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326B1 - 배달물용 안심도어 - Google Patents

배달물용 안심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326B1
KR101570326B1 KR1020150118647A KR20150118647A KR101570326B1 KR 101570326 B1 KR101570326 B1 KR 101570326B1 KR 1020150118647 A KR1020150118647 A KR 1020150118647A KR 20150118647 A KR20150118647 A KR 20150118647A KR 101570326 B1 KR101570326 B1 KR 101570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oor
plates
path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홍
Original Assignee
김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홍 filed Critical 김기홍
Priority to KR1020150118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20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 A47G29/28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having a receptacle inside the house and a delivery pipe or the like passing through a door, wall, or the like, e.g. for delivering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30Accessories, e.g. signalling devices, lamps, means for leaving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외를 경계하는 현관도어 상에 배달물만이 드나들도록 천공된 통로를 개폐하는 보조도어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통로의 주변으로 둘러져 현관도어에 밀착되는 틀형의 외·내측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내주면에 통로 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호 끼워지는 외·내측 삽입편을 일체로 구비하는 외·내판; 상기 외측 삽입편의 상·하단에 힌지로 각각 장착되어 통로를 개폐하는 상·하측 보호판과, 상기 보호판 상에 통로를 상시 폐쇄시키는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보조도어; 상기 외측 삽입편의 하단에 힌지로 장착되어 통로를 개폐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상에 외측 삽입편으로 출몰하여 괘·해정하는 잠금쇠를 구비하는 메인도어; 및 상기 외측 삽입편과 회전판의 양단에 힌지로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끼리 서로 포개지게 연결하는 경첩을 구비하는 측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범죄자가 실내의 거주자를 식별하지 못하도록 시야를 최소화 하고, 범죄자의 팔이 실내로 침투하더라도 현관도어를 개폐하는 잠금장치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달물용 안심도어{Security mini door of delivery package}
본 발명은 배달물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실내출입의 허용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현관도어에 배달물만이 드나들 수 있도록 장착되는 배달물용 안심도어 관한 것이다.
통상 원룸, 다가구 주택, 오피스텔 및 아파트의 현관도어에는 우유나 요구르트 및 신문과 같이 배달되는 물품을 실내로 인수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택배나 소포 및 음식물 따위와 같이 부피가 큰 배달물의 경우엔 투입구를 이용할 수가 없다. 즉, 배달자임을 확인하더라도 배달물을 인수하기 위해서는 현관도어를 개방해야만 가능한데, 배달자로 위장한 강도인 경우에는 무방비 상태로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1-0000250호"다용도 수납구를 갖춘 건물용 도어",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6822호"보조도어 기능을 갖는 현관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1848호"공동주택 현관문의 물품수납용 도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8269호"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7164호"택배 도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3564호"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문헌들은 세부적인 구조가 조금씩 다르지만, 크게 현관도어에 마련된 통로의 주변으로 둘러지게 부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장착되어 통로를 개폐하는 보조도어와, 현관도어나 프레임과 연동하여 괘·해정하는 자물쇠로 구성된다. 