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507A -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507A
KR20220019507A KR1020200099995A KR20200099995A KR20220019507A KR 20220019507 A KR20220019507 A KR 20220019507A KR 1020200099995 A KR1020200099995 A KR 1020200099995A KR 20200099995 A KR20200099995 A KR 20200099995A KR 20220019507 A KR20220019507 A KR 20220019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body
fixing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현주
Original Assignee
심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현주 filed Critical 심현주
Priority to KR1020200099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9507A/ko
Publication of KR20220019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5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05D2011/0072Covers, e.g. for protection for the gap between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1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Abstract

본 발명의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는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요부가 형성되며 지그재그형태로 절곡된 고정돌기로 이루어져 문틀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판체부와 결합되는 돌출부 및 요부에 결합되는 철부를 가지며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체에 의해 고정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와; 가동판체와 고정판체로 이루어져 도어에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결합부와 결합되는 판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연질의 PVC재질로 이루어져 도어의 가동 범위(약 90°~110°)에서 발생하는 공간을 차단해 도어와 문틀 사이에 손이 끼이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연질의 PVC재질은 도어의 가동에 따라 오므려지거나 펴짐으로써 가변적으로 발생하는 공간을 차단함으로써 문틀과 도어 사이에 손이 끼이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Door folding type hand protection device}
본 발명은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도어와 문틀 사이 공간에 손이 끼이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연질로 이루어진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를 도어와 문틀에 각각 고정시켜 도어와 문틀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간을 막아 손끼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관이나 방문을 포함한 대부분의 출입문은 도어가 문틀에 경첩으로 힌지 결합되는 여닫이식 도어의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갖는 여닫이식 도어는 결합된 경첩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개폐동작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어가 경첩결합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개폐됨에 따라, 도어의 경첩결합부가 문틀의 경첩결합부로부터 이격되었다가 다시 밀착되는 동작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을 하는 도어와 문틀의 경첩결합부 사이의 이격공간에 손가락이 끼게 되는 경우 손가락 부상을 당하게 되는 위험성이 있는 것이었다.
특히, 유치원이나 학교 등에서는 아이들이 그 위험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개방된 도어의 경첩결합부 틈새에 손가락을 댄 상태로 놀고 있다가, 다른 아이가 도어를 갑자기 닫는 바람에 손가락이 도어와 문틀의 경첩결합부 사이에서 눌려 부상을 입게 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적인 출입문은 도어의 손잡이를 잡고 실내외 양쪽방향에서 각각 밀거나 잡아당겨 열고 닫을 수 있는 여닫이형태와 좌우로 밀어 열고 닫을 수 있는 미닫이형태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여닫이형태의 출입문의 경우에는 비교적 지각운동이 떨어지는 어린이나 노약자가 출입문을 열고 닫을 때에 실수로 통상 경첩으로 연결되는 벽체
와 출입문 안쪽부위에 손가락이 끼이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안전사고는 사고자의 인생을 평생 불행하게 할 수도 있어 그 심각성이 문제시되어 왔던 것이다.
이와 같이 주의력이 부족한 어린이나 유아 등의 경우 경첩의 힌지부의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와 문틀 사이에 손이 끼인 상태에서 여닫이 도어를 닫아 크고 작은 손낌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손낌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실용신안출원 제1989-0018728호 "문틈 안전 보호구"와 같은 선행기술 등이 다양하게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름 방식을 이용한 보호장치에 의하여서는 가로로 길게 주름진 형태를 띠고 있으므로 손가락이 낄 때 보호장치에 먼저 걸리게 되지만, 어린이가 일부러 손가락을 밀어 넣거나 도어가 닫힐 때 주름진 부분에 의해 안으로 밀리는 부위에 손가락이 닿는 경우에는 주름진 부위와 같이 손가락이 도어와 문틀의 사이에 끼이게 되는 사고가 발생하여도 이를 방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손낌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실용신안출원 제1999-0023854호에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밀폐체를 이용한 "어린이 손가락 부상 방지 도어"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플렉시블한 재질의 밀폐체를 이용한 경우 문틀과 도어 사이 틈새를 밀폐체가 차단하고 있으므로 손가락이 낄 때 밀폐체에 먼저 걸리게 되지만, 어린이가 일부러 플렉시블한 재질의 밀폐체에 손가락을 밀어 넣을 경우 밀폐체가 손가락과 함께 문틀과 도어 사이 틈새로 밀려 들어가기 때문에, 문틀과 도어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게 되는 사고가 발생하여도 이를 방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15284호의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는
