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443B1 - 폴딩도어용 마감부재 - Google Patents

폴딩도어용 마감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443B1
KR102117443B1 KR1020200008136A KR20200008136A KR102117443B1 KR 102117443 B1 KR102117443 B1 KR 102117443B1 KR 1020200008136 A KR1020200008136 A KR 1020200008136A KR 20200008136 A KR20200008136 A KR 20200008136A KR 102117443 B1 KR102117443 B1 KR 102117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nit
horizontal
mohai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재경
노현준
황정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폴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폴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폴젠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08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딩도어용 마감부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단위도어와 경첩 사이에 비틀림이 발생되어도 도어의 개폐에 무리가 없고, 단위도어에 설치되는 모헤어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폴딩도어용 마감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외부프레임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도어가 경첩에 의하여 상호 힌지결합되는 폴딩도어에 있어서, 상기 단위도어의 모서리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단위도어의 수직프레임의 중앙에 형성된 수직홈에 결합되는 수직결합부; 상기 수직결합부와 직각을 이루며, 상기 단위도어의 수평프레임의 중앙에 형성된 수평홈상에 결합되는 수평결합부; 및 상기 수평결합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모헤어가 관통되게 설치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진 모헤어결합블럭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폴딩도어용 마감부재{Finish material for folding door}
본 발명은 폴딩도어용 마감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목적은, 단위도어와 경첩 사이에 비틀림이 발생되어도 도어의 개폐에 무리가 없고, 단위도어에 설치되는 모헤어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폴딩도어용 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딩도어(Folding Door)는, 벽체의 출입구 외측에 도어를 완전히 개방할 공간이 없는 곳에서 출입구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접이식 도어이다.
이러한 폴딩도어는 출입구의 형태에 따라 외부프레임을 구성하고, 복수개의 단위도어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경첩에 의해 힌지 결합되며, 그 일단부가 출입구 일측에 회동되도록 힌지결합되어, 단위도어들의 연결로 구성된 폴딩도어를 옆으로 밀거나 당기면 서로 접철되면서 출입구가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폴딩도어는 카페, 음식점 등에 설치되어 각 개별되어는 프레임에 하나의 유리창을 설치함으로써 넓은 시야와 채광에 효율적임과 동시에 공간활용이 높아 근래에 많이 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의 폴딩도어의 단위도어 상하단에는 모헤어를 구비하여 도어프레임과 상하부 가이드레일 사이의 간극을 차단하게 되고, 간격을 마감하기 위해 간극마감구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폴딩도어의 간극마감구의 일예로서는, 등록번호 20-0484636호의 "폴딩도어용 간극마감구"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폴딩도어용 간극마감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에 따른 폴딩도어용 간극마감구(10)는, 블럭형태의 수직몰딩부(11) 및 상기 수직몰딩부(11)와 직각되게 이어지는 블럭형태의 수평몰딩부(12)와, 상기 수직몰딩부(11)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수직인서트부 및, 상기 수평몰딩부(12)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수평인서트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인서트부가 단위도어(20)의 수직면에 끼워지고, 상기 수평인서트부(13)가 단위도어(20)의 수평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수직몰딩부(11)가 상기 단위도어 모서리의 수직면측 외곽을 감싸게 되고, 상기 수평몰딩부가 상기 단위도어 모서리의 수평면측 외곽을 감싸게 됨으로써 서로 인접된 단위도어(20)의 간극 및 단위도어(20)와 가이드레일간의 간극을 막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폴딩도어용 간극마감구(10)는 단위도어(20)와 가이드레일 사이에 설치하여 간극을 막기 때문에 단위도어와 경첩 사이에 처짐이나 비틀림 등이 발생하게 되면 단위도어(20)가 개폐되지 못하고, 단위도어(20)의 상하단에 설치되는 모헤어가 간극까지 설치되지 못하게 되어 모헤어의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위도어와 경첩 사이에 비틀림이 발생되어도 도어의 개폐에 무리가 없고, 단위도어에 설치되는 모헤어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폴딩도어용 마감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폴딩도어용 마감부재는, 외부프레임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도어가 경첩에 의하여 상호 힌지결합되는 폴딩도어에 있어서, 상기 단위도어의 모서리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단위도어의 수직프레임의 중앙에 형성된 수직홈에 결합되는 수직결합부; 상기 수직결합부와 직각을 이루며, 상기 단위도어의 수평프레임의 중앙에 형성된 수평홈상에 결합되는 수평결합부; 및 상기 수평결합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모헤어가 관통되게 설치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진 모헤어결합블럭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헤어결합블럭부는, 상기 수직결합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지며, 후방에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의 수평홈 양측에 형성된 모헤어 설치홈에 체결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는 