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941B1 -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 - Google Patents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941B1
KR100564941B1 KR1020050117633A KR20050117633A KR100564941B1 KR 100564941 B1 KR100564941 B1 KR 100564941B1 KR 1020050117633 A KR1020050117633 A KR 1020050117633A KR 20050117633 A KR20050117633 A KR 20050117633A KR 100564941 B1 KR100564941 B1 KR 100564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article
enclosure
shutt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일
Original Assignee
정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일 filed Critical 정영일
Priority to KR1020050117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방 상단부와 후방 하단부에 각각 물품 투입구와 물품 인출구를 구비하고 주택의 현관 벽체에 매립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속이 빈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측 상방부 양 모서리부에 고정 설치되는 투입구 셔터 레일과; 함체의 내측 하방부 양 모서리부에 고정 설치되는 인출구 셔터 레일과; 상기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 레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리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품 투입구 및 물품 인출구를 개폐시켜 주는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현관문에 물품 투입구를 형성시킴으로 인하여 이를 통해 현관문을 열고 도난사고를 일으키는 것을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고, 실내 미관을 향상시키고 현관문을 통한 출입시의 장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배달물품을 훼손이나 분실 없이 실내에서 정확하게 수취할 수 있고, 함체 내에 이미 투입되어 있는 각종 배달물품의 분실 및 도난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외부인이 함체의 물품 투입구 및 인출구를 통해 외부에서 각종 도구를 실내로 투입하여 현관문의 도어 록을 해정하고 실내로 잠입함으로 인한 도난사고 등 각종 범죄를 완벽히 차단할 수 있으며, 각종 배달물품의 분실 및 도난을 2중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방음 및 방열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고, 또한 불특정인들이 함체 내로 각종 이물질을 투입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배달물품, 벽체, 함체, 셔터, 투입구, 인출구, 고정구, 쇄정구

Description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 {A receiving box for delivery goods in the wall}
도 1은 본 발명 수취함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수취함에 배달물품이 투입되는 상태의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수취함으로부터 배달물품을 인출할 때의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수취함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함체 2,3 :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 레일
4,5 :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 6 : 고정구
7 : 쇄정구 8 : 도어
9 : 완충부재 11 : 물품 투입구
12 : 물품 인출구 13 : 칸막이
61 : 영구자석 62 : 철판
81 : 힌지 100 : 배달물품
200 : 벽체
본 발명은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빌라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현관 벽체에 셔터를 구비한 물품 투입구와 인출구가 각각 외측 상방부와 내측 하방부에 위치되도록 형성한 함체를 매설하여 우유나 요구르트 또는 신문을 포함한 우편물 등을 간편하면서도 훼손이나 분실 없이 실내에서 정확하게 수취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문이나 우유 또는 요구르트 등의 일일용품들은 필요에 따라서 소비자가 직접 상점에서 구매하기도 하지만, 대개는 물품이 갖는 특성상 대리점에서 구매 신청한 가정으로 매일 배달해주는 방식으로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일일용품들은 현대사회의 생활에서 상당히 중요하게 쓰이는 물품들로서, 대부분의 가정에서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가정으로 배달되는 물품들은 통상 구매 가정의 현관문 앞에 그냥 놓고 가거나 구매자를 불러내어 직접 전달함으로써 배달하게 되는바, 적지 않은 문제들이 야기된다.
