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324B1 - 창호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창호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324B1
KR100394324B1 KR10-2001-0017807A KR20010017807A KR100394324B1 KR 100394324 B1 KR100394324 B1 KR 100394324B1 KR 20010017807 A KR20010017807 A KR 20010017807A KR 100394324 B1 KR100394324 B1 KR 100394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drive shaft
closing device
translational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7874A (ko
Inventor
김승철
최의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홈네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홈네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홈네스터
Priority to KR10-2001-0017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4324B1/ko
Publication of KR20010067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05F15/64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allowing or involving a secondary movement of the wing, e.g. rotational or transvers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 E05D15/1013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accessorie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05Y2201/718Bevelled 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09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one of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necessarily precedes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창호 개폐 장치는 벽면과, 상기 벽면의 개구된 부분에 설치되어 창호가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외관을 조망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 부재의 외주에 설치되는 창문 섀시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측변 쪽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어 소정의 동력 발생 수단에 의해서 회전하게 되는 구동축과, 일측은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른 동력이 소정의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측에 의해 상기 창문 섀시가 전후/좌우 운동이 가능토록 하는 회전암과, 상기 구동축의 동력이 소정의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어 좌우로 운동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미끄럼 운동이 가능토록 마찰 저감 부재가 포함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해서 상대 병진 운동이 가능한 병진 운동차와, 일측은 상기 병진 운동차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창문 섀시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병진 운동차의 좌우 병진 운동에 따라 상기 창문 섀시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 설치되는 평행 유지바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창호가 전체적으로 벽면을 따라 밀려나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실내와 실외가 보다 넓은 면적을 통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택의 전망과 주택 내부의 환기상에 관한 문제가 개선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호 개폐 장치{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window or door}
본 발명은 단독 주택, 특히 야외의 풍광을 즐길 수 있는 전원 주택의 거실에 자연스레 태양광이 비추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집의 앞쪽으로 크게 형성되는 대형창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창의 개폐 동작을 보다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빛 뿐만 아니라 환기에 관련되는 기능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단독 주택 또는 전원 주택의 대형 창호는 넓은 전망과 많은 조광이 확보되도록 하기 위하여, 외벽과 일체로 된 고정형의 붙박이 대형창을 설치하고 그 측면으로 환기를 위한 소형창을 설치하거나, 또는 여러 개의 미닫이 창을 외벽의 개구부에 겹쳐 설치하여 사용하여 왔다.
도 1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 창호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창호의 구성을 설명하면, 주택의 외벽을 형성하는 벽면(1)의 일정 부분에 형성된 개구부 및 이들의 테두리에 형성된 지지 프레임(4)과, 지지 프레임(4)의 안쪽으로 개구부의 일정 부분은 붙박이 창(2)으로 형성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개구부의 나머지에 해당되는 일정 부분에는 수평 이동 창(3)을 형성하여 좌우로 움직여 환기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창호 구조는 벽면의 개구부 중에서 일정 부분에만 수평 이동 창이 설치됨으로써, 나머지 부분은 열리지 않아 환기를 하고자 할 때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수평 이동 창이 설치되어 있는 일정 부분만이 개폐가 가능하여 사용자는 심리적으로 갑갑함을 느끼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이 개선되도록 하기 위하여 벽면 개구부 전체에 대해서 수평 이동 창이 겹쳐서 설치되는 경우에는, 전체 창호의 절반에 대해서만 개폐가 가능하고 나머지 부분들은 개폐가 불가능하며, 대형 창호를 여러 개의 미닫이 형 창호로 나눔으로 인해, 개개의 섀시가 시야를 가림으로써 대형 창호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장점인 넓은 조망의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이 개선되도록 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외부를 조망하는 대형 창호의 전체 부분이 동작되어 전 부분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넓은 조망권을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창호의 전부분이 개폐되어 실내 환기도 한층 더 원활해질 수 있는 창호 