 주식회사 손 끼임 방지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연결장치
KR20220156410A (ko) * 2021-05-18 2022-11-25 정태영 빛 샘 방지 경첩 및 이를 구비한 안전문
KR102517986B1 (ko) * 2021-05-18 2023-04-04 정태영 빛 샘 방지 경첩 및 이를 구비한 안전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781B1 (ko)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US9187945B2 (en) Multi-component door jamb and stop assembly
KR102038399B1 (ko)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
US20080313851A1 (en) Slide Rail for a Door Closer or the Like
EP0607007A1 (en) Espagnolette window locking system and bolt construction
US20140069019A1 (en) Door Seal Apparatus
KR101973597B1 (ko)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KR102146967B1 (ko) 손가락끼임방지와 문폭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장치
EP2578764A1 (en) A roof window with a barrel bolt and such a barrel bolt
US7228597B2 (en) Partition apparatus and hinge apparatus
JPH0370077B2 (ko)
KR200405565Y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KR102244145B1 (ko) 경첩의 힌지가 위치된 문의 후면 틈새를 가려주는 손끼임 방지 장치
JP4076908B2 (ja) トイレブースの扉装置
KR200489230Y1 (ko) 도어 틈새 차단 장치
KR102200460B1 (ko) 폭이 좁은 문틀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경첩
KR200213327Y1 (ko) 시스템 가구의 홀딩도어용 경첩
JP2020200703A (ja) 建具
US5682715A (en) Two piece center mull for multiple door assembly
KR200491293Y1 (ko)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조
KR200144934Y1 (ko) 창문의 프레임 고정장치
KR102125482B1 (ko)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KR200224345Y1 (ko) 문틀의 고정장치
KR102167249B1 (ko) 간소화된 조립구조로 설치의 용이성과 출입을 위한 문폭확보와 손가락끼임 방지를 위해 문틈을 가려주는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