출입문에 설치되는 문틀에 경첩을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가능하게 설치하며, 도어가 개방될 때 도어의 경첩이 펼쳐지면서 벌어지는 틈새를 차단하기 위하여 문틀과 도어간에 설치하는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에 있어서, 문틀과 도어가 결합하는 개폐부의 내면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고, 문틀과 도어의 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연결봉이 형성되는 고정판체와, 상기 문틀과 도어의 세로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지고, 일단에 문틀쪽 고정판체의 연결봉에 결합하도록 연결홈이 형성되고, 반대측에 연결봉이 형성되어 문틀쪽에 배치되는 문틀쪽가동판체와, 양단부에 연결홈이 형성되어 도어쪽고정판체와, 문틀쪽가동판체의 연결봉 사이에 배치되어 외측의 연결홈이 문틀쪽가동판체의 연결봉에 결합하는 도어쪽가동판체로 이루어져 문틀과 도어의 개폐부 내측에 손끼임을 방지하며, 상기 도어쪽가동판체의 연결홈 개방부 끝에는 외향안내편이 형성되고, 도어쪽고정판체는 연결부에 연결홈이 있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도어쪽가동판체는 내측연결부에 연결돌기가 있는 연결편이 형성되어 서로를 강제 결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문헌은 연결홈이 형성된 도어쪽고정판체에서 도어쪽가동판체가 쉽게 분리되기 때문에 도어와 연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문틀쪽가동판체와 도어쪽가동판체가 거리가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기 때문에 도어와 문틀 사이에 모서리부분에서 돌출되게 위치되어 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1528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도어와 문틀 사이 공간에 손이 끼이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연질로 이루어진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를 도어와 문틀에 각각 고정시켜 도어와 문틀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간을 막아 손끼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요부가 형성되며 지그재그형태로 절곡된 고정돌기로 이루어져 문틀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판체부와 결합되는 돌출부 및 요부에 결합되는 철부를 가지며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체에 의해 고정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와; 가동판체와 고정판체로 이루어져 도어에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결합부와 결합되는 판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정부는, 문틀에 설치되는 고정체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의 일측으로 거리가 이격되게 지그재그 형태로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에는 결합부의 결합체에 형성된 철부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결합부는, 고정돌기에 결합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면에 요부에 결합되는 철부가 복수로 이루어져 대향되게 형성되는 결합체와; 고정돌기 측면과 고정체의 측면을 감싸듯 결합이 이루어져 도어의 개방 시 결합체가 고정체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다단돌기와; 결합체의 일측에 결합홈(221)을 가지며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판체부는, 가동판체, 고정판체 및 마감판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판체는 연질의 PVC재질로 이루어져 접힘과 펼침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져 양측에 끼움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체는 가동판체의 끼움돌기에 대향되게 제1끼움홈을 가지며 가동판체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마감판체는 고정판체의 끼움돌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2끼움홈이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질의 PVC재질로 이루어져 도어의 가동 범위(약 90°~110°)에서 발생하는 공간을 차단해 도어와 문틀 사이에 손이 끼이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연질의 PVC재질은 도어의 가동에 따라 오므려지거나 펴짐으로써 가변적으로 발생하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와 문틀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제품을 생산하여 설치함으로써 디자인의 완성도가 높은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문틀과 도어에 변형 또는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설치가 가능하여 기존에 설치된 문틀과 도어에도 부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를 도어와 문틀에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를 도어와 문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를 현장 상황에 따라 도어의 끝단에서 이격시켜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가 도어와 문틀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의 개방에 따른 연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는 문틀(10)에 고정되는 고정체(110)와 요부(112)가 형성되며 지그재그형태로 절곡된 고정돌기(111)로 이루어져 문틀(10)에 설치되는 고정부(100)와; 판체부(300)와 결합되는 돌출부(220) 및 요부(112)에 결합되는 철부(211)를 가지며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체(210)에 의해 고정부(100)와 결합되는 결합부(200)와; 가동판체(310)와 고정판체(320)로 이루어져 도어(20)에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결합부(200)와 결합되는 판체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는 문틀(10)에 경첩(30)을 이용하여 도어(20)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도어(20)의 회전에 의해 문틀(10)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간에 손이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손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는 고정부(100), 결합부(200) 및 판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00)는 문틀(10)에 설치되는 고정체(11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110)의 일측으로 거리가 이격되게 지그재그 형태로 복수의 고정돌기(111)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111)에는 결합부(200)의 결합체(210)에 형성된 철부(211)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요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체(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돌기(111) 사이의 두께는 결합체(210)가 위치되는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고정돌기(111)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11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요부(112)가 복수의 고정돌기(111)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고정돌기(111)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결합부(200)의 결합체(210)가 용이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200)는 고정돌기(111)에 결합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면에 요부(112)에 결합되는 철부(211)가 복수로 이루어져 대향되게 형성되는 결합체(210)가 구성되고, 상기 결합체(210)의 일측에는 다단돌기(212)가 형성되어 고정돌기(111) 측면과 고정체(110)의 측면을 감싸듯 결합이 이루어져 도어(20)의 개방 시 결합체(210)가 고정체(110)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체(210)의 일측에는 결합홈(221)이 형성된 돌출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20)에 형성된 결합홈(221)에는 가동판체(310)의 끼움돌기(311)가 결합되어 도어(20)의 개폐 시 판체부(300)의 가동판체(310)와 연동된다.
