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540B1 -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방범문 - Google Patents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방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540B1
KR101819540B1 KR1020170027456A KR20170027456A KR101819540B1 KR 101819540 B1 KR101819540 B1 KR 101819540B1 KR 1020170027456 A KR1020170027456 A KR 1020170027456A KR 20170027456 A KR20170027456 A KR 20170027456A KR 101819540 B1 KR101819540 B1 KR 101819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ing
inner frame
ba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완
Original Assignee
해피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피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피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7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5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4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of wing type, e.g. revolving or sli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출입문에 설치 가능하며, 간편한 조립과 더불어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방범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방범문의 절첩되는 부위에 손이나 옷자락 등이 걸리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방범문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의 조립이 용이하여 외부 충격이나 풍압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접이식 방범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방범문 {Corrugated mosquito net for door}
본 발명은 건물의 출입문에 설치 가능하며, 간편한 조립과 더불어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방범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방범문의 절첩되는 부위에 손이나 옷자락 등이 걸리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방범문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의 조립이 용이하여 외부 충격이나 풍압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접이식 방범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범문은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방범창 및 방충망의 창호 중 하나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방범 및 방충창은 그 사용용도에 따라서 명칭이 달라지는데,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침입자가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것은 통상적으로 방범문이라 일컫고, 실내에 거주하는 어린이들이 건물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목적을 갖는 것은 방범 방충망이라 일컫는다. 즉, 건물의 출입문에 설치되느냐 아니면 창문에 설치되느냐에 따라 명칭이 달라진다. 상기의 방범창 및 방충창(이하 방범문)은 문화수준의 향상과 주거생활의 쾌적화를 위해 주거공간에는 거의 대부분이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방범문이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범문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각 형태의 프레임이 개구부를 따라 설치된다. 그리고, 설치된 프레임의 내부에 미닫이, 여닫이 및 폴딩 등의 방식으로 개폐가 가능한 문틀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구조에 해당한다.
종래의 접이식 방범문은 한번 설치가 완료되면 착탈 등의 해체가 어렵기 때문에 방범문이 필요하지 않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제거하기 매우 까다로웠으며, 방범문을 개폐할 때 접히는 부분에 옷자락, 가방 및 어린아이들의 손가락이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다른 문제점도 동반되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종래의 방범문은 일반적으로 건물의 개구부의 형상 및 크기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이를 취급하는 대리점에서 숙련된 기능공이 건물 개구부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각각 제작하여야 하는데, 별도의 조립장치가 없고 조립 및 설치의 자동화가 이루어지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설치 및 조립이 매우 복잡하여 조립하는 작업자의 작업속도가 많이 소모되어 단위 시간당 설치 및 조립할 수 있는 개수가 한정되어 생산원가와 인건비의 상승을 유발하는 단점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방범문의 개폐시 안전사고의 발생률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해체 및 방범문의 탈착이 용이해 누구나 간편하게 조립 및 시공할 수 있는 접이식 방범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46016호 '방충 방범용 접이식 현관 내문' (출원일자 2006.12.11)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75587호 '비상 탈출이 용이한 접이식 여닫이 이동 방범창' (출원일자 2003.02.21) 3.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6851호 '출입문용 절첩식 방충망' (출원일자 2001.09.