상하측 및 좌,우측으로 분리도어 모헤어가 관통되도록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결합부는,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끝단부가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용 마감부재는, 단위도어의 모서리부에 모헤어가 설치될수 있도록 모헤어결합블럭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도어프레임과 경첩 사이에 비틀림이 발생되어도 도어의 개폐에 무리가 없고, 단위도어에 설치되는 모헤어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폴딩도어용 간극마감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용 마감부재가 설치된 폴딩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용 마감부재를 나타낸 정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용 마감부재를 나타낸 후면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도어와 폴딩도어용 마감부재의 분해사사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도어와 폴딩도어용 마감부재의 결합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용 마감부재가 단위도어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용 마감부재가 단위도어에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용 마감부재가 단위도어에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용 마감부재가 단위도어에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용 마감부재가 설치된 폴딩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용 마감부재가 설치된 폴딩도어(200)는 외부프레임(210)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도어(220)가 경첩(230)에 의하여 상호 힌지결합되어 활살표 방향으로 절첩되어진다.
또한, 상기 단위도어(220)는 유리패널(221)과 상기 유리패널(221)의 외곽을 감싸는 한쌍의 수직프레임(222)과 수평프레임(223)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외부프레임(210)의 상,하단에는 각각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롤러기구(미도시)가 상기 단위도어(220)의 하측에 결합되어 이동된다.
또한, 상기 외부프레임(210)과 단위도어(220) 사이 및 상기 단위도어(220) 사이에는 모헤어(240) 내지 밀폐부재(250) 등이 결합되어져 방풍 및 단열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용 마감부재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용 마감부재를 나타낸 후면사시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도어와 폴딩도어용 마감부재의 분해사사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도어와 폴딩도어용 마감부재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용 마감부재가 단위도어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용 마감부재가 단위도어에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용 마감부재가 단위도어에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용 마감부재가 단위도어에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용 마감부재(100)는, 단위도어(220)의 모서리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수직결합부(110), 수평결합부(120) 및 모헤어결합블럭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결합부(110)는, 단위도어(220)의 수직프레임(222)의 중앙에 형성된 수직홈(222a)에 결합된다.
상기 수평결합부(120)는, 상기 수직결합부(110)와 직각을 이루며, 상기 단위도어(220)의 수평프레임(223)의 중앙에 형성된 수평홈(223a)상에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결합부(120)는, 내측에 공간부(121)가 형성되고, 끝단부가 원호형으로 이루어져 수평프레임(223)의 수평홈(223a)에 결합될 때 탄성을 제공하여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모헤어결합블럭부(130)는, 상기 수평결합부(120)의 양측에 형성되고, 모헤어(240)가 관통되게 설치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모헤어결합블럭부(130)는, 상기 수직결합부(1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지며, 후방에 체결돌기(132)가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223)의 수평홈(223a) 양측에 형성된 모헤어 설치홈(223b)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132)는 상,하측 및 좌,우측으로 분리되어 모헤어(240)가 관통되도록 형성되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용 마감부재(100)는 폴딩도어(200)의 단위도어(220)의 상,하측 모서리에 설치되어 방풍 및 밀폐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수직결합부(110)를 단위도어(220)의 수직프레임(222)의 중앙에 형성된 수직홈(222a)에 결합하고, 수평결합부(120)를 상기 단위도어(220)의 수평프레임(223)의 중앙에 형성된 수평홈(223a)상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결합부(120)는 내측에 공간부(121)가 형성되고, 끝단부가 원호형으로 이루어져 탄력에 의해 수평홈(223a)상에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평결합부(120)의 양측에 혀엉된 모헤어결합블럭부(130)의 후방에 형성된 체결돌기(132)를 상기 수평프레임(223)의 수평홈(223a) 양측에 형성된 모헤어 설치홈(223b)에 체결시키게 되며, 상기 체결돌기(132)가 상,하측 및 좌,우측으로 분리되어 모헤어(240)가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단위도어(220)와 또 다른 단위도어(220) 사이에 발생되는 간격을 모헤어결합블럭부(130)가 위치되어 마감처리하며, 모헤어(240)로 간격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위도어(220)와 또 다른 단위도어(220) 사이에 위치되는 고무재의 밀폐부재(250)로 마감처리하게 된다.
100: 폴딩도어용 마감부재
110: 수직결합부 120: 수평결합부
121: 공간부 130: 헤어결합블럭부
131: 결합홈 132: 체결돌기
200: 폴딩도어 210: 외부프레임
220: 단위도어 221: 유리패널
222: 수직프레임 222a: 수직홈
223:수평프레임 223a: 수평홈
223b: 모헤어 설치홈 230: 경첩
240: 모헤어 250: 밀폐부재