상기 판체부(300)는 가동판체(310), 고정판체(320) 및 마감판체(330)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판체(310)는 연질의 PVC재질로 이루어져 접힘과 펼침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가동판체(310)의 양측에는 끼움돌기(311)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판체(310)는 돌출부(220)와 고정판체(320) 사이, 고정판체(320)와 고정판체(320) 사이 및 고정판체(320)와 마감판체(330) 사이에 결합되어 도어(20)의 개폐 시 펼침과 접힘의 동작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동판체(310)는 도어(20)의 개폐 시 펼침과 접힘의 동작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끝단에서 중간 부분으로 쪽으로 점점 뚜께가 얇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체(320)는 가동판체(310)의 끼움돌기(311)에 대향되게 제1끼움홈(321)을 가지며 가동판체(310) 사이에 결합된다. 상기 제1끼움홈(321)은 고정판체(320)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어 가동판체(310)의 끼움돌기(311)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판체(330)는 가동판체(310)의 끼움돌기(3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2끼움홈(331)이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2끼움홈(331)이 형성된 마감판체(330)의 타측은 경사면이 형성되어 일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경사면은 라운딩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을 보면, 먼저, 문틀의 수직방향으로 피스 또는 타카를 이용하여 고정부의 고정체를 설치한다.
그리고 판체부(300)의 가동판체(310), 고정판체(320) 및 마감판체(330)를 결합하는데, 이때 가동판체(310) → 고정판체(320) → 가동판체(310) → 고정판체(320) → 가동판체(310) → 마감판체(330) 순으로 위치를 설정한 상태에서 결합시킨다.
상기 가동판체(310)와 고정판체(320)의 결합은 가동판체(310)의 끼움돌기(311)를 고정판체(320)의 제1끼움홈(321)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시킨다. 그리고 가동판체(310)와 마감판체(330)의 결합은 가동판체(310)의 끼움돌기(311)를 마감판체(330)의 제2끼움홈(331)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시켜 도면과 같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판체부(300)를 형성한 상태에서 마감판체(330)를 도어(20)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타카 또는 피스 등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상기 마감판체(330)를 도어(20)에 설치할 시에 타카 또는 피스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기 전에 마감판체(330)의 일면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한 상태에서 테이프를 이용하여 도어(20)에 접착시킨 후 타카 또는 피스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체부(300)를 도어(20)에 고정한 상태에서 가동판체(310)에 결합부의 결합체(210)를 결합시킨다. 이때 가동판체(310)의 끼움돌기(311)가 결합체(210)의 결합홈(221)에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부(200)의 결합체(210)와 판체부(300)의 가동판체(310)를 결한 상태에서 문틀(10)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고정부(100)의 고정체(110)가 결합체(210)를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압하면, 결합체(210)의 양측단이 고정체(11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철부(211)가 요부(112)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체(110)와 결합체(210)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20)를 닫으면, 도 3과 같이 판체부(300)의 가동판체(310)가 접히면서 도어(20) 일측면에 밀착되고, 이때 결합체(210)에 결합된 가동판체(310)도 접히면서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문틀(10)에 최대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어(20)를 열면 결합체(210)는 고정체(110)와 결합체(210)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가동판체(310)의 접혀진 부분이 펼쳐지면서 문틀(10)과 도어(20) 사이의 공간으로 손이 끼이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판체(330)가 도어(20)의 끝단에 정렬된 상태로 고정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상황에 따라 도어(20)의 끝단에서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마감판체(330)가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는 정형화된 벙법에 의해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문틀(10)에 경첩(30)에 의해 고정된 도어의 움직임, 도어(20)의 열림 반경 조정 또는 현장 상황에 맞게 고정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판체부(300)의 길이 또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체부(300)의 가동판체(310), 고정판체(320) 및 마감판체(330)가 이동하면서 결합체(210)를 도어가 위치된 부분으로 당기려는 힘이 작용하는데, 이때 결합체(210)의 다단돌기(212)가 고정돌기(111)의 측면과 고정체(110)의 측면에 지지되기 때문에 결합체(210)가 도어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는 연질의 PVC재질로 이루어져 도어의 가동 범위(약 90°~110°)에서 발생하는 공간을 차단해 도어(20)와 문틀(10) 사이에 손이 끼이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연질의 PVC재질은 도어의 가동에 따라 오므려지거나 펴짐으로써 가변적으로 발생하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문틀(10)과 도어(20) 사이에 손이 끼이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20)와 문틀(10)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제품을 생산하여 설치함으로써 디자인의 완성도가 높은 것은 물론 문틀(10)과 도어(20)에 변형 또는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설치가 가능하여 기존에 설치된 문틀과 도어에도 부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문틀 20: 도어
30: 경첩 100: 고정부
110: 고정체 111: 고정돌기
112: 요부 200: 결합부
210: 결합체 211: 철부
212: 다단돌기 220: 돌출부