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주거공간의 외부에서 내부로의 침입을 차단함은 물론 견고한 잠금장치로 인해 안정성이 확보되고, 간편한 조립으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되는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방범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범문의 개폐 시 방범문의 자체 하중에 의해 방범문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방범문의 개폐가 이루어지면서 접히는 부분에 옷자락이나 손가락 등이 끼이는 현상을 미연에 차단하는 접이식 방범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방범문은 건물의 개구부의 상하에 고정 설치되는 가로프레임(110)과 상기 가로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각 세워지는 세로프레임(120)을 포함하는 외부프레임(100); 상기 외부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내부프레임(200); 상기 내부프레임(200)에 장착되는 방범프레임(300); 을 포함하되, 상기 내부프레임(200)은 상기 외부프레임(100)에 일측이 일정반경을 그리며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1 내부프레임(210); 상기 제1 내부프레임(210)과 동일한 가상의 수평선(H)상에 위치하도록 일측이 제1 내부프레임(210)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내부프레임(210)이 회전하는 경우 타측이 상기 외부프레임(100)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1 내부프레임(210)이 향하는 가상의 수평선(h-1)과 교차되거나, 평행을 이루는 제2 내부프레임(220); 일측과 타측이 상기 제1 내부프레임(210) 및 제2 내부프레임(220)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프레임(2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프레임(210)은 제1-1 프레임(211); 상기 제1-1 프레임(211)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1-2 프레임(212); 상기 제1-1 프레임(210)과 제1-2 프레임(220) 사이에 세워지는 제1-3 프레임(213); 상기 제1-3 프레임(213)과 마주보며 일측에 상기 연결프레임(230)이 안착되는 제1 결합홀(214-h)이 형성되는 제1-4 프레임(21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내부프레임(220)은 제2-1 프레임(221); 상기 제2-1 프레임(221)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2-2 프레임(222); 상기 제2-1 프레임(221)과 제2-2 프레임(222) 사이에 세워지는 제2-3 프레임(223); 상기 제2-3 프레임(223)과 마주보며 일측에 상기 연결프레임(230)이 안착되는 제2 결합홀(224-h)이 형성되는 제2-4 프레임(2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230)은 상기 제1 결합홀(214-h)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제1 연결바(231); 상기 제1 연결바(231)와 일정간격 이격되되, 상기 제2 결합홀(224-h)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제2 연결바(232); 상기 제1 연결바(231)와 상기 제2 연결바(232)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바(233);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부프레임(210)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결합홀(214-h)과 제2 결합홀(224-h)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연결바(231) 및 제2 연결바(232)의 측면과 상기 제1 결합홀(214-h) 및 제2 결합홀(224-h)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4 프레임(214)과 상기 제2-4 프레임(224)이 상기 제1 연결바(231)와 제2 연결바(232)에 지지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부프레임(210)과 제2 내부프레임(220) 각각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프레임 연결수단(400)이 더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연결수단(400)은 상기 제1-1 프레임(411), 제1-2 프레임(412) 및 상기 제2-1 프레임(421), 제2-2 프레임(422)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결합구(410); 상기 제1-3 프레임(411), 제1-4 프레임(12) 및 상기 제2-3 프레임(423), 제2-4 프레임(424)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2 결합구(4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구(410)와 제2 결합구(420)는 상기 제1-1 프레임(411), 제1-2 프레임(412), 제1-3 프레임(411), 제1-4 프레임(412)이 제1 내부 프레임(410)을 이루고, 상기 제2-1 프레임(421), 제2-2 프레임(422), 제2-3 프레임(423), 제2-4 프레임(424)이 제2 내부 프레임(420)을 이루도록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230)과 제1 결합구(4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프레임(230)에 삽입 고정되되, 측면에 상기 연결프레임(230)의 끝단부와 상기 제1-4 프레임(214)과 제2-4 프레임(224) 각각의 끝단부에 지지되면서 상기 제1 내부프레임(210) 및 제2 내부프레임(220)이 회전할 때 제1 내부프레임(210) 및 제2 내부프레임(220) 자체 하중에 의해 제1 및 제2 내부프레임(210,220)이 상호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날개(610)가 돌출되는 처짐방지부재(6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범문의 프레임의 모서리에 별도의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각각의 프레임과 연결부재의 결합만으로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립시간이 단축되어 시간 대비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범문의 개폐가 이루어지면서 방범문이 절첩되는 부분에 가방, 옷자락, 손가락 등이 끼이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방범문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내부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제1 내부프레임과 제2 내부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내부프레임의 개폐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연결프레임의 결합구조 및 주요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연결프레임의 