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770A -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770A
KR20170073770A KR1020150181610A KR20150181610A KR20170073770A KR 20170073770 A KR20170073770 A KR 20170073770A KR 1020150181610 A KR1020150181610 A KR 1020150181610A KR 20150181610 A KR20150181610 A KR 20150181610A KR 20170073770 A KR20170073770 A KR 20170073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pper
jaw
safety pin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8926B1 (ko
Inventor
최현기
박상현
신홍철
임정빈
최지웅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1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926B1/ko
Publication of KR20170073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2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being constructed in a way to remain too small or too wide to cause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는, 일단부의 안전핀이 상기 도어의 내측 단부로부터 프레임을 향해 출몰할 수 있도록 도어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제1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안전핀의 돌출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도어의 닫힘을 방지하는 버팀부재;와, 상기 버팀부재의 안전핀이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걸림턱과 맞물려 안전핀의 함몰을 방지하는 제2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이 맞물리는 고정위치 또는 상기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이 분리되는 고정해제위치로 이동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를 고정위치 또는 고정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FOR HINGED DOOR}
본 발명은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가 외력에 의해 갑작스럽게 닫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어와 프레임의 사이에 손가락과 같은 신체 일부가 끼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출입구에 회전식 도어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이러한 회전식 도어는 일반적으로 문틀과 문짝에 경첩을 설치하고 경첩에 의해 문짝이 회전 가능하도록 되며, 문짝에는 경첩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과 반대 편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손잡이를 쥐고 문짝을 밀고 당김으로써 문짝이 회전 개폐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조물 벽체의 개구부에 설치된 프레임(30)에 경첩(20)을 부착하고, 상기 경첩(20)에 의해 도어(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경첩(20)이 부착되어 있는 도어(10)의 반대측에 부착된 손잡이(40)를 쥐고 상기 도어(10)를 밀고 당겨서 개폐하는 여닫이 도어가 널리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여닫이 도어는, 도어(10)의 개방에 수반하여 프레임(30)과 도어(10) 단면(10a)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고, 상기 틈새에 실수로 손가락이 들어갔을 때에 도어(10)가 폐쇄되면, 상기 손가락이 상기 틈새에 끼여 다칠 우려가 있다. 특히, 어린이나 유아가 상기 도어(10)를 열고 닫으며 장난을 하는 중, 상기 손가락이 상기 틈새에 끼일 우려가 크다.
또한,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 벽에 의지하여 걸음을 할 때에, 상기 틈새에 손가락이 끼일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도어(23)를 열었을 때에 생기는 틈새에 의한 위험을 확실히 피할 수 있는 도어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한 기술로, "출입문용 도어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9893호)에는 문짝과 문틀의 틈새 부분에 원통파이프를 설치하고, 파이프를 강판스프링이 감싸도록 설치되며, 강판스프링은 문짝 일측에 연결되도록 한 기술이 공개되기도 하였다. 상기 기술은 도어를 개폐할 때 문짝과 문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 복원력에 의해 문짝이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기술은 틈새 부분을 본체로 막아 틈새에 손을 집어넣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원통파이프의 반대 부분에서 손을 삽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데다 문을 열어놓은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상 불편함을 갖게 된다.
