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286B1 - 여밈대 마감재 - Google Patents

여밈대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286B1
KR102650286B1 KR1020200165324A KR20200165324A KR102650286B1 KR 102650286 B1 KR102650286 B1 KR 102650286B1 KR 1020200165324 A KR1020200165324 A KR 1020200165324A KR 20200165324 A KR20200165324 A KR 20200165324A KR 102650286 B1 KR102650286 B1 KR 102650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window
blocking structure
fastening zone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6632A (ko
Inventor
이인규
정봉환
서명하
김준우
김힘찬
김태완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00165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28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6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9Arrangements at the overlapping vertical edges of the wings that engage when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여밈대 마감재,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포함하는 창짝 및 상기 창짝을 포함하는 창호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여밈대 마감재에 의하면, 공정이 단순하여 가공 단계를 줄일 수 있고, 필링 피스가 찢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외관 품질이 우수하고,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포함하는 창짝 및 상기 창짝을 포함하는 창호의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여밈대 마감재{FINISHING MATERIALS FOR MEETING STILE}
본 출원은 여밈대 마감재,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포함하는 창짝 및 상기 창짝을 포함하는 창호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말하는데, 그 사용재료에 따라 목재 창호와 금속재 창호로 분류되나 최근에는 플라스틱에 의한 문이나 창틀 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창호는 개구부의 벽체에 창틀이 설치되고, 창짝이 상기 창틀에 구비된 레일을 타고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의 바람에 영향을 많이 받는 창호의 경우 기밀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종래 창호에서의 창짝은 상, 하부 레일을 타고 움직이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창짝은 창틀의 설치 후 상, 하부 레일 상에 삽입되어 구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창짝의 여밈대 간섭부를 가공한다.
이 경우, 상기 상, 하부 레일을 타고 움직이는 창짝의 상, 하부 레일삽입부에 필연적으로 큰 구멍이 존재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외부의 바람이 상기 창짝의 상, 하부 구멍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유입된 바람은 창짝의 레일 삽입홈을 따라 이동한다.
이와 같이 이동하던 바람은 창짝이 상, 하부 레일 상에서 뜨는 경우, 실내로 여과 없이 들어오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창호는 바람이 창짝의 여밈대까지 통하면서 순환하므로 기밀성에 대한 보완이 더욱 요구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밈대의 하단에 마감재를 장착하여 기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나, 종래의 여밈대 마감재의 경우, 여밈대에 장착하기 위하여 여밈대를 절단한 후 여밈대에 홀을 개공하는 가공 과정이 추가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여밈대에 마감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공 프로세스가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여밈대 마감재의 경우, 고무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외관 품질이 좋지 못하고, 마감재를 고정하는 고정 클립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관리해야 하는 부자재수가 2종으로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여밈대 마감재,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포함하는 창짝 및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포함하는 창호가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의 과제는 공정이 단순하여 가공 단계를 줄일 수 있고, 필링 피스가 찢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외관 품질이 우수하고,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여밈대 마감재,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포함하는 창짝 및 상기 창짝을 포함하는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여밈대 마감재는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여밈대의 하단 및 상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체결이 가능한 체결 구조물,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여밈대의 기밀 통로의 차단이 가능한 차단 구조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삽입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구조물은 상기 몸체로부터 여밈대 방향으로 솟은 리브 형상을 가지며, 복수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 구조물은 여밈대와 인접한 측면의 반대 측면에 개구를 가지는 "ㄷ"자 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차단 구조물은 "ㄷ"자 각기둥 형상의 내측에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한 쌍 이상의 고무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 구조물은 제 1 차단 구조물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 차단 구조물의 개구와 좌 또는 우로 수직한 개구를 가지는 "ㄷ"자 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제 2 차단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밈대 마감재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창짝은 여밈대; 및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여밈대의 하단 및 상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체결이 가능한 체결 구조물,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여밈대의 기밀 통로의 차단이 가능한 차단 구조물이 포함된 여밈대 마감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여밈대는 상기 체결 구조물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체결 구조물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밈대와 마주하여 이격 배치된 제 1 틀, 상기 여밈대와 제 1 틀 각각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 2 틀 및 상기 여밈대와 제 2 틀 각각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3 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창호는 상기 창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창호는 창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밈대 마감재에 의하면, 공정이 단순하여 가공 단계를 줄일 수 있고, 필링 피스가 찢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외관 품질이 우수하고,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포함하는 창짝 및 상기 창짝을 포함하는 창호의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하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가 여밈대의 하부에 체결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가 여밈대의 하부에 체결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가 여밈대의 하부에 체결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가 여밈대의 하부에 체결된 부분을 확대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가 여밈대의 상부에 체결된 부분을 확대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에 구비된 여밈대의 하부에 여밈대 마감재가 체결된 부분을 확대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에 구비된 여밈대의 상부에 여밈대 마감재가 체결된 부분을 확대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의 전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출원의 여밈대 마감재를 설명하며, 첨부된 도면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출원의 여밈대 마감재가 첨부된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하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여밈대 마감재(1000)는 몸체(1100), 체결 구조물(1200) 및 차단 구조물(1300)을 포함한다.
