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355B1 - 접철가능하며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 Google Patents

접철가능하며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355B1
KR102100355B1 KR1020180127826A KR20180127826A KR102100355B1 KR 102100355 B1 KR102100355 B1 KR 102100355B1 KR 1020180127826 A KR1020180127826 A KR 1020180127826A KR 20180127826 A KR20180127826 A KR 20180127826A KR 102100355 B1 KR102100355 B1 KR 102100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plate
coupled
protectiv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예명
이만영
Original Assignee
이예명
이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명, 이만영 filed Critical 이예명
Priority to KR1020180127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틀에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형상이고, 도어를 향하는 방향의 일측에 슬롯이 마련되거나 개방되어 있는 가이드프레임; 도어의 가이드프레임이 위치하는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지지되며, 도어의 개폐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중공형 내부에서 유동하는 보호프레임; 및 상기 보호프레임과 결합되도록 도어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보호프레임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보호프레임 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호프레임 중 일측은 가이드프레임에 인입될 때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프레임의 크기나 폭의 다양성에 대응하기 위하여 보호프레임의 크기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단일의 보호프레임으로 다양한 크기나 폭의 가이드프레임에 적용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철가능하며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Attached element on the door capable of being folded used for not being traped body}
본 발명은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틀에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형상이고, 도어를 향하는 방향의 일측에 슬롯이 마련되거나 개방되어 있는 가이드프레임; 도어의 가이드프레임이 위치하는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지지되며, 도어의 개폐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중공형 내부에서 유동하는 보호프레임; 및 상기 보호프레임과 결합되도록 도어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보호프레임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보호프레임 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호프레임 중 일측은 가이드프레임에 인입될 때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를 제공한다.
2015. 10. 28에 건축법 시행규칙 제26조의 5가 "거실 내부에서 설치하는 출입문의 고정부 모서리면에는 손끼임 방지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고 하는 내용이 포함되도록 개정되었으며, 이는 실내건축의 구조·시공방법 등에 관한 기준을 정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개정 이전에는 2014. 12. 24에 개정된 "KS F3109 문세트 인증"에서는 성능시험 항목에 '안전성' 항목이 신설되어 안전문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손가락 끼임방지 성능을 보유하도록 규정되었다.
손가락 끼임방지는 손가락 끼임에 의해서 상해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어린이들의 부주의에 의하여 일어나는 사고가 대부분이므로 어린이들을 보호하고자 하는 취지가 강하다.
법개정에 따라서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고안이 도출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776156호에서는 "여닫이문용 끼임방지 안전경첩"을 개시하고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벽체에 마련된 문설주 상에서 도어가 회전하여 여닫히도록 연결하는 여닫이문용 끼임방지 안전경첩에 있어서, 상기 문설주 상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도어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재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회동부재를 구비하는 경첩부 및 상기 고정부재 또는 회동부재의 회전축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경첩부가 접철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용 끼임방지 안전경첩을 제공한다.
동 기술은 문설주에 마련되며, 문의 단부에 고정되는 안전경첩(고정부재와 회동부재 세트)이 문의 면적 일부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즉, 문의 폭이 안전경첩의 폭만큼 좁아져야 하므로, 문의 규격이 바뀌어야 하고, 따라서 기존의 문에는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적용하려면 비용이 높아지며, 아울러 신규 건설되는 주택에 처음부터 설계 및 적용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776156호
www.zeomade.com의 아이도어, 아이엣지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개폐시 신체의 끼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 부착구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도어 개방시 개방간격의 실질적 감소가 없도록 하는 도어 부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 부착구를 도어에 적용하기 위하여 도어를 별도로 디자인할 필요가 없으며, 기존의 문에도 도어 부착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부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이드프레임을 도어틀에 고정할 때, 고정용 수단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이드프레임의 일측에 고정용 수단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부착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이드프레임의 크기나 폭의 다양성에 대응하기 위하여 보호프레임의 크기가 가변되도록 하는 도어 부착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어틀에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형상이고, 도어를 향하는 방향의 일측에 슬롯이 마련되거나 개방되어 있는 가이드프레임; 도어의 가이드프레임이 위치하는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지지되며, 도어의 개폐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중공형 내부에서 유동하는 보호프레임; 및 상기 보호프레임과 결합되도록 도어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보호프레임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보호프레임 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호프레임 중 일측은 가이드프레임에 인입될 때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사각틀 형상으로서, 상기 사각틀 형상에서 도어틀로부터 원격에 위치하면서 도어에 근접한 코너부분에 슬롯이 마련되거나, 도어에 근접한 변이 개방되고, 상기 사각틀 중 도어틀에 부착된 면과 나란한 변의 단부가 도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보호프레임 지지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의 타단에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들 사이에는 절곡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간 접철방향과 