즉, 배달물품을 현관문 앞에 그냥 놓고 갈 경우에는 분실 내지는 도난의 우려가 매우 많아 판매자와 구매자 간에 책임논쟁이 발생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배달물품을 구매자에게 직접 전달하는 경우에는 이른 새벽에 각 가정마다 일일이 초인종을 눌러 취침중인 구매자를 깨워야 하는 번잡함과 그에 따른 배달시간의 지연이 초래되고, 구매자에게는 불필요한 새벽 기상이 요구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칫 이웃집에 불편을 끼칠 우려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여러 가구가 공동의 통로를 이용하고, 현관문 하나에 의해 실내·외가 바로 연결되는 구조의 아파트나 빌라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아파트나 빌라 등의 공동주택 현관문에 실내·외를 연결할 수 있는 적정크기의 물품 투입구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신문이나 우유 등 각종 배달물품들을 각 가정의 실내로 간편하게 투입시킴으로써 물품의 분실 및 도난과 사생활 침해의 우려 없이 안전하게 배달물품을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현관문의 물품 투입구는 물품의 배달을 위해 외부 및 내부커버의 자유로운 개폐가 요구되는바, 그를 통해 외부에서 각종 도구를 실내로 투입하여 도어 록(door lock)을 손쉽게 해제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도난사고 등 각종 범죄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품 투입구의 본래 기능은 유지하면서 실내를 관측할 수 없도록 한 소위 방범형 물품 투입구가 다수 제공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90886호와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00-0016033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0124585호를 예로 들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190886호는, 외측 지지부재에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는 덮개에 걸림공을 형성하고, 내측 지지부재의 내주면에 덮개의 걸림공에 끼워짐으로써 덮개를 폐쇄상태로 고정시키는 덮개 잠금구를 설치하여 물품 투입구를 통한 외부물질의 불필요한 출입을 차단함과 함께, 투입구를 이용한 도난사고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투입구 이중 잠금장치는 신청한 배달물품을 받기 위해서 배달 예측시간에 맞춰 덮개의 잠금을 해제해 놓아야 하고, 물품을 배달받은 후나 외출시에는 다시 덮개를 잠가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자칫 덮개의 해제와 잠금을 잊어버릴 우려가 있으며, 이 경우 배달물품의 투입이 불가하거나 물품 투입구를 이용한 도난사고의 위험을 피할 수 없다.
공개실용신안공개 제2000-0016033호는 현관문의 내면에 물품 투입구의 내부커버를 감싸서 수용하도록 용기 형태의 캡을 설치하고, 캡의 주면 한쪽에 개구를 형성함과 함께 그 개구를 자중에 의해 폐쇄하는 덮개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물품을 밀어 넣을 때만 개구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물품 투입구를 이용한 도난사고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역시 막대기 등을 물품 투입구에 밀어 넣어 캡의 개구를 개방시킬 수 있는바, 캡의 개구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예컨대 소형카메라가 구비된 별도의 자물쇠 해제도구를 집안으로 투입할 수 있기 때문에 물품 투입구를 이용한 도난사고의 예방에 그다지 기여하지 못하였다.
특히, 캡이 현관문에 부착되어 불쑥 튀어나와 있으므로 실내 미관을 크게 헤 칠뿐만 아니라 출입시에 부딪칠 우려가 있는 등 현관이용에 상당한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등록실용신안 제0124585호는, 물품 투입구의 내측 고정판재 양측 변에 접철식 분할 측벽의 전단을 힌지 조립함과 함께 두 분할 측벽의 후단에 후벽을 힌지 조립하여 내측 고정판재에 스프링으로 연결하고, 내측 고정판재의 상측 변에 차폐 상벽을 힌지 조립함으로써 평시에는 분할 측벽이 스프링에 의해 접혀져서 물품 투입구를 차단하고 있다가 외부에서 배달물품을 투입할 경우에만 그 투입력에 의해 분할 측벽이 펼쳐지면서 하부의 개구를 통해 물품이 실내로 투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배달물 투입구는 설치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실내의 미관을 해치는 것과 출입장애는 해소할 수 있지만, 물품투입구를 이용한 도난사고를 확실히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물품 투입경로가 두 접철식 분할 측벽과 후벽 및 차폐 상벽으로만 구성되고 하부는 물품의 배출을 위해 개구되어 있는데, 실내에서 투입된 물품을 수취하기 위해서는 투입 경로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상 떨어져야 하기 때문에 막대기 등을 이용하여 투입 경로부를 펼쳐서 고정한 뒤 그 하부의 개구를 통해 소형카메라가 부착된 자물쇠 해제도구를 실내로 투입할 수 있으므로 도난사고를 확실히 방지하기 어려운 것이다.
