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794Y1 - 도어 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794Y1
KR200150794Y1 KR2019970000836U KR19970000836U KR200150794Y1 KR 200150794 Y1 KR200150794 Y1 KR 200150794Y1 KR 2019970000836 U KR2019970000836 U KR 2019970000836U KR 19970000836 U KR19970000836 U KR 19970000836U KR 200150794 Y1 KR200150794 Y1 KR 2001507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door latch
hand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08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6779U (ko
Inventor
김문식
Original Assignee
김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식 filed Critical 김문식
Priority to KR20199700008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794Y1/ko
Publication of KR199800567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7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7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7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단이 도어(1)의 측편 선단면에서 출몰하도록 도어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래치부(2)와, 도어손잡이(3) 배면에 힌지식으로 결합된 개폐레버부(4)와, 한쪽은 상기 개폐레버부(4)의 회동하는 선단과 맞닿아 접촉하고 있고 다른 쪽은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5)을 통하여 상기 도어래치부(2)와 맞물려 연동하는 구조로 되어, 상기 개폐레버부(4)를 도어손잡이(3) 배면쪽으로 당기거나 놓음에 따라 상기 도어래치부(2)를 슬라이드작동시켜 도어프레임의 래치구멍 안팎으로 출몰시킴으로써 도어(1)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켜주는 도어래치작동수단(6)으로 구성되어, 단지 도어손잡이를 잡아당겨주기만 하여도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음으로써, 노약자나 어린이와 같이 힘이 없는 사람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록 장치
본 고안은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 잠금해제시키는 운동방향이 도어손잡이를 쥐는 방향과 일치되어, 도어손잡이를 잡아당기면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자동적으로 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개방작동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현관 등에 사용되는 도어는 도어의 안팎 양측에 손잡이를 설치하여 상기 손잡이를 사용하여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도어손잡이에는 도어 록 장치가 구비되어 통상 문이 닫혔을 때 사람의 적극적인 의사를 가지고 작동시킬 때만 개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도어 록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1)의 일측에 도어손잡이(102)를 설치하고, 도어(101)의 내측에는 상기 손잡이(102)의 회동에 따라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키는 도어래치(103)를 설치하여, 상기 손잡이(102)를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도어래치(103)가 도어(101)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며 도어프레임의 래치구멍을 출몰하면서 도어(101)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어 록 장치에서는 도어래치를 작동시킬 때에 손잡이를 회동시켜야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므로 손잡이가 미끄러운 경우나 노약자, 특히 어린이에게는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지 않게되어 사용이 불편할 뿐만아니라 손잡이의 회동시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면 쉽게 파손되어 작동이 원활치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어손잡이와 그 후면에 힌지결합된 레버를 동시에 잡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도어 록 장치를 간편하게 잠금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선단이 도어의 측편 선단면에서 출몰하도록 도어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래치부와, 도어손잡이 배면에 힌지식으로 결합된 개폐레버부와, 한쪽은 상기 개폐레버부의 회동하는 선단과 맞닿아 접촉하고 있고 다른 쪽은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을 통하여 상기 도어래치부와 맞물려 연동하는 구조로 되어, 상기 개폐레버부를 도어손잡이 배면쪽으로 당기거나 놓음에 따라 상기 도어래치부를 슬라이드작동시켜 도어프레임의 래치구멍 안팎으로 출몰시킴으로써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켜주는 도어래치작동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래치부는 도어 내부공간에 고정설치된 래치하우징과, 이 래치하우징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후단이 스프링으로 탄력지지된 도어래치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래치작동수단은 도어에 고정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설치함과 동시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설치되고 선단면은 상기 개폐레버부의 회동선단과 맞닿도록 되어 상기 개폐레버부가 힌지작동을 함에 따라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전후진운동하도록 된 플런저부 및 상기 하우징의 앞쪽선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한쪽선단은 상기 도어래치부의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고, 다른쪽 선단은 상기 플런저부의 선단과 맞닿아 있어, 상기 플런저가 전,후진함에 따라 상기 도어래치부의 길이방향으로 선회운동하면서 도어래치부를 전,후진 작동시켜주는 작동바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손잡이를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도어손잡이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보조손잡이가 당겨지게 되고, 따라서 상기 보조손잡이와 연동되어 작동하게 되어 있는 도어래치작동수단에 의해 도어를 고정하고 있는 도어래치가 당겨져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되는 바, 상기 도어손잡이를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도 도어를 용이하게 열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록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록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록 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록 장치에서 도어래치작동수단만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 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2 : 도어래치부
