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347Y1 - 문틈 안전 커버 - Google Patents

문틈 안전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347Y1
KR200492347Y1 KR2020200000991U KR20200000991U KR200492347Y1 KR 200492347 Y1 KR200492347 Y1 KR 200492347Y1 KR 2020200000991 U KR2020200000991 U KR 2020200000991U KR 20200000991 U KR20200000991 U KR 20200000991U KR 200492347 Y1 KR200492347 Y1 KR 2004923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ver
hinge
coupling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현
Original Assignee
안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현 filed Critical 안종현
Priority to KR2020200000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3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3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3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문틀과 도어가 여닫이식으로 구성될 때 형성되는 문틈을 보호 커버로 덮음으로써 손 끼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도어에 결합되어 문틈을 가리는 보호 커버와, 보호 커버의 타단부와 끼움결합되는 도어 결합부 커버가 일체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별도의 부재 및 과정 없이 보다 용이하게 결합을 수행할 수 있는 문틈 안전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문틀과 도어 사이에 형성된 문틈을 덮어 가리는 문틈 안전 커버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문틀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문틈을 가리는 보호 커버와, 상기 보호 커버의 타단부와 끼움결합되는 도어 결합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문틀에 결합되는 문틀 결합부 와,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도어 결합부와, 일단과 타단이 상기 문틀 결합부와 상기 도어 결합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문틈을 덮어 가리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는 제1 커버와, 제2 커버와,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문틀 결합부를 연결시키는 제1 힌지와, 상기 제1 커버와 제2 커버를 연결시키는 제2 힌지와, 상기 제2 커버, 상기 도어 결합부 및 상기 도어 결합부 커버를 연결시키는 제3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힌지는 상기 제2 커버와 상기 도어 결합부를 연결시키는 힌지 몸체부와, 상기 힌지 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힌지 몸체부와 상기 도어 결합부 커버를 연결시키는 커버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결합 커버부는 상기 제3 힌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호 커버와 상기 도어 결합부 커버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틈 안전 커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문틈 안전 커버{Safety cover of chink in the door}
본 고안은 문틈 안전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틀과 도어가 여닫이식으로 구성될 때 형성되는 문틈을 보호 커버로 덮음으로써 손 끼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도어에 결합되어 문틈을 가리는 보호 커버와, 보호 커버의 타단부와 끼움결합되는 도어 결합부 커버가 일체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별도의 부재 및 과정 없이 보다 용이하게 결합을 수행할 수 있는 문틈 안전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건물이나 단독주택 등의 주거건물의 실내에는 독립적인 공간을 갖도록 출입구가 형성된 복수의 방이 형성되어 있으며, 출입구에는 방을 외부와 차단할 수 있도록 여닫이 방식의 도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여닫이식 도어의 구조는 방의 출입구 테두리에 대부분 문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를 문틀과 경첩으로 연결하여 도어가 경첩에 의하여 일방향으로만 개폐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문틀에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를 개폐되는 반대방향으로 더이상 진입을 방지하도록 문틀면의 중앙이나 일측면으로 걸림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경첩의 구조가 문틀의 일면과 도어의 일면에 경첩을 장착하기 위하여 두 개의 경첩면이 힌지에 의하여 축결합된 것으로, 하나의 경첩면이 문틀의 일면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의 경첩면이 도어에 일면에 장착되는데, 두 개의 경첩면이 서로 밀착되는 두께를 감안하여 문틀과 도어에는 경첩면의 크기만큼 내입되는 가공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문틀에 도어를 설치하기 위하여 문틀과 도어에 경첩의 장착을 위한 가공면을 현장에서 가공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어려움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고, 특히 문틀과 도어에 손상이 발생되면서 추후에 경첩의 헐거워짐이나 도어를 교체할 때 가공면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면서 외관상 보기 좋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어의 시공이 간편하면서 깔끔한 외관을 제공하는 일명 이지경첩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지경첩은 문틀에 장착되는 