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4193A - 여밈대 마감재 - Google Patents

여밈대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4193A
KR20230034193A KR1020220111637A KR20220111637A KR20230034193A KR 20230034193 A KR20230034193 A KR 20230034193A KR 1020220111637 A KR1020220111637 A KR 1020220111637A KR 20220111637 A KR20220111637 A KR 20220111637A KR 20230034193 A KR20230034193 A KR 20230034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and
region
finishing material
fasten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규
정봉환
김준우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ublication of KR20230034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1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9Arrangements at the overlapping vertical edges of the wings that engage when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여밈대 마감재,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포함하는 창짝 및 상기 창짝을 포함하는 창호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여밈대 마감재에 의하면, 공정이 단순하여 가공 단계를 줄일 수 있고, 필링 피스가 찢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외관 품질이 우수하고, 여밈대에 강한 체결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포함하는 창짝 및 상기 창짝을 포함하는 창호의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여밈대 마감재{FINISHING MATERIALS FOR MEETING STILE}
본 출원은 여밈대 마감재,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포함하는 창짝 및 상기 창짝을 포함하는 창호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말하는데, 그 사용재료에 따라 목재 창호와 금속재 창호로 분류되나 최근에는 플라스틱에 의한 문이나 창틀 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창호는 개구부의 벽체에 창틀이 설치되고, 창짝이 상기 창틀에 구비된 레일을 타고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의 바람에 영향을 많이 받는 창호의 경우 기밀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종래 창호에서의 창짝은 상, 하부 레일을 타고 움직이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창짝은 창틀의 설치 후 상, 하부 레일 상에 삽입되어 구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창짝의 여밈대 간섭부를 가공한다.
이 경우, 상기 상, 하부 레일을 타고 움직이는 창짝의 상, 하부 레일삽입부에 필연적으로 큰 구멍이 존재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외부의 바람이 상기 창짝의 상, 하부 구멍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유입된 바람은 창짝의 레일 삽입홈을 따라 이동된다.
이와 같이 이동하던 바람은 창짝이 상, 하부 레일 상에서 뜨는 경우, 실내로 여과 없이 들어오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창호는 바람이 창짝의 여밈대까지 통하면서 순환하므로 기밀성에 대한 보완이 더욱 요구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밈대의 하단에 마감재를 장착하여 기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나, 종래의 여밈대 마감재의 경우, 여밈대에 장착하기 위하여 여밈대를 절단한 후 여밈대에 홀을 개공하는 가공 과정이 추가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여밈대에 마감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공 프로세스가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여밈대 마감재의 경우, 고무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외관 품질이 좋지 못하고, 마감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클립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관리해야 하는 부자재수가 2종으로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여밈대 마감재,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포함하는 창짝 및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포함하는 창호가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은 공정이 단순하여 가공 단계를 줄일 수 있고, 필링 피스가 찢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외관 품질이 우수하고, 여밈대에 강한 체결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포함하는 창짝 및 상기 창짝을 포함하는 창호의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밈대 마감재,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포함하는 창짝 및 상기 창짝을 포함하는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여밈대 마감재는 여밈대의 기밀 통로의 차단이 가능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돌기를 가지며, 여밈대의 하단 및 상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삽입되어 고정이 가능한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제 1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2 방향을 따라 구부러져 형성된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영역은 양 측면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의 폭 및 상기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의 폭 및 상기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의 양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의 길이의 합이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여밈대의 홈의 폭에 비해 0.1 mm 이상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2 영역이 구부러진 각도는 0° 초과 내지 9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제 3 방향을 따라 구부러져 형성된 제 3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제 3 영역이 