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3261A - 방범 출입문 - Google Patents

방범 출입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3261A
KR20120133261A KR1020110051840A KR20110051840A KR20120133261A KR 20120133261 A KR20120133261 A KR 20120133261A KR 1020110051840 A KR1020110051840 A KR 1020110051840A KR 20110051840 A KR20110051840 A KR 20110051840A KR 20120133261 A KR20120133261 A KR 20120133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iece
door
vertical connecting
folded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1174B1 (ko
Inventor
이진국
Original Assignee
이진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국 filed Critical 이진국
Priority to KR1020110051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17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0Peep-holes; Devices for speaking through; Doors having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등의 각종 출입문에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배달되는 음식물, 생활용품 등의 각종 배달물(화물 등, 이하 배달물이라 함)을 출입문을 열지 않고 수취할 수 있도록 출입문과 직각방향으로 고정 또는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식의 방범 출입문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출입문에 형성된 설치구멍의 내측와 외측에 내측 배달문과 외측 배달문이 위치되어 출입문의 내측에 있는 2개의 잠금장치에 의해 별도로 잠금될 수 있게 하되, 상기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는 상호 경첩으로 연결되어 접어지도록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의 하측을 수평 연결편으로, 양측을 수직 연결편으로 연결하되, 상기 수직 연결편의 하단에는 접어지는 수평 연결편이 내입되도록 수직 연결편의 폭에 부합하도록 공간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수평 연결편 및 수직 연결편이 펴진 상태에서 출입문에 형성된 설치구멍 내에서 내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내측 플레이트와 외측 플레이트의 사방 모서리에 텔레스코픽 타입의 가이드봉을 설치하여 내측 또는 외측 플레이트 쪽으로 수평 연결편 및 수직 연결편이 펴진 상태에서 설치구멍을 통해 자연스럽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하였다.

Description

방범 출입문{The door of crime prevention}
본 발명은 아파트 등의 각종 출입문에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배달되는 음식물, 생활용품 등의 각종 배달물(화물 등, 이하 배달물이라 함)을 출입문을 열지 않고 수취할 수 있도록 출입문과 직각방향으로 고정 또는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식의 방범 출입문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출입문 구성은 방문자(배달자)가 벨을 누르게 되면 거주자가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 후 출입문을 개방하게 된다.
방문자의 신원확인은 출입문에 설치되어 있는 소형 렌즈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 근자에는 실내의 인터폰에 설치된 모니터를 통해서 방문자의 신원이 확인하는 등 눈으로 직접 확인하여 각종 범죄를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근자에는 신원확인이 있음에도 택배 등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범죄가 발생되는 예가 많고 특히 독신녀나 연약자가 집안에 홀로 있는 경우가 그 발생 빈도가 높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출입문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코자 다양한 구성으로 방범 출입문을 개발하여 출원한 바 있다.
본 발명자가 선출한 방범출입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3312호, 제10-049969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8736호, 제20-0309030호, 제20-031211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03643호, 제10-2010-0072815호 등이다.