작동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평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수단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방범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방범문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내부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제1 내부프레임과 제2 내부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내부프레임의 개폐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연결프레임의 결합구조 및 주요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연결프레임의 작동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평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수단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립식 방범 창호는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외부프레임(100)을 갖는다. 외부프레임(100)은 개구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외부프레임(100)은 개구부의 상하측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가로프레임(110)과 가로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각 세워지는 한쌍의 세로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이때, 외부프레임(100)의 모서리에는 프레임연결구(130)가 구비되며, 가로프레임(110)과 세로프레임(120)은 프레임연결구(130)를 통해 상호 결합되면서 외부프레임(100)을 구성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외부프레임(100)과 결합되는 내부프레임(200)이 형성된다. 내부프레임(200)은 일측이 외부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내부프레임(200)이 회전함에 따라 건물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내부프레임(200)이 조립될 때, 내부프레임(200)에 장착되는 방범프레임(300)이 구비된다. 방범프레임(300)은 내부프레임(200)에 슬라이딩되면서 끼워진다. 그리고, 내부프레임(200)에는 내부프레임(200)을 절첩시키며 개폐하기 위한 중간프레임(500)이 더 구비된다. 중간프레임(500)을 사용자가 파지하여 내부프레임(200)의 내,외측에서 개폐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내부프레임(200)은 제1 내부프레임(210), 제2 내부프레임(220) 및 연결프레임(230)을 포함한다. 제1 내부프레임(210)은 일측이 외부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일정반경을 그리며 회전한다. 즉, 제1 내부프레임(210)의 상하측이 개구부의 상하측에 위치한 가로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제2 내부프레임(220)의 일측은 제1 내부프레임(210)과 연결되며, 제2 내부프레임(220)의 타측 상하단은 외부프레임(100) 즉, 개구부의 상하측에 위치한 가로프레임(110)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이동하도록 체결된다. 즉, 제1 내부프레임(210)과 제2 내부프레임(220)이 동일한 가상의 수평선(H)상에 위치하면 건물의 개구부는 개방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중간프레임(500)을 견인하여 제1 내부프레임(210)을 회전시키는 경우 제2 내부프레임(200)이 향하는 가상의 수평선(h-2)이 제1 내부프레임(210)이 향하는 가상의 수평선(h-1)과 교차되도록 제2 내부프레임(220)의 타측 상하단이 외부프레임(100)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로 인해 건물의 개구부는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내부프레임(200)은 일측과 타측이 제1 내부프레임(210) 및 제2 내부프레임(220)에 체결되어 제1 내부프레임(210) 및 제2 내부프레임(220)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30)을 더 포함한다. 즉, 연결프레임(230)을 통해 제1 내부프레임(210)이 회전되어 건물의 개구부가 개방되는 경우 제1 내부프레임(210)과 제2 내부프레임(220)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프레임(230)이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내부프레임(200)이 닫히거나 열릴 때 제1 내부프레임(210)과 제2 내부프레임(220) 사이로 손이나 가방끈 및 옷자락 등이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제1 내부프레임(210)은 제1-1 프레임(211), 제1-2 프레임(212), 제1-3 프레임(213) 및 제1-4 프레임(214)를 갖는다. 제1-1 프레임(211)은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외부프레임(100)의 상측에 위치하고, 제1-2 프레임(212)는 제1-1 프레임(211)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외부프레임(100)의 하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3 프레임(213)은 소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제1-1 프레임(211) 및 제1-2 프레임(212)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배치된다. 제1-4 프레임(214)는 제1-2 프레임(213)과 마주보도록 제1-1 프레임(211) 및 제1-2 프레임(212)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며, 일측에 연결프레임(230)의 일측과 결합 또는 안착되는 제1 결합홀(214-h)이 형성된다.
제2 내부프레임(220)은 제2-1 프레임(221), 제2-2 프레임(222), 제2-3 프레임(223) 및 제2-4 프레임(224)를 갖는다. 제2-1 프레임(221) 및 제2-2 프레임(222)은 소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외부프레임(1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된다. 제2-3 프레임(223)은 제2-1 프레임(221) 및 제2-2 프레임(222)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며, 제2-4 프레임(224)은 제2-3 프레임(223)과 마주보되, 제1 결합홀(214-h)과 마주보는 위치에 연결프레임(230)의 타측과 결합 또는 안착되는 제2 결합홀(224-h)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4, 도 5 를 참조하면 연결프레임(230)은 제1 연결바(231), 제2 연결바(232) 및 결합바(233)를 포함한다. 제1 연결바(23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결합홀(214-h)에 안착되어 제1 내부프레임(210)이 회전하여 개구부가 개방되는 경우 제1 결합홀(214-h)에 안내되면서 회전할 수 있다.
