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056B1 -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는 현관문 - Google Patents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는 현관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056B1
KR102308056B1 KR1020190148455A KR20190148455A KR102308056B1 KR 102308056 B1 KR102308056 B1 KR 102308056B1 KR 1020190148455 A KR1020190148455 A KR 1020190148455A KR 20190148455 A KR20190148455 A KR 20190148455A KR 102308056 B1 KR102308056 B1 KR 102308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door
delivery
opening
fron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0903A (ko
Inventor
박세환
김백희
Original Assignee
박세환
김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환, 김백희 filed Critical 박세환
Priority to KR1020190148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056B1/ko
Publication of KR20210060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4Doors containing cup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0Peep-holes; Devices for speaking through; Doors having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큰 배달물도 수납할 수 있도록 접이식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수납공간에는 그 안을 들여다볼 수 있도록 현관문 외부와 실내에 점검창을 갖춤으로써, 큰 배달물도 쉽게 접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공간에 있을 수 있는 침입자의 유무를 쉽게 확인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수동이나, 인터넷, 유비쿼터스나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자동으로 현관문 밖의 잠금장치를 열 수 있게 구성함으로, 주인이 부재 중일 때 배달자가 수납공간을 개방하거나 집주인이 원격으로 잠금장치를 개방하여 배달물을 수납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납공간이 현관문의 두께 내에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접었을 때는 현관문 개폐에 불편을 주지 않으면서도 펼쳤을 때는 여행용 캐리어도 수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는 현관문{FRONT DOOR TO RECEIVE DELIVERIES}
본 발명은 현관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인이 부재중일 때나 주인이 누구인지 알 수 없게 배달물을 받을 수 있게 하여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현관문 사용에는 불편함이 없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배나 음식물 배달이 일상화하면서 혼자 사는 여성과 같이 배달물을 이용한 범죄가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배달자와 집주인 직접 마주하지 않도록 건물 외부나 로비 등에 택배함을 설치하여 이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음식물과 같이 바로 먹어야 하거나, 택배함이 없는 건물에서 집주인이 부재 중일 때 택배를 받을 수 있는 방법으로,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현관문을 이용하여 택배를 수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788451호
실·내외를 경계하는 현관 도어 상에 배달물만이 드나들도록 천공된 통로를 개폐하는 보조 도어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통로의 주변으로 둘러져 현관 도어에 밀착되는 틀형의 외·내측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내주 면에 통로 측으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호 끼워지는 외·내측 삽입 편을 일체로 구비하는 외·내판; 상기 외측 삽입 편의 하단에 회전모듈과 연결되어 통로를 개폐하는 도어판과, 상기 도어판 상에 유동모듈과 연결되어 외측 삽입 편으로 출몰하는 잠금쇠를 구비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 판의 일면에 거주자와 무선으로 연동 가능한 단말기를 수용하는 매립판과, 상기 매립판의 일면에 단말기의 스크린을 실외로 노출되게 고정하는 마감판을 구비하는 매립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 중이거나 방치한 태블릿 단말기가 매립되게 구성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배달자와 배달물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통로를 개폐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05645호
현관문에 부착되어 무인으로 택배를 수취하는 수납대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적어도 현관문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고, 상기 현관문에 탈부착을 유도하는 고정수단이 마련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 상에 힌지를 따라 절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택배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수납판; 및 상기 수납판과 고정판 내에 택배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와, 상기 중량센서로부터 분석된 정보를 수취인으로 전달하는 통신수단을 구성하는 알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반적인 구조를 경박하고 단소하게 구현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부담 없이 적용할 수 있고, 현관문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개폐에 간섭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837860호
택배도난 방지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에 부재시에도 택배의 수령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리개식 투입구와 도난방지 장치가 구비되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택배를 수령할 수 있도록 한 택배 도난방지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택배 도난방지용 도어는 도어; 상기 도어의 일측을 관통하여 마련되고, 내부가 물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개구되어진 투입부; 상기 투입부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투입부 후면을 향해 조리개 형상으로 개방되는 다수개의 날개부; 상기 투입부와 다수개의 날개부를 체결하는 고정부; 상기 날개부 사이에 탄성막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날개부를 연결하는 탄성부; 상기 투입부 일측에 마련되고, 택배 물품 분류에 따라 기설정된 스티커가 부착된 물체가 투입될 경우 외부단말로 메세지를 전송하는 분류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도어는 다음과 같은 불편함이 있다.