이들 방범출입문은 대부분 외측 및 내측 개폐문이 열릴 때 경첩에 의해 연결된 호형의 플레이트가 펼쳐지게 하고, 펼쳐진 플레이트에 배달물을 올릴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 제20-0309030호는 외측 배달문을 당길 때 출입문과 배달문의 하부 및 수직방향 양측에 경첩으로 연결된 절첩판이 펴지고, 외측 배달문을 통해서 절첩판 위에 배달물을 올린 상태에서 내측 배달문을 개방하여 배달문을 전달받을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절첩판에 의해 출입문 외부로 외측 배달문이 노출된 상태에서 내측 배달문을 개방하므로 배달문을 통해서 실내가 노출될 위험이 있으며, 특히 하부 및 수직방향 양측에 경첩으로 연결된 절첩판이 펴지지 않은 미완성 발명으로 실시가 불가능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3312호 (2002.06.24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8736호 (2002.08.29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9030호 (2003.03.17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2110호 (2003.04.2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9694호 (2005.06.27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03643호 (2007.10.24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72815호 (2010.07.01 공개)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20-0309030호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게 방범 출입문을 개량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저비용으로 설치 및 제작이 가능하고 작동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경첩으로 연결되어 있는 연결편이 펴진 상태에서는 출입문과 직각방향으로 고정 또는 슬라이드 이동되게 한 안전성이 월등히 개선된 방범 출입문을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출입문에 형성된 설치구멍의 내측와 외측에 내측 플레이트와 외측 플레이트가 위치되어 출입문의 내측에 있는 2개의 잠금장치에 의해 별도로 잠금될 수 있게 하되, 상기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는 상호 경첩으로 연결되어 접어지도록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의 하측을 수평 연결편으로, 양측을 수직 연결편으로 연결하되, 상기 수직 연결편의 하단에는 접어지는 수평 연결편이 내입되도록 수직 연결편의 폭에 부합하도록 공간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수평 연결편 및 수직 연결편이 펴진 상태에서 출입문에 형성된 설치구멍 내에서 내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내측 플레이트와 외측 플레이트의 사방 모서리에 텔레스코픽 타입의 가이드봉을 설치하여 내측 또는 외측 플레이트 쪽으로 수평 연결편 및 수직 연결편이 펴진 상태에서 설치구멍을 통해 자연스럽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범 출입문의 경우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쉽고, 염가로 제작이 가능하다.
기존 출입문에 설치구멍을 형성하고, 접고 펴지는 부분에는 경첩(힌지)으로 연결한 배달문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사용에 있어서도 수평 연결편 및 수직 연결편이 펴진 상태로 배달물이 올려 실내쪽으로 이동시켜 안전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내측 배달문을 개방하여 배달물을 전달받을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일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범 출입문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보인 외형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설치된 방범 출입문의 실내에서 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이 설치된 방범 출입문의 실외에서 본 상태도
도 4는 도 1의 설치상태 측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설치상태 평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범 출입문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보인 외형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 내측 플레이트와 출입문 사이에 스페이스를 설치한 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 내측 배달문과 외측 배달문 사이를 텔레스코픽 타입의 가이드봉으로 연결한 상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요부 발췌 측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범 출입문의 제5실시예를 보인 외형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설치상태 측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범 출입문의 제6실시예를 보인 외형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설치상태 측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범 출입문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범 출입문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보인 외형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도 3은 본 발명이 설치된 방범 출입문의 실내에서 본 상태도 및 실외에서 본 상태도, 도 4, 도 5는 도 1의 설치상태 측 단면도 및 평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범 출입문(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출입문(2)에 사각형의 설치구멍(3)을 관통 형성하고, 이 설치구멍(3)을 통해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배달문(4)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배달문(4)은 설치구멍(3)의 양측 즉 출입문(2)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를 배치한다.
이들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의 하측과 양측을, 중심이 경첩(7)으로 연결되어 접어지는 한쌍의 수평 연결편(8)과 수직 연결편(9)을 경첩(7)으로 고정하여 이들 수평 연결편(8)과 수직 연결편(9)이 접고 펴지게 하되, 상기 수직 연결편(9)의 하단에는 접어지는 수평 연결편(8)이 내입되도록 수평 연결편(8)의 폭에 부합하도록 공간(9a)을 형성한다.
상기 공간(9a)은 수직 연결편(9)의 하부의 일부를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절단하여 형성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삼각형으로 절단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내측 플레이트(5)와 외측 플레이드(6)는 각각 출입문(2)에 설치되며 실내에 설치된 손잡이(10)(11)의 회동에 의해 작동하는 잠금장치(12)(13)에 의해 록킹 또는 언록킹 되며, 바람직하기로는 출입문(2)에 잠금장치(12)(13)를 매립 설치하고, 내측 플레이트(5)와 외측 플레이트(6)에는 각 잠금장치(12)(13)에 있는 걸림쇠(12a)(13a)가 걸림되는 잠금구멍(5a)(6a)을 형성한다.