구부러진 각도는 70° 내지 1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강(steel)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여밈대와 인접한 측면의 반대 측면에 개구가 형성된 "ㄷ"자 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삽입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ㄷ"자 각기둥 형상의 내측에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한 쌍 이상의 차단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여밈대의 하단 및 상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체결이 가능한 체결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구조물은 상기 몸체로부터 여밈대 방향으로 솟은 리브 형상을 가지며, 복수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창짝은 여밈대; 및 상기 여밈대의 기밀 통로의 차단이 가능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돌기를 가지며, 상기 여밈대의 하단 및 상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삽입되어 고정이 가능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여밈대 마감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여밈대는 상기 고정부재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고정부재와 대응되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제 1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2 방향을 따라 구부러져 형성된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영역은 양 측면에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여밈대 마감재는 상기 여밈대에 삽입 시 상기 제 2 영역을 상기 여밈대의 홈의 내벽을 향하여 물리적인 힘을 가해 상기 고정부재의 양 측면에 구비된 돌기가 상기 여밈대의 홈의 내벽에 접촉되어 상기 여밈대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짝은 상기 여밈대와 접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과 마주하여 이격 배치된 제 2 프레임, 상기 여밈대 및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 각각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 3 프레임 및 상기 여밈대 및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 각각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4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창호는 상기 창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창호는 창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밈대 마감재에 의하면, 공정이 단순하여 가공 단계를 줄일 수 있고, 필링 피스가 찢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외관 품질이 우수하고, 여밈대에 강한 체결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포함하는 창짝 및 상기 창짝을 포함하는 창호의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가 여밈대의 하부에 체결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가 여밈대의 하부에 체결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가 여밈대의 하부에 체결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가 여밈대의 상부에 체결된 상태를 예시적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에 구비된 여밈대의 하부에 여밈대 마감재가 체결된 부분을 확대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에 구비된 여밈대의 상부에 여밈대 마감재가 체결된 부분을 확대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의 전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출원의 여밈대 마감재를 설명하며, 첨부된 도면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출원의 여밈대 마감재가 첨부된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가 여밈대의 하부에 체결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가 여밈대의 하부에 체결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가 여밈대의 하부에 체결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가 여밈대의 상부에 체결된 상태를 예시적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여밈대 마감재(1000)는 몸체(1100) 및 고정부재(1200)를 포함한다. 상기 여밈대 마감재(1000)는 여밈대(2000)의 외관 품질을 높이기 위해 설치되거나, 창짝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단순 사출물 구조의 재료이다. 상기 여밈대 마감재는 전술한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공정이 단순하여 가공 단계를 줄일 수 있고, 필링 피스가 찢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외관 품질이 우수하고, 여밈대(2000)에 강한 체결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포함하는 창짝 및 상기 창짝을 포함하는 창호의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몸체(1100)는 상기 여밈대 마감재(1000)의 기밀 통로를 차단하는 구조를 갖고, 중심이 되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1100)에는 상기 고정부재(1200)가 구비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100)에는 상기 여밈대 마감재(1000)가 상기 여밈대(2000)에 삽입되는 측면에 상기 고정부재(1200)가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몸체(1100)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는 공지의 모든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는 ABS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소재로는 구체적으로, 전술한 열가소성 수지와 섬유로 제조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BS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이다. 