상기 여밈대 마감재는 상기 여밈대의 외관 품질을 높이기 위해 설치되거나, 창짝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단순 사출물 구조의 재료이다. 상기 여밈대 마감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 체결 구조물 및 차단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창짝은 전술한 여밈대 마감재를 포함함으로써, 공정이 단순하여 가공 단계를 줄일 수 있고, 외관 품질이 우수하며,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여밈대 마감재의 중심이 되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에는 상기 체결 구조물 및 차단 구조물이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몸체는 삽입홀(1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홀은 상기 몸체의 어느 한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창짝에 체결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여밈대와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창짝을 상기 여밈대 마감재에 체결하는 경우, 상기 삽입홀에 나사를 삽입하여 상기 여밈대 마감재가 상기 창짝에 고징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모헤어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결 구조물은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여밈대에 체결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여밈대의 하단 및 상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체결이 가능하다. 상기 체결 구조물은 전술한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후술하는 여밈대에 구비된 복수개의 홈에 삽입되어 체결이 가능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체결 구조물은 상기 몸체로부터 여밈대 방향으로 솟은 리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브 형상은 갈빗대 모양의 뼈와 같은 형상을 의미한다. 상기 체결 구조물이 리브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상기 여밈대에 한번에 체결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체결 구조물은 복수개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체결 구조물은 여밈대에 구비된 복수개의 홈과 동일한 수를 구비하고, 상기 여밈대에 구비된 복수개의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 구조물은 전술한 위치에 복수개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여밈대에 한번에 체결할 수 있고, 공정이 단순하여 가공 단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여밈대에 구비된 복수개의 홈 각각의 크기는 상기 체결 구조물에 의해 상기 여밈대 마감재가 체결이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차단 구조물은 기밀 통로를 차단하는 구조를 가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몸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 구조물이 전술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단 구조물은 여밈대와 인접한 측면의 반대 측면에 개구를 가지는 "ㄷ"자인 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제 1 차단 구조물(13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차단 구조물은 여밈대와 인접한 측면의 반대 측면에 개구를 갖고, 여밈대의 길이방향으로 자른 단면이 "ㄷ"자이며, 여밈대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차단 구조물은 전술한 구조의 제 1 차단 구조물을 가짐으로써,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후술하는 창호의 창틀에 구비된 레일을 타고 창짝이 좌우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차단 구조물은 “ㄷ”자 각기둥 형상의 내측에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한 쌍 이상의 고무 패킹(13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차단 구조물은 전술한 위치에 전술한 수로 고무 패킹을 더 포함함으로써,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후술하는 창호의 창틀에 삽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 구조물은 제 2 차단 구조물(1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차단 구조물은 상기 제 1 차단 구조물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 차단 구조물의 개구와 좌 또는 우로 수직한 개구를 가지는 “ㄷ”자 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차단 구조물은 전술한 구조의 제 2 차단 구조물을 가짐으로써,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차단 구조물을 포함하는 여밈대 마감재를 후술하는 마감재에 체결한 창짝의 경우, 후술하는 창틀의 하부에 기밀성 측면에서 구비되는 필링 피스에 피해를 주지 않아, 상기 필링 피스가 찢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가 여밈대의 하부에 체결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가 여밈대의 하부에 체결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가 여밈대의 하부에 체결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가 여밈대의 하부에 체결된 부분을 확대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밈대 마감재가 여밈대의 상부에 체결된 부분을 확대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여밈대 마감재(1000)는 전술한 차단 구조물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여밈대의 하부 또는 상부 전체를 가리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여밈대 마감재는 기밀성 및 단열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여밈대 마감재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는 공지의 모든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는 ABS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소재로는 구체적으로, 전술한 열가소성 수지와 섬유로 제조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BS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이다. 