또한, 물품이 투입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분할 측벽이 초기위치로 접혀지게 되는바, 예를 들어 배달물품이 1000㎖팩의 우유와 같이 비교적 큰 물품일 경우에는 물품이 후판과 도어 사이에 끼여 투입경로의 개구가 개방 상태로 있게 됨은 물론 우유팩이 찌그러지는 등 물품의 손상 우려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배달 투입된 물품이 실내의 현관 바닥에 놓이게 되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오염되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현관문의 배달물품 수취함으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9169호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현관문의 내면에 고정되며 물품투입구와 연통하는 물품유입슬롯을 갖는 전판과, 물품인출슬롯을 가지고 전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물품인출슬롯을 개폐시키는 커버 및 이 커버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기 위한 로커를 갖는 후판과, 각각 힌지수단에 의해 접철 가능하게 조립된 2개의 단위체로 이루어지고 서로 마주보도록 각 단위체의 자유단이 전판과 후판의 대응하는 변에 힌지수단으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의 측판과, 각각 힌지수단에 의해 접철 가능하게 조립된 2개의 단위체로 이루어지고 서로 마주보도록 각 단위체의 자유단이 전판과 후판의 상·하 변에 힌지수단으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하판과, 각 측판과 상·하판의 단위체들이 서로 접혀지도록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수단 및 일정크기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소정의 경보음을 발령하는 경보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의 배달물품 수납함은 평시에는 최소의 부피로 접혀져서 현관문의 물품투입구를 완전히 폐쇄하고 있다가 외부로부터 배달물품이 투입될 경우에만 그 부피에 의해 펼쳐지면서 배달물품을 수납상태로 안전하게 수취할 수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전술한 모든 수납함들과 함께 현관문에 물품투입구 를 형성시키고 이에 수납함을 절첩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이므로 평상시에는 별 지장이 없으나, 배달물품이 수납함으로 투입된 경우 수납함이 펼처져 현관문 내측으로 돌출되므로 실내 미관을 크게 해칠 뿐만 아니라 출입시에 부딪칠 우려가 있는 등 현관이용에 상당한 장애를 초래하는 것은 마찬가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셔터를 구비한 물품 투입구와 인출구가 각각 외측 상방부와 내측 하방부에 위치되도록 형성한 직사각형의 함체를 현관문과 상관없는 현관 벽체에 매설하여 우유나 요구르트 또는 신문을 포함한 우편물 등을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수취할 수 있음은 물론 현관문에 물품 투입구를 형성시킴으로 인하여 이를 통해 현관문을 열고 도난사고를 일으키는 것을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는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관문의 형상은 그대로 유지시킨 채 현관의 벽체 내에 직사각형의 함체를 매립 설치함으로써 실내 미관을 향상시키고 현관문을 통한 출입시의 장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투입되는 배달물품이 물품 투입구 셔터에 의해 1차적으로 받쳐졌다가 셔터가 닫혀지면 함체의 저면으로 낙하되도록 하여 훼손이나 분실 없이 실내에서 정확하게 수취할 수 있는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 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품 투입구의 셔터가 열려지면 함체의 중간부가 막혀지도록 하여 함체 내에 이미 투입되어 있는 각종 배달물품의 분실 및 도난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외부인이 함체의 물품 투입구 및 인출구를 통해 외부에서 각종 도구를 실내로 투입하여 현관문의 도어 록을 해정하고 실내로 잠입함으로 인한 도난사고 등 각종 범죄를 완벽히 차단할 수 있는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품 투입구의 셔터 전방부에 별도의 여닫이식 도어를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물품 투입구의 셔터 및 여닫이식 도어에 쇄정구를 설치하여 각종 배달물품의 분실 및 도난을 2중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방음 및 방열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고, 또한 불특정인들이 함체 내로 각종 이물질을 투입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 상단부와 후방 하단부에 각각 물품 투입구와 물품 인출구를 구비하고 주택의 현관 벽체에 매립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속이 빈 함체와; "ㄷ"자 형상을 갖는 비임을 전방부 하부 일부만 개구되도록 "ㅁ"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하여 상기 함체의 내측 상방부 양 모서리부에 고정 설치되는 투입구 셔터 레일과; "ㄷ"자 형상을 갖는 비임을 상방부가 개구되는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하여 상기 함체의 내측 하방부 양 모서리부에 고정 설치되는 인출구 셔터 레일과; 상기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 레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리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품 