개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창호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개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외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개폐 장치에서 지지 프레임을 제거한 내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 투명 부재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a' 선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 동력 발생 수단(도 3의 B부분)을 설명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동력 전달 수단(도 3의 C부분)을 설명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 동력 전달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 6의 b-b'선의 절단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 병진 운동 차(도 3의 A부분)의 동작을 설명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 병진 운동 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8의 c-c'선의 절단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 창호가 열린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 종동 체인의 방향 전환 수단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있어 창호가 열린 상태에서 외장 커버 부분의 단면도.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에 있어 감지 수단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벽면 2 : 붙박이 창 3 : 수평 이동 창
4 : 지지 프레임 100 : 벽면 101 : 외장 커버
200 : 제 1 지지 프레임 201 : 레일 210 : 구동 모터
220 : 속도 조절부 221 : 제 1 베벨 기어 222 : 제 2 베벨 기어
223 : 수동 조작 부 230 : 동력 전달 벨트 240 : 구동축
241 : 구동축 기어 250 : 토크 전달 기어 251 : 피니언
252 : 방향 전환 기어 260 : 피동 기어 261 : 회전암 지지구
262 : 회전암 270 : 회전암 롤러 280 : 체인
281 : 스프로킷 282 : 종동 체인 290 : 병진 운동차
291 : 제 1 병진 운동 차 291a : 제 1 체인 연결 돌기
291b : 제 3 체인 연결 돌기 292 : 제 2 병진 운동 차
292a : 제 2 체인 연결 돌기 292b : 제 4 체인 연결 돌기
300 : 평행 유지바 301 : 좌측 평행 유지 바
301a, 302a : 절곡부 302 : 우측 평행 유지 바
303 : 고정 패널 310 : 가이드 레일 311 : 가이드 레일 롤러
320 : 자중 대항 롤러 330 : 안정 롤러 400 : 제 2 프레임
410 : 제 1 롤러 삽지구 500 : 창문 섀시 510 : 제 2 롤러 삽지구
521 : 융기 실링 부재 522 : 함몰 실링 부재 600 : 투명 부재
610 : 회전수 감지 부재 611 : 회전수 감지 센서
620 : 제 1 운동차 감지 센서 630 : 제 2 운동차 감지 센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 개폐 장치는 벽면과, 상기 벽면의 개구된 부분에 설치되어 창호가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외관을 조망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 부재의 외주에 설치되는 창문 섀시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측변 쪽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어 소정의 동력 발생 수단에 의해서 회전하게 되는 구동축과, 일측은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른 동력이 소정의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측에 의해 상기 창문 섀시가 전후/좌우 운동이 가능토록 하는 회전암과, 상기 구동축의 동력이 소정의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어 좌우로 운동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미끄럼 운동이 가능토록 마찰 저감 부재가 포함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해서 상대 병진 운동이 가능한 병진 운동차와, 일측은 상기 병진 운동차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창문 섀시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병진 운동차의 좌우 병진 운동에 따라 상기 창문 섀시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 설치되는 평행 유지바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 개폐 장치는, 창문 섀시가 전후/좌우 방향의 병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자동으로 창호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창호를 전체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조망을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창호의 거의 전체 부분을 개방할 수 있어 외부 공기의 환기도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쾌적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개폐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외측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건물의 외관을 형성하는 벽면(100)과, 벽면(100)의 일정 개구부 테두리에 설치되는 제 1 지지 프레임(200) 및 제 2 지지 프레임(400)과, 투명 부재(600)의 외주에 형성되어 투명 부재(600)가 병진운동 가능토록 하는 창문 섀시(500)와, 창문 섀시(500)의 운동이 가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310)과, 벽면(100)을 따라서도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310)이 수납되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 레일(310)의 외부로 설치되는 외장 커버(101)와, 창문 섀시(500)가 전후 방향 운동을 하도록 만드는 회전암(262)이 포함되며, 창문 섀시(500)가 개폐될 때 수평으로 평형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평행 유지 바(300)가 더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외적 구성 요소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호 개폐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은 도면에 제시된 바와 같은 전후/좌우의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그 이동 방향을 설명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전후/좌우의 방향에 대한 지시는 이하의 모든 도면에 대해서 동일함을 양지해야 한다.