상기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간 접철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프레임 지지구의 일단부에는 만곡부가 마련되며, 상기 만곡부와 보호프레임 지지구 사이에 암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암슬릿에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제1마감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마감부의 직경은 상기 암슬릿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만곡부와 암슬릿은,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보호프레임 지지구 중 슬롯과 인접한 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프레임의 단부에는, 상기 보호프레임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슬롯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슬롯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마감부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도어틀에 피스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 중 도어틀과 결합된 면의 대향면에 마련되어 상기 피스가 출입가능하게 구성되는 천공부; 및 상기 천공부를 개폐하기 위한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개폐시 신체의 끼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부착구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도어 개방시 개방간격의 실질적 감소가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부착구를 도어에 적용하기 위하여 도어를 별도로 디자인할 필요가 없으며, 기존의 문에도 도어 부착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프레임을 도어틀에 고정할 때, 고정용 수단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이드프레임의 일측에 고정용 수단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프레임의 크기나 폭의 다양성에 대응하기 위하여 보호프레임의 크기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단일의 보호프레임으로 다양한 크기나 폭의 가이드프레임에 적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도어의 기본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부착구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로서,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부착구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로서, 도어의 폐쇄와 개방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 부착구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로서,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 부착구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로서, 도어의 폐쇄와 개방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와 도 4에 대하여,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프레임을 도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과, 가이드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고정수단의 입출을 위한 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가이드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보호프레임 지지구를 고정수단에 의하여 도어에 고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부착구를 포함하는 도어의 개방시, 가이드프레임에도 불구하고 개방영역의 크기가 실질적으로 감소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되는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도어(101)에도 적용가능하며, 신규의 도어(101)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도어 부착구(100)는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구로서, 기존의 도어(101)와 도어틀(105)에 적용이 가능하다. 통상적인 도어(101)와 도어틀(105)의 형상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본 발명의 도어 부착구(100)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틀(105)에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형상이고, 도어를 향하는 방향의 일측에 슬롯(109)이 마련되거나 개방되어 있는 가이드프레임(107); 도어의 가이드프레임(107)이 위치하는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지지되며, 도어의 개폐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07)의 중공형 내부에서 유동하는 보호프레임(110); 및 상기 보호프레임(110)과 결합되도록 도어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보호프레임(110)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보호프레임 지지구(10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호프레임(110) 중 일측은 보호프레임(110)이 가이드프레임(107)에 인입될 때 접철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07)은 상기 보호프레임(110)이 문의 개폐시 슬롯(109)을 통해 입출가능하도록 기능하며, 내부는 중공형상으로 구성되어 보호프레임(110)의 일부가 슬롯(109)을 통해 중공형상 내부로 입출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07)의 두께는 문을 개방하였을 때, 문의 모서리에 의하여 간섭되는 공간두께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도록 구성되며, 이는 도 10에서 표시된 바와 같다. 이로써, 가이드프레임(107)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문의 개방면(121)의 면적은 가이드프레임(107)의 설치전과 비교하여 큰 변동이 없다. 즉, 도 9에서 D와 D'간의 차이는 미미하다. 따라서, 가이드프레임(107)의 설치에 따른 개방면의 공간상 불이익은 거의 없으며, 특히 가이드프레임(107)의 두께(D) 조절에 따라서 공간상 불이익을 전혀 없이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07)은 바람직하게는 사각틀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사각틀 형상의 가이드프레임(107) 중 도어틀(105)로부터 원격에 위치하면서 동시에 도어(101)에 근접한 코너부분에 슬롯(109)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보호프레임(110)에 의하여 도어와 가이드프레임(107)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폐쇄하기 위함이며, 보호프레임(110)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사각틀 형상 중 도어틀(105)의 부착면과 나란한 변의 단부는 도어(101) 방향으로 소폭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문이 폐쇄되었을 때, 상기 변의 단부가 도어와 매우 근접되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폐쇄시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보호프레임(110)은, 일단이 상기 보호프레임 지지구(10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113); 상기 제1플레이트(113)의 타단에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115); 및 상기 제2플레이트(115)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플레이트(117);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들 사이에는 각각 절곡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113)와 제2플레이트(115)간 접철방향과 상기 제2플레이트(115)와 제3플레이트(117)간 접철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와 도 5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113)와 제1마감부(111) 사이에도 절곡부가 마련되어 도어(101) 폐쇄시 이 부분이 절곡된다.