(1) 큰 택배나 여행용 캐리어를 수납할 수 없다.
(2) 이처럼 큰 배달물을 현관문을 통해 안으로 집어넣으려면 배달자나 침입자가 이 통로를 범죄에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이를 방지할 수 있어야 하나,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
(3) 집주인이 집에 있을 때 뿐만 아니라, 부재 중일 때도 택배와 같은 배달물을 수납할 수 있어야 하나, 부재 중일 때는 배달물을 수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4) 또한, 배달물을 보관하는 보관 공간에 침입자 등이 숨어 있더라도 이를 확인할 수 없어 이를 모르고 집에 들어가는 집주인이 위험에 처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88451호 (등록일: 2017.10.13)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05645호 (공개일: 2018.01.16) 한국등록특허 제10-1837860호 (등록일: 2018.03.06)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큰 배달물도 수납할 수 있도록 접이식으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이 수납공간에는 현관문 외부와 내부에서 수납공간 안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점검창을 갖춤으로써, 큰 배달물도 쉽게 접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공간에 있을 수 있는 침입자의 유무를 쉽게 확인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는 현관문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수동이나, 인터넷 또는 유비쿼터스 또는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자동으로 현관문 밖에 노출하는 잠금장치를 열 수 있게 구성함으로, 주인이 부재 중일 때 배달자가 수납공간을 개방하거나 집주인이 무선 방식으로 잠금장치를 개방하여 배달물을 수납하게 하여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는 현관문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수납공간이 현관문의 두께 내에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접었을 때는 현관문 개폐에 불편을 주지 않으면서도 펼쳤을 때는 여행용 캐리어도 수납할 수 있게 한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는 현관문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는 현관문은, 현관문의 바닥 하부를 통해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게 하는 현관문에서; 미리 정한 크기로 개구부(110)를 관통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10)에는 제1잠금장치(121)와 제1점검 창(122)을 갖춘 보조 문(120)을 구비한 문 본체(100); 및 상기 개구부(110)를 마감하면서 배달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200);을 포함하되;
상기 수납공간(200)은, 적어도 한 번 접을 수 있게 구성하고, 한쪽 가장자리가 상기 개구부(110)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설치하되, 하부 가장자리 부분이 현관 바닥에 거의 밀착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측벽(210); 폭 중앙이 밖으로 돌출하게 접을 수 있게 구성하고, 한쪽 가장자리가 상기 개구부(110)의 위쪽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하며, 제2점검 창(221)을 갖춘 윗면(220); 및 상기 개구부(110)와 마주하게 설치하고, 양쪽 가장자리에 상기 두 개의 측벽(210)의 다른 한쪽 가장자리를 접을 수 있게 연결하고, 상부 가장자리에 상기 윗면(220)의 가장자리를 접을 수 있게 연결하되, 내부의 내용물을 꺼낼 수 있도록 제2잠금장치(231a)를 갖춘 문(231), 및 상기 문 본체(100)에 고정하는 제3잠금장치를 갖춘 내판(230);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개구부(110)는, 가로와 세로가 각각 60~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잠금장치(121)는, 수동, 사물인터넷, 또는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여닫을 수 있는 잠금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수납공간(200)은, 상기 문 본체(100)의 두께 내에 설치하여 실내 측으로 확장할 수 있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는 현관문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집주인이 집에 있거나 부재 중일 때도 쉽게 수납공간을 연장하여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어 편리하다.
(2) 이때, 수납공간과 통하도록 현관문에 구성한 보조 문을 잠금 해제하는 잠금장치를 단거리 무선 통신, 유비쿼터스,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도 쉽게 개폐할 수 있게 하여 더욱 편리하게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다.
