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848B1 - 공동주택 현관문의 물품수납용 도어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현관문의 물품수납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848B1
KR100681848B1 KR1020060115352A KR20060115352A KR100681848B1 KR 100681848 B1 KR100681848 B1 KR 100681848B1 KR 1020060115352 A KR1020060115352 A KR 1020060115352A KR 20060115352 A KR20060115352 A KR 20060115352A KR 100681848 B1 KR100681848 B1 KR 100681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ont door
opening
pair
insertion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훈
Original Assignee
(주)진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진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115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현관문에 설치되는 방범창을 구비한 물품수납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현관문(1)에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개방부(3)와, 상기 개방부(3)의 일측에 형성된 한쌍의 삽입공(6)과, 상기 개방부(3) 타측의 현관문(1)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7)와, 일측에 걸쇠(15)를 구비하고 상기 개방부(3)에 실내측으로 힌지결합된 도어(10)와, 일측에 한쌍의 삽입공(26)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3) 내에 설치되어 수용부(7) 내로 이동가능한 방범창(20)과, 상기 삽입공(6,26)에 삽입되고 상기 걸쇠(15)를 고정시켜 방범창(20)과 도어(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30)를 포함하므로, 현관문에 소형의 도어와 방범창이 설치됨으로써 방문자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방범창을 열어 배달물건이나 소포 등을 수납할 수 있고 부피가 큰 물건도 현관문을 열지않고 수납할 수 있어서 현관문을 엶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위험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공동주택, 현관문, 물품수납, 방범창

Description

공동주택 현관문의 물품수납용 도어{security receipt door in the front door of an apartment ho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물품수납용 도어가 현관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품수납용 도어를 설치한 현관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품수납용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의 현관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정구를 분리하고 방범창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현관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품수납용 도어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현관문의 내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품수납용 도어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현관문의 외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범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품수납용 도어를 설치한 현관문의 종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품수납용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방범창의 개폐동작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한 내측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품수납용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방범창의 개폐동작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한 내측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품수납용 도어를 설치한 현관문의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현관문 2:손잡이
3:개방부 4:내측패널
5:외측패널 6,26:삽입공
7:수용부 8:힌지구
9:턱 10:도어
11:도어패널 12:단열패드
13:미러 14:힌지축
15:걸쇠 16:볼트
20:방범창 21:프레임
22:창살 23:돌출볼트
24:롤러 25:너트
27:장공 30:고정구
31:삽입구 32:걸림구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현관문에 설치되는 방범창을 구비한 수납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에 수납도어를 구비하고 외측에 슬라이드식 방범창을 구비하여 방문자를 확인하면서 우편물이나 배달물을 수납할 수 있는 공동주택 현관문의 물품수납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주택의 현관문에는 우유, 요구르트, 신문과 같이 배달되는 물품을 실내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나, 배달물품이나 소포 등과 같이 부피가 큰 물건의 경우 상기 투입구로는 수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관문에는 투시경이 설치되어 있어서 방문자가 있을 경우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투시경은 시야의 범위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택배나 소포배달 등의 경우 외형상 배달부임을 확인하더라도 물건을 전달받기 위해서는 현관문을 열어야 하므로 배달부로 위장한 강도인 경우에는 대처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현관문에 소형의 도어와 방범창을 설치하여 방문자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방범창을 열 어 배달물건이나 소포 등을 수납함으로써 부피가 큰 물건도 현관문을 열지않고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현관문을 열게 되어 발생하게 되는 위험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 현관문의 물품수납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현관문에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개방부;
상기 개방부 일측의 현관문에 상하로 형성된 한쌍의 삽입공;
상기 개방부 타측의 현관문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
상기 개방부 타측의 상부 및 하부에 돌출형성된 한쌍의 힌지구;
직사각형상의 도어패널과, 상기 도어패널의 실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패드와, 사이 도어패널의 실내측에 부착되는 미러와, 상기 도어패널의 일측 단부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힌지축과, 상기 도어패널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쇠를 구비하여, 상기 개방부에 힌지결합되는 도어;
직사각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창살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적어도 2쌍의 롤러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하부에 형성된 한쌍의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들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된 장공을 구비하여, 상기 개방부와 수용부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부 내에 설치된 방범창; 및