상기 보호프레임(110)의 제1플레이트(113) 단부에는 제1마감부(111)가 마련되어, 도어에 부착되며 상기 보호프레임(110)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보호프레임 지지구(103)에 결합된다. 상기 제1마감부(111)는 상기 보호프레임 지지구(103)의 만곡부(151)에 암수결합되며, 상기 만곡부(151)의 단부는 상기 보호프레임 지지구(103)와의 사이에서 암슬릿(155)을 형성한다. 상기 보호프레임 지지구(103)와 보호프레임(110)의 제1마감부(111)가 상호 결합하여 보호프레임(110)을 지지고정한다.
상기 암슬릿(155)에는 상기 제1마감부(11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따라서, 상기 제1마감부(111)의 직경은 상기 암슬릿(155)의 폭보다 크다. 상기 만곡부(151)와 암슬릿은,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보호프레임 지지구(103) 중 슬롯(109)과 인접한 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프레임(110)은 도어(101)가 개방되었을 때에도 도어(101)와 도어틀(105)간의 간격이 생기지 않도록 마련된 것이다. 상기 보호프레임(110)은 복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각 플레이트 사이에는 절곡이 가능하도록 절곡부가 마련된다.
제1플레이트(113)는 단부에 제1마감부(111)가 마련되며, 상기 제1마감부(111)가 형성된 단부의 반대단부에 제1플레이트(113)와 절곡가능하게 제2플레이트(115)가 연결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115)에 절곡가능하게 제3플레이트(117)가 연결된다. 제3플레이트(117)의 제2플레이트(115)와의 연결지점의 반대단부에는 제2마감부(119)가 마련된다.
결국, 상기 보호프레임(110)의 제3플레이트(117)가 가이드프레임(107)의 중공형상 내부에 인입 및 인출되며, 제1플레이트(113)와 제2플레이트(115)는 가이드프레임(107)의 깊이보다 보호프레임(110)의 전체 길이보다 길 경우 제2마감부(119)가 가이드프레임(107)의 내면을 지지하면서 그 지지력과 도어(101)의 폐쇄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보호프레임(110)이 접철되도록 구성되며, 만일 가이드프레임(107)의 깊이가 보호프레임(110) 전체를 수용할 정도로 깊다면 보호프레임(110)은 접철되지 않아도 된다. 이로써, 도어(101)와 도어틀(105) 사이의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113)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프레임 지지구(103)는 도어(101) 중 가이드프레임(107)과 인접한 부분에 결합된다. 결합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접착제로 도어 표면에 부착하거나 피스(153) 등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도 9).
상기 제1플레이트(113)에는 제1마감부(111)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마감부(111)는 상기 보호프레임 지지구(103)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하여 제1마감부(111)는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크고, 예를 들어 제1플레이트(113)의 높이에 대응되는 원기둥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마감부(111)는 보호프레임 지지구(103)의 만곡부(151) 내부에 안착되는데, 상기 만곡부(151)와 보호프레임 지지구(103) 사이에는 암슬릿이 형성되어 제1마감부(111)가 만곡부(151) 내에서 회동가능하며, 상기 암슬릿의 간격보다 상기 제1마감부(111)의 직경이 더 크도록 구성되어 보호프레임(110)이 보호프레임 지지구(103)로부터 이탈되지 않게된다.
