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112B1 -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112B1
KR101964112B1 KR1020170175456A KR20170175456A KR101964112B1 KR 101964112 B1 KR101964112 B1 KR 101964112B1 KR 1020170175456 A KR1020170175456 A KR 1020170175456A KR 20170175456 A KR20170175456 A KR 20170175456A KR 101964112 B1 KR101964112 B1 KR 101964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window
power
power connec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오열
Original Assignee
설오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오열 filed Critical 설오열
Priority to KR1020170175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14Disengaging means
    • E05Y2201/216Clu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05Y2400/3013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1Manual wing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창문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동전환장치를 타원뿔형태로 구성하여 구조는 단순화 되어 생선원가는 절감되고, 자동 및 수동으로 전환이 용이하여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창문을 자동 및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자동 및 수동전환이 가능한 창문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Automatic window switchgear with manual switching}
본 발명은 창문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전환장치를 타원뿔형태로 구성하여 구조는 단순화 되어 생선원가는 절감되고, 자동 및 수동으로 전환이 용이하여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창문을 자동 및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자동 및 수동전환이 가능한 창문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수조작을 통해 개폐가 구현되며, 최근 배연창 등지에는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직진 이송으로 변환하여 창틀에 설치된 창문을 밀거나 당겨 자동으로 폐쇄하는 자동 개폐장치가 설치되고 있었다.
그런데, 종래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전동모터와, 체인로프를 진 출입시키는 전동모터가 항시 연결된 상태를 형성하고 있는 관계로, 상기 자동 개폐장치를 설치한 창문은 정역모터의 제동 저항에 의해 수조작을 통한 창문의 개폐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즉, 정전이 발생되거나 정역모터의 이상이 발생되어 정역모터의 회전력의 생성이 불가능한 경우, 창문을 임의로 개폐할 수 없는 한계성을 갖는다.
따라서 해당 분야에서는 전동에 의한 창문의 개폐와 수 조작을 통한 창문의 개폐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의 개발 및 보급이 용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125848호와 한국등록특허 제10-1237044호 등을 통해 전동모터의 전동축과 작동부의 작동축 사이에 한 쌍의 클러치 부재와,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진 클러치 구조를 마련하여, 평상시 솔레노이드에 의해 전동축과 작동부의 작동축이 상호 분리되도록 구성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평상시에 전동모터에 의한 제동저항 없이 창문을 수 조작으로 개폐할 수 있고, 또 전동모터의 구동시 전동을 통해 창문을 개폐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클러치 구조는 한 쌍의 클러치 구조와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클러치 구조를 더 구비하여야 하므로, 수 조작을 통한 창문의 개폐 빈도에 대비하여 비교적 높은 제조원가의 상승이 초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584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37044호
본 발명의 수동전환장치를 타원뿔형태로 구성함으로써, 구조는 단순화됨에 따라 생산원가는 절감되고, 자동 및 수동으로 전환이 용이하여 자동 및 수동으로 창문개폐가 용이한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문; 창틀; 창틀 상측 중심부분에 위치한 모터부; 모터부의 동력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해주는 전력공급부; 모터부 하측에 위치하며, 모터부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변속레버를 포함하고 있는 변속부; 변속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모터부로 전달받은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회전축; 회전축과 연통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루;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하나는 변속부를 보호함과 아울러 모터부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창틀에 고정되어, 회전축과 스크루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창틀고정부; 창문의 일측에 고정되어 스크루의 회전에 따라 좌측과 우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 움직임을 통해 창문을 개폐하는 창문고정부; 및 상기 회전축과 스크루의 사이부분에 위치하며, 회전축과 스크루를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하는 수동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동전환장치는, 상기 회전축 근방에 있는 스크루 일측단에 고정되어 위치하되, 일정간격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모터축과 회전축을 연결 및 분리하는 동력연결부; 상기 동력연결부보다 스크루 중심방향에 위치하며, 동력연결부가 스크루 중심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 상기 동력연결부와 스토퍼 사이에 위치하며, 동력연결부를 회전축 방향으로 밀어내어 회전축과 스크루가 연결하는 탄성부; 상기 회전축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회전축에 영향을 받지 않고 움직일 수 있는 독립축; 상기 독립축에 부설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동력연결부를 밀어내어 회전축과 스크루를 분리하는 동력해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연결부의 내부로 동력해지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연결부와 동력해지부는 각각 속이 빈 타원뿔과 타원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루는 원형의 나사산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지 않고 중심으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진 부분이 대칭적으로 절단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응하게 상기 창문고정부의 내측면도 균일하게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수동전환장치를 타원뿔형태로 구성함으로써, 구조는 단순화 되어 생선원가는 절감되고, 자동 및 수동으로 전환이 용이하여 자동 및 수동으로 창문 개폐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장치의 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축과 스크루가 연결된 수동전환장치의 모습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축과 