한편,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3120호)에는 문짝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있어 회전에 따라 문틀과 문짝 사이에 일측단부가 돌출되어 끼여지도록 한 기술이 공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손잡이 측의 손 끼임을 방지하도록 한 것으로 경첩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서 손 끼임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문짝을 열어놓은 상태에서 경첩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틈새로 손이 껴서 발생하는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9893호 (2006.02.2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3120호 (2011.03.3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내측 단부로부터 안전핀이 돌출 고정되며, 도어가 외력에 의해 갑작스럽게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하더라도 안전핀이 프레임에 지지되면서 도어가 완전히 닫히는 것을 방지하므로, 도어와 프레임 사이에 손가락이 끼여 있더라도 손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를 이용해 돌출 고정된 안전핀을 함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사용자가 의도한 경우에만 닫히게 할 수 있는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도어가 경첩에 의해 회동하면서 프레임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일단부의 안전핀이 상기 도어의 내측 단부로부터 프레임을 향해 출몰할 수 있도록 도어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제1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안전핀의 돌출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도어의 닫힘을 방지하는 버팀부재;와, 상기 버팀부재의 안전핀이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걸림턱과 맞물려 안전핀의 함몰을 방지하는 제2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이 맞물리는 고정위치 또는 상기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이 분리되는 고정해제위치로 이동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를 고정위치 또는 고정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팀부재를 돌출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의 고정해제위치는 상기 스토퍼가 고정위치로부터 버팀부재의 돌출방향으로 회동하여 제2걸림턱이 제1걸림턱의 이동경로상에서 벗어나는 위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를 고정위치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고정위치에서 버팀부재의 함몰방향으로의 회동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는 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에 인가되는 구동력을 상기 스토퍼에 전달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도어 내에서 작동레버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정방향 회전 구동력은 도어 잠금장치에 전달하고, 역방향 회전 구동력은 스토퍼에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내측 단부로부터 안전핀이 돌출 고정되며, 도어가 외력에 의해 갑작스럽게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하더라도 안전핀이 프레임에 지지되면서 도어가 완전히 닫히는 것을 방지하므로, 도어와 프레임 사이에 손가락이 끼여 있더라도 손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를 이용해 돌출 고정된 안전핀을 함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사용자가 의도한 경우에만 닫히게 할 수 있는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도어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의 도어 폐쇄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의 도어 폐쇄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의 도어 개방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의 도어 개방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의 도어 폐쇄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는, 도어(10)가 경첩(20)에 의해 회동하여 프레임(30)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도어(10)와 프레임(30) 사이에 손가락 끼임과 같은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는, 도어(10)에 설치되는 케이스(110), 버팀부재(120), 스토퍼(130), 이동부재(140) 및 작동레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도어(10)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면에는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114)가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다. 케이스(110)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버팀부재(12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111)와, 스토퍼(130)의 고정위치를 안내하는 것과 동시에 고정위치에서 스토퍼(1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스토퍼(130)의 일면에 접촉하는 제2가이드(112)와, 이동부재(14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3가이드(1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는 버팀부재(120)를 통해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설계되고, 수용공간에는 케이스의 강성 증대를 위한 다수의 격벽 구조물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케이스(110)에는 버팀부재(120)가 함몰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버팀부재(120)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버팀부재(120)가 돌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잠금부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잠금부는 사용자가 케이스(110)의 커버(114)를 열어 잠금부의 잠금 설정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버팀부재(120)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버팀부재(120)는 상기 케이스(110)의 수용공간의 일측에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일단부에는 경첩(20)이 설치된 도어(10)의 내측 단부로부터 프레임(30)을 향해 출몰하는 안전핀(121)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1가이드(111)에 결합되어 좌우 이동이 안내되는 안내봉(122)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핀(121)과 안내봉(122) 사이에는 제1걸림턱(123)이 스토퍼(130)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버팀부재(120)의 안전핀(121)은 버팀부재(120)와 제1가이드(111) 사이에 개재되는 제1탄성부재(124)에 의해 돌출 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상기 스토퍼(130)는 상기 버팀부재(120)의 일단부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걸림턱(123)과 맞물리는 제2걸림턱(131)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123)과 제2걸림턱(131)이 맞물리는 고정위치 또는 상기 제1걸림턱(123)과 제2걸림턱(131)이 이격되는 고정해제위치로 이동하며, 고정위치에서는 버팀부재(120)를 통해 스토퍼(1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일면이 제2가이드(112)에 밀착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토퍼(130)의 타단부가 상기 케이스(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130)의 고정해제위치는 상기 스토퍼(130)가 고정위치로부터 버팀부재(120)의 돌출방향으로 회동하여 제2걸림턱(131)이 제1걸림턱(123)의 이동경로상에서 벗어나는 위치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130)는, 스토퍼(130)와 케이스(110)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132)에 의해 고정위치 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토퍼(130)가 회동하면서 고정위치와 고정해제위치로 이동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제1걸림턱(123)과 제2걸림턱(131)이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이동부재(140)는 상기 작동레버(150)의 작용축(151)에 인가되는 구동력을 상기 스토퍼(130)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110)의 제3가이드(113)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안내되며, 일단부는 스토퍼(130)의 일면에 밀착되고, 타단부는 작동레버(150)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작동레버(150)는 상기 이동부재(140)의 타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스토퍼(130)를 고정해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도어(10) 잠금장치용 손잡이로 구성되며, 정방향 또는 정,역방향 회전 구동력은 도어(10) 잠금장치에 전달하고, 역방향 회전 구동력은 이동부재(140)를 통해 스토퍼(130)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작동레버(150)의 작용축(151)에는 역방향 회전시 이동부재(140)의 단부를 수평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돌기(152)가 일측에 돌출 형성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4는 본 발명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의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의 도어 개방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의 도어 개방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도어(10)가 닫힌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버팀부재(120)는 케이스(110)의 제1가이드(111)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안내되고,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는 버팀부재(120)의 안전핀(121)이 도어(10)의 내측 단부에 함몰된 상태가 되며, 제1가이드(111)와 버팀부재(120) 사이에 개재된 제1탄성부재(124)에 의해 돌출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스토퍼(130)는 타단부가 케이스(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탄성부재(132)에 의해 일단부의 제2걸림턱(131)이 상기 제1걸림턱(123)과 맞물릴 수 있는 고정위치로 탄성지지되어 일면이 제2가이드(112)에 밀착된다.