(3) 특히, 상기 보조 문과 수납공간에는 각각 점검창을 형성함으로써, 확장한 수납공간 안에 숨어있을 수 있는 침입자나 문을 제대로 닫지 않음에 따라 수납공간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개나 고양이와 같은 동물을 쉽게 확인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4) 이때, 이들 점검창은, 보조 문과 수납공간에 구성할 때, 점검 방향이 다른 쪽에서 수납공간 안을 들여다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수납공간을 접거나 펼쳤을 때는 현관 내부를 볼 수 없게 하여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5) 한편, 수납공간은 여행용 캐리어를 수납할 수 있을 만큼 크게 제작함으로써, 큰 배달물도 쉽게 수납하여 배달물을 분실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6) 마지막으로, 상기 수납공간은 현관문의 두께 내에 설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현관문을 사용할 때는 수납공간이 다른 부분과 간섭을 일으키거나 접촉하지 않게 하여 편리하고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는 현관문을 실외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는 현관문을 실내에서 바라 본 것으로, 수납공간을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는 현관문을 실내에서 바라 본 것으로, 수납공간을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는 현관문을 실외에서 바라 본 사시도로, 보조 문을 개방하여 배달물을 수납공간에 수납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는 현관문을 실내에서 바라 본 것으로, 펼친 수납공간에 수납한 배달물을 꺼내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는 현관문은,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문 본체(100), 그리고 이 문 본체(100)에 접거나 펼쳐서 사용하는 수납공간(2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문 본체(100)는 수납공간(200)을 설치하는 개구부(110)에 장착한 보조 문(120)에 인터넷, 단거리 무선 통신 또는 유비쿼터스 등을 이용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제1잠금장치(121)를 갖춤으로써, 집주인이 실외에 있으면서도 원격으로 보조 문(120)을 개방하여 배달물(D)을 받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 문(120)에는 제1점검 창(122)을 갖추고, 상기 수납공간(200)에는 제2점검 창(221)을 갖춤으로써, 집주인이 귀가할 때 제1점검 창(122)을 통해 수납공간(200) 안에 침입자나 보조 문(120)이 열렸을 때 개나 고양이 등이 안으로 들어갔는지 들여다 보고 수납공간(200)이 빈 것을 확인하고, 집 안에서는 제2점검 창(221)을 통해 수납공간(200) 안이 비었는지 아니면 배달물(D)을 확인할 수 있어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도면부호 "D"는 배달되어 온 배달물을 나타낸다.
가. 문 본체
문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통상적으로 입출입할 수 있도록 벽체에 형성한 개구에 설치한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사용한다.
특히, 상기 문 본체(100)에는, [도 1] 및 [도 4]와 같이, 후술할 수납공간(2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개구부(110)를 관통 형성한다. 이때 개구부(110)는 수납할 수 있는 배달물(D)의 크기를 결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110)는, 문 본체(100)의 크기에 따라 가로와 세로가 각각 60~80㎝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근래 들어 여행이 일반화함에 따라 해외여행이 늘어나면서 여행할 때 가지고 갔던 큰 여행용 캐리어도 쉽게 개구부(110)를 통해 수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문 본체(100)에는, [도 1] 및 [도 4]와 같이, 보조 문(120)을 갖춘다. 이때, 보조 문(120)은 상술한 개구부(110)를 마감하게 하여 문 본체(100) 밖에서 수납공간(200) 안이나 실내로 침입할 수 없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 문(120)에는 때에 따라 배달물(D)을 수납공간(200) 안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여닫을 수 있게 제1잠금장치(121)를 갖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잠금장치(121)는 수동으로 열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인터넷, 사물인터넷, 또는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여닫을 수 있는 잠금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집주인이 부재 중일 때도 무선 방식으로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때의 무선 통신은 통상 집에서 많이 사용하는 와이파이와 같은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 스마트폰을 이용한 방식, 인터넷 등 통상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 문(120)에는, [도 1] 및 [도 4]와 같이, 제1점검 창(122)을 갖춘다. 제1점검 창(122)은 수납공간(200)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상술한 제1잠금장치(121)를 해제했을 때, 수납공간(200) 안에 침입할 수 있는 침입자나 침입자, 그리고 보조 문(120)을 제대로 닫지 않았을 때 수납공간(200) 안에 고양이나 개와 같은 동물이 들어가 있는지 집주인이 확인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문 본체(100)에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개구부(110)에 수납공간(200)을 장착한다.