투입구 및 물품 인출구를 개폐시켜 주는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로 구성한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물품 투입구와 물품 인출구는 함체의 전방의 상방부 및 후방의 하방부에서 돌출되게 형성시켜 상기 물품 투입구 및 물품 인출구를 제외한 함체의 대부분이 벽체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구 셔터를 열면 그 후방부 일부가 상기 함체의 중간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를 갖는 투입구 셔터 레일의 하방 수평부에 위치되어 함체의 중간부를 막아주는 형태를 갖도록 하여 물품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각종 배달물품이 이에 걸려졌다가 투입구 셔터가 닫혀 질 때 함체의 하방부로 자유 낙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함체 내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 셔터 레일의 하방 수평부 사이에는 투입구 셔터가 열려질 때 투입구 셔터에 의해 상방향으로 밀려 회동되며 투입구 셔터 레일의 하방 수평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막아주는 칸막이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의 자유단부와 함체 사이에는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가 닫혀 있을 때 자유롭게 열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영구자석과 철판으로 구성되는 셔터 고정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투입구 셔터와 함체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투입구 셔터가 불특정인에 의해 열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쇄정구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투입구 셔터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 투입구의 전방부에는 여닫이식 도어를 부가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여닫이식 도어와 함체 사이에 쇄정구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체의 바닥면에는 배달물품의 낙하시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수취함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수취함에 배달물품이 투입되는 상태의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수취함으로부터 배달물품을 인출할 때의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 수취함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수취함은, 전방 상단부와 후방 하단부에 각각 물품 투입구(11)와 물품 인출구(12)를 구비하고 주택의 현관 벽체(200)에 매립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속이 빈 함체(1)와;
"ㄷ"자 형상을 갖는 비임을 전방부 하부 일부만 개구되도록 "ㅁ"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하여 상기 함체(1)의 내측 상방부 양 모서리부에 고정 설치되는 투입구 셔터 레일(2)과;
"ㄷ"자 형상을 갖는 비임을 상방부가 개구되는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하 여 상기 함체(1)의 내측 하방부 양 모서리부에 고정 설치되는 인출구 셔터 레일(3)과;
상기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 레일(2)(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리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품 투입구(11) 및 물품 인출구(12)를 개폐시켜 주는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4)(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물품 투입구(11)와 물품 인출구(12)는 금속판재나 합성수지재에 의해 성형되는 함체(1)의 전방 상방부 및 후방 하방부에서 돌출되게 형성시켜 상기 함체(1)를 벽체(200)에 매립 설치하였을 때 상기 물품 투입구(11) 및 물품 인출구(12)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구 셔터(4)의 후방부 일부는 투입구 셔터(4)가 열려졌을 때 상기 함체(1)의 중간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를 갖는 투입구 셔터 레일(2)의 하방 수평부(21)에 위치되어 함체(1)의 중간부를 막아주는 형태를 갖도록 하여 상기 물품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되는 각종 배달물품(100)이 이에 걸려졌다가 투입구 셔터(4)가 닫혀 질 때 함체(1)의 하방부로 자유 낙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투입구 셔터 레일(2)의 하방 수평부(21) 사이에는 투입구 셔터(4)가 열려질 때 투입구 셔터(4)에 의해 상방향으로 밀려 회동되며 투입구 셔터 레일(2)의 하방 수평부(21)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막아주는 칸막이(13)를 함체(1)의 측벽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4)(5)의 자유단부와 함체(1) 사이에는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4)(5)가 닫혀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구(6)를 설 치하되, 상기 고정구(6)는 