또한 내측 플레이트(5)와 외측 플레이드(6)에는 각각 파지용 손잡이(5b)(6b)를 설치한다.
상기 잠금장치(12)(13)는 시중에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공지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배달문(4)은 수평 연결편(8)과 수직 연결편(9)이 펴져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가 출입문(2)과 이격 상태일 때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 사이에 수납공간(14)이 형성되는데, 이때 수평 연결편(8)과 수직 연결편(9)에 의해 막혀 있는 하부와 양측부와는 달리 상부가 개구되므로 개구된 상부를 통해서 배달물(15)을 수납공간(14)에 투입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에는 도 6의 본 발명 제2실시예와 같이 선택적으로 내측 및 외측문(16)(17)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및 외측문(16)(17)은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를 문틀로 하고, 이에 여닫이 식으로 각각 내측문(16)과 외측문(17)을 설치한 것이다. 이런 구성의 경우 음식물이나 길이가 긴 배달물의 배달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내측 및 외측문(16)(17)은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 쪽으로 항상 닫히도록 힌지(18) 쪽에 토션스프링(19)을 내장 설치하며,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가 출입문(2)에 밀착될 때 외측 플레이트(6)를 록킹시키는 잠금장치(12)(13)에 의해 록킹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 내측 플레이트와 출입문 사이에 스페이스를 설치한 예를 보인 측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출입문(2)의 두께가 얇아 본 발명의 배달문(4)을 설치할 때 수납공간(14)이 협소해 질 수 있어 이를 보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2)과 내측 플레이트(5) 사이에 설치구멍(3)과 연결되는 구멍(21)이 내부에 형성된 사각터널 형상의 스페이스(20)를 출입문(2)의 실내쪽에 고정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를 연결하는 수평 연결편(8)과 수직 연결편(9)의 폭을 키울 수 있으므로 넓은 수납공간(14)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 내측 배달문과 외측 배달문 사이를 텔레스코픽 타입의 가이드봉으로 연결한 상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도 8의 요부 발췌 측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상기와 같은 배달문(4)을 설치함에 있어서,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를 연결하는 수평 연결편(8)과 수직 연결편(9)의 안전한 작동성을 보장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설치구멍(3)의 모서리에 안내관(22)을 설치하고, 상기 안내관(22)에는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에 양단이 고정되어 되는 가이드봉(23)을 끼우며, 가이드봉(23)은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신축되는 것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안내관(22)을 통과하는 가이드봉(23)을 설치할 경우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가 출입문(2)과 이격된 상태에서 안전하게 잡아주므로 수평 연결편(8)과 수직 연결편(9)이 접어지거나 펴지는 동작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범 출입문의 제5실시예를 보인 외형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설치상태 측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을 상기 제1 내지 제 4실시예와 같이 구성함에 있어서, 수직 연결편(9)의 하측의 삼각형 구멍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보조 가림편(24)을 수직 연결편(9)에 경첩(26)으로 상호 연결한 구성이다.
즉, 제4실시예에 의하면 경첩(25)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한 쌍의 삼각형 보조 가림편(24)을 각각 양측 수직 연결편(9)에 경첩(26)으로 결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할 경우 수평 연결편(8)과 수직 연결편(9)이 펴질 때에는 양측 보조 가림편(24)도 함께 펴진다.
이들이 접어질 때 접어지는데, 접어질 때는 도 10의 우측에 접힌 상태와 같이 안쪽으로 접히는 수직 연결편(9)과 반대편인 바깥쪽으로 접이지며, 상측으로 접어지는 수평 연결편(8)의 가장자리 상부에 포개지는 형상이 된다.