나. 수납공간
수납공간(200)은,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사용하지 않을 때는 문 본체(100)에 밀착하게 접어놓고, 사용할 때만 펼쳐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납공간(200)은,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두 개의 측벽(210), 윗면(220), 그리고 내판(23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1. 측벽
측벽(21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적어도 한 번 접을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측벽(210)은 펼쳤을 때 다른 구성과의 틈새를 최소화하기 위해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벽(210)은 여러 개를 경첩이나 피아노 경첩 등으로 연결하여 접을 수 있게 구성하고, 강판과 같이 어느 정도 이상의 강도를 가진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측벽(210)은 수납공간(200)의 안으로 세로로 한 번 접을 수 있게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측벽(210)은 한쪽 가장자리를 상술한 개구부(110)의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하여 접을 수 있게 장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측벽(210)은,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하부 가장자리가 현관 바닥에 거의 밀착할 정도로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달물(D)을 현관 바닥에 올려놓게 하고, 이때 측벽(210)과 현관 바닥 사이로 틈새를 거의 없애줌으로써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거운 배달물(D)을 끌어서 수용공간(200)에서 꺼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2. 윗면
윗면(22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적어도 한 번 접을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상술한 측벽(210)과 마찬가지 형태로 제작한다. 하지만, 상기 윗면(220)은 접히는 부분이 상기 측벽(210)과 반대로 위로 올라가게 구성함으로써, 수납공간(200)을 접을 때 이들 윗면(220)과 측벽(210)이 서로 간섭받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윗면(220)에는, [도 2]·[도 3] 및 [도 5]와 같이, 제2점검 창(221)을 갖춘다. 제2점검 창(221)은 수용공간(200)을 사용하려고 펼쳤을 때 그 안을 볼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에 있는 이용자가 수납공간(200)에 침입자나 들어와 있거나 상술한 보조 문(120)이 잘 닫히지 않음에 따라 개나 고양이와 같은 동물 등이 들어온 것을 확인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윗면(220)은, [도 2]·[도 3] 및 [도 5]와 같이, 한쪽 가장자리를 상술한 개구부(110)의 상부 가장자리에 접을 수 있게 장착하고, 다른 한쪽 가장자리를 후술할 내판(230)의 상부 가장자리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다.
3. 내판
내판(230)은, [도 2]·[도 3]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개구부(110)와 마주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내판(230)은 좌우 양쪽의 가장자리는 각각 상술한 측벽(210), 그리고 상부 가장자리는 상술한 윗면(22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다. 이때의 회전은 상술한 바와 같이, 경첩이나 피아노 경첩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판(230)에는, [도 2]·[도 3] 및 [도 5]와 같이, 문(231)을 갖춘다. 문(231)은 수납공간(200) 안에 수납한 배달물(D)을 꺼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에, 상기 문(231)은 현관문의 바닥부터 소정의 크기와 넓이로 제작함으로써, 무거운 배달물일 때는 끌어서 수납공간(200)에서 꺼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문(231)에는, [도 2]·[도 3] 및 [도 5]와 같이, 제2잠금장치(231a)를 갖춘다. 이는, 수납공간(200)에서 배달물(200)을 꺼낼 수 있도록 문(231)을 개방할 때 사용하기 위한 잠금장치이다. 이러한 제2잠금장치(231a)는 상술한 제1잠금장치(121)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원격에서 개폐하지 않게 제작한 것을 사용하더라도 큰 문제가 없다.
그리고 상기 내판(230)에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문 본체(100)에 고정할 수 있는 제3잠금장치를 갖추는 것이 더욱 바람지하다. 제3잠금장치는, 일종의 고리와 걸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수납공간(200)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문 본체(100)에 고정하여 문 본체(100)와 함께 열리고 닫힐 수 있게 하기 위한 잠금수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공간(200)은 문 본체(100)의 두께 내에 내장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문 본체(100)를 사용할 때 전혀 불편함이 없고 때에 따라 쉽게 확장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부피가 큰 배달물도 쉽게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공간 안에 침입자나 동물 등이 있는지 확인하여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100: 문 본체
110: 개구부
120: 보조 문
121: 제1잠금장치
122: 제1점검 창
200: 수납공간
210: 측벽
220: 윗면
221: 제2점검 창
230: 내판
231: 문
231a: 제2잠금장치
D: 배달물

Claims (4)

  1. 현관문의 바닥 하부를 통해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게 하는 현관문에서,
    미리 정한 크기로 개구부(110)를 관통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10)에는 제1잠금장치(121)와 제1점검 창(122)을 갖춘 보조 문(120)을 구비한 문 본체(100); 및 상기 개구부(110)를 마감하면서 배달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200);을 포함하되,