도 2a, 도 2b, 도 2c는 창호가 열리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먼저 도 2a에서 도 2b로의 이동 과정은 창문 섀시(500)가 열릴 때 가이드레일(310)을 따라서 비스듬히 경사지게 전후로 이동되는데, 이때에 평행 유지 바(300)와 회전암(262)은 완전히 펴져 창호의 무게가 지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창호가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열릴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2b에서 도 2c로의 이동 과정은 창호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끝난 뒤에 좌우로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회전암(262)이 완전히 펴진 상태를 유지하며 창문 섀시(500)에 대해 미끄럼 운동을 하고, 또한 평행 유지 바(300)의 펴진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며 벽면(100)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 버팀력에 의해서 창문 섀시(500)는 전후 방향으로의 움직임없이 좌우로만 움직이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개략적인 운동 상태에 대해 원리를 중심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제 1 지지 프레임(200) 및 제 2 지지 프레임(400)을 제거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개폐 장치에서 지지 프레임(200)(400)을 제거한 내측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지지 프레임(도 2의 200참조) 및 제 2 지지 프레임(도 2의 400참조)의 측변 쪽으로는 외부 전원 인가에 의하여 작동되는 구동 모터(210)와, 구동 모터(210)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 전달 벨트(230)와, 동력 전달 벨트(230)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동축(240)과, 일측은 구동축(240)과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은 창문 섀시(500)에 연결되어 구동축(240)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창문 섀시(500)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전암(262)과, 구동축(240)의 회전력이 창문 섀시(500)의 전후/좌우 방향의 병진 운동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체인(280)과, 체인(280)의 동작에 의해서 병진 운동하게 되는 병진 운동 차(290)와, 제 1 지지 프레임(200) 및 제 2 지지 프레임(400)에 대해 미끄럼 가능토록 설치되는 병진 운동 차(29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창문 섀시(500)에 연결되어 병진 운동 차(290)의 병진 운동에 따라 창문 섀시(500)가 평행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평행 유지 바(300)와, 창문 섀시(500)의 움직임이 가이드되도록 하기 위하여 벽면 개구부의 외측 및 벽면을 따라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31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세 구성을 참조하여 창호 개폐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구동 모터(210)와 동력 전달 벨트(230)를 통하여 구동축(240)으로 전달된 힘은 분지되어 일정 힘은 회전암(262)을 통하여 창문 섀시(500)로 전달되고, 또 다른 일정의 힘은 체인(280)을 통하여 병진 운동 차(290)에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된 힘은 일측이 구동축(240)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암(262)의 자전 운동을 일으켜 회전암(262)이 구동축(240)을 중심으로 자전토록 만들어, 회전암(262) 타측의 움직임에 의해 창문 섀시(500)가 전후방향 운동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구동축(240)에서 분지된 또 다른 힘이 전달되는 체인(280)은 병진 운동 차(290)가 당겨지도록 하여 병진 운동 차(290)와 창문 섀시(500)에 양측이 힌지 연결되어 있는 평행 유지 바(300)가 동작되도록 하여 창문 섀시(500)가 전후/좌우 방향으로 운동 되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병진 운동 차(290) 및 체인(280)과, 회전암(262)은 창호의 수와 자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두개의 대형 창호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개개 창호의 아래와 위에 설치되어 그 자중이 지지되도록 해야되므로, 각각 네 개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 설명된 바와 같은 창문 섀시의 동작은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다.
또한, 도 3에서 a-a' 선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 4를 참조하면, 창호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외기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는 동시에, 조망되는 경관에 방해가 없도록 하기 위하여 투명 부재(600)간의 맞닿는 외주에는 양변에 실링 부재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일측 투명 부재의 테두리에서 중심 부분이 융기 형성된 융기 실링 부재(521)와, 타측 투명 부재의 테두리에서 중심 부분이 함몰되는 함몰 실링 부재(522)와 같이 한쌍의 실링 부재가 형성되는데, 각각의 실링 부재(521)(522)는 창문 섀시(500)의 외측으로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융기 실링 부재(521)과 함몰 실링 부재(522)가 쌍으로 형성됨으로써, 창호가 닫힐 때 각각의 실링 부재가 맞닿아 완전히 밀폐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불어 들어오는 바람을 막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실링 부재(521)(522)로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실외의 경관을 보는데 있어 방해가 되지 않아 사용자는 한층 더 좋은 안락감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실링 부재(521)(522)가 창문 섀시(500)의 외측이 아니라 직접 투명 부재(600)에 설치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창문 섀시(500)로 인한 조망의 방해를 막을 수 있어 보다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개략적인 본 발명의 동작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되는 각각의 부분의 부분 확대 사시도를 이하에서제시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개폐 장치의 동력 발생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동력 발생 수단은 구동 모터(210)와, 상기 구동 모터(210)에서 발생되는 일정 회전수의 동력이 제품의 안정된 작동이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속도 조절부(220)와, 속도 조절부(220)를 통하여 조절된 동력이 속도 조절부(220)로부터 연장되는 회전축을 통하여 구동축(240)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동력 전달 벨트(230)와, 속도 조절부(220) 회전축의 끝단에 