스크루가 분리된 수동전환장치의 모습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연결부와 동력해지부의 모습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연결부와 동력해지부의 단면모습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루 및 창문고정부의 모습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고정부의 단면모습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의 모습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장치의 모습,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축과 스크루가 연결된 수동전환장치의 모습,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축과 스크루가 분리된 수동전환장치의 모습,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연결부와 동력해지부의 모습,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연결부와 동력해지부의 단면모습,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루 및 창문고정부의 모습,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고정부의 단면모습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의 모습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100)는, 창문(200); 창틀(300); 창틀(300) 상측 중심부분에 위치한 모터부(120); 모터부(120)의 동력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해주는 전력공급부(미도시); 모터부(120) 하측에 위치하며, 모터부(120)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변속레버(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는 변속부(130); 변속부(13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모터부(120)로 전달받은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회전축(140); 회전축(140)과 연통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루(150);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하나는 변속부(130)를 보호함과 아울러 모터부(120)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창틀(300)에 고정되어, 회전축(140)과 스크루(150)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창틀고정부(160); 창문(200)의 일측에 고정되어 스크루(150)의 회전에 따라 좌측과 우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 움직임을 통해 창문(200)을 개폐하는 창틀고정부(170); 및 상기 회전축(140)과 스크루(150)의 사이부분에 위치하며, 회전축(140)과 스크루(150)를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하는 수동전환장치(11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하기에서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두 개의 창문(200)으로 이루어져 좌측창 혹은 우측 창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창호이며, 도 9는 3개의 창문(200)으로 이루어져 일반적으로는 가운데 창은 움직이지 않고 좌측창 혹은 우측 창을 개별 혹은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창호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창문(200)과 창틀(300)로 이루어지는 창호에 적용되어 자동 및 수동으로 개폐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하기에서 설명은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을 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창문(200)과 창틀(300)은 2개의 창문(200)과 창틀(30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창문(200)이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분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창틀(300) 상측 중심부분에 위치한 모터부(120)와, 상기 모터부(120)의 동력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해주는 전력공급부와, 상기 모터부(120) 하측에 위치하며 모터부(120)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변속레버를 포함하고 있는 변속부(130)와, 변속부(13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모터부(120)로 전달받은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회전축(1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부(120), 전력공급부, 변속부(130) 및 회전축(140)은 이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창틀(300)에 모터부(120)가 고정되며, 상기 모터부(120)를 기준으로 하방에 상기 변속부(130) 및 회전축(140)이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전력공급부는 유선 타입, 배터리 타입 및 무선 타입 중에서 주변 환경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140)은 변속부(13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연속적으로 스크루(150)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140)이나 스크루(150)가 제자리에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지탱을 해줘야 한다. 이를 위해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하나는 변속부(130)를 보호함과 아울러 모터부(120)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창틀(300)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140)과 스크루(150)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창틀고정부(160)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경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200)이 두 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중에서 오른쪽 창문(200)이 앞쪽에 위치하고 왼쪽 창문(200)은 뒤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변속부(130) (혹은 모터부(12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각각의 회전축(140)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140)에 연통된 스크루(15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루(150)의 각각 일측은(중심부분, 변속부(130)가 위치한 곳) 변속부(130)를 보호하며 스크루(150)를 지탱해주는 하나의 창틀고정부(160)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타측은 오른쪽 창틀(300) 및 왼쪽 창틀(300)에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스크루(150)를 지탱해주는 다른 하나의 창틀고정부(160)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창문(200)을 개폐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200)개폐장치(100)가 필요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처럼 두 개의 창문(200)으로 이루어지면 두 개의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200)개폐장치(100)가 필요하다.