제2 연결바(232)는 제1 연결바(231)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연결바(231)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제2 결합홀(224-h)에 안착되어 제2 내부프레임(220)이 제1 내부프레임(210)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회전하는 경우 제2 결합홀(224-h)에 안내되면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바(233)는 이격된 제1 연결바(231)와 제2 연결바(232)를 상호 연결한다.
즉, 결합바(233)는 일측과 타측이 제1 연결바(231)와 제2 연결바(232) 각각의 측면에 고정되면서 제1 연결바(231)와 제2 연결바(232)를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제1 결합바(233-1)와 제1 연결바(231)와 제2 연결바(232)를 연결하되, 일측이 제1 연결바(23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타측이 제2 연결바(232)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결합바(233-2)를 포함한다.
제1 결합바(233-1)에는 제1 내부프레임(210)과 제2 내부프레임(220)이 마주보는 경우 제1-4 프레임(214)과 제2-4 프레임(224)의 각각의 측면이 상호 밀착되도록 제1 결합홀(214-h) 및 제2 결합홀(224-h)의 일측 가장자리가 안착되고, 제2 결합바(233-2)에는 제1 내부프레임(210)과 제2 내부프레임(220)이 가상의 수평선(H) 상에 위치하는 경우 제1 결합홀(214-h) 및 제2 결합홀(224-h)의 타측 가장자리가 돌출된 제2 결합바(233-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지지되어 연결프레임(230)의 이탈을 방지한다.
도 5 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내부프레임(200)을 개방하기 위해 제1 내부프레임(210)과 제2 내부프레임(220)을 회전시키는 경우 제1-4 프레임(214)과 제2-4 프레임(224)은 제1 연결바(231)와 제2 연결바(232)에 지지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제1 연결바(231) 및 제2 연결바(232)가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1 결합홀(214-h) 및 제2 결합홀(224-h) 또한 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결합홀(214-h)과 제2 결합홀(224-h)의 내측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제1 연결바(231) 및 제2 연결바(232)의 측면과 제1 결합홀(214-h) 및 제2 결합홀(224-h)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4 프레임(214)과 제2-4 프레임(224)이 이루는 각도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제1 내부프레임(210)과 제2 내부프레임(220)을 구성할 때 각각의 모서리를 결합하는 프레임 연결수단(400)이 형성되며, 프레임 연결수단(400)은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이때, 프레임 연결수단(400)은 제1 결합구(410)와 제2 결합구(420)를 포함하는데, 제1 결합구(410)는 제1-1 프레임(411), 제1-2 프레임(412) 및 제2-1 프레임(421), 제2-2 프레임(422)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다.
제2 결합구(420)는 제1-3 프레임(411), 제1-4 프레임(12) 및 제2-3 프레임(423), 제2-4 프레임(424)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다.
제1 결합구(410) 및 제2 결합구(420)가 각각의 프레임이 결합되는 경우 별도의 결합피스(미도시) 등을 삽입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즉, 제1-1 프레임(411), 제1-2 프레임(412), 제1-3 프레임(411), 제1-4 프레임(412)이 제1 내부 프레임(410)을 이루고, 제2-1 프레임(421), 제2-2 프레임(422), 제2-3 프레임(423), 제2-4 프레임(424)이 제2 내부 프레임(420)을 이루도록 각각의 제1 결합구(410)와 제2 결합구(420)는 상호 체결된다.
도 6 을 참조하면 제1 결합구(410)는 제1 몸체(411), 제1 고정돌기(412), 가이드리브(413) 및 결합돌기(414)를 포함한다.
제1 몸체(411)에는 상면에 상기 별도의 결합피스가 삽입되는 제1 피스삽입홀(411-1)이 제1 결합구(410)에 함입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결합구(410)의 측면에 슬라이딩홈(411-2)이 함입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고정돌기(412)는 제1 몸체(41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즉, 제1 고정돌기(412)가 제1-3 프레임(411), 제1-4 프레임 및 제2-3 프레임(423), 제2-4 프레임(424) 양끝단에 삽입되면서 제1 몸체(411)는 각각의 프레임에 고정된다.