상기 몸체(1100)는 전술한 열가소성 수지 또는 복합 소재를 포함함으로써, 외관 품질이 우수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몸체(1100)는 여밈대(2000)와 인접한 측면의 반대 측면에 개구가 형성된 "ㄷ"자 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100)는 여밈대(2000)의 길이방향으로 자른 단면이 상기 여밈대(2000)와 인접한 측면의 반대 측면에 개구가 형성된 "ㄷ"자 형상이며, 여밈대(200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1100)는 전술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후술하는 창호의 창틀에 구비된 레일을 타고 창짝의 좌우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0)는 “ㄷ”자 각기둥 형상의 내측에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한 쌍 이상의 차단 구조물(1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100)는 상기 몸체(1100)에 형성된 개구에 전술한 한 쌍 이상의 차단 구조물(1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1100)는 전술한 위치에 전술한 수로 차단 구조물(1300)을 더 포함함으로써,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단 구조물(1300)은 고무 패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단 구조물(1300)은 고무 패킹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후술하는 창호의 창틀에 삽입이 용이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몸체(1100)는 삽입홀(1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홀(1111)은 상기 몸체(1100)의 어느 한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여밈대 마감재(1000)를 창짝에 체결하기 위한 구멍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여밈대(2000)와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창짝을 상기 여밈대 마감재로 체결하는 경우, 상기 삽입홀에 나사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여밈대 마감재가 상기 창짝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모헤어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여밈대 마감재(1000)는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몸체(110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여밈대(2000)의 하부 및/또는 상부 전체를 가리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여밈대 마감재는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200)는 상기 여밈대(2000)의 하단 및 상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삽입되어 상기 여밈대(2000)에 상기 여밈대 마감재(1000)를 고정시키는 부재로서, 상기 몸체(1100) 상에 구비되며, 돌기(1201)를 가진다. 상기 여밈대 마감재(1000)에 고정부재(1200)를 포함함으로써, 공정이 단순하여 가공 단계를 줄일 수 있고, 외관 품질이 우수하며, 여밈대(2000)에 강한 체결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돌기」는 상기 여밈대 마감재에 강한 체결 성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도드라져 나온 부분을 의미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고정부재(1200)는 제 1 영역(1210) 및 제 2 영역(1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여밈대 마감재(100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영역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120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1200)의 구부러진 영역에 물리적인 힘을 가해 상기 고정부재(1200)에 구비된 돌기(1201)가 여밈대의 홈(2100)의 내벽에 접촉되어 여밈대(2000)에 강한 체결을 할 수 있고, 공정이 단순하여 가공 단계를 줄일 수 있으며, 외관 품질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21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200)에서 제 1 방향(1)을 따라 형성된 영역으로서, 상기 몸체(1100) 상에 제 1 방향(1)을 따라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영역(1210)은 상기 몸체(1100)의 높이 방향(h1100)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고정부재(1200)의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122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영역(1210)에서 제 2 방향(2)을 따라 구부러져 형성된 영역으로서, 상기 제 1 영역(1210) 상에 상기 제 1 방향(1)과 상이한 방향을 따르는 제 2 방향(2)을 따라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영역(1220)은 상기 제 1 영역(1210)으로부터 여밈대의 홈(2100)의 내벽과 바깥 방향을 향해 구부러져 형성된 상기 고정부재(1200)의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1220)은 제 2 방향(2)을 따라 구부러져 형성됨으로써,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여밈대에 삽입 시 물리적인 힘에 의해 제 1 영역(1210)과 평행하도록 구부러지면서 상기 고정부재(1200)에 구비된 돌기(1201)가 여밈대의 홈(2100)의 내벽에 접촉되어 여밈대(2000)에 강한 체결을 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영역(1210) 및 제 2 영역(12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영역은 양 측면에 돌기(120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양 측면」은 고정부재가 여밈대에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배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측면을 의미한다. 상기 여밈대 마감재(1000)는 상기 제 1 영역(1210) 및/또는 제 2 영역(1220)에 전술한 돌기(120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영역(1210) 및/또는 제 2 영역(1220)의 돌기(1201)가 여밈대의 홈(2100)의 내벽에 접촉되어 여밈대(2000)에 강한 체결을 할 수 있고, 공정이 단순하여 가공 단계를 줄일 수 있으며, 외관 품질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영역(1210) 또는 제 2 영역(1220)의 폭 및 상기 제 1 영역(1210) 또는 제 2 영역(1220)의 양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1201)의 길이의 합이 상기 고정부재(1200)가 삽입되는 여밈대의 홈의 폭에 비해 0.1 mm 이상 클 수 있고, 이의 상한이 0.3 mm 이하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2 영역(1220)의 폭(w1220) 및 상기 제 2 영역(1220)의 양 측면의 한 쌍의 돌기(1201)의 길이(l1201)의 합이 상기 고정부재(1200)가 삽입되는 여밈대의 홈(2100)의 폭(w2100)에 비해 0.1 mm 이상 클 수 있고, 이의 상한이 0.3 mm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길이」는 일단에서 마주하는 타단까지의 가장 긴 거리를 의미하고,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폭」은 평면이나 넓은 물체의 가로로 건너지른 거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길이와 폭은 서로 수직한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한 쌍의 돌기」는 고정부재가 여밈대에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의 양 측면에 형성된 2 개의 돌기를 의미한다. 