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처럼 세 개의 창문(200)으로 이루어져 있더라도 열수 있는 창문(200)이 두 개인 경우에는 두 개의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200)개폐장치(100)가 필요하며, 만약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처럼 세 개의 창문(20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 개의 창문(200)을 자동 및 수동으로 개폐를 하고자 한다면 세 개의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200)개폐장치(10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렇게 많은 수의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200)개폐장치(100)로 이루어져 있더라도 구성 및 동작은 모두 동일함에 따라서 도 1과 도 9의 오른쪽 창문(200)을 기준으로 추가적인 구성과 아울러 작동 설명을 하도록 하겠다.
이제 창문(200)을 구동시킬 수단으로 상기 창문(200)의 일측에 고정되어 스크루(150)의 회전에 따라 좌측과 우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 움직임을 통해 창문(200)을 개폐하는 창틀고정부(170)이 부설된다.
이때, 당연히 상기 창틀고정부(160)과 창틀고정부(170)은 일직선상에 위치해 있으며, 각각의 고정위치는 창틀(300)과 창문(200)이 되겠다. 왜냐하면, 상기 회전축(140)과 스크루(150)는 일직선형태로 이루어지며, 움직이지 않는 부분은 창틀(300)에 고정되어야 하고 움직이는 부분은 창문(200)에 고정되어야 창문(200)을 개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40)과 스크루(150)는 제자리에서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창틀고정부(170)이 (스크루(150)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내면의 나사산으로 인해) 좌측과 우측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상기 창틀고정부(170)이 움직임에 따라 상기 창틀고정부(170)과 결합된 창문(200)이 움직이게 되어 자동으로 개폐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종래의 자동개폐장치와 상이한 점은, 상기 회전축(140)과 스크루(150)의 사이부분에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부설되어 회전축(140)과 스크루(150)를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하는 수동전환장치(1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는 점이다.
상기 수동전환장치(110)는, 상기 회전축(140) 근방에 있는 스크루(150) 일측단에 고정되어 위치하되, 일정간격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모터축과 회전축(140)을 연결 및 분리하는 동력연결부(111)와, 상기 동력연결부(111)보다 스크루(150) 중심방향에 위치하며, 동력연결부(111)가 스크루(150) 중심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112)와, 상기 동력연결부(111)와 스토퍼(112) 사이에 위치하며, 동력연결부(111)를 회전축(140) 방향으로 밀어내어 회전축(140)과 스크루(150)가 연결하는 탄성부(113)와, 상기 회전축(140)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회전축(140)에 영향을 받지 않고 움직일 수 있는 독립축(114)와, 상기 독립축(114)에 부설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축(14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동력연결부(111)를 밀어내어 회전축(140)과 스크루(150)를 분리하는 동력해지부(115);로 구성된다.
하기에서는 상기 수동전환장치(110)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다.
상기 수동전환장치(110)은 상기 회전축(140)과 스크루(150)의 연결부분에 위치한다. 상기 회전축(140)과 스크루(150)는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140)과 스크루(150)를 연결 혹은 분리 상태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이 동력연결부(111)이다.