상기 여밈대 마감재는 전술한 열가소성 수지 또는 복합 소재를 포함함으로써, 외관 품질이 우수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창짝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창짝은 상기 여밈대 마감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여밈대 마감재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상기 여밈대 마감재에서 기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에 구비된 여밈대의 하부에 여밈대 마감재가 체결된 부분을 확대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에 구비된 여밈대의 상부에 여밈대 마감재가 체결된 부분을 확대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창짝은 여밈대(2000) 및 여밈대 마감재(1000)을 포함한다. 상기 여밈대 마감재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상기 여밈대 마감재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여밈대는 두 짝을 한 편으로 밀어 겹쳐지게 여닫는 문이나 창문에서 두 짝이 서로 여미어지는 선대이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여밈대는 하단에 상기 체결 구조물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밈대에 구비된 복수개의 홈은 상기 체결 구조물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여밈대에 구비된 복수개의 홈은 후술하는 체결 구조물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여밈대에 전술한 복수개의 홈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여밈대 마감재가 한번에 체결될 수 있고, 공정이 단순하여 가공 단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여밈대에 구비된 복수개의 홈 각각의 크기는 상기 체결 구조물에 의해 상기 여밈대 마감재가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의 전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창짝(10000)은 제 1 틀(3000), 제 2 틀(4000) 및 제 3 틀(50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틀은 상기 여밈대와 마주하여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틀은 상기 여밈대와 제 1 틀 각각의 하단을 연결하며, 상기 제 3 틀은 상기 여밈대와 제 2 틀 각각의 상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 1 틀, 제 2 틀 및 제 3 틀의 재료, 형상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동일하므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은 또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창호는 상기 창짝을 포함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창짝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상기 창짝에서 기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호(100000)는 상기 창짝(10000)을 포함한다. 상기 창호는 전술한 창짝을 포함함으로써, 외관 품질이 우수하며, 기밀성 및 단열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창호는 창틀(200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창틀은 상기 창짝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전술한 제 1 틀, 제 2 틀 및 제 3 틀과 별도의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창틀로는 당업계에 공지된 창틀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000: 여밈대 마감재
1100: 몸체
1111: 삽입홀
1200: 체결 구조물
1300: 차단 구조물
1310: 제 1 차단 구조물
1311: 고무 패킹
1320: 제 2 차단 구조물
2000: 여밈대
3000: 제 1 틀
4000: 제 2 틀
5000: 제 3 틀
10000: 창짝
20000: 창틀
100000: 창호

Claims (12)

  1.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여밈대의 하단 및 상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체결이 가능한 체결 구조물,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여밈대의 기밀 통로의 차단이 가능한 차단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나사가 삽입되어 창짝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구조물은 상기 몸체로부터 여밈대 방향으로 솟은 리브 형상을 가지며, 여밈대에 구비된 복수 개의 홈과 동일한 수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차단 구조물은, 여밈대와 인접한 측면의 반대 측면에 개구를 가지며 "ㄷ"자 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제 1 차단 구조물과, 상기 제 1 차단 구조물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 차단 구조물의 개구와 좌 또는 우로 수직한 개구를 가지며 "ㄷ"자 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제 2 차단 구조물을 포함하는 여밈대 마감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단 구조물은 "ㄷ"자 각기둥 형상의 내측에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한 쌍 이상의 고무 패킹을 더 포함하는 여밈대 마감재.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밈대 마감재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 소재를 포함하는 여밈대 마감재.