Claims (4)

  1. 외부프레임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도어가 경첩에 의하여 상호 힌지결합되는 폴딩도어에 있어서,
    상기 단위도어의 모서리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단위도어의 수직프레임의 중앙에 형성된 수직홈에 결합되는 수직결합부;
    상기 수직결합부와 직각을 이루며, 상기 단위도어의 수평프레임의 중앙에 형성된 수평홈상에 결합되는 수평결합부; 및
    상기 수평결합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모헤어가 관통되게 설치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진 모헤어결합블럭부; 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결합부는,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끝단부가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용 마감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헤어결합블럭부는, 상기 수직결합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지며, 후방에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의 수평홈 양측에 형성된 모헤어 설치홈에 체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용 마감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하측 및 좌,우측으로 분리도어 모헤어가 관통되도록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용 마감부재.
  4. 삭제
KR1020200008136A 2020-01-21 2020-01-21 폴딩도어용 마감부재 KR102117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136A KR102117443B1 (ko) 2020-01-21 2020-01-21 폴딩도어용 마감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136A KR102117443B1 (ko) 2020-01-21 2020-01-21 폴딩도어용 마감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443B1 true KR102117443B1 (ko) 2020-06-02

Family

ID=71090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136A KR102117443B1 (ko) 2020-01-21 2020-01-21 폴딩도어용 마감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4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396B1 (ko) 2022-04-08 2022-10-19 주식회사 공간창호 갭 프레임을 갖는 폴딩도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727U (ko) * 2015-08-18 2017-02-28 제이에스폴딩도어 주식회사 폴딩도어용 간극마감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727U (ko) * 2015-08-18 2017-02-28 제이에스폴딩도어 주식회사 폴딩도어용 간극마감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396B1 (ko) 2022-04-08 2022-10-19 주식회사 공간창호 갭 프레임을 갖는 폴딩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149B1 (ko) 이중 개폐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KR102117443B1 (ko) 폴딩도어용 마감부재
KR20120040339A (ko) 커튼월형 창호
JP2022535338A (ja) 建具の召合せ框の気密維持装置
US6920908B2 (en) Folding device as room divider or room closure
US20220162900A1 (en) Connective installation structure for modularized windows and doors
KR20140046513A (ko) 양개형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TWI741371B (zh) 鉸鏈裝置及門窗
KR20210046199A (ko)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907996B1 (ko) p와 d 단면 형상을 갖는 도어
KR20130111689A (ko) 시야 확보 및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
KR101819861B1 (ko) 알루미늄 창틀을 갖는 목재한옥창호
KR200376328Y1 (ko) 2짝 시스템창
KR102595224B1 (ko) 자원재활용과 환경을 보호하는 손끼임방지문 및 문틀
KR102174413B1 (ko) 슬라이딩 창호에 구비된 창짝 기우뚱 방지 부재
KR102161415B1 (ko) 슬라이딩 창호용 풍지판
KR20140133158A (ko) 착탈식 단열보강부재를 구비한 창호
KR102174414B1 (ko) 커버를 구비한 창틀완충부재
JP3634017B2 (ja) 連窓サッシ
KR101589520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창호
KR20220076632A (ko) 여밈대 마감재
JP2878934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02180766A (ja) サッシ窓
KR20230034193A (ko) 여밈대 마감재
JP6851912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