설치되는 제 1 베벨 기어(221)와, 제 1 베벨 기어(221)와 이가 맞물리게 되는 제 2 베벨 기어(222)와, 제 2 베벨 기어(222)의 중심축 상에 결합되어 수동으로도 창호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동 조작 부(223)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수동 조작 부(223)는 수동으로 동작되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 2 베벨 기어(222)에 끼워두고, 전동으로 동작되도록 할 때에는 빠져 있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외관이 보다 미려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상기 동력 발생 수단은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으로 인해 구동 모터(210)에서 회전력이 발생되면, 이러한 회전력은 속도 조절부(220)에서 회전속도가 조절되어 속도 조절부(220)의 외측에 형성되는 회전축을 통하여 구동축(240)으로 전달되는데, 이때 회전축과 구동축(240)의 사이에는 동력 전달 벨트(230)가 설치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한편, 외부로부터의 전원 인가가 여의치 않을 때에는 사용자가 직접 창호를 개폐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동작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수동 조작부(223)을 돌리면 그 토크는 제 2 베벨 기어(222)와 제 1 베벨 기어(221)를 통하여 속도 조절 부(220)의 회전축으로 전달되며, 결국에는 동력 전달 벨트(230)로 전달되어 구동축(24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제시된 바와 같은 구동 모터(210)와 속도 조절 부(220)로서 외부 전원에 의해 모터의 회전수가 조절될 수 있는 가변 구동 모터가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은 보다 더 편리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동축(240)으로 전달된 회전력은 일정의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하여 병진 운동 차(도 3의 290참조)및 평행 유지 바(도 2의 300참조)와 회전암(도 2b의 262참조)으로 각각 전달되는데,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동력 전달 수단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동력 전달 수단(도 3의 C부분)을 설명하는 확대 부분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 동력 전달 수단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 6의 b-b'선의 절단 측면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병진 운동 차(도 3의 290참조)가 좌우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하여 구동축(240)의 상단에 설치되어 구동축(240)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구동축 기어(241)와, 구동축 기어(241)와 맞물리어 토크를 전달받는 토크 전달 기어(250)와, 토크 전달 기어(250)와 동일 축상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281)과, 스프로킷(281)의 외주에 설치되는 체인(280)이 포함된다. 그리고, 토크전달 기어(250)와 동일축 상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피니언(251)과, 피니언(251)과 맞물리어 피니언(251)으로 부터 토크를 전달받는 피동 기어(260)와, 상기 피동 기어(260)가 상단에 형성되며 구동축(240)의 외주에 상대 회전운동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회전암 지지구(261)와, 회전암 지지구(261)에 일측이 고정 체결되며 타측은 회전암 롤러(270)와 힌지 결합되는 회전암(262)이 포함되는데, 상기 회전암 롤러(270)는 창문 새시(500)의 제 2 롤러 삽지구(510)에 삽입되며 상하 좌우 측에 다수 개의 롤러가 형성되어 회전암(262)이 구동축(24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때 회전암 롤러(270)가 창문 섀시(500) 내부에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310)은 하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창문 섀시(500)의 벽면쪽 상단에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 롤러(311)가 설치되어 창문 섀시(500)의 움직임이 한층 더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310)은 벽면의 외부로도 계속해서 연장되며 외장 커버(도 1의 101참조)가 벽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310)을 외측에서 감싸고 있는데, 상기 외장 커버(101)의 내부에는 창문 섀시(500)가 가이드 레일(310)을 따라 계속해서 움직이는 도중에 회전암(262)의 회전 한계에 다다르면(전후방향 운동이 끝나면), 회전암(262)은 움직이지 않으나 창문 섀시(500)가 계속해서 외벽을 따라 좌우로 이동될 때 창호의 자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제 2 롤러 삽지구(510)에 삽입되어 창문 섀시(500)의 무게가 지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중 대항 롤러(320)가 설치되는데, 이는 추후에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바탕으로 동력 전달 수단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구동축(240)을 통하여 전달된 토크는 구동축 기어(241)와 토크 전달 기어(250)와 스프로킷(281)을 경유하여 체인(280)으로 전달되어 병진 운동 차(290)가 좌우로 움직이도록 하며, 구동축(240)에서 토크 전달 기어(250)로 전달된 토크는 토크 전달 기어(250)와 동일축 상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피니언(251)을 통하여 피동 기어(260)로 전달되며, 피동 기어(26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암 지지구(261)로 전달되어 회전암(262)이 자전됨으로써 창문 섀시(500)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피동 기어(260)의 외주에 형성되는 기어 이는 피동 기어(260) 외주의 전부가 아닌 일정 부분에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회전 범위 내에서만 피니언(251)을 통하여 토크가 피동 기어(260)로 전달되도록 하여 회전암(262)의 회전 가능한 범위가 설정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구성을 취함으로써 일정 범위를 초과한 뒤에는 회전암(262)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체인(280) 및 병진 운동차(290)에 의한 창문 섀시(500)의 전후/좌우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 병진 운동 차(도 3의 A부분)의 동작을 설명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 병진 운동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8에서 c-c'선의 절단 측면도이다. 