영구자석(61)과 철판(62)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투입구 셔터(4)와 함체(1)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투입구 셔터(4)가 불특정인에 의해 열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쇄정구(7)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 셔터(4)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 투입구(11)의 전방부에는 함체(1)에 설치된 힌지(81)를 중심으로 여닫아지는 여닫이식 도어(8)를 부가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여닫이식 도어(8)와 함체(1) 사이에도 쇄정구(7)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체(1)의 바닥면에는 배달물품(100)의 낙하시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부재(9)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0은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4)(5)에 각각 설치된 손잡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수취함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수취함은 크게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 속이 빈 함체(1)와,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 레일(2)(3),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4)(5)로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4)(5)와 함체 사이에 고정구(6)와 쇄정구(7)를 설치하고, 또 상기 투입구 셔터(4)의 전방부에 도어(8)를 설치함은 물론 투입구 셔터(4)와 함체(1) 사이에도 쇄정구(7)를 설치한 것을 주요 구성 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함체(1)는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거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직사각형으로 사출 성형하게 되는데, 상기 함체(1)의 전방 상단부와 후방 하단부에는 각각 물품 투입구(11)와 물품 인출구(12)를 돌출되게 형성한 구성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함체(1)는 물품 투입구(11)와 물품 인출구(12)가 멀리 떨어지도록 길게 형성시켜 상기 물품 투입구(11)를 통해 불특정인이 손이나 각종 물체를 넣어 물품 인출구(12)를 통해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함체(1)를 주택의 현관 벽체(200)에 매립 설치되면 함체(1)의 대부분은 벽체(200)내에 매설되고 전방 상방부 및 후방 하방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상기 물품 투입구(11) 및 물품 인출구(12)만 벽체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므로 불특정인에 의해 함체(1)가 파괴 및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구 셔터 레일(2)은 "ㄷ"자 형상을 갖는 비임을 전방부 하부 일부만 개구되도록 "ㅁ"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이와 같은 투입구 셔터 레일(2)은 상기 함체(1)의 내측 상방부에서 양 모서리부를 따라 고정 설치된다.
또, 상기 인출구 셔터 레일(3)는 "ㄷ"자 형상을 갖는 비임을 상방부가 개구되는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하여 상기 함체(1)의 내측 하방부 양 모서리부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4)(5)는 기 알려진 셔터들과 같이 작은 판체를 힌지를 통해 상호 연속해서 연결시킨 구성을 갖는 것으로, 이들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4)(5)의 양측면은 상기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 레일(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4)(5)에 각각 설치된 손잡이(10)를 잡고 상부로 올리거나 하부로 내려주는 동작으로 상기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4)(5)들이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 레일(2)(3)을 따라 각각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물품 투입구(11) 및 물품 인출구(12)를 개폐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투입구 셔터 레일(2)은 "U"자 형상으로 절곡된 인출구 셔터 레일(3)과 달리 전방부 하부 일부만 개구된 "ㅁ"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므로 상기 투입구 셔터(4)를 열었을 때 상기 투입구 셔터(4)의 후방부 일부가 상기 함체(1)의 중간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를 갖는 투입구 셔터 레일(2)의 하방 수평부(21)에 위치되어 함체(1)의 중간부를 막아주는 형태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물품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되는 각종 배달물품(100)이 도 2와 같이 투입구 셔터 레일(2)의 하방 수평부(21)에 위치되어 함체(1)의 중간부를 가로막고 있는 투입구 셔터(4)의 후방 일부에서 걸린 상태를 유지하다가(즉, 선반 위에 올려진 것처럼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투입구 