또한, 슬라이딩홈(411-2)의 하단에는 가이드리브(413)가 형성된다. 가이드리브(413)는 후술하는 제2 결합구(420)의 위치를 가이드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이드리브(413)는 슬라이딩홈(411-2)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한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피스삽입홀(411-1)과 슬라이딩홈(411-2)은 상호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결합돌기(414)는 상기 한쌍을 이루는 각각의 가이드리브(413)의 끝단에 각각 돌출 형성되되, 돌출된 결합돌기(414)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며 돌출 형성된다.
도 6 을 참조하면 제2 결합구(420)는 제2 몸체(421)와 제2 고정돌기(422)를 포함한다. 제2 몸체(421)의 상면에는 제2 피스삽입홀(421-1)이 제2 몸체(421)의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다.
제2 고정돌기(422)는 제2 몸체(421)의 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돌출 형성된다. 제2 고정돌기(422)는 제1-1 프레임(411), 제1-2 프레임(412) 및 제2-1 프레임(421), 제2-2 프레임(422)의 양 끝단에 각각 삽입되며, 이로 인해 제2 몸체(421)가 각각의 프레임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돌기(422)가 각각의 프레임에 삽입된 후 별도의 결합피스가 제2 몸체(321)를 관통하여 제1-1 프레임(411), 제1-2 프레임(412) 및 제2-1 프레임(421), 제2-2 프레임(422)에 고정됨으로써, 제2 고정돌기(422)는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6 을 참조하면 제1 결합구(410)와 제2 결합구(420)가 상호 결합될 때, 제2 몸체(421)는 가이드리브(413)에 안내되면서 슬라이딩홈(411-2)에 삽입된다. 따라서, 각각의 프레임들이 조립될 때 상호 직각을 이루며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 몸체(421)의 측면에는 결합홈(423)이 함입 형성되며, 결합홈(423)에 결합돌기(414)가 삽입되면서 제1 결합구(410)와 제2 결합구(420)는 상호 결합된다. 이때, 결합홈(423)의 형성 위치는 제1 피스삽입홀(411-1)과 제2 피스삽입홀(421-1)이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이를 안내하기 위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몸체(421)가 슬라이딩홈(411-2)에 삽입될 때, 결합돌기(414)는 결합홈(423)에 삽입되고, 동시에 제1 피스삽입홀(411-1)과 제2 피스삽입홀(421-1)이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한다. 이후 별도의 결합피스를 제1 피스삽입홀(411-1)과 제2 피스삽입홀(421-1)에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제1 결합구(410)와 제2 결합구(420)는 상호 견고하게 조립 고정될 수 있다.
도 7 을 참조하면 제1 내부프레임(210)과 제2 내부프레임(220)이 연결프레임(230)에 의해 결합될 때 서로 인접하면서 마주보는 각각의 제1 결합구(410)의 측면에는 다수의 결합돌기(401)가 각각 형성된다. 즉, 각각의 제1 결합구(410)에 형성된 결합돌기(401)는 상호 맞물리게 되며, 제1 내부프레임(210)과 제2 내부프레임(220)이 회전할 때 정교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1 내부프레임(210)의 회전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진행되더라도 각각의 결합돌기(401)가 상호 맞물려 있기 때문에 연결프레임(230)과 제1 및 제2 내부프레임(210,220)의 슬립현상(Slip)의 발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4 를 참조하면 연결프레임(230)과 제1 결합구(410) 사이에는 처짐방지부재(600)가 더 구비된다. 처짐방지부재(600)는 연결프레임(230)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며, 연결프레임(230)에 삽입되어 고정되되, 측면에 연결프레임(230)과 체결된 제1-4 프레임(214)과 제2-4 프레임(224)을 동시에 지지하는 지지날개(610)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처짐방지부재(600)는 연결프레임(230)의 양단에 각각 한쌍을 이루며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처짐방지부재(600)는 연결프레임(230)과 제1 결합구(410) 사이에 위치하고, 지지날개(610)가 연결프레임(230)과 제1-4 프레임(214)과 제2-4 프레임(224)을 지지해 줌으로써, 제1 및 제2 내부프레임(210,220)이 개방될 때 자체 하중에 의해 제1 및 제2 내부프레임(210,220)이 상호 어긋나면서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방범문은 각각의 프레임과 프레임 연결수단(400)의 결합만으로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시간 대비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으며, 연결프레임(230)이 제1 내부프레임(210)과 제2 내부프레임(220)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 틈 사이로 가방, 옷자락, 손가락 등이 끼이는 현상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0 : 외부프레임 200 : 내부프레임
210 : 제1 내부프레임 220 : 제2 내부프레임
230 : 연결프레임 300 : 방범프레임
400 : 프레임 연결수단 410 : 제1 결합구