다만,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상단의 기어들과 회전암 롤러는 생략되었음을 주지하여야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체인(280)의 양단이 연결되는 제 1 병진 운동 차(291) 및 제 2 병진 운동 차(292)와, 제 1 병진 운동 차(291) 및 제 2 병진 운동 차(292)에 형성되어 직접 체인이 연결되며 병진 운동 차(290)로 체인(280)의 운동이 전달되도록 하는 제 1 체인 연결 돌기(291a) 및 제 2 체인 연결 돌기(292a)와, 제 2 병진 운동 차(292)가 제 1 병진 운동 차(291)와 동일한 거리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또 다른 종동 체인이 체결되는 제 3 체인 연결 돌기(291b)와 제 4 체인 연결 돌기(292b)와, 병진 운동 차(290)의 미끄럼 운동이 가이드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지지 프레임(20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레일(201)과, 상기 병진 운동 차(290)의 하측으로 설치되며 제 2 지지 프레임(40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롤러 삽지구(410)에 삽입되며 상하/좌우로 하나 이상의 롤러가 형성되는 안정 롤러(330)와, 병진 운동 차(290)와 창문 섀시(500)의 사이에서 힌지 결합되어 연결됨으로써 병진 운동 차(290)가 동작되는 경우에 창문 섀시(500)가 평행하게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평행 유지 바(300)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병진 운동 차(290)와 평행 유지 바(300) 등은 본 실시예와 같이 대형 창호가 두개 설치되는 경우에는 개개 창호의 상하 좌우에 대칭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부터 창문이 열리는 동작을 설명하면, 스프로킷(도 7의 281참조)의 회전에 의해서 체인(280)에 회전력이 전달되면 체인(280)이 연결되어 있는 제 1 병진 운동 차(291)가 움직이게 되며, 그와 동시에 제 2 병진 운동 차(292)도 또 다른 종동 체인(282)에 의해서 제 1 병진 운동 차(291)와 반대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제 1, 2 병진 운동 차(291)(292)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평행 유지 바(300)와 병진 운동차(291)(292)는 제 2 지지 프레임(400) 내부의 제 1 롤러 삽지구(410)에 놓이는 안정 롤러(330)에 의해서 보다 안정되게레일(201)위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한편, 평행 유지 바(300)는 창문 섀시(500)가 회전암(262)의 동작에 의해서 전후 방향 운동될 때, 창문 섀시(500)의 전 부분이 평행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데, 이를 위하여 평행 유지 바(300)의 일단은 창문 섀시(500)에, 타단은 병진 운동 차(290)의 하측에서 힌지 결합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병진 운동차(290)는 창문 섀시(도 2의 500참조)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한쌍이 형성되어, 투명 부재 및 창문 섀시(500)의 자중이 창문 섀시(500)의 상측과 하측에서 모두 지지되도록 하여, 상당한 자중에 이르는 투명 부재가 보다 신뢰성 있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평행 유지 바(300)의 형상은 창문 섀시(500)의 안정된 동작을 위하여 특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도 10의 창문 섀시가 열린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호 개폐 장치에 의해 창호가 완전히 열렸을 때에는, 평행 유지바(300)는 일정 각도로 완전히 펴진후 레일(201)을 따라 움직인 병진 운동차(290)에 의해 구동축(240)쪽으로 완전히 옮겨져 있는데, 이와 같이 평행 유지 바(300)가 일정 각도로 완전히 펴진 후에 더 이상 꺾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좌측 평행 유지 바(301)가 창문 섀시(500)와 만나는 측과, 우측 평행 유지 바(302)가 병진 운동 차(290)와 만나는 측에는 절곡부(301a)(302a)가 형성되도록 하여 평행 유지 바(300)가 더 이상 펴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특히, 좌측 평행 유지 바(301)가 일정 범위를 넘어서서 펴지지 않도록, 평행 유지 바(300)는 창문섀시(500)에 설치되며 상기 절곡부(301a)가 맞닿는 고정 패널(303)에 그 일단이 설치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 설명된 바와 같은 구성을 참조하여, 창문 섀시(500)가 안정되게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원리를 다시 한번 설명하도록 한다, 구동축(240)을 통하여 전달된 동력은 분지되어 회전암(262)의 자전 운동과, 병진 운동 차(290)의 병진 운동으로 전달되며, 이중 특히 병진 운동 차(290)의 병진 운동은 한 쌍의 평행 유지 바(300)의 자전 및 병진 운동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때 회전암(262)의 자전 운동에 기인한 창문 섀시(500)의 동작과 평행 유지 바(300)의 자전 및 병진 운동에 의하여 창문 섀시(500)의 동작은 두 가지로 힘의 제한을 받게 되므로 그 자유도가 제한될 수밖에 없는 것이고, 또한 상기 절곡부(301a)(302b)는 평행 유지 바(300)가 최대한으로 펼쳐져 있을 때에는 평행 유지 바(300) 각각의 절곡부(301a)(302a)가 고정 패널(303)과 제 2 지지 프레임(400)에 닿게 되어, 창문 섀시(500)는 전후방향으로는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벽면을 따라 좌우로 밀려나가는 운동만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 2 병진 운동 차(292)가 움직이게 되는 원리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체인 연결 돌기(291a)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280)에 의해 제 1 병진 운동 차(291)가 당겨지면 제 3 체인 연결 돌기(291b)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종동 체인(282)의 일측이 당겨지게 되고, 종동 체인(282)은 일정한 방향 전환 수단을 경유하여 제 2 병진 운동 차(292)의 제 2 체인 연결 돌기(292b)에 연결되어 제 2 병진 운동 차(292)가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 2 병진 운동 차(292) 또한 병진 운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1은 구동축이 설치된 쪽의 반대 방향에 설치되어 있는 종동 체인의 방향 전환 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이는 도 7에 개진된 바와 같이 구동축(240)으로 부터 전달받게 되는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 전달 수단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스프로킷(281)과, 피니언(251)과, 피동 기어(260)는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다만 피동 기어(260)로 전달되는 토크는 피니언(251)으로 부터 직접 피동 기어(260)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제 1 지지 프레임(200)상에 설치되는 또 다른 방향 전환 기어(252)를 경유하여 전달되도록 하여 회전암(262)이 올바른 방향으로 