  8. 여밈대; 및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여밈대의 하단 및 상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체결이 가능한 체결 구조물,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여밈대의 기밀 통로의 차단이 가능한 차단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나사가 삽입되어 창짝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삽입홀이 형성되는 여밈대 마감재를 포함하고,
    상기 여밈대는 상기 체결 구조물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체결 구조물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홈을 구비하며,
    상기 체결 구조물은, 상기 몸체로부터 여밈대 방향으로 솟은 리브 형상을 가지고, 상기 여밈대에 구비된 복수 개의 홈과 동일한 수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홈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차단 구조물은, 여밈대와 인접한 측면의 반대 측면에 개구를 가지며 "ㄷ"자 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제 1 차단 구조물과, 상기 제 1 차단 구조물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 차단 구조물의 개구와 좌 또는 우로 수직한 개구를 가지며 "ㄷ"자 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제 2 차단 구조물을 포함하는 창짝.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여밈대와 마주하여 이격 배치된 제 1 틀,
    상기 여밈대와 제 1 틀 각각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 2 틀 및
    상기 여밈대와 제 2 틀 각각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3 틀을 더 포함하는 창짝.
  11. 제 8 항에 따른 창짝을 포함하는 창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는 창틀을 더 포함하는 창호.
KR1020200165324A 2020-12-01 2020-12-01 여밈대 마감재 KR102650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324A KR102650286B1 (ko) 2020-12-01 2020-12-01 여밈대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324A KR102650286B1 (ko) 2020-12-01 2020-12-01 여밈대 마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632A KR20220076632A (ko) 2022-06-08
KR102650286B1 true KR102650286B1 (ko) 2024-03-22

Family

ID=81981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324A KR102650286B1 (ko) 2020-12-01 2020-12-01 여밈대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2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701B1 (ko) * 2019-11-29 2021-04-22 주식회사 케이씨씨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888Y1 (ko) * 2009-11-27 2013-03-14 (주)엘지하우시스 미서기 창호용 기밀재
DE202017004355U1 (de) * 2017-08-22 2017-09-18 Siegenia-Aubi Kg Dichtungsvorrichtung für einen verschiebbaren Flügel als Schiebeflügel oder verschiebbaren Hebe-Schiebeflügel eines Fensters oder einer Tü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701B1 (ko) * 2019-11-29 2021-04-22 주식회사 케이씨씨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632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0624B2 (en) Versatile hybrid window system
US10294716B2 (en) Pre-hung doors and methods of installation therefor
US6966158B1 (en) Universal window/door frame
US7392628B2 (en) Functional shutter
US3317078A (en) Extruded hinge
KR102650286B1 (ko) 여밈대 마감재
US10024099B2 (en) Draft guard
US4423897A (en) Window ventilating stop
US20010039763A1 (en) Window sash
KR20230034193A (ko) 여밈대 마감재
US5016526A (en) Ventilated sliding closure assembly
JP3248064B2 (ja) 合成樹脂製引違い窓
GB2424448A (en) Reversible keep
US10107022B2 (en) Draft guard for window assembly having seals and integral fins
CA2238062A1 (en) Secure divided window
JP3177910B2 (ja) 合成樹脂製の窓枠
CA2925153C (en) Draft guard for window assembly having seals and integral fins
KR20200001449U (ko) 도어 및 창프레임
JPH019918Y2 (ko)
KR200287576Y1 (ko) 창호의 보강용 조립구 체결구조
JP2872073B2 (ja) 引違いサッシまたは引戸
JPH0435502Y2 (ko)
JPS587028Y2 (ja) 二重サッシ
KR20230057111A (ko) 안전성과 기밀성이 향상된 출입문의 문틀프레임
KR0127028Y1 (ko) 합성수지재 여닫이 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