따라서 비교적 부피가 큰 배달물도 현관도어를 개방하지 않고 인수할 수 있어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그러나 현관도어의 통로가 배달물을 인수하기 위한 크기로 형성됨에 따라 배달물을 인수받기 위해 보조도어를 개방하는 순간 각종 범죄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통로의 크기로 인해 범죄자가 손이나 흉기로 실내의 거주자에게 순간적으로 위협을 가할 수가 있고, 편의상 통로의 위치가 현관도어의 잠금장치와 인접해 있어 범죄자가 팔을 실내로 넣어 잠금장치를 쉽게 해제할 수가 있다. 이처럼 허술한 보안과 안전을 개선하기 위한 여지가 아직까지도 상당히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1-0000250호"다용도 수납구를 갖춘 건물용 도어"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6822호"보조도어 기능을 갖는 현관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1848호"공동주택 현관문의 물품수납용 도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8269호"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7164호"택배 도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3564호"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주자가 배달물을 인수받기 위해 보조도어를 개방하더라도 범죄자가 거주자를 식별하지 못하도록 시야를 최소화 하고, 범죄자의 팔이 실내로 침투하더라도 현관도어를 개폐하는 잠금장치로의 접근을 차단시켜 안전과 보안을 강화시킨 배달물용 안심도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내외를 경계하는 현관도어 상에 배달물만이 드나들도록 천공된 통로를 개폐하는 보조도어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주변으로 둘러져 현관도어에 밀착되는 틀형의 외·내측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내주면에 통로 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호 끼워지는 외·내측 삽입편을 일체로 구비하는 외·내판; 상기 외측 삽입편의 상·하단에 힌지로 각각 장착되어 통로를 개폐하는 상·하측 보호판과, 상기 보호판 상에 통로를 상시 폐쇄시키는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보조도어; 상기 외측 삽입편의 하단에 힌지로 장착되어 통로를 개폐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상에 외측 삽입편으로 출몰하여 괘·해정하는 잠금쇠를 구비하는 메인도어; 및 상기 외측 삽입편과 회전판의 양단에 힌지로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끼리 서로 포개지게 연결하는 경첩을 구비하는 측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상·하측 보호판은 실내로 침투된 팔에 고통을 주도록 서로 대향하는 선단을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상·하측 보호판의 선단은 동시 개방을 억제하도록 서로 치합하는 걸림편과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하측 보호판은 통로에 투입된 배달물에 깔려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메인도어는 회전판의 일면에 일방향의 탄성력을 가진 잠금쇠를 상하 운동이 가능하게 수용하는 유동홈과, 상기 유동홈 상에 잠금쇠를 임의대로 유동되게 유도하는 조작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의 일면에 잠금쇠를 밀폐하는 커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배달물을 인수받기 위해 메인도어를 개방하더라도 폐쇄된 보조도어에 의해 범죄자의 시야를 최소화시켜 각종 위협을 방지할 수가 있다.
둘째, 범죄자의 팔이 실내로 침투하더라도 벽판에 가로막혀 현관도어를 개폐하는 잠금장치로의 접근을 봉쇄하여 보안을 유지할 수가 있다.
셋째, 실내 측으로만 회전하는 보조도어를 상하 이중으로 배치함과 함께 서로 대향하는 부위를 지그재그로 형성하여 실내로 침투한 팔의 유동에 따라 고통을 주어 범죄행위를 포기시킬 수 있다.