경첩면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도어에는 문틀에 장착되는 경첩면의 절개부와 대응하는 크기의 경첩면이 장착되어 도어의 경척면이 문틀의 경첩면 절개부에 내입되게 중첩되게 이루어지면서 경첩을 장착하기 위하여 가공면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가공이 필요없이 경첩을 문틀과 도어에 직접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신속한 시공을 제공하면서 추후에 도어를 교체하더라도 경첩면을 고정하는 구멍만 매꾸면 되기 때문에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여닫이식 도어의 문제점으로 도어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문틀과 도어의 경첩부분으로 문틈이 발생되고, 경첩이 설치된 문틈 사이로 손가락이나 손이 끼이게 되면서 부상을 당하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되었고, 특히 이러한 손끼임 부상은 대부분 어린이들에게 많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최근에 문틈이 발생되지 않게 설치되는 다수의 안전도어가 많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도어는 대부분 설치를 하기 위하여 기존의 경첩과 도어를 제거한 후 도어에 문틀을 가려주는 경첩기능을 하는 안전도어용 장치로 교체해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의 어려움과 사용되는 부품 및 시공에 의한 많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안전도어를 설치할 때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설치되는 안전도어용 장치로 인하여 문틀의 폭이 좁아지게 되면서 도어가 문틀에 안 맞는 문제가 발생되었고, 이를 위하여 대부분 현장에서 도어의 일측면을 연삭 또는 절단하여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도어의 가공된 부분에는 별도의 마감처리를 추가로 작업해야 하는 문제는 물론 가공에 따른 시간소요로 설치시간과 이러한 안전도어의 설치가 전문가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설치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0073175호 (발명의 명칭: 경첩이있는 쪽의 문의 틈에 손가락이 안 끼게 하는 보호 장치, 공개일: 1999년 10월 05일)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문틀과 도어가 여닫이식으로 구성될 때 형성되는 문틈을 보호 커버로 덮음으로써 손 끼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도어에 결합되어 문틈을 가리는 보호 커버와, 보호 커버의 타단부와 끼움결합되는 도어 결합부 커버가 일체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별도의 부재 및 과정 없이 보다 용이하게 결합을 수행할 수 있는 문틈 안전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문틀과 도어 사이에 형성된 문틈을 덮어 가리는 문틈 안전 커버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문틀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문틈을 가리는 보호 커버와, 상기 보호 커버의 타단부와 끼움결합되는 도어 결합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문틀에 결합되는 문틀 결합부 와,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도어 결합부와, 일단과 타단이 상기 문틀 결합부와 상기 도어 결합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문틈을 덮어 가리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는 제1 커버와, 제2 커버와,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문틀 결합부를 연결시키는 제1 힌지와, 상기 제1 커버와 제2 커버를 연결시키는 제2 힌지와, 상기 제2 커버, 상기 도어 결합부 및 상기 도어 결합부 커버를 연결시키는 제3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힌지는 상기 제2 커버와 상기 도어 결합부를 연결시키는 힌지 몸체부와, 상기 힌지 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힌지 몸체부와 상기 도어 결합부 커버를 연결시키는 커버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결합 커버부는 상기 제3 힌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호 커버와 상기 도어 결합부 커버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틈 안전 커버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힌지, 상기 제2 힌지 및 상기 제3 힌지의 재질은 연성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문틈 안전 커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문틀과 도어 사이에 형성되는 문틈을 덮음으로써 손 끼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도어에 결합되어 문틈을 가리는 보호 커버와, 보호 커버의 타단부와 끼움결합되는 도어 결합부 커버가 일체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별도의 부재 및 과정 없이 보다 용이하게 결합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문틈 안전 커버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문틈 안전 커버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문틈 안전 커버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문틈 안전 커버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문틈 안전 커버는 문틀(F)과 여닫이식으로 구성된 도어(D) 사이에 형성된 문틈을 덮어 가리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문틈 안전 커버의 제1 실시예는 보호 커버와 도어 결합부 커버(2000)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 커버는 일단부, 즉 후술하게 될 도어 결합부(1200)가 상기 문틀(F)에 결합되어 상기 문틈을 가리며,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 커버는 문틀 결합부(1100), 도어 결합부(1200) 및 커버부(1300)를 포함한다.