상기 삽입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면의 상부와 하부에 돌출형성된 한쌍의 삽입구와, 상기 걸쇠가 걸릴 수 있도록 타면의 중앙에 돌출형성된 걸림구를 구비하 여, 상기 현관문에 삽입고정되고 상기 현관문에 도어를 밀착고정시키는 고정구; 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현관문의 물품수납용 도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 현관문의 물품수납용 도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물품수납용 도어가 현관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품수납용 도어를 설치한 현관문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품수납용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의 현관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정구를 분리하고 방범창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현관문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품수납용 도어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현관문의 내측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품수납용 도어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현관문의 외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의 물품수납용 도어는, 현관문(1)에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개방부(3)와, 상기 개방부(3)의 일측에 형성된 한쌍의 삽입공(6)과, 상기 개방부(3) 타측의 현관문(1)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7)와, 일측에 걸쇠(15)를 구비하고 상기 개방부(3)에 실내측으로 힌지결합된 도어(10)와, 일측에 한쌍의 삽입공(26)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3) 내에 설치되어 수용부(7) 내로 이동가능한 방범창(20)과, 상기 삽입공(6,26)에 삽입되고 상기 걸쇠(15)를 고정시켜 방범창(20)과 도어(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구(30)를 포함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관문(1)은 내측패널(4)과 외측패널(5)로 이루어져 있고, 일측에는 상기 내외측패널(4,5)을 관통하여 설치된 손잡이(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현관문(1)의 상부 일측에는 직사각형상의 개방부(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부(3)의 일측에는 한쌍의 삽입공(6)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부(3)의 타측에는 수용부(7)가 현관문(1)의 내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부(3) 타측의 실내쪽에는 상부와 하부에 한쌍의 힌지구(8)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방부(3)의 내측과 수용부(7)는 내측패널(4)과 외측패널(5) 사이에 상하로 형성된 턱(9)에 의하여 형성되는 연속하는 하나의 공간을 형성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도어(1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어(10)는 개방부(3)에 힌지결합되는 부재로서, 직사각형상의 도어패널(11)에 실외측으로 단열패드(12)가 부착되어 있고, 실내측에는 미러(13)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패널(11)의 일측 단부에는 힌지축(14)이 수직으로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 힌지축(14)의 양 단부를 한쌍의 힌지구(8)에 각각 삽입한 다음 힌지축(14)의 단부를 너트로 결합하면 상기 도어(10)는 힌지구(8)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된다.
또한, 상기 도어패널(11)의 타측에는 걸쇠(15)가 볼트(16)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걸쇠(15)는 하기에서 설명할 고정구(30)의 걸림구(32)에 결속되는 부재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범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방범창(2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방범창(20)은 개방부(3) 내에 설치된 부재로서, 상부와 하부가 두껍고 좌우가 얇은 직사각형상의 프레임(21)과, 상기 프레임(21)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창살(2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1)의 상부와 하부에는 적어도 2쌍의 롤러(24)를 양측으로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롤러(24)는 상하부의 양단 및 양측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볼트(23)에 삽입되고 너트(25)로 고정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21)의 일측에는 한쌍의 삽입공(26)이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26)들 사이에는 장공(27)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범창(20)은 현관문(1)의 내부에 형성된 턱(9)을 따라 개방부(3)와 수용부(7)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구(30)는 현관문(1)에 삽입고정되고 상기 현관문(1)에 도어(10)를 밀착고정시키는 부재로서, 한쌍의 삽입구(31)와 걸림구(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한쌍의 삽입구(31)는 고정구(30) 일면의 상부와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삽입공(6,26)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구(32)는 타면의 중앙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도어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걸쇠(15)가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품수납용 도어를 설치한 현관문의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품수납용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방범창의 개폐동작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한 내측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품수납용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방범창의 개폐동작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한 내측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품수납용 도어를 설치한 현관문의 횡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 현관문의 물품수납용 도어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문자가 없는 평상시에는 방범창(20)이 개방부(3) 내에 삽입되고, 고정구(30)의 삽입구(31)가 현관문(1)의 삽입공(6)과 방범창(20)의 삽입공(26)을 관통하여 고정되며, 도어(10)의 걸쇠(15)가 상기 고정구(30)의 걸림구(32)에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방문자가 벨을 누르거나 노크를 하면, 거주자는 고정구(30)의 걸림구(32)에 결속되어 있는 걸쇠(15)를 해제시키고 도어(10)를 개방시켜 방문자를 확인한다.
이때, 방문자가 물품이나 소포 등과 같은 물건을 전달하는 경우, 거주자는 고정구(30)를 실내쪽으로 당겨서 삽입구(31)가 삽입공(6,26)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탈상태가 되도록 상기 고정구(30)를 분리시킨다.
이렇게 하면, 방범창(20)은 개방부(3) 내부 및 수용부(7)에서 턱(9)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거주자는 방범창(20)을 수용부(7) 속으로 밀어 넣어 개방부(3)를 완전히 개방시킨다.
따라서, 거주자는 상기 개방부(3)를 통하여 방문자로부터 물건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되며, 불법적인 침입을 노리는 방문자라 하더라도 실내로 침입할 수는 없다.