넷째, 보조도어가 순차적으로 개방되는 구조를 가져 순간적인 위협을 억제할 수가 있고, 개방을 위한 한손이 구속되므로 범죄행위를 제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심도어가 장착되는 현관도어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심도어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심도어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심도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처럼 실·내외를 경계하는 현관도어(1)상에 배달물(P)만이 드나들도록 천공된 통로(1a)를 개폐하는 보조도어에 관련되며, 도 2처럼 외판(10)과 내판(20) 및 보조도어(30)와 메인도어(40) 그리고 벽판(50)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배달물용 안심도어이다. 본 발명의 안심도어는 범죄자가 실내의 거주자를 식별하지 못하도록 시야를 최소화 하고, 범죄자의 팔이 실내로 침투하더라도 현관도어(1)를 개폐하는 잠금장치로의 접근을 차단시켜 안전과 보안을 한층 더 강화되게 개선한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내판(10)(20)은 도 3 및 도 4처럼 통로(1a)의 주변으로 둘러져 현관도어(1)에 밀착되는 틀형의 외·내측 고정판(11)(21)과, 고정판(11)(21)의 내주면에 통로(1a)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호 끼워지는 외·내측 삽입편(15)(25)을 일체로 구비한다. 즉, 외판(10)의 삽입편(15)은 현관도어(1)의 실외 측에서 통로(1a)에 삽입되어 끼워지고, 내판(20)의 삽입편(25)은 현관도어(1)의 실내 측에서 외측 삽입편(15)에 삽입되어 끼워진다. 여기서 외측 삽입편(15)에는 내측 고정판(21)과 체결을 위한 복수의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단에 도 5처럼 잠금쇠(45)를 구속하는 잠금홀이 형성된다. 이밖에도 후술하는 보조도어(30)와 메인도어(40) 및 벽판(50)을 작동 가능하게 장착을 유도하는 복수의 힌지홈과 힌지편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도어(30)는 도 3 및 도 4처럼 외측 삽입편(15)의 상·하단에 힌지(H)로 각각 장착되어 통로(1a)를 개폐하는 상·하측 보호판(31)(32)과, 보호판(31)(32)상에 통로(1a)를 상시 폐쇄시키는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35)을 구비한다. 즉, 하측 보호판(31)은 외측 삽입편(15)의 하단에 스프링(35)과 함께 힌지(H)로 장착되어 실내 측으로 회전하고, 상측 보호판(31)은 외측 삽입편(15)의 상단에 스프링(35)과 함께 힌지(H)로 장착되어 실내 측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상·하측 보호판(31)(32)은 스프링(35)에 의해 상시 폐쇄상태를 유지하여 도 6처럼 거주자가 후술하는 메인도어(40)를 개방하더라도 통로(1a)는 차단상태가 된다. 물론, 배달자가 도 7처럼 배달물(P)이나 손으로 보호판(31)(32)을 실내 측으로 스프링(35)의 탄성력을 이겨내는 힘으로 밀어주면 통로(1a)는 개방된다.
이때, 상·하측 보호판(31)(32)은 실내로 침투된 팔에 고통을 주도록 서로 대향하는 선단을 지그재그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배달자로 위장한 범죄자가 보호판(31)(32)을 개방한 후에 거주자의 위협이나 현관도어(1)의 잠금장치를 해정하기 위해 실내로 팔을 침투를 하게 된다. 이 경우 보호판(31)(32)의 선단이 스프링(35)에 의해 1차적으로 팔을 가압하면서 유동반경을 저지시키고, 2차적으로 지그재그형에 따라 서로 치합하려는 선단이 유동반경에 따라 고통을 준다. 여기서 고통을 느낀 범죄자는 본능적으로 팔을 실외로 복귀하면서 가압력이 배가되어 팔에 상처나 손상을 줄 수가 있다.
또한, 상·하측 보호판(31)(32)의 선단은 도 3처럼 동시 개방을 억제하도록 서로 치합하는 걸림편(31a)과 걸림홈(32a)을 각각 형성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메인도어(40)를 개방한 즉시 거주자의 신체를 상해할 목적으로 치명상을 야기하는 도구를 실내로 침투시킬 수가 있다. 이 경우 상·하측 보호판(31)(32)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걸림편(31a)과 걸림홈(32a)이 서로 치합되어 개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도구의 순간적인 침투를 방지할 수가 있다. 즉, 상·하측 보호판(31)(32)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하측 보호판(31)만을 개방한 상태여야만이 가능하다. 물론, 범죄자가 한손으로 하측 보호판(31)을 개방한 상태에서 다른 손을 이용해 도구를 침투시킬 수가 있으나 본능적으로 자신의 손이 통로(1a)에 위치하므로 행동이 서툴러져 정확성을 현저히 낮출 수가 있다.
한편, 상·하측 보호판(31)(32)에 걸림편(31a)과 걸림홈(32a)을 형성한 경우 하측 보호판(31)은 통로(1a)에 투입된 배달물(P)에 깔려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33)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즉, 배달물(P)의 진입으로 상·하측 보호판(31)(32)이 모두 개방된 이후 재 폐쇄할 때엔 상측 보호판(32)이 선 폐쇄되고, 하측 보호판(31)이 후 폐쇄되어야만 걸림편(31a)과 걸림홈(32a)이 맞물려 본래의 역할을 수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대(33)를 장착해두면, 도 8처럼 통로(1a)에 투입된 배달물(P)이 하측 보호판(31)을 하중으로 고정시켜 상측 보호판(32)보다 늦게 폐쇄되게 유도한다.