상기 보조 가림편(24)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천이나 피혁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천이나 피혁으로 구성할 경우 경첩 없이 접착제나 리벳 등을 이용하여 구성부재들을 연결하면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범 출입문의 제6실시예를 보인 외형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설치상태 측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을 상기 제1 내지 제 4실시예와 같이 구성함에 있어서,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의 상측에도 경첩(28)으로 연결되어 접어지는 상부 수평 연결편(27)으로 연결하고, 수직 연결편(9)의 상측과 하측의 삼각형 구멍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보조 가림편(24)을 수직 연결편(9)에 경첩(26)으로 상호 연결한 구성이다.
즉, 제6시예에 의하면 경첩(25)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한 쌍의 삼각형 보조 가림편(24)을 각각 양측 수직 연결편(9)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경첩(26)으로 결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에는 본 발명 제2실시예와 같이 선택적으로 내측 및 외측문(16)(17)을 더 설치한다.
이와 같이 연결편(9)의 상하측에 삼각형 보조 가림편(24)을 결합하고,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에 내측 및 외측문(16)(17)을 더 설치할 경우 외측 플레이트(6)를 출입문(2)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내측 플레이트(5)를 당겨 실내 쪽으로 펼친 상태에서 배달물을 안전하게 실내에서 전달받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6실시예에서 이웃하는 부재 즉, 수평 연결편(8)과 수직 연결편(9)을 연결하는 경첩(7)과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와 수평 연결편(8) 및수직 연결편(9)을 연결하는 경첩(7), 그리고 수직 연결편(9)의 상측과 하측에 보조 가림편(24)을 연결하는 경첩(26),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의 상측과 상부 수평 연결편(27)을 연결하는 경첩(28)들은 천, 피혁이나 절곡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패널(도시되지 않음) 등으로 대체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방범 출입문(1)은 기존 출입문(2)에 내외 관통하는 설치구멍(3)을 형성하고, 이에 배달문(4)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치한 상태에서 배달자로 부터 배달물(15)을 전달받기 위해서는 제 1실시예의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11)를 이용하여 외측 플레이트(6)의 잠금장치(13)를 해제한다.
이때 배달자가 외측 플레이트(6)의 파지용 손잡이(6b)를 잡고 당기면 접혀져 있던 수평 연결편(8)과 수직 연결편(9)이 경첩(7)을 중심으로 펴지게 되는데, 배달자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수납공간(14)에 배달물(15)을 투입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배달물(15)이 수납공간(14)에 투입되면 내측 플레이트(5)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내측 플레이트(5)에 설치된 파지용 손잡이(5b)를 잡고 당기면 수평 연결편(8)과 수직 연결편(9)이 펴진 상태에서 출입문(2)에 형성된 설치공간(3)을 통해서 이동되면서 외측 플레이트(6)는 출입문(2)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장치(13)에 의해 록킹 상태가 되므로, 이때 실내에서 수납공간(14)에 내입되어 있는 배달물(15)을 안전하게 인출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제 3실시예와 같이 구성할 경우 수납공간(14)을 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으며, 외측 플레이트(6)와 내측 플레이트(5)에 각각 내측문(16)과 외측문(17)을 형성할 경우 음식물 등의 배달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제 4실시예와 같이 구성하면 외측 플레이트(6)와 내측 플레이트(5)의 작동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즉, 제4실시예와 같이 구성한 상태에서 내측 플레이트(5) 또는 외측 플레이트(6)의 파지용 손잡이(5a)(6a)를 당겨 수평 연결편(8)과 수직 연결편(9)이 펴짐과 동시에 가이드봉(23)이 신장되면서 내측 플레이트(5) 또는 외측 플레이트(6)를 지지하게 되므로 수납공간(14)에 내입되는 배달물(15)에 의해 수평 연결편(8)에 전달되는 하중을 줄여 배달문(4)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작동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제 5실시예와 같이 구성할 경우 수직 연결편(9)의 아래쪽 삼각형 공간에 보조 가림편(24)이 설치되므로 배달물의 걸림이나 유실 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제6실시예와 같이 구성할 경우 무인 택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외측 플레이트(6)를 출입문(2)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내측 플레이트(5)를 당겨 실내 쪽으로 펼친 상태에서, 외측문(17)의 잠금장치(12)를 홈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외부 신호가 있을 때 잠금 해제 되게 구성하여 배달자가 휴대폰 등으로 배달물 도착을 알릴 때 외측문(17)을 개방하여 실내에 사람이 없는 상태에서 배달물을 전달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내측 플레이트(5)가 실내 쪽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의 상단이 상부 수평 연결편(27)으로 막혀있어 배달자가 실내를 볼 수 없게 되므로 안전한 무인택배를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정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상의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와 관련되는 균등수단에 대해서도 그 보호범위가 미친다 할 것이다.