    상기 수납공간(200)은, 적어도 한 번 접을 수 있게 구성하고, 한쪽 가장자리가 상기 개구부(110)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설치하되, 하부 가장자리 부분이 현관 바닥에 거의 밀착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측벽(210); 폭 중앙이 밖으로 돌출하게 접을 수 있게 구성하고, 한쪽 가장자리가 상기 개구부(110)의 위쪽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하며, 제2점검 창(221)을 갖춘 윗면(220); 및 상기 개구부(110)와 마주하게 설치하고, 양쪽 가장자리에 상기 두 개의 측벽(210)의 다른 한쪽 가장자리를 접을 수 있게 연결하고, 상부 가장자리에 상기 윗면(220)의 가장자리를 접을 수 있게 연결하되, 내부의 내용물을 꺼낼 수 있도록 제2잠금장치(231a)를 갖춘 문(231), 및 상기 문 본체(100)에 고정하는 제3잠금장치를 갖춘 내판(230);을 갖추고,
    상기 개구부(110)는, 가로와 세로가 각각 60~80㎝이며,
    상기 제1잠금장치(121)는, 수동, 사물인터넷, 또는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여닫을 수 있는 잠금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는 현관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48455A 2019-11-19 2019-11-19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는 현관문 KR102308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455A KR102308056B1 (ko) 2019-11-19 2019-11-19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는 현관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455A KR102308056B1 (ko) 2019-11-19 2019-11-19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는 현관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903A KR20210060903A (ko) 2021-05-27
KR102308056B1 true KR102308056B1 (ko) 2021-09-30

Family

ID=7613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455A KR102308056B1 (ko) 2019-11-19 2019-11-19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는 현관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0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145A (ko) 2021-11-25 2023-06-01 박근형 배달물 수취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6927B2 (ja) * 1990-05-14 2001-09-10 マケット・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縦方向摺動および傾倒可能なベッド面を有するオペレーションデスク
KR101371174B1 (ko) * 2011-05-31 2014-03-12 이진국 방범 출입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0249A (ja) * 1998-03-24 1999-10-05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防災扉
KR101788451B1 (ko) 2016-03-25 2017-10-19 김기홍 배달물 자동 인식형 안심도어
JP3206927U (ja) * 2016-07-29 2016-10-13 克行 柳澤 宅配受け収納ボックス付きドア
KR101837860B1 (ko) 2016-11-22 2018-03-12 경원스프링주식회사 택배 도난방지용 도어
KR20180005645A (ko) 2017-12-27 2018-01-16 윤재근 현관문용 간이형 무인 택배 수납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6927B2 (ja) * 1990-05-14 2001-09-10 マケット・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縦方向摺動および傾倒可能なベッド面を有するオペレーションデスク
KR101371174B1 (ko) * 2011-05-31 2014-03-12 이진국 방범 출입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903A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1132B2 (en) Package-receiving container
US10264906B2 (en) Package delivery securement device
US11369222B2 (en) Secure package delivery container and method
US10512352B1 (en) Safe delivery box
JP2021526433A (ja) 荷物受領ロッカー
US20220267048A1 (en) Security container
KR20100006149A (ko) 무인택배함
US20210251409A1 (en) Receptacle gateway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secure package delivery
KR20150136525A (ko) 소포 또는 소화물 우편물 수취함
KR101879621B1 (ko) 현관문 부착용 접이식 택배함
KR102308056B1 (ko) 배달물을 접수할 수 있는 현관문
JP4446103B2 (ja) 宅配荷受け出し構造
US11426020B2 (en) Delivery door extension
US20220089317A1 (en) Multiple configuration storage bin and methods of operation and manufacture thereof
KR101990621B1 (ko) 개인용 택배함 장치
JP3206927U (ja) 宅配受け収納ボックス付きドア
KR101371174B1 (ko) 방범 출입문
JP2019005443A (ja) 宅配物収納容器
KR20110004769U (ko) 무인택배함
GB2563388B (en) Secure storage container
CN209842699U (zh) 访问、保管购买物/包裹的安全空间装置
EP3818483B1 (en) Structure for deliveries and/or collections, in particular door for deliveries and/or collections
KR100839861B1 (ko) 개인주택용 무인 하물 중계 장치 및 무인 하물 중계 방법
JPH0676587U (ja) 玄関ドア
KR20140044729A (ko) 현관문에 장착되는 보조문, 및 이를 구비하는 현관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