이러한 지지대(33)는 보호판(31)(32)의 순차적인 폐쇄작동 외에도 통로(1a)의 일부를 개방상태로 유지시켜 배달자로 하여금 비용과 영수증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거주자가 임의대로 통로(1a)를 개방할 수 있도록 손잡이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도어(40)는 도 3 및 도 4처럼 외측 삽입편(15)의 하단에 힌지(H)로 장착되어 통로(1a)를 개폐하는 회전판(41)과, 회전판(41)상에 외측 삽입편(15)으로 출몰하여 괘·해정하는 잠금쇠(45)를 구비한다. 여기서 회전판(41)의 일면에 일방향의 탄성력을 가진 잠금쇠(45)를 상하 운동이 가능하게 수용하는 유동홈(41a)과, 유동홈(41a)상에 잠금쇠(45)를 임의대로 유동되게 유도하는 조작홀(41b)이 형성되고, 회전판(41)의 일면에 잠금쇠(45)를 밀폐하는 커버(42)가 장착된다.
즉, 회전판(41)은 도 5처럼 탄성을 가진 잠금쇠(45)가 외측 삽입편(15)에 마련된 잠금홀로 상승하여 괘정되고, 거주자가 잠금쇠(45)를 하강시키면 즉시 해정되면서 통로(1a)가 개방된다. 개방된 회전판(41)은 도 8처럼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보조도어(30)를 통과한 배달물(P)을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여기서 잠금쇠(45)는 일면에 조작홀(41b)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노브가 형성되고, 하단에 압축스프링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판(50)은 도 3 및 도 4처럼 외측 삽입편(15)과 회전판(41)의 양단에 힌지(H)로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차단판(51)과, 차단판(51)끼리 서로 포개지게 연결하는 경첩(55)을 구비한다. 즉, 회전판(41)이 통로(1a)를 폐쇄한 경우에는 보호판(31)(32)과 인접하는 위치에 차단판(51)끼리 서로 포개진 상태를 가지고, 반대로 회전판(41)이 통로(1a)를 개방한 경우에는 도 6처럼 포개진 차단판(51)이 수평하게 펼쳐져 회전판(41)의 양측을 폐쇄시킨다. 이러한 측판(50)은 범죄자의 팔이 실내로 침투하여 현관도어(1)를 개폐하는 잠금장치의 접근을 차단시켜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안심도어를 사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육안으로 배달자를 확인한 후에 도 5처럼 잠금쇠(45)를 하강시켜 회전판(41)을 해정한다. 해정된 회전판(41)은 도 6처럼 수평상태로 회전하면서 통로(1a)가 개방됨과 동시에 포개진 차단판(51)이 펼쳐져 회전판(41)의 양측이 폐쇄된다. 이어서 배달자는 도 7처럼 한 손으로 하측 보호판(31)을 실내 측으로 밀어 준 상태에서 도 8처럼 다른 손으로 배달물(P)을 통로(1a)에 투입시켜 준다. 통로(1a)를 지난 배달물(P)은 하측 보호판(31)에 깔려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비용이나 영수증을 처리하면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현관도어 1a: 통로
P: 배달물 H: 힌지
10: 외판 11: 외측 고정판
15: 외측 삽입편 20: 내판
21: 내측 고정판 25: 내측 삽입편
30: 보조도어 31: 하측 보호판
31a: 걸림편 32: 상측 보호판
32a: 걸림홈 33: 지지대
35: 스프링 40: 메인도어
41: 회전판 41a: 유동홈
41b: 조작홀 42: 커버
45: 잠금쇠 50: 벽판
51: 차단판 55: 경첩

Claims (5)

  1. 실·내외를 경계하는 현관도어 상에 배달물만이 드나들도록 천공된 통로를 개폐하는 보조도어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주변으로 둘러져 현관도어에 밀착되는 틀형의 외·내측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내주면에 통로 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호 끼워지는 외·내측 삽입편을 일체로 구비하는 외·내판;
    상기 외측 삽입편의 상·하단에 힌지로 각각 장착되어 통로를 개폐하는 상·하측 보호판과, 상기 보호판 상에 통로를 상시 폐쇄시키는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보조도어;
    상기 외측 삽입편의 하단에 힌지로 장착되어 통로를 개폐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상에 외측 삽입편으로 출몰하여 괘·해정하는 잠금쇠를 구비하는 메인도어; 및