상기 동력연결부(111)는 상기 회전축(140)과 가까이 위치한 스크루(150) 일측단에 위치하며,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상기 모터축과 회전축(140)을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력연결부(111)가 회전축(140)과 스크루(150)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회전축(140)과 스크루(150)를 연결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회전축(140)의 동력이 스크루(150)로 전달되어 같이 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동력연결부(111)가 회전축(140)과 스크루(150) 사이에 위치하지 않고, 스크루(150)에만 위치해 있을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140)과 스크루(150)는 분리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140)의 동력이 스크루(150)에 전달되지 못하여 회전축(140)은 회전하더라도 스크루(150)는 회전하지 못하고 제자리에 그대로 멈춰서 있다.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을 하면, 상기 회전축(140)의 일측단에는 회전축(140) 키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연결부(111)는 상기 회전축(140) 키에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동력연결부(111)는 회전축(140)에 인접해 있는 스크루(150)의 일측단에 고정되어 위치하되, 일정간격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크루(150)의 일측단에는 레일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런 레일을 따라 상기 동력연결부(111)는 슬라이딩 결합되어 레일 길이만큼 좌우로 이동할 수 (슬라이딩 할 수)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동력연결부(111)보다 스크루(150) 중심방향에 위치하며, 동력연결부(111)가 스크루(150) 중심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스토퍼(11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루(150)에 형성된 레일은 상기 스토퍼(112)까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동력연결부(111)와 스토퍼(112) 사이에 위치하여 동력연결부(111)를 회전축(140)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회전축(140)과 스크루(150)가 연결되도록 하는 탄성부(113)가 위치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동력연결부(111)를 스크루(150)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회전축(140)과 스크루(150)를 분리하는 힘도 존재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축(140)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축(140)에 영향을 받지 않고 움직일 수 있는 독립축(114)이 형성되며, 상기 독립축(114)에 부설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축(14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동력연결부(111)를 밀어내어 상기 회전축(140)과 스크루(150)를 분리하는 동력해지부(115)가 구성된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상기 회전축(140)과 스크루(150)의 연결을 분리 (혹은 해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조작이 필요한 것이다.
즉, 사용자의 힘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140)과 스크루(150)의 연결을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사용자는 상기 동력해지부(115)를 움직이기 위해 동력해지부(115)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수동전환레버(116)를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수동전환레버(116)를 이용하여 상기 동력해지부(115)를 동력연결부(11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해지부(115)가 동력연결부(11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동력연결부(111)는 스크루(150) 중심방향으로 밀려나면서 회전축(140) 키와의 연결이 해지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루(150)의 일측단에 고정되어 있던 동력연결부(111)가 회전축(140)과의 연결이 해지됨에 따라 상기 동력연결부(111)는 더 이상 회전축(140)의 구동력은 스크루(150)에 전달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40)의 회전을 (혹은 모터부(120)의 구동력을) 더 이상 스크루(150)에 전달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창문(200)은 자동으로 개폐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단순히 상기 동력연결부(111)와 회전축(140)을 분리 하였다고 해서 수동으로 창문(200)을 열수 있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창문(200)은 창틀고정부(170)과 결합되어있고 창틀고정부(170)은 다시 스크루(150)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창틀고정부(170)과 스크루(150)는 나사산으로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단순히 분리하거나 결합하기가 어렵다. 물론 상기 스크루(150)가 회전축(140)과 분리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140)과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기에 창문(200)을 수동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스크루(150)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기에 이동이 가능은 하다. 다만, 상기 수동전환레버(116)와 같은 구성이 없다면 더더욱 회전이 용이하겠으나 그럴 경우 사용자의 조작이 쉽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스크루(150)는 원형의 나사산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고 중심으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진 부분이 대칭적으로 절단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응하게 상기 창틀고정부(170)의 내측면도 균일하게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되면, 서로 절단된 면으로 이루어진 곳에 상기 스크루(150)와 창틀고정부(170)이 위치하게 되면 나사산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그대로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앞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크루(150)의 외면과 창틀고정부(170)의 내면을 균일한 나사산으로 형성하지 않고, 중심부분에서 일정간격 떨어진 부분이 대칭적으로 절단되어 직선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나사산이 없는 부분이 형성되며, 나사산이 없는 부분이 겹치게 되면 회전운동을 하지 않고도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상기 수동전환레버(116)를 이용하여 상기 동력해지부(115)가 동력연결부(111)를 밀어내면, 상기 회전축(140)과 스크루(150)의 결합이 분리되어 상기 회전축(140)과 스크루(150)는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스크루(150)의 외면과 창틀고정부(170)의 내면은 서로 나사산이 없는 부분이 겹치게 되어 회전운동을 하지 않고도 좌우방향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루(150)의 외면과 창틀고정부(170)의 내면의 나사산이 없는 부분이 겹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동력연결부(111)의 내부로 동력해지부(11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동력연결부(111)는 속이 빈 타원뿔형태를 이루고, 동력해지부(115)는 타원뿔형태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형상이 타원뿔로 이루어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두 개의 타원뿔이 겹쳐지는 과정을 생각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에서와 같이 일직선상에 두 개의 타원뿔이 존재하며, 위쪽에 형성된 속이 빈 타원뿔은 동력연결부(111)가 될 것이며, 아래쪽에 형성된 타원뿔은 동력해지부(115)가 된다.