3 : 도어손잡이 4 : 개폐레버부
5 : 결합홈 6 : 도어래치작동수단
7 : 래치하우징 8 : 스프링
9 : 도어래치 9a: 걸림턱
10: 하우징 11: 스프링
12: 플런저부 12a: 스프링고정용플런저
12b: 누름플런저 13: 작동바
14: 지지브라켓 15: 힌지축
16: 지지바 17: 보조손잡이
18: 누름쇠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록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록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록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록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록 장치에서 도어래치작동수단만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선단이 도어(1)의 측편 선단면에서 출몰하도록 도어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래치부(2)와, 도어손잡이(3) 배면에 힌지식으로 결합된 개폐레버부(4)와, 한쪽은 상기 개폐레버부(4)의 회동하는 선단과 맞닿아 접촉하고 있고 다른 쪽은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5)을 통하여 상기 도어래치부(2)와 맞물려 연동하는 구조로 되어, 상기 개폐레버부(4)를 도어손잡이(3) 배면쪽으로 당기거나 놓음에 따라 상기 도어래치부(2)를 슬라이드작동시켜 도어프레임의 래치구멍 안팎으로 출몰시킴으로써 도어(1)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켜주는 도어래치작동수단(6)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래치부(2)는 도어(1) 내부공간에 고정설치된 래치하우징(7)과, 이 래치하우징(7)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후단이 스프링(8)으로 탄력지지된 도어래치(9)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래치(9)는 반원형상으로 그 선단에 걸림턱(9a)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래치작동수단(6)은 도어(1)에 고정설치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스프링(11)을 매개로 탄력설치함과 동시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설치되고 선단면은 상기 개폐레버부(4)의 회동선단과 맞닿도록 되어 상기 개폐레버부(4)가 힌지작동을 함에 따라 도어(1)의 두께방향으로 전후진운동하도록 된 플런저부(12) 및 상기 하우징(10)의 앞쪽선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한쪽선단은 상기 도어래치부(2)의 결합홈(5)에 끼워져 결합되고, 다른쪽 선단은 상기 플런저부(12)의 선단과 맞닿아 있어, 상기 플런저부(12)가 전,후진함에 따라 상기 도어래치부(2)의 길이방향으로 선회운동하면서 도어래치부(2)를 전,후진 작동시켜주는 작동바(13)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부(12)는 하우징(10) 내의 스프링(11)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고정용플런저(12a)와, 이 스프링고정용플런저(12a)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바(13)를 회동시키기 위한 누름플런저(12b)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개폐레버부(4)는 도어손잡이(3) 후면에 고정설치된 지지브라켓(14)에 힌지축(15)으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지지바(16)가 설치되고, 이 지지바(16)의 일측 선단에는 상기 도어손잡이(3) 후방에 놓여지는 보조손잡이(17)가 부착되며, 타측선단은 상기 도어래치작동수단(6)의 플런저부(12)를 누르기 위해 상기 지지브라켓(14)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누름쇠(18)에 연결되어 있는 바, 상기 지지바(16)는 보조손잡이(17)가 당겨짐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누름쇠(18)를 회동시키게 되고 따라서 상기 누름쇠(18)가 도어래치작동수단(6)의 플런저부(12)를 밀수 있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따라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손잡이는 도어에 수직상으로 고정설치되어 손잡이의 역할만을 하게 되고, 상기 도어손잡이의 후면에 설치된 보조손잡이가 도어래치를 당겨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도어손잡이를 잡게 되면 도어손잡이의 후면에 위치하고 있는 보조손잡이까지 손에 파지되게 되고 그 운동방향이 도어손잡이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작동되어 상기 도어손잡이를 잡아당겨주게 되면 상기 보조손잡이가 당겨지면서 도어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도어래치가 걸림해제되어 도어가 개방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록 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1)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도어래치(9)에 의해 상기 도어(1)가 개방되지 않게 되어 있는 바, 상기 도어(1)를 열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래치(9)를 도어래치(9)를 지지하고 있는 래치하우징(7) 내측으로 슬라이딩시켜 도어(1)의 잠금상태를 해제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도어(1)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도어래치(9)를 래치하우징(7) 내측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해서는 도어손잡이(5)를 잡고 상기 손잡이(5)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는 보조손잡이(17)를 당겨주기만하면 되는 데, 상기 보조손잡이(17)를 당겨주게 되면 상기 보조손잡이(17)가 설치된 지지바(16)가 힌지축(15)을 매개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지지바(16)의 타측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누름쇠(18)가 상기 지지바(16)의 회동에 따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도어래치작동수단(6)의 