자전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310)의 내부에는 창문 섀시(500)의 위치가 적절히 선정된 상태에서 전후/좌우의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7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은 가이드 레일 롤러(311)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방향 전환 수단으로서 스프로킷(281)의 동작을 살피면, 스프로킷(281)의 외주에 종동 체인(도 8의 282참조)이 감겨지므로 스프로킷(281)은 종동 체인(282)의 방향 전환을 위한 지지점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호 개폐 장치에서 창호가 열려서 창문 섀시(500)가 벽면을 따라 이동되는 경우에, 회전암 롤러(도 6의 270참조)는, 이가 일정한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는 피동 기어(도 7의 260참조)로 인해 일정한 범위에대해서 회전된 뒤에는 병진 운동 없이 정지되고, 창호 섀시가 좌우로 이동되면 회전암 롤러(270)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가 이동되어 창호의 자중에 의해서 기울어질 염려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외장 커버(101)의 안쪽으로는 가이드 레일(310)과 가이드 레일 롤러(311) 뿐만 아니라, 회전암 롤러(27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2 롤러 삽지구(5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자중 대항 롤러(320)가 설치되어, 창호의 자중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자중 대항 롤러(320)에는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롤러가 포함되어 구성되어 투명 부재의 자중과, 창문 섀시의 하중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창호 개폐 장치의 동작 상태가 감지 및 제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감지 및 제어부가 또한 마련되는데, 창호 개폐 장치에 제어 신호가 보내어져 동작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연산 작용이 가능한 제어 수단으로 마이콤이 이용될 수 있으며, 현재 창호 개폐 장치의 동작 상태가 체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감지 수단으로서 감지 센서가 설치되는데, 도 13과 도 14는 이와 같은 감지 센서의 형성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는 동력 발생 수단의 사시도로서 기 설명된 바가 있는 제 2 베벨 기어(222)의 뒤로 동일축 상에서 평행하게 설치되는 회전수 감지 부재(610)와, 상기 회전수 감지 부재(610)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에 의해서 회전수 감지 부재(610)의 회전수가 체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속도 조절부(220)의 상측에 설치된 회전수 감지 센서(611)가 포함되는데, 이러한 구성으로 말미암아제 2 베벨 기어(222)의 회전수가 체크될 수 있도록 하여 구동 모터의 제어에 이용되도록 한다. 그리고, 설명된 바와 같은 돌기는 그 개수를 증가 시킴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는 창호의 개폐에 의해서 병진 운동 차(290)가 움직일 수 있는 위치의 최대 변위점 상에 설치되어, 창호가 개방되거나 밀폐된 것이 감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지지 프레임(200)상에 설치되는 제 1 운동차 감지 센서(620) 및 제 2 운동차 감지 센서(630)가 포함된다.
이러한 운동차 감지 센서(620)(630) 중에서 제 1 운동차 감지 센서(620)는 창문이 완전히 열렸을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 1 운동차 감지 센서(620)가 온되면 구동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이 오프되도록 하여 더이상 병진 운동 차(29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창문이 완전히 닫혀 밀폐되면 제 2 운동차 감지 센서(630)가 온되어 마찬가지로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이 더 이상 인가되지 않도록 하여 구동 모터가 작동되지 않도록 한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창호가 전후/좌우로 움직이며 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무게가 지지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롤러가 특징적으로 마련되며, 또한 벽면의 외면을 따라서 창호가 열리도록 함으로써 벽면의 내부에 창호가 들어갈 공간이 형성될 필요가 없도록 하여, 기존의 창호를 대신하여 본 장치가 단품으로 설치되기만 하면 본 장치를 온전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살펴 보면 창호의 전체 폭에서 평행 유지 바의 길이에 상응하는 창호의 폭은 열리지 않고 외벽의 개구부에서 보이는 상태로 남겨져 있어 조망에 방해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창호가 완전히 열리지 못하는 것은 평행 유지 바의 길이에 따른 것으로, 외벽의 두께가 작아지나 창호가 벽면의 바깥쪽으로 더 나아가 설치됨으로써 평행 유지 바의 전체 길이가 축소되거나, 창호의 전체 폭이 커져 창호의 전체 폭에 비하여 평행 유지 바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아 창호의 열리지 않는 부분이 미소하게 되면, 이와 같은 조망의 불편은 없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일정 부분이 붙박이로 닫혀있도록 하는 구성을 대신하여, 창호 전체가 닫히거나 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또 다른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을 제대로 이해하는 당업자는 위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예와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 요소의 부가나 삭제, 변경 등에 의하여 손쉽게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모든 창호가 전체적으로 벽면 개구부에서 닫히거나 열릴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넓은 공간을 통하여 실내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택의 전망과 주택 내부의 환기 문제가 개선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창호가 벽면을 따라서 바깥쪽으로 밀려나갈 수 있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벽면 내부로 들어가야 하는 불편함이 개선되며 보다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는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창호의 자체적인 상당한 자중에 기인한 내구성의 문제를 다양하게 설치된 롤러 등의 지지 구조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있어, 특히 대형 창호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전동은 물론 수동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편의는 극대화될 수 있다.