아래쪽에 위치한 타원뿔이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속이 빈 타원뿔과 겹치게 될 때, 타원의 방향이 맞을 경우에는 그대로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고 타원의 방향이 다를 경우에는 아래쪽 타원뿔이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회전이 가능한 쪽에서 타원형 형태를 맞추기 위해 회전을 하면서 삽입이 되며, 동일한 타원의 방향이 이루어 졌을 때 아래쪽 타원뿔이 위쪽 타원뿔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게 된다.
이와 동일하게 상기 동력연결부(111) 내부로 동력해지부(115)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타원의 방향이 맞지 않을 경우 그대로 직선방향으로 밀어내게 되고, 상기 동력연결부(111)가 회전축(140)과의 결합이 해지된 이후에는 자연스럽게 회전을 하면서 동력해지부(115)의 타원 방향에 맞게 회전을 하게 되어 두 타원의 방향이 동일하게 될 경우에 상기 동력해지부(115)가 동력연결부(111)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다. 이때가 바로 상기 스크루(150)의 외면과 창틀고정부(170)의 내면의 나사산이 없는 부분이 겹쳐진 상태가 되고 이때는 나사산과 무관하게 창틀고정부(170)이 스크루(150)의 외면을 따라 자유롭게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기에 창문(200)을 수동으로 열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도 1에서와 같이 변속기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에 회전축(140)이 형성됨에 따라 변속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좌측 혹은 우측에 있는 회전축(140)이 모터부(12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동시에 구동도 가능하다고 하겠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
110 : 수동전환장치 111 : 동력연결부
112 : 스토퍼 113 : 탄성부
114 : 독립축 115 : 동력해지부
116 : 수동전환레버
120 : 모터부
130 : 변속부
140 : 회전축
150 : 스크루
160 : 창틀고정부
170 : 창문고정부
200 : 창문
300 : 창틀

Claims (5)

  1. 창문;
    창틀;
    창틀 상측 중심부분에 위치한 모터부;
    모터부의 동력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해주는 전력공급부;
    모터부 하측에 위치하며, 모터부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변속레버를 포함하고 있는 변속부;
    변속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모터부로 전달받은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회전축;
    회전축과 연통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루;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하나는 변속부를 보호함과 아울러 모터부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창틀에 고정되어, 회전축과 스크루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창틀고정부;
    창문의 일측에 고정되어 스크루의 회전에 따라 좌측과 우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 움직임을 통해 창문을 개폐하는 창문고정부; 및
    상기 회전축과 스크루의 사이부분에 위치하며, 회전축과 스크루를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하는 수동전환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루는 원형의 나사산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지 않고 중심으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진 부분이 대칭적으로 절단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응하게 상기 창문고정부의 내측면도 균일하게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전환장치는,
    상기 회전축 근방에 있는 스크루 일측단에 고정되어 위치하되, 일정간격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모터축과 회전축을 연결 및 분리하는 동력연결부;
    상기 동력연결부보다 스크루 중심방향에 위치하며, 동력연결부가 스크루 중심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
    상기 동력연결부와 스토퍼 사이에 위치하며, 동력연결부를 회전축 방향으로 밀어내어 회전축과 스크루가 연결하는 탄성부;
    상기 회전축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회전축에 영향을 받지 않고 움직일 수 있는 독립축; 및