420 : 제2 결합구 500 : 중간프레임
600 : 처짐방지부재

Claims (5)

  1. 건물의 개구부의 상하에 고정 설치되는 가로프레임(110)과 상기 가로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각 세워지는 세로프레임(120)을 포함하는 외부프레임(100);
    상기 외부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내부프레임(200);
    상기 내부프레임(200)에 건물의 개구부의 상하에 고정 설치되는 가로프레임(110)과 상기 가로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각 세워지는 세로프레임(120)을 포함하는 외부프레임(100);
    상기 외부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내부프레임(200);
    상기 내부프레임(200)에 장착되는 방범프레임(300); 을 포함하되,
    상기 내부프레임(200)은 상기 외부프레임(100)에 일측이 일정반경을 그리며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1 내부프레임(210);
    상기 제1 내부프레임(210)과 동일한 가상의 수평선(H)상에 위치하도록 일측이 제1 내부프레임(210)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내부프레임(210)이 회전하는 경우 타측이 상기 외부프레임(100)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1 내부프레임(210)이 향하는 가상의 수평선(h-1)과 교차되거나, 평행을 이루는 제2 내부프레임(220);
    일측과 타측이 상기 제1 내부프레임(210) 및 제2 내부프레임(220)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프레임(230);
    상기 제1 내부프레임(210)과 제2 내부프레임(220) 각각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프레임 연결수단(40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부프레임(210)은 제1-1 프레임(211); 상기 제1-1 프레임(211)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1-2 프레임(212); 상기 제1-1 프레임(211)과 제1-2 프레임(212) 사이에 세워지는 제1-3 프레임(213); 상기 제1-3 프레임(213)과 마주보며 일측에 상기 연결프레임(230)이 안착되는 제1 결합홀(214-h)이 형성되는 제1-4 프레임(21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내부프레임(220)은 제2-1 프레임(221); 상기 제2-1 프레임(221)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2-2 프레임(222); 상기 제2-1 프레임(221)과 제2-2 프레임(222) 사이에 세워지는 제2-3 프레임(223); 상기 제2-3 프레임(223)과 마주보며 일측에 상기 연결프레임(230)이 안착되는 제2 결합홀(224-h)이 형성되는 제2-4 프레임(224);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230)은 상기 제1 결합홀(214-h)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제1 연결바(231);
    상기 제1 연결바(231)와 일정간격 이격되되, 상기 제2 결합홀(224-h)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제2 연결바(232);
    상기 제1 연결바(231)와 제2 연결바(232)를 상호 연결하는 결합바(233);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바(233)는 일측과 타측이 상기 제1 연결바(231)와 제2 연결바(232) 각각의 측면에 고정되면서 상기 제1 연결바(231)와 제2 연결바(232)를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제1 결합바(233-1); 및
    상기 제1 연결바(231)와 제2 연결바(232)를 연결하되, 일측이 상기 제1 연결바(23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타측이 제2 연결바(232)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결합바(233-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부프레임(210)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결합홀(214-h)과 제2 결합홀(224-h)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연결바(231) 및 제2 연결바(232)의 측면과 상기 제1 결합홀(214-h) 및 제2 결합홀(224-h)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4 프레임(214)과 상기 제2-4 프레임(224)이 상기 제1 연결바(231)와 제2 연결바(232)에 지지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결합바(233-1)에는 상기 제1 내부프레임(210)과 제2 내부프레임(220)이 마주보는 경우 상기 제1-4 프레임(214)과 상기 제2-4 프레임(224)의 각각의 측면이 상호 밀착되도록 상기 제1 결합홀(214-h) 및 제2 결합홀(224-h)의 일측 가장자리가 안착되고,
    상기 제2 결합바(233-2)에는 상기 제1 내부프레임(210)과 제2 내부프레임(220)이 상기 가상의 수평선(H) 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결합홀(214-h) 및 제2 결합홀(224-h)의 타측 가장자리가 상기 돌출된 제2 결합바(233-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연결프레임(230)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프레임 연결수단(400)은 상기 제1-1 프레임(211), 제1-2 프레임(212) 및 상기 제2-1 프레임(221), 제2-2 프레임(222)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결합구(410);