Claims (19)

  1. 벽면과,
    상기 벽면의 개구된 부분에 설치되어 창호가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외관을 조망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 부재의 외주에 설치되는 창문 섀시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측변 쪽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어 소정의 동력 발생 수단에 의해서 회전하게 되는 구동축과,
    일측은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른 동력이 소정의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측에 의해 상기 창문 섀시가 전후/좌우 운동이 가능토록 하는 회전암과,
    상기 구동축의 동력이 소정의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어 좌우로 운동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미끄럼 운동이 가능토록 마찰 저감 부재가 포함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해서 상대 병진 운동이 가능한 병진 운동차와,
    일측은 상기 병진 운동차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창문 섀시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병진 운동차의 좌우 병진 운동에 따라 상기 창문 섀시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 설치되는 평행 유지바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병진 운동차가 놓이게 되는 제 1 지지 프레임과, 상기 병진 운동차의 병진 운동 중에 자세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병진 운동차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안정 롤러가 롤러 삽지구에 삽입 설치되는 제 2 지지 프레임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 롤러는 수평 및 수직 하중 모두가 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수직 롤러 및 수평 롤러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발생 수단은 회전수가 가변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 모터부와,
    상기 구동 모터부로 부터 연장 형성된 회전축에서 상기 구동축으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 전달 벨트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발생 수단은 수동으로도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 모터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1 베벨 기어와,
    상기 제 1 베벨 기어와 이가 맞물리는 제 2 베벨 기어와,
    상기 제 2 베벨 기어가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수동 조작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진 운동차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구동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구동축 기어와,
    상기 구동축 기어와 이가 맞물려 상기 구동축 기어의 토크가 전달되는 토크 전달 기어와,
    상기 토크 전달 기어와 동축 상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의 외주에 감겨 상기 병진 운동차에 그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스프로킷의 회전시 상기 병진 운동차가 동작되도록 하는 체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와 상기 창문 섀시 등이 한 쌍으로 대칭 설치되어 이들 각각이 개폐 되도록 하는 경우에 상기 체인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제 1 병진 운동차 및 제 2 병진 운동차와,
    상기 체인과 반대쪽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 1 병진 운동차 및 제 2 병진 운동차가 각각으로 반대쪽으로 병진 운동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병진 운동차 및 제 2 병진 운동차에 양단이 연결되는 종동 체인과,
    상기 종동 체인이 외주에 설치되며 상기 종동 체인의 지지점으로서 자전되는 또 다른 스프로킷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한 쌍으로 설치되는 상기 투명 부재와 상기 창문 섀시 등이 대칭되는 쪽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상기 종동 체인과 상기 스프로킷을 통하여 전달된 토크의 회전 방향이 반대로 바뀌어 회전암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동력 전달 수단에 방향 전환 기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암으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구동축의 끝단에 설치되는 구동축 기어와,
    상기 구동축 기어와 이가 맞물려 상기 구동축 기어의 토크가 전달되는 토크 전달 기어와,
    상기 토크 전달 기어와 동축 상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이가 맞물리는 피동 기어와,
    상기 피동 기어 및 회전암이 외주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의 상측에 동축으로 미끄럼 삽입되어 상대 회전 운동이 가능토록 하는 회전암 지지구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으로부터의 토크가 전달되는 상기 피동 기어의 외주에는 일정 부분에만 이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암이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된 후에는 더이상 회전암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암 타측의 결합 구조는 상기 회전암의 타측에 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창문 섀시에 형성된 롤러 삽지구에 삽입되어 전후/좌우의 하중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직 및 수평 롤러로 구성된 회전암 롤러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 유지바에서 상기 창문 섀시 측의 힌지 결합은 상기 평행 유지바가 일정 범위를 초과한 뒤에는 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평행 유지바의 절곡부와 맞닿는 수직면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패널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 섀시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창문 섀시의 개폐 동작이 가이드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롤러가 포함되는 가이드 레일 롤러와,
    상기 가이드 레일 롤러가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개구부의 좌측 및/또는 우측과 벽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는 창호의 개방된 부분에 해당되는 자중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자중 대항 롤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 장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는 밖으로 밀려나가는 창호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자중 대항 롤러와 가이드 레일이 보호되도록 하는 외장 커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회전수와 상기 병진 운동차의 병진 운동 거리가 체크되도록 하는 감지 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병진 운동차의 운동이 감지되도록 하는 감지 수단은 병진 운동차의 전후 최대 운동 지점에 두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가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경우에 그 밀폐성이 개선되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투명 부재가 닿는 부분에는 일측의 투명 부재 테두리에 형성 융기되는 융기 실링 부재와,
    상기 융기 실링 부재와 짝을 이루어 타측의 투명 부재 테두리에 중심 부분이 함몰되는 함몰 실링 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진 운동차의 마찰 저감 부재는 하나 이상의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 장치.