상기 제 1 영역(1210) 또는 제 2 영역(1220)의 폭 및 상기 제 1 영역(1210) 또는 제 2 영역(1220)의 양 측면의 돌기(1201)의 길이의 합이 상기 고정부재(1200)가 삽입되는 여밈대의 홈(2100)의 폭에 비해 전술한 크기만큼 큼으로써, 상기 제 1 영역(1210) 또는 제 2 영역(1220)의 돌기(1201)가 여밈대의 홈(2100)의 내벽에 접촉되어 여밈대(2000)에 강한 체결을 할 수 있고, 공정이 단순하여 가공 단계를 줄일 수 있으며, 외관 품질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210)으로부터 제 2 영역(1220)이 구부러진 각도(θ')는 0° 초과 내지 9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영역(1210)으로부터 제 2 영역(1220)이 구부러진 각도(θ')는 15° 내지 75°, 30° 내지 60° 또는 40° 내지 50°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200)는 상기 제 1 영역(1210)으로부터 제 2 영역(1220)이 전술한 각도로 구부러짐으로써, 공정이 단순하여 가공 단계를 줄일 수 있고, 외관 품질이 우수하며, 여밈대(2000)에 강한 체결을 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고정부재(1200)는 제 3 영역(1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영역(123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2 영역(1220)에서 제 3 방향(3)을 따라 구부러져 형성된 영역으로서, 상기 제 2 영역(1220) 상에 상기 제 1 방향(1) 및 제 2 방향(2)과 상이한 방향을 따르는 제 3 방향(3)을 따라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영역(1230)은 상기 제 2 영역(1220)으로부터 여밈대의 홈(2100)의 내벽을 향해 구부러져 형성된 상기 고정부재(1200)의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3 영역(1230)은 제 3 방향(3)을 따라 구부러져 형성됨으로써, 고정부재(1200)가 상기 여밈대의 홈(2100)에 삽입 가능하도록 제 2 영역(1220)의 구부러진 각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1220)으로부터 제 3 영역(1230)이 구부러진 각도(θ")는 70° 내지 11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영역(1220)으로부터 제 3 영역(1230)이 구부러진 각도(θ")는 75° 내지 105°, 80° 내지 100° 또는 85° 내지 95°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200)는 상기 제 2 영역(1220)으로부터 제 3 영역(1230)이 전술한 각도로 구부러짐으로써, 고정부재(1200)가 상기 여밈대의 홈(2100)에 삽입 가능하도록 제 2 영역(1220)의 구부러진 각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고정부재(1200)는 한 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1200)는 여밈대(2000)에 구비된 하나의 홈(2100)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200)는 전술한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여밈대 마감재(1000)를 여밈대(2000)에 강한 체결을 할 수 있고, 공정이 단순하여 가공 단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여밈대(2000)에 구비된 하나의 홈(2100)의 크기는 상기 고정부재(1200)에 의해 상기 여밈대 마감재(1000)가 체결이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부재(1200)는 당업계에 공지된 연성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강(steel)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200)는 전술한 소재를 포함함으로써, 파손과 같은 변형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여밈대 마감재(1000)는 체결 구조물(1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구조물(1400)은 상기 여밈대 마감재(1000)를 여밈대(2000)에 체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구조물로서, 상기 몸체(1100) 상에 구비되어 상기 여밈대(2000)의 하단 및 상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체결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체결 구조물(1400)은 전술한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후술하는 여밈대(2000)에 구비된 복수개의 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체결이 가능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체결 구조물(1400)은 상기 몸체(1100)로부터 여밈대(2000) 방향으로 솟은 리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브 형상은 갈빗대 모양의 뼈와 같은 형상을 의미한다. 상기 체결 구조물(1400)이 리브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여밈대 마감재(1000)를 상기 여밈대(2000)에 한번에 체결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체결 구조물(1400)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체결 구조물(1400)은 여밈대(2000)에 구비된 복수개의 홈과 동일한 수로 구비되고, 상기 여밈대(2000)에 구비된 복수개의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 구조물(1400)은 전술한 위치에 복수개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여밈대 마감재(1000)를 여밈대(2000)에 한번에 체결할 수 있고, 공정이 단순하여 가공 단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여밈대(2000)에 구비된 복수개의 홈 각각의 크기는 상기 체결 구조물(1400)에 의해 상기 여밈대 마감재(1000)가 체결이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은 또한, 창짝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창짝은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여밈대 마감재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상기 여밈대 마감재에서 기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에 구비된 여밈대의 하부에 여밈대 마감재가 체결된 부분을 확대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에 구비된 여밈대의 상부에 여밈대 마감재가 체결된 부분을 확대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창짝은 여밈대(2000) 및 여밈대 마감재(1000)을 포함한다. 