    상기 외측 삽입편과 회전판의 양단에 힌지로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끼리 서로 포개지게 연결하는 경첩을 구비하는 측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물용 안심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보호판은 실내로 침투된 팔에 고통을 주도록 서로 대향하는 선단을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물용 안심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보호판의 선단은 동시 개방을 억제하도록 서로 치합하는 걸림편과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물용 안심도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보호판은 통로에 투입된 배달물에 깔려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물용 안심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는 회전판의 일면에 일방향의 탄성력을 가진 잠금쇠를 상하 운동이 가능하게 수용하는 유동홈과, 상기 유동홈 상에 잠금쇠를 임의대로 유동되게 유도하는 조작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의 일면에 잠금쇠를 밀폐하는 커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물용 안심도어.
KR1020150118647A 2015-08-24 2015-08-24 배달물용 안심도어 KR101570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647A KR101570326B1 (ko) 2015-08-24 2015-08-24 배달물용 안심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647A KR101570326B1 (ko) 2015-08-24 2015-08-24 배달물용 안심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326B1 true KR101570326B1 (ko) 2015-11-18

Family

ID=54839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647A KR101570326B1 (ko) 2015-08-24 2015-08-24 배달물용 안심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3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1552A (zh) * 2016-10-11 2017-01-25 安徽卡塔门窗有限公司 多功能浴室门
CN113338773A (zh) * 2021-06-08 2021-09-03 厦门漠花纺织有限公司 一种安全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19B1 (ko) 2011-12-13 2014-01-09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방범도어가 구비된 현관출입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19B1 (ko) 2011-12-13 2014-01-09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방범도어가 구비된 현관출입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1552A (zh) * 2016-10-11 2017-01-25 安徽卡塔门窗有限公司 多功能浴室门
CN113338773A (zh) * 2021-06-08 2021-09-03 厦门漠花纺织有限公司 一种安全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8636B2 (en) Handgun mini-vault
US7762025B2 (en) Containerized access control system
US10709275B2 (en) Theft-resistant wall mount mailbox
US10337206B2 (en) Hidden-lock door panel and contain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1570326B1 (ko) 배달물용 안심도어
US20190345758A1 (en) Residential package delivery door system
JP5769351B1 (ja) 宅配ボックスの防雨構造
US6318628B1 (en) Single-door locking mailbox
US20180142497A1 (en) Door lock
CN108397079B (zh) 具有多级安全锁的信息安全用保密箱
KR101371174B1 (ko) 방범 출입문
CN104314414B (zh) 全自动保管箱智能看物间
KR101157164B1 (ko) 택배 도어
CN205452103U (zh) 自动柜员机及其密码键盘防窥罩
EP2835479A1 (en) Locker for a delivery or collection system
WO2012156659A1 (en) Parcel receiving device for door
KR100681848B1 (ko) 공동주택 현관문의 물품수납용 도어
CN207285766U (zh) 一种护士工作站
KR101430337B1 (ko) 현관문 방범 패널
KR200259031Y1 (ko) 도난방지용 우편함
JP6275402B2 (ja) 施解錠装置、扉付き構造物、配送物収納装置及びその施解錠装置を解錠する鍵
KR200163931Y1 (ko) 현관문에 설치되는 배달물 수취용 방범문
EP4252594A1 (en) Anti-theft package receiving device for arrangement on a barrier having an opening
CN209696136U (zh) 一种平开门的室内消火栓箱
RU56923U1 (ru) Запор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ткрывания-закрывания дверей дверного блока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