221: 결합홈 300: 판체부
310: 가동판체 311: 끼움돌기
320: 고정판체 321: 제1끼움홈
330: 마감판체 331: 제2끼움홈

Claims (4)

  1. 문틀(10)에 고정되는 고정체(110)와 요부(112)가 형성되며 지그재그형태로 절곡된 고정돌기(111)로 이루어져 문틀(10)에 설치되는 고정부(100)와;
    판체부(300)와 결합되는 돌출부(220) 및 요부(112)에 결합되는 철부(211)를 가지며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체(210)에 의해 고정부(100)와 결합되는 결합부(200)와;
    가동판체와 고정판체로 이루어져 도어(20)에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결합부(200)와 결합되는 판체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0)는,
    문틀(10)에 설치되는 고정체(11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110)의 일측으로 거리가 이격되게 지그재그 형태로 복수의 고정돌기(111)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111)에는 결합부(200)의 결합체(210)에 형성된 철부(211)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요부(1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00)는,
    고정돌기(111)에 결합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면에 요부(112)에 결합되는 철부(211)가 복수로 이루어져 대향되게 형성되는 결합체(210)와;
    고정돌기(111) 측면과 고정체(110)의 측면을 감싸듯 결합이 이루어져 도어(20)의 개방 시 결합체(210)가 고정체(110)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체(2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다단돌기(212)와;
    결합체(210)의 일측에 결합홈(221)을 가지며 형성되는 돌출부(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부(300)는,
    가동판체(310), 고정판체(320) 및 마감판체(33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판체(310)는 연질의 PVC재질로 이루어져 접힘과 펼침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져 양측에 끼움돌기(311)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체(320)는 가동판체(310)의 끼움돌기(311)에 대향되게 제1끼움홈(321)을 가지며 가동판체(310)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마감판체(330)는 고정판체(320)의 끼움돌기(3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2끼움홈(331)이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
KR1020200099995A 2020-08-10 2020-08-10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 KR202200195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995A KR20220019507A (ko) 2020-08-10 2020-08-10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995A KR20220019507A (ko) 2020-08-10 2020-08-10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507A true KR20220019507A (ko) 2022-02-17

Family

ID=8049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995A KR20220019507A (ko) 2020-08-10 2020-08-10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95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150B1 (ko) * 2022-06-03 2023-02-08 이재효 손 끼임 방지구
KR102615188B1 (ko) * 2023-05-04 2023-12-15 김대길 도어용 손 부상 방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284B1 (ko) 2019-03-20 2019-08-28 구본춘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284B1 (ko) 2019-03-20 2019-08-28 구본춘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150B1 (ko) * 2022-06-03 2023-02-08 이재효 손 끼임 방지구
KR102615188B1 (ko) * 2023-05-04 2023-12-15 김대길 도어용 손 부상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284B1 (ko)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
KR101860537B1 (ko) 여닫이식 도어의 안전장치
KR20220019507A (ko)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
KR20080030430A (ko) 문짝용 다단식 손끼임 방지기구
KR102146967B1 (ko) 손가락끼임방지와 문폭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장치
KR20170062768A (ko)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KR102092506B1 (ko)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KR101943386B1 (ko) 여닫이 도어용 끼임방지장치
KR102100355B1 (ko) 접철가능하며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KR101995239B1 (ko) 강화유리문의 손끼임 방지장치
KR102267498B1 (ko) 손끼임 방지용 안전출입도어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KR102085314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문틀의 단턱 모서리 간섭방지 겸용 커버장치
KR102117443B1 (ko) 폴딩도어용 마감부재
KR101907996B1 (ko) p와 d 단면 형상을 갖는 도어
KR102347346B1 (ko) 도어용 슬라이딩식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152797B1 (ko)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KR20220063374A (ko)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KR200490535Y1 (ko) 손 끼임 방지 문짝
KR102085310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도어모서리 간섭방지를 겸한 문틀 커버장치
KR102027833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삽입식 문틀 커버장치
KR20180124511A (ko) 손가락 끼임 방지용 도어 힌지
KR101589520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창호
KR102243115B1 (ko) 양문형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KR101852778B1 (ko) 절첩식 도어 프레임의 손끼임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