상기 문틀 결합부(1100)는 상기 문틀(F)에 결합되며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때, 상기 문틀 결합부(1100)와 상기 문틀(F)의 결합는 접착제로 접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1300)는 일단과 타단이 상기 문틀 결합부(1100)와 상기 도어 결합부(120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문틈을 덮어 가리며,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1300)는 제1 힌지(1310), 제2 힌지(1320), 제3 힌지(1330), 제1 커버(1350) 및 제2 커버(13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버(1350) 및 상기 제2 커버(1360)는 상기 문틀(F)과 상기 도어(D) 사이에 형성되는 문틈을 가리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커버(1350)와 상기 제2 커버(1360)는 직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힌지(1310)는 상기 문틀 결합부(1100)와 상기 제1 커버(1350)를 연결시키고, 상기 제2 힌지(1320)는 상기 제1 커버(1350)와 상기 제2 커버(1360)를 연결시키며, 상기 제3 힌지(1330)는 상기 제2 커버(1360), 상기 도어 결합부(1200) 및 상기 도어 결합부 커버(2000)를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제1 힌지(1310), 상기 제2 힌지(1320) 및 상기 제3 힌재의 재질은 연질의 성질을 가지며, 쉽게 파손되지 않는 연성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힌지(1310) 내지 제3 힌지(1330)의 재질은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D)가 열리거나 닫힐 때 제1 커버(1350)와 제2 커버(1360)가 보다 용이하게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힌지(13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커버(1360), 상기 도어 결합부(1200) 및 상기 도어 결합부 커버(2000)를 연결시키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3 힌지(1330)는 힌지 몸체부(1331)와 커버 연결부(1332)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 몸체부(1331)는 제1 힌지 몸체부(1331a)와 제2 힌지 몸체부(1331b)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 몸체부(1331)는 상기 제2 커버(1360)와 상기 도어 결합부(1200)를 연결시키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힌지 몸체부(1331a)는 상기 도어 결합부(1200)와 연결된다.
상기 제2 힌지 몸체부(1331b)는 상기 제1 힌지 몸체부(1331a)로부터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커버(1360)와 연결되되, 상기 제2 커버(1360)와 길이방향으로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 연결부(1332)는 상기 제1 힌지 몸체부(1331a)와 상기 제2 힌지 몸체부(1331b)가 연결되는 영역, 즉 서로 교차되는 영역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 힌지 몸체부(1331a)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도어 결합부 커버(2000)가 연결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힌지(1330)가 힌지 몸체부(1331)와 커버 연결부(1332)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커버(1360), 상기 도어 결합부(1200) 및 상기 도어 결합부 커버(2000)를 연결시킴에 따라, 보호 커버와 도어 결합부 커버(200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부재 및 과정 없이 보다 용이하게 결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 결합부(1200)는 상기 제3 힌지(1330)에 의하여 상기 제2 커버(1360)와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도어(D)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 결합부(1200)는 도어 결합 몸체부(1210)와 제1 결합돌기(122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결합 몸체부(121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어 결합면(1211) 및 힌지 결합면(1212)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 결합면(1211)은 상기 상기 도어 결합 몸체부(1210)의 일면에 해당하며, 상기 도어(D)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도어 결합면(1211)과 상기 도어(D)의 결합은 접착제로 접착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볼트와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가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 결합면(1212)은 상기 도어 결합 몸체부(1210)의 타면에 해당하며, 상기 도어 결합면(1211)과 수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돌기(1220)는 상기 도어(D) 결합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결합돌기(1220)는 가상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같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마주보는 복수개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돌기(1220)는 후술하는 제2 결합돌기(2200)가 끼움결합 및 끼움해제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결합부 커버(2000)는 커버 몸체부(2100)와 제2 결합돌기(220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몸체부(210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돌기형성면(2110)과 커버면(2120)을 포함합니다.
상기 돌기형성면(2110)은 상기 커버 몸체부(2100) 중 상기 도어(D)와 마주보는 면인 일면에 해당하며, 상기 커버면(2120)은 상기 돌기형성면(2110)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타면에 해당한다.