이동부재(140)는 제3가이드(113)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안내되고, 양단부가 스토퍼(130)의 일면과 작동레버(150)의 가압돌기(152) 사이에 개재되며, 작동레버(150)를 역방향(도면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가압돌기(152)가 이동부재(140)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작동레버(15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하는 도어(10) 잠금장치의 손잡이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10) 잠금장치는 손잡이의 정,역방향 회전에 의해 잠금장치의 잠금설정이 해제되어 도어(10)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러한 도어(10) 잠금장치의 작동은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도 6 및 도 7과 같이 도어(10)를 개방하기 위해 작동레버(15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어(10) 잠금장치의 잠금설정을 해제하고, 도어(10)를 경첩(20)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개방하면, 도어(10)의 내측 단부가 프레임(30)으로부터 이격된다.
도어(10)가 개방되면, 도어(10)의 내측 단부에 함몰되어있던 버팀부재(120)의 안전핀(121)은, 버팀부재(120)가 제1탄성부재(124)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어(10)의 내측 단부로부터 프레임(30)을 향해 돌출된다.
여기서, 버팀부재(120)의 제1걸림턱(123)은 버팀부재(120)가 돌출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걸림턱(123)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된 스토퍼(130)의 제2걸림턱(131)과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스토퍼(130)를 고정위치로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132)가 탄성압축되면서 스토퍼(130)가 고정해제위치로 회동하였다가, 제1걸림턱(123)이 제2걸림턱(131)을 통과하면 제2탄성부재(132)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위치로 복원된다.
따라서, 버팀부재(120)가 돌출방향으로 이동한 뒤에는, 스토퍼(130)의 제2걸림턱(131)이 버팀부재(120)가 함몰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므로, 버팀부재(120)의 안전핀(121)이 임의로 함몰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130)는 일면이 케이스(110)의 제2가이드(112)에 밀착지지되어 있으므로, 도어(10)가 강하게 닫히는 경우에도, 안전핀(121)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10)의 개방시 도어(10)의 내측 단부로부터 안전핀(121)이 돌출 고정되며, 도어(10)가 외력에 의해 갑작스럽게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하더라도 안전핀(121)이 프레임(30)에 지지되면서 도어(10)와 프레임(30) 사이의 틈새 공간을 확보하는 것과 동시에 도어(10)가 완전히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가 닫히는 과정에서 경첩(20)이 설치된 도어(10)의 내측 단부와 프레임(30) 사이의 틈새는 물론, 도어(10) 손잡이가 설치된 도어(10)의 외측 단부와 프레임(30) 사이의 틈새에 손가락과 같은 신체 일부가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도면 중,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의 도어 폐쇄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도어(10)를 닫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150)를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작동레버(150)의 작용축(151)에 형성된 가압돌기(152)가 이동부재(140)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이동부재(14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140)의 타단부는 스토퍼(130)의 일면을 가압하여 스토퍼(130)를 고정해제위치로 회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스토퍼(130)가 고정해제위치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스토퍼(130)의 제2걸림턱(131)이 버팀부재(120)의 제1걸림턱(123)의 이동경로상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버팀부재(120)가 함몰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를 역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로 도어(10)를 닫으면, 도어(10)의 내측 단부로부터 돌출된 안전핀(121)은 도어(10)와 프레임(30) 사이의 틈새가 좁아짐에 따라 함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도어(10)를 완전히 닫을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는 작동레버(150)를 역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만 도어(10)를 완전히 닫을 수 있으므로, 도어(10)가 별도의 조작없이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어(10)가 완전히 닫힌 후, 작동레버(150)를 역방향으로 가압하던 힘을 제거하면, 도 4와 같이 스토퍼(130)는 제2탄성부재(132)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스토퍼(130)의 회동과 함께 이동부재(140)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도어, 20:힌지, 30:프레임,