플런저부(12)를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쇠(18)에의해 눌려지는 플런저부(12)는 하우징(10) 내측의 탄성스프링(11)을 압축하면서 하우징(10) 내측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플런저부(12)가 삽입되면서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힌지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작동바(13)를 누르게 되는 바, 상기 작동바(13)가 눌려지면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작동바(13)의 타측 선단에 결합되어 있는 도어래치(9)가 래치하우징(7)내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도어(1)의 잠금이 해제되게 되고 따라서 도어(1)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어(1)를 개방한 후 손으로 파지하고 있던 도어손잡이(3)를 놓게 되면 상기 도어래치작동수단(6) 내측에 탄설되어 있는 스프링(1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플런저부(12)가 원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플런저부(12)가 도어래치작동수단(6)의 하우징(10)에서 밀려올라오면서 개폐레버부(4)의 누름쇠(18)를 밀게 됨에 따라 보조손잡이(17)가 도어개방전상태로 회동되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도어손잡이의 후면에 설치된 보조손잡이를 잡아당겨 주게되면 종래와 같이 도어손잡이를 회전하는 등의 별도의 동작없이도 손쉽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록 장치에 의하면, 단지 도어손잡이를 잡아당겨주기만 하여도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음으로써, 노약자나 어린이와 같이 힘이 없는 사람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선단이 도어(1)의 측편 선단면에서 출몰하도록 도어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래치부(2)와, 도어손잡이(3) 배면에 힌지식으로 결합된 개폐레버부(4)와, 한쪽은 상기 개폐레버부(4)의 회동하는 선단과 맞닿아 접촉하고 있고 다른 쪽은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5)을 통하여 상기 도어래치부(2)와 맞물려 연동하는 구조로 되어, 상기 개폐레버부(4)를 도어손잡이(3) 배면쪽으로 당기거나 놓음에 따라 상기 도어래치부(2)를 슬라이드작동시켜 도어프레임의 래치구멍 안팎으로 출몰시킴으로써 도어(1)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켜주는 도어래치작동수단(6)으로 이루어진 도어 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래치부(2)는 도어(1) 내부공간에 고정설치된 래치하우징(7)과, 이 래치하우징(7)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후단이 스프링(8)으로 탄력지지된 도어래치(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래치작동수단(6)은 도어(1)에 고정설치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스프링(11)을 매개로 탄력설치함과 동시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설치되고 선단면은 상기 개폐레버부(4)의 회동선단과 맞닿도록 되어 상기 개폐레버부(4)가 힌지작동을 함에 따라 도어(1)의 두께방향으로 전후진운동하도록 된 플런저부(12) 및 상기 하우징(10)의 앞쪽선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한쪽선단은 상기 도어래치부(2)의 결합홈(5)에 끼워져 결합되고, 다른쪽 선단은 상기 플런저부(12)의 선단과 맞닿아 있어, 상기 플런저부(12)가 전,후진함에 따라 상기 도어래치부(2)의 길이방향으로 선회운동하면서 도어래치부(2)를 전,후진 작동시켜주는 작동바(13)로 이루어진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KR2019970000836U 1997-01-22 1997-01-22 도어 록 장치 KR2001507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836U KR200150794Y1 (ko) 1997-01-22 1997-01-22 도어 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836U KR200150794Y1 (ko) 1997-01-22 1997-01-22 도어 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779U KR19980056779U (ko) 1998-10-15
KR200150794Y1 true KR200150794Y1 (ko) 1999-07-01

Family

ID=19494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0836U KR200150794Y1 (ko) 1997-01-22 1997-01-22 도어 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7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136B1 (ko) 2012-05-16 2014-08-26 (주)성림금속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136B1 (ko) 2012-05-16 2014-08-26 (주)성림금속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779U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16787B2 (ja)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JP3147332B2 (ja) ハッチ付車両バックドアのラッチ装置
CH633070A5 (fr) Dispositif de porte pour la securite de personnes.
US7269984B2 (en) Ratcheting pawl latch
US4103945A (en) Emergency opening latch actuator for sliding door
JPH07208003A (ja) ロックユニット
KR890001456Y1 (ko) 문짝용 핸들장치
JPH0460079A (ja) コンソールロック装置
KR200150794Y1 (ko) 도어 록 장치
AU3548797A (en) Latch unit and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ng a latch unit
KR101956107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0748712B1 (ko)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KR101962898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JP2004353378A (ja) 戸先錠解除機構付き開口部装置
KR200150793Y1 (ko) 도어 록 장치
KR102287873B1 (ko) 미닫이문 원터치 잠금장치
KR200182205Y1 (ko) 문용 로크핸들의 걸음쇠장치
KR200182729Y1 (ko) 창문의 버튼식 잠금장치
JPH1018668A (ja) 扉錠のハンドル装置
JPH0546601Y2 (ko)
JPH069270Y2 (ja) 家具類における引戸のラッチ装置
KR100415053B1 (ko) 도어록 장치
KR19990024304A (ko) 무회전 도어록
KR940006482Y1 (ko) 도어록의 안전장치
KR200196875Y1 (ko) 창문용 시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