셔터(4)가 닫혀짐으로 인해 투입구 셔터(4)의 후방 일부가 투입구 셔터 레일(2)의 하방 수평부(21)에서 벋어나는 순간 함체(1)의 하방부로 자유 낙하되므로 사용자가 배달물품(100)을 훼손이나 분실 없이 실내에서 정확하게 수취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물품 투입구(11)의 투입구 셔터(4)가 열려지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함체(1)의 중간부가 투입구 셔터(4)에 의해 막혀지므로 함체(1) 내에 이미 투입되어 있는 각종 배달물품의 분실 및 도난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외부인이 함체(1)의 물품 투입구(11) 및 물품 인출구(12)를 통해 외부에서 각종 도구를 실내로 투입하여 현관문의 도어 록을 해정하고 실내로 침입함으로 인한 도난사고 등 각종 범죄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물품 투입구(11)의 투입구 셔터(4)가 완전히 열려질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함체(1)의 중간부가 투입구 셔터(4)에 의해 막혀지나, 일부만 열었을 경우 함체(1)의 중간부도 투입구 셔터(4)에 의해 완벽히 막혀지지 않아 외부인이 상기와 같이 일부 열려진 함체(1)의 물품 투입구(11)와 중간부의 틈새 및 물품 인출구(12)를 통해 외부에서 각종 도구를 실내로 투입하여 현관문의 도어 록을 해정하고 실내로 침입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함체(1) 내에 있어서 투입구 셔터 레일(2)의 하방 수평부(21) 사이에 칸막이(13)를 부가 설치하여 는 투입구 셔터(4)가 조금만 열리더라도 상기 투입구 셔터(4)의 후방부에 의해 칸막이(13)가 상방향으로 회동되며 투입구 셔터 레일(2)의 하방 수평부(21)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막아주도록 함으로써 외부인이 상기와 같이 일부 열려진 함체(1)의 물품 투입구(11)와 중간부의 틈새 및 물품 인출구(12)를 통해 각종 도구를 실내로 투입하여 현관문의 도어 록을 해정하고 실내로 침입함으로 인한 도난사고 등 각종 범죄를 완벽히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칸막이(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 셔터(4)가 조금만 열리더라도 상기 투입구 셔터(4)의 후방부에 의해 밀려 상방향으로 회동되며 도 2 의 실선과 같이 투입구 셔터 레일(2)의 하방 수평부(21)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막아주었다가 상기 투입구 셔터(4)가 다시 닫히면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도 3의 실선과 같은 형태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달물품(100)의 투입시 함체(1)의 중간부에서 투입구 셔터(4)의 후단부에 걸려졌다가 투입구 셔터(4)가 닫혀짐으로 인해 배달물품(100)이 함체(1)의 바닥면으로 떨어질 때 강한 충격으로 인해 용기가 깨지는 등의 훼손이 발생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함체(1)의 바닥면에 스폰지나 스치로폼 등과 같은 완충부재(9)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배달물품(100)의 낙하시 함체(1) 바닥면과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배달물품(100)이 투입시의 충격으로 인해 손상 및 훼손되는 것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4)(5)를 그대로 둘 경우 상기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4)(5)의 무게 자체 또는 외부에서 충격 등을 가했을 경우 상부나 하부로 승강 및 하강하여 물품 투입구(11) 및 물품 인출구(12)가 개방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4)(5)의 자유단부와 함체(1) 사이에는 영구자석(61)과 철판(62)으로 구성되는 고정구(6)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4)(5)가 고정구(6)의 철판(62)에 달라붙은 영구자석(61)의 자력에 의해 닫혀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불특정인들이 상기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4)(5)가 사용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열려진 물품 투입구(11) 및 물품 인출구(12)를 통해 각종 이물질을 함 체(1)내로 투입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물품 투입구(11)와 물품 인출구(12)를 통해 내외부 공기가 유통됨으로 인한 실내의 온도 변화를 포함하여 먼지 및 소음의 유입으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이 상기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4)(5)와 함체(1) 사이에 고정구(6)를 설치하였다 할지라도 물품 투입자나 배달물품 수취인 등이 언제든지 상기 고정구(6)의 영구자석(61) 자력보다 큰 힘을 가하여 상기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4)(5)를 강제적으로 열게 되면 상기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4)(5)는 열려지게 되므로 상기 물품 투입구(11)를 통해 함체(1) 내로 배달물품(100)을 투입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함체(1) 내로 투입된 배달물품(100)을 수취인이 실내에서 인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수취인의 입장에 있어서 배달받을 물품이 없는데도 불과하고 상기와 같이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4)(5)와 함체(1) 사이에 고정구(6)만 설치된 경우 불안함을 갖게 된다.