    상기 제1-3 프레임(213), 제1-4 프레임(214) 및 상기 제2-3 프레임(223), 제2-4 프레임(224)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2 결합구(4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구(410)와 제2 결합구(420)는 상기 제1-1 프레임(211), 제1-2 프레임(212), 제1-3 프레임(213), 제1-4 프레임(214)이 제1 내부 프레임(410)을 이루고, 상기 제2-1 프레임(221), 제2-2 프레임(222), 제2-3 프레임(223), 제2-4 프레임(224)이 제2 내부 프레임(420)을 이루도록 상호 결합될 때
    서로 인접하면서 마주보는 각각의 제1 결합구(410)의 측면에는 다수의 결합돌기(401)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각각의 결합돌기(401)가 상호 맞물려 상기 연결프레임(230)과 상기 제1 및 제2 내부프레임(210,220)의 슬립현상(Slip)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방범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230)과 제1 결합구(4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프레임(230)에 삽입 고정되되, 측면에 상기 연결프레임(230)의 끝단부와 상기 제1-4 프레임(214)과 제2-4 프레임(224) 각각의 끝단부에 지지되면서 상기 제1 내부프레임(210) 및 제2 내부프레임(220)이 회전할 때 제1 내부프레임(210) 및 제2 내부프레임(220) 자체 하중에 의해 제1 및 제2 내부프레임(210,220)이 상호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날개(610)가 돌출되는 처짐방지부재(6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방범문.
KR1020170027456A 2017-03-03 2017-03-03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방범문 KR101819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456A KR101819540B1 (ko) 2017-03-03 2017-03-03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방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456A KR101819540B1 (ko) 2017-03-03 2017-03-03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방범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9540B1 true KR101819540B1 (ko) 2018-02-28

Family

ID=61401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456A KR101819540B1 (ko) 2017-03-03 2017-03-03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방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5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00Y1 (ko) * 2014-11-19 2015-02-04 (주)아도 문짝 프레임 결합 장치
KR101630298B1 (ko) 2015-10-30 2016-06-17 이녹하 접이문용 힌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00Y1 (ko) * 2014-11-19 2015-02-04 (주)아도 문짝 프레임 결합 장치
KR101630298B1 (ko) 2015-10-30 2016-06-17 이녹하 접이문용 힌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6042B2 (en) Load bearing structural closure system
AU2020102994A4 (en) Modular Glass Door Assembly
US20020095900A1 (en) Self-closing gate for fence enclosures
US5865660A (en) Building element
KR101819540B1 (ko)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방범문
KR200462728Y1 (ko)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KR20100072815A (ko) 방범 출입문
KR101371174B1 (ko) 방범 출입문
KR102100355B1 (ko) 접철가능하며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KR102488712B1 (ko) 열림 방향의 선택이 가능한 접이식 도어
KR101819537B1 (ko) 조립식 방범 창호
KR102084358B1 (ko) 문 끼임방지 장치
KR20220082210A (ko) 장력 조절이 가능한 주름 방충망
KR200457681Y1 (ko) 회전접이식 안전방충망
KR101920927B1 (ko) 방범용 문
KR101852335B1 (ko) 이중창호용 접이식 안전 장치
JP4017569B2 (ja) 浴室建具のガラリ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浴室建具
KR102626631B1 (ko) 여닫음 방향이 정해지는 행거형 스윙 도어 프레임
KR200255360Y1 (ko) 접이식 문의 잠금장치
KR102432088B1 (ko) 방범모듈 및 그가 설치된 방범창
KR102356043B1 (ko) 끼움 방식의 순차 접이 방화문
KR100365297B1 (ko) 슬라이드 접이식 창호용 롤러
KR101959295B1 (ko) 방충장치
JP3107270U (ja) 網戸付き扉装置
JP7422575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