적어도 상기 제3플레이트(117)는 제작시 굴곡된 형태로 제작되거나, 편평한 형상이면서도 굴곡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플레이트(117)의 단부에 마련된 제2마감부(119)는 슬롯(109)의 간격보다 크기가 크므로 도어(101)가 최대로 개방되었을 때에도 가이드프레임(107)의 슬롯(109)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마감부(119)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대체로 원형의 형상을 이룬다.
가이드프레임(107)과 보호프레임(110)은 대체로 도어틀(105)의 상하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도어(101)에 결합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도어틀 중 일부에만 가이드프레임(107)이 결합되고, 보호프레임(11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07)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절곡의 방향은 두가지의 실시예로 나타낼 수 있는데, 도 3에서와 같이, 제1플레이트(113)와 제2플레이트(115)가 도어의 면과 평행이 되게 절곡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5에서와 같이 제1플레이트(113)와 제2플레이트(115)가 도어와 수직이 되도록 절곡되게 할 수도 있다. 다만, 공통적으로 제1플레이트(113)와 제2플레이트(115)의 절곡방향은 제2플레이트(115)와 제3플레이트(117)의 절곡방향과 반대방향이라는 점이다. 보호프레임(110)이 도 3에서와 같이 절곡되는 경우에는 도어 폐쇄시 보호프레임(110)이 대부분 은폐되어 외부에서 거의 보이지 않으나, 도 5에서와 같이 절곡되는 경우에는 제1플레이트(113)가 외부에 드러나 보이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다만,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보호프레임(110)의 형상은 두가지 경우에 있어서 동일하다.
도 7은 피스(131)에 의하여 도어틀(105)에 결합되는 가이드프레임(107)을 나타낸 것인데, 피스(131)에 의한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이드프레임(107) 중 도어틀에 결합되는 면의 대향면에 천공부(135)를을 가공하고, 그 천공부(135)를 통하여 피스(131)를 삽입한 후 드릴 등에 의하여 피스(131)를 도어틀(105)에 압입하여 가이드프레임(107)을 도어틀(105)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도어틀(105)로부터 가이드프레임(107)의 결합 및 결합해제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평상시에는 상기 천공부(135)에 캡(133)을 결합하고, 유사시에만 캡(133)을 가이드프레임(107)으로부터 분리하여 피스(131)를 결합 또는 해제함으로써 가이드프레임(107)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가이드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프레임은 A부분과 B부분으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제작된 후 도어틀에 독립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A부분을 도어틀에 피스 등에 의하여 결합하고, 이후, B 부분을 도어틀에 피스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게 되면, 두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지더라도, 천공부는 하나만 형성하면 되므로 결합력을 더욱 공고히 하면서도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해진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도어 103 : 보호프레임 지지구
105 : 도어틀 107 : 가이드프레임
109 : 슬롯 110 : 보호프레임
111 : 제1마감부 113 : 제1플레이트
115 : 제2플레이트 117 : 제3플레이트
119 : 제2마감부 121 : 경첩
131, 153 : 피스 133 : 캡
135 : 천공부 151 : 만곡부
155 : 암슬릿

Claims (8)

  1. 도어틀에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형상이고, 도어를 향하는 방향의 일측에 슬롯이 마련되거나 개방되어 있는 가이드프레임;
    도어의 영역 중 가이드프레임이 위치하는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지지되며, 도어의 개폐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중공형 내부에서 유동하는 보호프레임; 및
    상기 보호프레임과 결합되도록 도어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보호프레임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보호프레임 지지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호프레임 중 일측은 가이드프레임에 인입될 때 접철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사각틀 형상으로서,
    상기 사각틀 형상에서 도어틀로부터 원격에 위치하면서 도어에 근접한 코너부분에 슬롯이 마련되고,
    상기 사각틀 중 도어틀에 부착된 변과 나란한 변의 단부가 도어틀에 부착된 변보다 더 길게 도어 방향으로 연장되어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나란한 변의 단부가 도어와 매우 근접되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폐쇄시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보호프레임 지지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의 타단에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들 사이에는 절곡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간 접철방향과 상기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간 접철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프레임 지지구의 일단부에는 만곡부가 마련되며, 상기 만곡부와 보호프레임 지지구 사이에 암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암슬릿에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제1마감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부의 직경은 상기 암슬릿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슬릿은,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보호프레임 지지구 중 슬롯과 인접한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프레임의 단부에는, 상기 보호프레임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슬롯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슬롯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마감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도어틀에 피스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 중 도어틀과 결합된 면의 대향면에 마련되어 상기 피스가 출입가능하게 구성되는 천공부; 및