    상기 독립축에 부설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동력연결부를 밀어내어 회전축과 스크루를 분리하는 동력해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연결부의 내부로 동력해지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연결부와 동력해지부는 각각 속이 빈 타원뿔과 타원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
  5. 삭제
KR1020170175456A 2017-12-19 2017-12-19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 KR101964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456A KR101964112B1 (ko) 2017-12-19 2017-12-19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456A KR101964112B1 (ko) 2017-12-19 2017-12-19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112B1 true KR101964112B1 (ko) 2019-07-31

Family

ID=67473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456A KR101964112B1 (ko) 2017-12-19 2017-12-19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11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072Y1 (ko) * 2001-04-18 2001-10-11 조형래 창문용 자동개폐장치
KR20100054319A (ko) * 2008-11-14 2010-05-25 이두현 창문개폐장치
KR101125848B1 (ko) 2009-12-17 2012-03-28 (주) 금강씨에스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KR101237044B1 (ko) 2011-05-27 2013-02-25 (주) 금강씨에스 향상된 작동 안정성을 갖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JP5882946B2 (ja) * 2012-05-29 2016-03-09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スイブルアクチュエータ
KR101727003B1 (ko) * 2016-03-29 2017-04-14 한국울트라 주식회사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072Y1 (ko) * 2001-04-18 2001-10-11 조형래 창문용 자동개폐장치
KR20100054319A (ko) * 2008-11-14 2010-05-25 이두현 창문개폐장치
KR101125848B1 (ko) 2009-12-17 2012-03-28 (주) 금강씨에스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KR101237044B1 (ko) 2011-05-27 2013-02-25 (주) 금강씨에스 향상된 작동 안정성을 갖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JP5882946B2 (ja) * 2012-05-29 2016-03-09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スイブルアクチュエータ
KR101727003B1 (ko) * 2016-03-29 2017-04-14 한국울트라 주식회사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51888A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RU2006134008A (ru) Двухкомпонентный дистанционный манипулятор
KR20130100593A (ko) 스위치기어용 개폐기 조작장치
KR101964112B1 (ko)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
CN203547359U (zh) 手自动一体化平开门机
CN103498614B (zh) 带离合器可手动推拉平开门机
KR100905319B1 (ko) 루프 개폐 장치
US8987622B2 (en) Switch
KR101748729B1 (ko) 가스 절연 부하개폐기의 상태 표시를 위한 스위치 장치
CN109038340A (zh) 用于断路器的手电动分合闸操作机构
CN104282462A (zh) 一种两段位自动转换开关电器的动触头转换结构
SE515733C2 (sv) Motormanöverdon för elkopplare
CN105336524B (zh) 双电源供电断路器柜供电的机械连锁机构
CN205122425U (zh) 双电源供电断路器柜供电的机械连锁机构
KR20110032923A (ko) 가스절연차단기의 접점 위치결정스위치
CN202423936U (zh) 一种连锁装置
KR20200110945A (ko) 밸브 개폐용 밸브핸들 조작장치
JP2000186463A (ja) 自動引き戸の開閉駆動装置
CN205331199U (zh) 设有双传动结构的转轴
WO2017154395A1 (ja) バルブ開閉システム、バルブ制御装置
CN218299658U (zh) 外置双隔离的断路器
KR100272467B1 (ko) 개폐기의 가동부 구동장치
JP2866089B2 (ja) 開閉器用操作装置
CN204167151U (zh) 一种开关柜隔离开关联锁机构
KR20090005319U (ko) 수문 개폐장치용 기어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