1:방범 출입문 2:출입문
3:설치구멍 4:배달문
5:내측 플레이트 5a,6a:잠금구멍
5b,6b:파지용 손잡이 6:외측 플레이트
7:경첩 8:수평 연결편
9:수직 연결편 9a:공간
10,11:손잡이 12,13:잠금장치
12a,13a:걸림쇠 14:수납공간
15:배달물 16:내측문
17:외측문 18:힌지
19:토션스프링 20:스페이스
21:구멍 22:안내관
23:가이드봉 24:삼각형 보조 가림편
25,26:경첩 27:상부 수평 연결편
28:경첩

Claims (6)

  1. 출입문(2)에 설치구멍(3)을 형성하고 이에 배달문(4)을 설치한 방범 출입문(1)에 있어서;
    상기 설치구멍(3)에 배달문(4)을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성하되;
    상기 배달문(4)은 설치구멍(3)의 양측 즉 출입문(2)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를 배치하며;
    상기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는 하측과 양측을 중심에 경첩(7)으로 연결되어 접어지는 수평 연결편(8)과 수직 연결편(9)을 경첩(7)으로 고정하여 이들 수평 연결편(8)과 수직 연결편(9)이 접고 펴지게 하여 수납공간(14)을 형성하고, 개구된 상부를 통해서 배달물(15)을 수납공간(14)에 투입하며;
    상기 수직 연결편(9)의 하단에는 접어지는 수평 연결편(8)이 내입되도록 수평 연결편(8)의 폭에 부합하도록 공간(9a)을 형성하며;
    상기 내측 플레이트(5)와 외측 플레이드(6)는 각각 출입문(2)에 설치되며 실내에 설치된 손잡이(10)(11)의 회동에 의해 작동하는 잠금장치(12)(13)에 의해 록킹 또는 언록킹 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출입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2)과 내측 플레이트(5) 사이에 설치구멍(3)과 연결되는 구멍(21)이 내부에 형성된 사각터널 형상의 스페이스(20)를 출입문(2)에 고정하여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를 연결하는 수평 연결편(8)과 수직 연결편(9)의 폭을 키워 넓은 수납공간(14)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출입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구멍(3)의 모서리에 안내관(22)을 설치하고;
    상기 안내관(22)에는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에 양단이 고정되어 되는 가이드봉(23)을 끼우며, 가이드봉(23)은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신축되는 것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출입문.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및 외측문(16)(17)은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를 문틀로 하고, 이에 여닫이 식으로 각각 내측문(16)과 외측문(17)을 설치하고;
    상기 내측 및 외측문(16)(17)은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 쪽으로 항상 닫히도록 힌지(18) 쪽에 토션스프링(19)을 내장 설치하며,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가 출입문(2)에 밀착될 때 외측 플레이트(6)를 록킹시키는 잠금장치(12)(13)에 의해 록킹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출입문.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연결편(9)의 하측으로 경첩(25)으로 연결된 한 쌍의 보조 가림편(24)을 수직 연결편(9)에 경첩(26)으로 상호 연결되며,
    수평 연결편(8)과 수직 연결편(9)이 펴질 때에는 양측 보조 가림편(24)도 함께 펴지고, 접어질 때는 안쪽으로 접히는 수직 연결편(9)과 반대편인 바깥쪽으로 접이지면 상측으로 접어지는 수평 연결편(8)의 가장자리 상부에 포개지는 접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출입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5)(6)의 상측을 경첩(28)으로 연결되어 접어지는 상부 수평 연결편(27)으로 연결하고,
    상기 수직 연결편(9)의 상측과 하측으로 경첩(25)으로 연결된 한 쌍의 보조 가림편(24)을 수직 연결편(9)에 경첩(26)으로 상호 연결되며,
    수평 연결편(8)과 수직 연결편(9)이 펴질 때에는 양측 보조 가림편(24)도 함께 펴지고, 접어질 때는 안쪽으로 접히는 수직 연결편(9)과 반대편인 바깥쪽으로 접이지면 상측으로 접어지는 수평 연결편(8)의 가장자리 상부에 포개지는 접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출입문.