상기 여밈대 마감재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상기 여밈대 마감재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여밈대(2000)는 두 짝을 한 편으로 밀어 겹쳐지게 여닫는 문이나 창문에서 두 짝이 서로 여미어지는 선대이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여밈대(2000)는 하단 또는 상단에 상기 고정부재(미도시)와 대응되는 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밈대(2000)에 구비된 홈은 상기 고정부재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여밈대(2000)에 구비된 홈은 상기 고정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여밈대에 전술한 홈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여밈대 마감재가 한번에 체결될 수 있고, 공정이 단순하여 가공 단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여밈대(2000)에 구비된 홈의 크기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여밈대 마감재(1000)가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여밈대 마감재는 상기 여밈대에 삽입 시 상기 제 2 영역을 상기 여밈대의 홈의 내벽을 향하여 물리적인 힘을 가해 상기 고정부재의 양 측면에 구비된 돌기가 상기 여밈대의 홈의 내벽에 접촉되어 상기 여밈대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여밈대에 삽입 시 상기 제 2 영역을 상기 여밈대의 홈의 내벽을 향하여 물리적인 힘을 가는 경우,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평행해지도록 제 1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면서, 상기 고정부재의 양 측면에 구비된 돌기가 상기 여밈대의 홈의 내벽에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여밈대 마감재가 상기 여밈대에 강한 체결을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의 전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창짝(10000)은 제 1 프레임(3000), 제 2 프레임(4000), 제 3 프레임(5000) 및 제 4 프레임(60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프레임(3000)은 상기 여밈대(2000)와 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프레임(4000)은 상기 제 1 프레임(3000)과 마주하여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3 프레임(5000)은 상기 여밈대(2000) 및 제 1 프레임(3000)과 상기 제 2 프레임(4000) 각각의 하단을 연결하며, 상기 제 4 프레임(6000)은 상기 여밈대(2000) 및 제 1 프레임(3000)과 상기 제 2 프레임(4000) 각각의 상단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여밈대 마감재(1000)가 상기 여밈대(2000)의 하단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여밈대 마감재(1000)에 의해 상기 여밈대(2000), 제 1 프레임(3000) 및 제 3 프레임(500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밈대 마감재(1000)가 상기 여밈대(2000)의 상단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여밈대 마감재(1000)에 의해 제 1 프레임(3000) 및 제 4 프레임(600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3000), 제 2 프레임(4000), 제 3 프레임(5000) 및 제 4 프레임(6000) 간의 연결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프레임(3000), 제 3 프레임(4000) 및 제 4 프레임(5000)의 재료, 형상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동일하므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은 또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창호는 상기 창짝을 포함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창짝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상기 창짝에서 기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호(100000)는 상기 창짝(10000)을 포함한다. 상기 창호는 전술한 창짝을 포함함으로써, 외관 품질이 우수하며, 기밀성 및 단열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창호는 창틀(200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창틀(20000)은 상기 창짝(10000)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 12의 제 2 프레임(3000), 제 3 프레임(4000) 및 제 4 프레임(5000)과 별도의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창틀(20000)로는 당업계에 공지된 창틀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제 1 방향
2: 제 2 방향
1000: 여밈대 마감재
1100: 몸체
1111: 삽입홀
1200: 고정부재
1210: 제 1 영역
1220: 제 2 영역
1230: 제 3 영역
1201: 돌기
1300: 차단 구조물
1400: 체결 구조물
2000: 여밈대
2100: 여밈대의 홈
3000: 제 1 프레임
4000: 제 2 프레임
5000: 제 3 프레임
6000: 제 4 프레임
10000: 창짝
20000: 창틀
100000: 창호
h1100: 몸체의 높이 방향
l1201: 돌기의 길이
w1220: 제 2 영역의 폭
w2100: 여밈대의 홈의 폭
θ':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2 영역이 구부러진 각도
θ": 제 2 영역으로부터 제 3 영역이 구부러진 각도

Claims (20)