즉, 비록 상기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4)(5)와 함체(1) 사이에 고정구(6)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외부에서 상기 투입구 셔터(4)를 자유롭게 열 수 있는 상태이므로 외부에서 불특정인들이 상기 투입구 셔터(4)를 열고 물품 투입구(11)를 통해 함체(1) 내로 각종 이물질 등을 투입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투입구 셔터(4)와 함체(1) 사이에는 쇄정구(7)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예를 들어, 물품을 배달받을 만한 것이 없을 경우) 사용자가 상기 투입구 셔터(4)를 함체(1)에 고정시켜 외부에서 열 수 없도록 할 수 있 어 불특정인이 상기 투입구 셔터(4)를 열고 물품 투입구(11)를 통해 함체(1) 내로 각종 이물질 등을 투입시킴으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품 투입구(11)에 비록 투입구 셔터(4)를 설치하여 주었으나 상기 투입구 셔터(4) 자체의 강도가 약할 경우 외부에서 강한 충격을 가했을시 투입구 셔터(4)가 훼손될 우려가 있고, 또한 함체(1)의 물품 투입구(11)와 물품 인출구(12)에 설치된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4)(5)만으로 방음 및 실,내외의 열기 유통을 방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투입구 셔터(4)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 투입구(11)의 전방부에는 도 4와 같이 함체(1)에 설치된 힌지(81)를 중심으로 여닫을 수 있는 여닫이식 도어(8)를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써 각종 배달물품의 분실 및 도난을 2중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방음 및 방열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여닫이식 도어(8)는 측면부 또는 상면부 중 어느 한 면에 힌지(81)를 설치하여 도어(8) 자체를 측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수취함이 설치되는 벽체(200)의 폭이나 현관문과의 거리 등을 감안하여 선택하면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여닫이식 도어(8)와 함체(1) 사이에도 필요에 따라서는 쇄정구(7)를 더 설치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데, 물론 이와 같이 여닫이식 도어(8)와 함체(1) 사이에 쇄정구(7)를 설치할 경우는 이미 상기 여닫이식 도어(8)에 의해 상기 투입구 셔터(4)가 노출되지 않고 감싸진 형태를 갖게 되므로 불필요한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상기 투입구 셔터(4) 와 함체(1) 사이에는 쇄정구(7)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실내에서는 도 3과 같이 인출구 셔터(5)를 하방부로 내려 열고 물품 인출구(12)를 통해 완충부재(9)의 상면부에 올려져 있는 배달물품(100)을 꺼내어 수취한 후 다시 인출구 셔터(5)를 상방부로 올려 주는 동작만으로 물품 인출구(12)를 닫아주면 된다.
전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수취함에 의하면, 첫째 셔터를 구비한 물품 투입구와 인출구가 각각 외측 상방부와 내측 하방부에 위치되도록 형성한 직사각형의 속이 빈 함체를 현관문과 상관없는 현관 벽체에 매설함으로써 우유나 요구르트 또는 신문을 포함한 우편물 등을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수취할 수 있음은 물론 현관문에 물품 투입구를 형성시킴으로 인하여 이를 통해 현관문을 열고 도난사고를 일으키는 것을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다.
둘째 현관문의 형상은 그대로 유지시킨 채 현관의 벽체 내에 직사각형의 함체를 매립 설치함으로써 실내 미관을 향상시키고 현관문을 통한 출입시의 장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외부에서 투입되는 배달물품이 물품 투입구 셔터에 의해 1차적으로 받 쳐졌다가 투입구 셔터가 닫혀지면 함체의 저면으로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배달물품을 훼손이나 분실 없이 실내에서 정확하게 수취할 수 있다.