    상기 천공부를 개폐하기 위한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KR1020180127826A 2018-10-24 2018-10-24 접철가능하며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KR102100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826A KR102100355B1 (ko) 2018-10-24 2018-10-24 접철가능하며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826A KR102100355B1 (ko) 2018-10-24 2018-10-24 접철가능하며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355B1 true KR102100355B1 (ko) 2020-05-15

Family

ID=70678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826A KR102100355B1 (ko) 2018-10-24 2018-10-24 접철가능하며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3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648A (ko) 2020-06-24 2021-12-31 주식회사 동성사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KR102622776B1 (ko) * 2022-07-26 2024-01-08 오정근 여닫이문용 손끼임 방지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61185A1 (en) * 1993-12-30 1995-07-05 Whiting Shutters (Uk) Limited Improvements relating to protective devices for shutters
JPH084422A (ja) * 1994-06-16 1996-01-09 Inax Corp ドア枠およびその固定方法
KR19980046219U (ko) * 1996-12-24 1998-09-25 구본춘 여닫이문의 경첩부 틈새 차단장치
KR19980057477U (ko) * 1997-01-31 1998-10-15 구본춘 현관출입문의 안전가림판
US20020046501A1 (en) * 1995-10-19 2002-04-25 Banner & Witcoff, Ltd Door safety device with vertically moveable edge
KR101776156B1 (ko) 2017-03-10 2017-09-08 주식회사 제오메이드 여닫이문용 끼임방지 안전경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61185A1 (en) * 1993-12-30 1995-07-05 Whiting Shutters (Uk) Limited Improvements relating to protective devices for shutters
JPH084422A (ja) * 1994-06-16 1996-01-09 Inax Corp ドア枠およびその固定方法
US20020046501A1 (en) * 1995-10-19 2002-04-25 Banner & Witcoff, Ltd Door safety device with vertically moveable edge
KR19980046219U (ko) * 1996-12-24 1998-09-25 구본춘 여닫이문의 경첩부 틈새 차단장치
KR19980057477U (ko) * 1997-01-31 1998-10-15 구본춘 현관출입문의 안전가림판
KR101776156B1 (ko) 2017-03-10 2017-09-08 주식회사 제오메이드 여닫이문용 끼임방지 안전경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www.zeomade.com의 아이도어, 아이엣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648A (ko) 2020-06-24 2021-12-31 주식회사 동성사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KR102622776B1 (ko) * 2022-07-26 2024-01-08 오정근 여닫이문용 손끼임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1909A (en) Safety guards for door jambs
KR102015284B1 (ko)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100355B1 (ko) 접철가능하며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US20210196085A1 (en) Door hinge
KR100824370B1 (ko) 문짝용 다단식 손끼임 방지기구
KR102015421B1 (ko) 좁은 회전 반경을 갖는 접이식 여닫이 도어장치
CN106536847B (zh) 用于翼,门,大门,上翻门,窗,气窗的防坠落安全系统
US7770623B2 (en) Louvred shutter
KR102092506B1 (ko)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KR20220019507A (ko)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US9376846B2 (en) Concealed hinge mechanism
US20110120021A1 (en) Door Assembly
KR20120133261A (ko) 방범 출입문
KR20180093706A (ko) 미관이 수려한 접철식 방충도어의 손끼임 방지 연결구조
KR100907605B1 (ko) 도어용 안전경첩
KR20190002371U (ko) 도어 틈새 차단 장치
KR102200460B1 (ko) 폭이 좁은 문틀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경첩
AU2005101027B4 (en) Folding Closure with Equally Sized Panels
KR20200136125A (ko) 손끼임 방지 안전문
CN107575108A (zh) 一种新型防火功能合页
US4631863A (en) Door or window guard system
CN220014993U (zh) 防夹手安全门
KR102200479B1 (ko) 기설치된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부재
KR102555141B1 (ko) 문닫힘 방지용 스토퍼 및 이를 구비하는 도어용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