상기 커버면(2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결합돌기(1220)와 상기 제2 결합돌기(2200)가 끼움결합된 경우, 상기 제1 결합돌기(1220) 및 상기 제2 결합돌기(220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돌기(2200)는 상기 돌기형성면(2110)으로부터 상기 제1 결합돌기(1220)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 결합돌기(1220)와 결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도어 결합부 커버(2000)가 상기 도어 결합부(1200)에 원터치로 끼움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문틈 안전 커버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문틈 안전 커버의 제2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문틈을 가리는 보호 커버와, 보호 커버의 타단부와 끼움결합되는 도어 결합부 커버(2000)를 포함하고, 제3 힌지(1330)가 제2 커버(1360), 도어 결합부(1200) 및 도어 결합부 커버(2000)를 연결시킴으로써 보호 커버와 도어 결합부 커버(200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내용과 동일하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문틈 안전 커버의 제2 실시예에서 커버 몸체부(2100)는 해제 돌기(2300)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커버면(2120) 중 상기 제2 결합돌기(2200)가 형성된 면의 반대방향으로부터 상기 해제 돌기(230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해제 돌기(2300)의 형상 및 크기 내에서 자유롭게 실시가능하다.
또한, 도어 결합 몸체부(1210)는 상기 도어 결합면(1211) 중 상기 힌지 결합면(1212)과 반대되는 영역은 상기 제1 결합돌기(1220)와 상기 제2 결합돌기(2200)가 결합될 때, 상기 도어 결합부 커버(2000)에 감싸지게 형성되지 않도록 연장형성되는 지지부(12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결합돌기(1220)와 상기 제2 결합돌기(2200)가 끼움결합된 후, 상기 제1 결합돌기(1220)와 상기 제2 결합돌기(2200)를 결합해제시킬 때, 사용자는 상기 지지부(1230)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1230)가 형성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해제 돌기(2300)에 힘을 가하여 상기 도어 결합부(1200)와 상기 도어 결합부 커버(2000)가 분리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해제 돌기(2300)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도어 결합부(1200)와 상기 도어 결합부 커버(2000)의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부(1230)가 형성되어 해제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123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 결합돌기(1220)와 상기 제2 결합돌기(2200)를 결합해제 과정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도어 결합부(1200)가 상기 도어(D)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문틈 안전 커버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문틈 안전 커버의 제2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문틈을 가리는 보호 커버와, 보호 커버의 타단부와 끼움결합되는 도어 결합부 커버(2000)를 포함하고, 제3 힌지(1330)가 제2 커버(1360), 도어 결합부(1200) 및 도어 결합부 커버(2000)를 연결시킴으로써 보호 커버와 도어 결합부 커버(200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내용과 동일하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문틈 안전 커버의 제3 실시예에서는 제2 힌지 몸체부와 커버 연결부가 서로 접촉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힌지 몸체부(1331b')는 도어(D)측 방향을 만곡진 C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결합돌기(1220)와 제2 결합돌기(2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D)가 열고 닫힐 때 상기 커버 연결부(1332)가 상기 제2 힌지 몸체부(1331b)와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연결부(1332')는 상기 제2 결합돌기(2200)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결합돌기(1220)와 제2 결합돌기(2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D)가 열고 닫힐 때 상기 커버 연결부(1332)가 상기 제2 힌지 몸체부(1331b)와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힌지 몸체부(1331b') 또는 상기 커버 연결부(1332')의 형상이 서로 접촉되지 않는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힌지 몸체부(1331b, 1331b')와 상기 커버 연결부(1332, 1332')가 접촉함에 따라 상기 도어 결합부(1200)에 힘을 가하게 되어 상기 도어 결합부(1200)가 상기 도어(D)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1000: 보호커버
1100: 문틀 결합부
1200: 도어 결합부
1210: 도어 결합 몸체부
1211: 도어 결합면
1212: 힌지 결합면
1220: 제1 결합돌기
1230: 지지부
1300: 커버부
1310: 제1 힌지
1320: 제2 힌지
1330: 제3 힌지
1331: 힌지 몸체부
1331a: 제1 힌지 몸체부
1331b, 1331b': 제2 힌지 몸체부
1332, 1322': 커버 연결부
1350: 제1 커버
1360: 제2 커버
2000: 도어 결합부 커버
2100: 커버 몸체부
2110: 돌기형성면
2120: 커버면
2200: 제2 결합돌기
2300: 해제 돌기
D: 도어
F: 문틀

Claims (2)

  1. 문틀과 도어 사이에 형성된 문틈을 덮어 가리는 문틈 안전 커버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문틀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문틈을 가리는 보호 커버; 및
    상기 보호 커버의 타단부와 끼움결합되는 도어 결합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문틀에 결합되는 문틀 결합부;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도어 결합부; 및
    일단과 타단이 상기 문틀 결합부와 상기 도어 결합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문틈을 덮어 가리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는,
    제1 커버;
    제2 커버;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문틀 결합부를 연결시키는 제1 힌지;
    상기 제1 커버와 제2 커버를 연결시키는 제2 힌지;
    상기 제2 커버, 상기 도어 결합부 및 상기 도어 결합부 커버를 연결시키는 제3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힌지는,
    상기 제2 커버와 상기 도어 결합부를 연결시키는 힌지 몸체부; 및
    상기 힌지 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힌지 몸체부와 상기 도어 결합부 커버를 연결시키는 커버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몸체부는,
    상기 도어 결합부와 연결된 제1 힌지 몸체부; 및
    상기 제1 힌지 몸체부로부터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커버와 연결되되, 상기 제2 커버와 길이방향으로 평행하도록 형성된 제2 힌지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연결부는 상기 제1 힌지 몸체부와 상기 제2 힌지 몸체부가 연결되는 영역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 힌지 몸체부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도어 결합부 커버가 연결되며,
    상기 도어 결합 커버부는 상기 제3 힌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호 커버와 상기 도어 결합부 커버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틈 안전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 상기 제2 힌지 및 상기 제3 힌지의 재질은 연성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틈 안전 커버.