넷째 물품 투입구의 셔터가 열려지면 함체의 중간부가 막혀지도록 하여 함체 내에 이미 투입되어 있는 각종 배달물품의 분실 및 도난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외부인이 함체의 물품 투입구 및 인출구를 통해 외부에서 각종 도구를 실내로 투입하여 현관문의 도어 록을 해정하고 실내로 침입함으로 인한 도난사고 등 각종 범죄를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다섯째 물품 투입구의 투입구 셔터 전방부에 별도의 여닫이식 도어를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물품 투입구의 셔터 및 여닫이식 도어에 쇄정구를 설치하여 각종 배달물품의 분실 및 도난을 2중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방음 및 방열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고, 또한 불특정인들이 함체 내로 각종 이물질을 투입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9)

  1. 전방 상단부와 후방 하단부에 각각 물품 투입구와 물품 인출구를 구비하고 벽체에 매립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속이 빈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측 상방부 양 모서리부에 고정 설치되는 투입구 셔터 레일과;
    상기 함체의 내측 하방부 양 모서리부에 고정 설치되는 인출구 셔터 레일과;
    상기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 레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리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품 투입구 및 물품 인출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품 투입구와 물품 인출구는 함체의 전방 상방부 및 후방 하방부에서 돌출되게 형성시켜 상기 함체를 벽체에 매립 설치하였을 때 상기 물품 투입구 및 물품 인출구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 셔터의 후방부 일부는 투입구 셔터가 열려졌을 때 상기 함체의 중간부를 막아주어 상기 물품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각종 배달물품이 걸려졌다가 투입구 셔터가 닫혀 질 때 함체의 하방부로 자유 낙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와 함체 사이에 투입구 및 인출구 셔터가 닫혀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영구자석과 철판으로 구성된 고정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 셔터 레일은 전방부 하부 일부만 개구되도록 "ㅁ"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하고, 인출구 셔터 레일은 상방부가 개구되는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 셔터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 투입구의 전방부에 여닫이식 도어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
  7.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 셔터와 함체 사이 또는 여닫이식 도어와 함체 사이에도 쇄정구를 선택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바닥면에는 완충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체 내 투입구 셔터 레일의 하방 수평부 사이에는 투입구 셔터가 열려질 때 상방향으로 회동되며 투입구 셔터 레일의 하방 수평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막아주는 칸막이를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
KR1020050117633A 2005-12-05 2005-12-05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 KR100564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633A KR100564941B1 (ko) 2005-12-05 2005-12-05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633A KR100564941B1 (ko) 2005-12-05 2005-12-05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4941B1 true KR100564941B1 (ko) 2006-03-28

Family

ID=3717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633A KR100564941B1 (ko) 2005-12-05 2005-12-05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9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430B1 (ko) 2006-02-10 2006-09-06 (주)건정 종합건축사사무소 방범 기능을 가진 우유 투입구가 설치되는 현관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430B1 (ko) 2006-02-10 2006-09-06 (주)건정 종합건축사사무소 방범 기능을 가진 우유 투입구가 설치되는 현관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6952B2 (en) Secured receiving arrangement for a delivered parcel
US20180029760A1 (en) Storage Delivery Box
US959352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mitigating theft from a container, such as a safe
US8931422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valuables
US9459074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valuables
KR101879621B1 (ko) 현관문 부착용 접이식 택배함
US6357509B1 (en) Security closure for dwelling openings
KR101839005B1 (ko) 가변 보관함
US11492172B1 (en) Porch mounted floor vault for securing packages
KR100564941B1 (ko) 벽 매립형 배달물품 수취함
US20150068687A1 (en) Removable door cover
US20040263029A1 (en) Delivery box and method
GB2360998A (en) Secure delivery apparatus
JPH06272459A (ja) 宅配受け付きドア
KR101157164B1 (ko) 택배 도어
KR200279169Y1 (ko) 현관문의 배달물품 수취함
KR100681848B1 (ko) 공동주택 현관문의 물품수납용 도어
KR20180104442A (ko) 공동 주택용 우편물 수취함 구조물
KR20110045116A (ko) 도어 결합부의 안전성과 보안성이 보강된 체결부 은폐형 목재 사물함
KR200259031Y1 (ko) 도난방지용 우편함
KR200455848Y1 (ko) 보안 기능을 갖는 배달물품 보관함
KR200251292Y1 (ko) 배달물 투입구 도난방지용 커버
KR200154047Y1 (ko) 방범형 배달물 투입구
KR200198750Y1 (ko) 우편함
JPH0994153A (ja) 宅配荷物受取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