  1. 여밈대의 기밀 통로의 차단이 가능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돌기를 가지며, 여밈대의 하단 및 상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삽입되어 고정이 가능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여밈대 마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제 1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2 방향을 따라 구부러져 형성된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여밈대 마감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영역은 양 측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여밈대 마감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의 폭 및 상기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의 양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의 길이의 합이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여밈대의 홈의 폭에 비해 0.1 mm 이상 큰 여밈대 마감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2 영역이 구부러진 각도는 0° 초과 내지 90°인 여밈대 마감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제 3 방향을 따라 구부러져 형성된 제 3 영역을 더 포함하는 여밈대 마감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제 3 영역이 구부러진 각도는 70° 내지 110°인 여밈대 마감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강(steel)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여밈대 마감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 소재를 포함하는 여밈대 마감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여밈대와 인접한 측면의 반대 측면에 개구가 형성된 "ㄷ"자 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여밈대 마감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삽입홀을 더 포함하는 여밈대 마감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ㄷ"자 각기둥 형상의 내측에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한 쌍 이상의 차단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여밈대 마감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여밈대의 하단 및 상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체결이 가능한 체결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여밈대 마감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구조물은 상기 몸체로부터 여밈대 방향으로 솟은 리브 형상을 가지며, 복수개를 구비하는 여밈대 마감재.
  15. 여밈대; 및
    상기 여밈대의 기밀 통로의 차단이 가능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돌기를 가지며, 상기 여밈대의 하단 및 상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삽입되어 고정이 가능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여밈대 마감재를 포함하는 창짝.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여밈대는 상기 고정부재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고정부재와 대응되는 홈을 구비하는 창짝.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제 1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2 방향을 따라 구부러져 형성된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영역은 양 측면에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여밈대 마감재는 상기 여밈대에 삽입 시 상기 제 2 영역을 상기 여밈대의 홈의 내벽을 향하여 물리적인 힘을 가해 상기 고정부재의 양 측면에 구비된 돌기가 상기 여밈대의 홈의 내벽에 접촉되어 상기 여밈대에 체결되는 창짝.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여밈대와 접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과 마주하여 이격 배치된 제 2 프레임,
    상기 여밈대 및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 각각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 3 프레임 및
    상기 여밈대 및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 각각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4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창짝.
  19. 제 16 항에 따른 창짝을 포함하는 창호.
  20. 제 19 항에 있어서, 창틀을 더 포함하는 창호.
KR1020220111637A 2021-09-02 2022-09-02 여밈대 마감재 KR202300341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682 2021-09-02
KR20210116682 2021-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193A true KR20230034193A (ko) 2023-03-09

Family

ID=85511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637A KR20230034193A (ko) 2021-09-02 2022-09-02 여밈대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41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7597A (en) Window mounting assembly
US20170268240A1 (en) Pre-hung doors and methods of installation therefor
US3317078A (en) Extruded hinge
KR100770056B1 (ko) 보강재가 삽입된 창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
US5657581A (en) Multiple section suspended bath doors with interlocking members
KR20230034193A (ko) 여밈대 마감재
KR102650286B1 (ko) 여밈대 마감재
KR102117443B1 (ko) 폴딩도어용 마감부재
GB2323115A (en) Mounting door and window frames to building apertures
US8112940B2 (en) Seal arrangement on a vertical frame profile of a door wing
JPH0370077B2 (ko)
KR101987818B1 (ko)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JP7177992B2 (ja) 改善されたグレージングフレーミ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JP3248064B2 (ja) 合成樹脂製引違い窓
KR100969495B1 (ko) 시스템 창호의 기밀 유지구조
KR102106597B1 (ko) 슬림 슬라이딩 창호의 프로파일 조립구조
KR20210046199A (ko)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호
JP3177910B2 (ja) 合成樹脂製の窓枠
GB2424448A (en) Reversible keep
US10107022B2 (en) Draft guard for window assembly having seals and integral fins
KR20200001449U (ko) 도어 및 창프레임
GB877339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oors
KR200355664Y1 (ko) 미닫이 문틀 및 창문틀의 조립구조
KR101865248B1 (ko) 연동형 미닫이문용 사이드문틀
JP2021055318A (ja) 引戸の下レ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