KR10-2001-0017807A 2001-04-04 2001-04-04 창호 개폐 장치 KR100394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807A KR100394324B1 (ko) 2001-04-04 2001-04-04 창호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807A KR100394324B1 (ko) 2001-04-04 2001-04-04 창호 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874A KR20010067874A (ko) 2001-07-13
KR100394324B1 true KR100394324B1 (ko) 2003-08-21

Family

ID=19707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807A KR100394324B1 (ko) 2001-04-04 2001-04-04 창호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43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571B1 (ko) 2010-12-10 2011-03-31 이붕희 랙 피니언과 캠블럭을 이용한 실드룸용 풀 오토 실드 도어
CN104712225A (zh) * 2013-12-11 2015-06-17 Ykkap株式会社 门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190B1 (ko) * 2003-10-14 2011-04-20 주식회사 윈스피아 시스템 창호 잠금장치
KR101028151B1 (ko) * 2009-05-01 2011-04-08 윈-도어 (WIN-door) 주식회사 창호의 힌지 결합구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4878U (ko) * 1986-08-25 1988-03-05
US4802307A (en) * 1987-04-02 1989-02-07 Siegenia-Frank Kg Tilt-sliding mechanism for a window or door
US4893435A (en) * 1989-04-07 1990-01-16 Remote-A-Matic, Inc. Low profile sliding door opener
JPH0620843U (ja) * 1992-03-09 1994-03-18 日本エルミンサッシ株式会社 面一引違い窓の障子案内装置
JPH0849465A (ja) * 1994-08-05 1996-02-20 Shinkansai Bearing Kk フラット引戸
JPH08165836A (ja) * 1994-12-16 1996-06-25 Higaki Manitetsuku:Kk 障子窓
US5542213A (en) * 1994-10-27 1996-08-06 Freeman Marine Equipment, Inc. Sliding marine closure
JPH11131894A (ja) * 1997-10-24 1999-05-18 Itoki Crebio Corp 展示ケースにおける透明扉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4878U (ko) * 1986-08-25 1988-03-05
US4802307A (en) * 1987-04-02 1989-02-07 Siegenia-Frank Kg Tilt-sliding mechanism for a window or door
US4893435A (en) * 1989-04-07 1990-01-16 Remote-A-Matic, Inc. Low profile sliding door opener
JPH0620843U (ja) * 1992-03-09 1994-03-18 日本エルミンサッシ株式会社 面一引違い窓の障子案内装置
JPH0849465A (ja) * 1994-08-05 1996-02-20 Shinkansai Bearing Kk フラット引戸
US5542213A (en) * 1994-10-27 1996-08-06 Freeman Marine Equipment, Inc. Sliding marine closure
JPH08165836A (ja) * 1994-12-16 1996-06-25 Higaki Manitetsuku:Kk 障子窓
JPH11131894A (ja) * 1997-10-24 1999-05-18 Itoki Crebio Corp 展示ケースにおける透明扉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571B1 (ko) 2010-12-10 2011-03-31 이붕희 랙 피니언과 캠블럭을 이용한 실드룸용 풀 오토 실드 도어
CN104712225A (zh) * 2013-12-11 2015-06-17 Ykkap株式会社 门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874A (ko) 200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918B1 (ko) 블라인드 장치
JP2010533615A (ja) 少なくとも1つのテールゲートを有する車両
KR100394324B1 (ko) 창호 개폐 장치
KR101727003B1 (ko)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EP0347859B1 (en) Flexible top apparatus of a vehicle
JP5485026B2 (ja) 自動折戸システム
JP3683520B2 (ja) スラットの揺動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雨戸
KR200149324Y1 (ko) 복층유리내의 브라인드 구동장치
KR100675347B1 (ko) 전동창문용 구동장치
JP3914515B2 (ja) 窓枠およびこれを備えた複合建具
JP3330354B2 (ja) ペアガラス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ペアガラス窓装置
KR101162021B1 (ko) 천정형 버티칼 블라인드
JP2774933B2 (ja) 開閉式外囲体
JP4176415B2 (ja) 引き違い折畳み開閉自在のサッシ
JPH0381154B2 (ko)
KR200355811Y1 (ko) 시스템창호 잠금장치
JP2023097495A (ja) 縦型ブラインド
KR200176436Y1 (ko) 수직형 커텐의 자동 개폐장치
KR200176140Y1 (ko) 버티칼 브라인드의 개폐장치
JP3944000B2 (ja) シャッター
JP3934035B2 (ja) シャッター
JP2003127670A (ja) ルーフ自動開閉装置
JPH0737026Y2 (ja) ブラインド内蔵型ドア
JP3944001B2 (ja) シャッター
JP3895261B2 (ja) シャ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