110:케이스, 111:제1가이드, 112:제2가이드,
113:제3가이드, 114:커버, 120:버팀부재,
121:안전핀, 122:안내봉, 123:제1걸림턱,
124:제1탄성부재, 130:스토퍼, 131:제2걸림턱,
132:제2탄성부재, 140:이동부재, 150:작동레버,
151:작용축, 152:가압돌기

Claims (9)

  1. 도어가 경첩에 의해 회동하면서 프레임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일단부의 안전핀이 상기 도어의 내측 단부로부터 프레임을 향해 출몰할 수 있도록 도어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제1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안전핀의 돌출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도어의 닫힘을 방지하는 버팀부재;
    상기 버팀부재의 안전핀이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걸림턱과 맞물려 안전핀의 함몰을 방지하는 제2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이 맞물리는 고정위치 또는 상기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이 분리되는 고정해제위치로 이동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를 고정위치 또는 고정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부재를 돌출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의 고정해제위치는 상기 스토퍼가 고정위치로부터 버팀부재의 돌출방향으로 회동하여 제2걸림턱이 제1걸림턱의 이동경로상에서 벗어나는 위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를 고정위치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고정위치에서 버팀부재의 함몰방향으로의 회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는 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에 인가되는 구동력을 상기 스토퍼에 전달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도어 내에서 작동레버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정방향 회전 구동력은 도어 잠금장치에 전달하고, 역방향 회전 구동력은 스토퍼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
KR1020150181610A 2015-12-18 2015-12-18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 KR101808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610A KR101808926B1 (ko) 2015-12-18 2015-12-18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610A KR101808926B1 (ko) 2015-12-18 2015-12-18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770A true KR20170073770A (ko) 2017-06-29
KR101808926B1 KR101808926B1 (ko) 2017-12-14

Family

ID=5928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610A KR101808926B1 (ko) 2015-12-18 2015-12-18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9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136A (ko) * 2019-08-22 2021-03-04 윔코리아 주식회사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9765B2 (ja) * 2005-09-28 2011-04-13 三協立山アルミ株式会社 建具の扉用閂錠装置
KR200450395Y1 (ko) * 2010-06-28 2010-10-04 김민지 손끼임 방지 안전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136A (ko) * 2019-08-22 2021-03-04 윔코리아 주식회사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926B1 (ko) 201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980B1 (ko) 래치장치
KR101510659B1 (ko) 도어핸들을 이용한 안전도어락
KR101219207B1 (ko)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
EP3119935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635255B1 (ko)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특히 가정용품의 도어를 위한 시스템
KR101945913B1 (ko) 초기 개방이 쉬운 미닫이문용 댐퍼 장치
KR200450395Y1 (ko) 손끼임 방지 안전 도어
KR101307136B1 (ko) 미닫이문의 손잡이장치
KR101019282B1 (ko) 도어 스토퍼장치
KR101007812B1 (ko) 도어 스토퍼장치
US10030419B2 (en) Fire door lock
KR101808926B1 (ko) 여닫이 도어용 안전장치
JP6688554B2 (ja) レバーハンドル用操作具
KR101810484B1 (ko) 출입구 개폐장치
KR20150109814A (ko) 의류처리장치
KR101146493B1 (ko) 안전 도어록
KR101952828B1 (ko) 도어의 발 개폐기
KR200452169Y1 (ko) 창호용 턴첵
KR101916098B1 (ko) 그립 방식의 손잡이
KR102219429B1 (ko) 버튼식 손끼임 방지장치
KR101525830B1 (ko) 펫 드라이 룸용 안전 손잡이
KR102287873B1 (ko) 미닫이문 원터치 잠금장치
KR101810481B1 (ko) 출입구 개폐장치
CN211188050U (zh) 一种机械臂安全机构及机械臂
KR20210131681A (ko) 서랍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