KR2020200000991U 2020-03-23 2020-03-23 문틈 안전 커버 KR2004923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91U KR200492347Y1 (ko) 2020-03-23 2020-03-23 문틈 안전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91U KR200492347Y1 (ko) 2020-03-23 2020-03-23 문틈 안전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347Y1 true KR200492347Y1 (ko) 2020-09-22

Family

ID=7266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991U KR200492347Y1 (ko) 2020-03-23 2020-03-23 문틈 안전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3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895A (ko) * 2022-07-04 2024-01-11 최은진 창호의 손끼임 방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175A (ko) 1999-06-16 1999-10-05 김인상 경첩이있는쪽의문의틈에손가락이안끼게하는보호장치
KR200488790Y1 (ko) * 2019-02-22 2019-03-19 김은주 문틈 안전 커버
KR101973597B1 (ko) * 2018-08-24 2019-04-30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175A (ko) 1999-06-16 1999-10-05 김인상 경첩이있는쪽의문의틈에손가락이안끼게하는보호장치
KR101973597B1 (ko) * 2018-08-24 2019-04-30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KR200488790Y1 (ko) * 2019-02-22 2019-03-19 김은주 문틈 안전 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895A (ko) * 2022-07-04 2024-01-11 최은진 창호의 손끼임 방지장치
KR102647011B1 (ko) * 2022-07-04 2024-03-13 최은진 창호의 손끼임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790Y1 (ko) 문틈 안전 커버
US5220708A (en) Self-trimming shield for a door heel
US6141909A (en) Safety guards for door jambs
KR102003713B1 (ko) 기설치된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부재
KR20180033891A (ko) 부품의 간소화로 조립과 생산성을 향상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KR200492347Y1 (ko) 문틈 안전 커버
US20120124915A1 (en) Tub enclosure
KR102298863B1 (ko)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
KR101370516B1 (ko) 유리문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077209B1 (ko) 다수개의 평판시트 및 연질관절로 연결되어 문틀에 밀착되어 접힘과 펼침에 의해 문과 문틀의 모서리를 메움하는 손끼임방지구
KR102092506B1 (ko)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KR102100355B1 (ko) 접철가능하며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KR101820227B1 (ko) 방화문용 매립형 힌지장치
KR200491286Y1 (ko) 문틈 안전 커버
KR102244145B1 (ko) 경첩의 힌지가 위치된 문의 후면 틈새를 가려주는 손끼임 방지 장치
KR200300538Y1 (ko) 유리문 안전장치
KR102245818B1 (ko) 여닫이문용 패널형 손끼임 방지구
US20050161954A1 (en) Hinged door safety device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KR102197384B1 (ko) 출입문의 손끼임 방지구
JP4699912B2 (ja) トイレブース用ドア
KR20220028608A (ko) 도어용 손끼임 방지구
KR20230008471A (ko) 문틈 안전 커버
KR20240003861A (ko) 페로니켈슬래그를 포함한 탈부착형 손끼임방지장치
KR102505561B1 (ko) 여닫이 도어용 손끼임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