KR1020110051840A 2011-05-31 2011-05-31 방범 출입문 KR101371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840A KR101371174B1 (ko) 2011-05-31 2011-05-31 방범 출입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840A KR101371174B1 (ko) 2011-05-31 2011-05-31 방범 출입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261A true KR20120133261A (ko) 2012-12-10
KR101371174B1 KR101371174B1 (ko) 2014-03-12

Family

ID=47516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840A KR101371174B1 (ko) 2011-05-31 2011-05-31 방범 출입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1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603B1 (ko) * 2013-04-03 2014-11-25 이진국 유무인 택배안전문이 부설된 출입문
KR200476136Y1 (ko) * 2013-07-17 2015-02-03 김병엽 현관문 설치형 택배함
JP6909947B1 (ja) * 2021-05-24 2021-07-28 貢 成澤 折り畳み式宅配ボック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056B1 (ko) * 2019-11-19 2021-09-30 박세환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는 현관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250U (ko) * 1999-06-07 2001-01-05 김웅중 다용도 수납구를 갖춘 건물용 도어
KR100343312B1 (ko) 1999-10-05 2002-07-10 이진국 방범 출입문
KR20070103643A (ko) * 2006-04-19 2007-10-24 이진국 방범 출입문
KR20100072815A (ko) * 2008-12-22 2010-07-01 이진국 방범 출입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603B1 (ko) * 2013-04-03 2014-11-25 이진국 유무인 택배안전문이 부설된 출입문
KR200476136Y1 (ko) * 2013-07-17 2015-02-03 김병엽 현관문 설치형 택배함
JP6909947B1 (ja) * 2021-05-24 2021-07-28 貢 成澤 折り畳み式宅配ボックス
JP2022180166A (ja) * 2021-05-24 2022-12-06 貢 成澤 折り畳み式宅配ボック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174B1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5595B2 (en) Security door apparatus
KR101371174B1 (ko) 방범 출입문
KR20170011003A (ko) 접이식 무인 택배 물품보관함
KR101879621B1 (ko) 현관문 부착용 접이식 택배함
JP7075192B2 (ja) 宅配物受け用のボックス装置
US10947757B2 (en) Interlock security device
KR20100072815A (ko) 방범 출입문
KR200462728Y1 (ko)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KR101349219B1 (ko) 방범도어가 구비된 현관출입문
KR102100355B1 (ko) 접철가능하며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KR200476136Y1 (ko) 현관문 설치형 택배함
KR102308056B1 (ko)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는 현관문
KR20070103643A (ko) 방범 출입문
KR101157164B1 (ko) 택배 도어
KR101570326B1 (ko) 배달물용 안심도어
KR20140044729A (ko) 현관문에 장착되는 보조문, 및 이를 구비하는 현관문
KR101570982B1 (ko) 배전반용 안전장치
US11589675B2 (en) Article storage and retrieval apparatus
KR101215262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0681848B1 (ko) 공동주택 현관문의 물품수납용 도어
KR101218254B1 (ko) 추락 방지장치가 형성된 창문
KR101430337B1 (ko) 현관문 방범 패널
US11002045B2 (en) Door bar security system
KR100499694B1 (ko) 방범 출입문
KR101819540B1 (ko)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방범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