이러한 상황이 종료된 후 거주자는 장공(27)을 이용하여 방범창(20)을 개방구(3) 위치로 당긴 다음 고정구(30)의 삽입구(31)를 삽입공(6,26)에 다시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도어(10)를 닫아 걸쇠(15)를 걸림구(32)에 결속시키면 원래의 초기상태로 원위치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현관문의 물품수납용 도어에 의하면, 현관문에 소형의 도어와 방범창을 설치하여 방문자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방범창을 열어 배달물건이나 소포 등을 수납함으로써 부피가 큰 물건도 현관문을 열지않고 수납할 수 있어서 현관문을 엶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위험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현관문(1)에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개방부(3);
    상기 개방부(3) 일측의 현관문(1)에 상하로 형성된 한쌍의 삽입공(6);
    상기 개방부(3) 타측의 현관문(1)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7);
    상기 개방부 타측의 상부 및 하부에 돌출형성된 한쌍의 힌지구(8);
    직사각형상의 도어패널(11)과, 상기 도어패널(11)의 실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패드(12)와, 사이 도어패널(11)의 실내측에 부착되는 미러(13)와, 상기 도어패널(11)의 일측 단부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힌지축(14)과, 상기 도어패널(11)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쇠(15)를 구비하여, 상기 개방부(3)에 힌지결합되는 도어(10);
    직사각형상의 프레임(21)과, 상기 프레임(21)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창살(22)과, 상기 프레임(21)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적어도 2쌍의 롤러(24)와, 상기 프레임(21)의 일측 상하부에 형성된 한쌍의 삽입공(26)과, 상기 삽입공(26)들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된 장공(27)을 구비하여, 상기 개방부(3)와 수용부(7)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부(3) 내에 설치된 방범창(20); 및
    상기 삽입공(6,26)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면의 상부와 하부에 돌출형성된 한쌍의 삽입구(31)와, 상기 걸쇠(15)가 걸릴 수 있도록 타면의 중앙에 돌출형성된 걸림구(32)를 구비하여, 상기 현관문(1)에 삽입고정되고 상기 현관문(1)에 도어(10)를 밀착고정시키는 고정구(30); 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현관문의 물품수납용 도어.
KR1020060115352A 2006-11-21 2006-11-21 공동주택 현관문의 물품수납용 도어 KR100681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352A KR100681848B1 (ko) 2006-11-21 2006-11-21 공동주택 현관문의 물품수납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352A KR100681848B1 (ko) 2006-11-21 2006-11-21 공동주택 현관문의 물품수납용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1848B1 true KR100681848B1 (ko) 2007-02-12

Family

ID=38106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352A KR100681848B1 (ko) 2006-11-21 2006-11-21 공동주택 현관문의 물품수납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8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992B1 (ko) * 2009-06-02 2012-01-16 박성배 현관용 안전 도어
KR101157164B1 (ko) * 2008-12-29 2012-07-03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택배 도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999-9986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164B1 (ko) * 2008-12-29 2012-07-03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택배 도어
KR101104992B1 (ko) * 2009-06-02 2012-01-16 박성배 현관용 안전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6952B2 (en) Secured receiving arrangement for a delivered parcel
JP2004316228A (ja) 防犯用ドアー装置
US6684570B1 (en) Door lock system
GB2424919A (en) Container securing device including a length of flexible material
KR101879621B1 (ko) 현관문 부착용 접이식 택배함
ES2619607T3 (es) Aparato de puesta a disposición, sistema de puesta a disposición y procedimiento para puesta a disposición de una unidad de entrega
KR100681848B1 (ko) 공동주택 현관문의 물품수납용 도어
US8505168B1 (en) Non-invasive door hinge mounted support
KR101955008B1 (ko) 축사용 도어의 잠금장치
KR101371174B1 (ko) 방범 출입문
JPH09118391A (ja) 配送品受取りボックス
KR20070103643A (ko) 방범 출입문
KR101157164B1 (ko) 택배 도어
KR200337278Y1 (ko) 방범 안전 현관문
KR101430337B1 (ko) 현관문 방범 패널
JP6902713B2 (ja) 荷受けボックス
KR100564941B1 (ko)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
KR20210087313A (ko) 스마트게이트
GB2449287A (en) Security apparatus using a padlock
KR20140044729A (ko) 현관문에 장착되는 보조문, 및 이를 구비하는 현관문
GB2512582A (en) Door blocking arrangement
KR20160106329A (ko) 현관문용 힌지장치
JPH04258489A (ja) ドア装着型荷物受箱
JP5378082B2 (ja) ドア装置
JP3167664U (ja) 小窓付き防犯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