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5319B1 - 루프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루프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5319B1
KR100905319B1 KR1020080078448A KR20080078448A KR100905319B1 KR 100905319 B1 KR100905319 B1 KR 100905319B1 KR 1020080078448 A KR1020080078448 A KR 1020080078448A KR 20080078448 A KR20080078448 A KR 20080078448A KR 100905319 B1 KR100905319 B1 KR 100905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gear
opening
drum
drum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스트
Priority to KR1020080078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04B7/16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characterised by a translation movement of the movable roof part, with or without additional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이 가능한 제 1루프와 고정되도록 설치된 제 2 루프로 형성된 루프에 있어서, 정역회전이 가능한 하나의 모터만으로 개폐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 또는 수동 겸용으로 루프의 개폐가 가능한 루프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루프, 개폐, 구동 모터, 로프

Description

루프 개폐 장치 {Open And Closing Device Of Roof}
본 발명은 루프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이 가능한 제 1 루프와 고정되도록 설치된 제 2 루프로 형성된 루프에 있어서, 정역회전이 가능한 하나의 모터만으로 개폐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 또는 수동 겸용으로 루프의 개폐가 가능한 루프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루프(Roof)는 개폐가 불가능한 고정식 구조물로 설계되어 제조되어 왔으며, 이로 인해 채광이나 환기가 어려워 건물 내부의 환경 조절은 전적으로 벽에 설치된 창의 개폐를 통해서만 가능하였다.
그러나, 기술의 발달에 따라 재료가 경량화되므로 인해 루프의 경량화가 가능해지고 이로 인해 루프의 개폐가 가능한 장치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루프 개폐 장치는 레일이나 활차를 이용하여 루프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수동으로 직접 루프를 이동시키거나 자동으로 모터에 의해 루프를 이동시켜 루프의 개폐를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 루프 개폐 장치는 전기나 기계적 고장이 발생한 경우 루프의 개폐 작동이 불가능하므로 부품 교체 또는 고장에 대한 수리가 완료될 때 까지 루프의 개폐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수동 루프 개폐 장치는 인력에 의해 루프를 개폐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루프의 개폐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자동으로 루프의 개폐 제어가 가능하고 자동 개폐 장치의 고장이나 수리가 필요한 경우 수동으로 루프의 개폐 제어가 가능한 루프 개폐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정역회전이 가능한 하나의 모터만으로 루프의 개폐가 제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에 따라 자동 및 수동 겸용으로 루프의 개폐 제어가 가능한 루프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루프 개폐 장치는 개폐 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루프가 개폐되는 루프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 제어부는 루프 개폐를 위한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어와 상기 동력 전달기어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감겨서 루프에 연결되어 루프를 이동시키는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는 정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럼부는 외주 상에 로프가 감기는 드럼 몸체와 상기 드럼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드럼 축 및 상기 동력 전달기어의 상부에 맞물려 연결되어 상기 드럼축에 결합된 제 2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드럼부는 드럼 축 상에서 상기 제 2 기어와 제 1 기어와의 연결을 분리시키는 탈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럼부는 드럼 축 상에서 상기 제 2 기어와 동력전달기어와의 연결을 분리시키는 탈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탈착 수단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드럼 축에 제 1 결합공과 제 2 결합공이 형성되고, 제 2 기어를 이동시켜 제 2 기어 고정 부재와 상기 제 1 및 2 결합공 중 선택된 결합공에 관통하여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착 수단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드럼 축에 제 1 안착홈과 제 2 안착홈이 형성되고, 제 2기어 고정부재 내부에 형성된 압축 스프링과; 상기 압축 스프링과 상기 제 1 및 2 안착홈 사이에 결합되는 볼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럼축은 제 2기어와 연결되는 단에 수동으로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는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로프는 드럼 일단 외주에 감겨서 루프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 1 로프와 상기 제 1 로프와 반대 방향으로 드럼 타단 외주에 감겨서 루프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2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회전 및 정지를 제어하는 개폐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루프 개폐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 및 수동으로 루프를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이용하여 경제적인 설치가 가능하고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 개폐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루프 개폐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루프 개폐 장치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 1루프(110)와 고정되어 형성된 제 2 루프(120)를 포함하는 루프부(10)와 상기 루프를 지지하는 지지부(30)와 상기 루프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제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루프부(10)는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 1 루프의 방향 및 제 1루프와 제 2루프의 구성이 설계에 따라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30)는 기둥(310), 보(320)등의 구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제어부(20)는 상기 지지부(30)의 기둥(3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위치이기만 하면 기둥의 어느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루프(110)는 하부에 이동 가능 수단(111)을 구비한다. 여기서, 이동 가능 수단은 상기 제 1 루프(110)를 지지하면서 이동 통로 역할을 담당하는 I형 부재(111a)와 상기 I형 부재(111a)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루프(110)와 일체로 구성된 로울러(11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 역할을 하는 I형 부재(111a)의 양단에는 상기 로울러(111b)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스토퍼(111c; 도 1, 도 5a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111c)는 로울러(111b)가 접촉시 구동모터(210)가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 역할을 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퍼(111c)는 개폐 제어부(20)와 배선이 연결되어 평상시에는 턴온 상태를 유지하여 폐회로를 구성하고, 로울러(111b) 접촉시 턴오프 상태가 되어 개회로가 되는 스위치로써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은 도 1의 개폐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제어부(20)는 루프 개폐를 위한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 모터(210)와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어(220)와 상기 동력 전달기어(22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드럼부(230)과 상기 드럼부(230)에 감겨서 루프를 이동시키는 로프(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구동모터(210)의 정 역회전 및 정지를 제어하는 개폐 스위치(250)와 구동모터가 작동중임을 알리는 구동 알림 램프(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210)는 모터 구동축(211)에 의해 동력 전달기어(220)와 연결되고, 지지철물(212)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210)는 루프의 개폐를 위해 정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부(230)는 외주 상에 로프가 감기는 드럼 몸체(232)와 상기 드럼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드럼 축(231)과 상기 동력 전달기어(220)의 상부에 맞물려 연결되어 상기 드럼축(231)에 결합된 제 2 기어(2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럼부(230)는 제 2 기어(233) 하부에 결합된 제 1기어(220)와 연결 및 탈착이 가능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착 수단은 제 2 기어(233)가 드럼(230)과 연결되는 드럼 축(23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탈착수단의 일실시예로 드럼의 축(231) 상에는 제 1 관통공(231a) 및 제 2 관통공(23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관통공(231a)은 동력 전달기어(220)와 제 2 기어(233)가 맞물린 상태에 사용되는 것이고, 제 2 관통공(231a′)은 제 2 기어(233)가 상기 동력 전달기어(220)와 분리되는 경우에 사용되고 드럼 몸체(232) 방향으로 상기 제 1 관통공(231a)과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 2 기어(233)의 고정부재(2330)는 고정핀의 결합공(233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공(2331)과 드럼축 제1 및 제2관통공(231a, 231a′)을 동시에 관통하는 고정핀(235)을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탈착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탈착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 2 기어(233)를 드럼축(231)에 고정하는 제 2기어 고정부재(2330)는 드럼축(231)을 기준으로 상하 내부에 삽입되는 압축스프링(2332)과 상기 압축스프링과 결합하는 볼 베어링(233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드럼축(231)에는 상기 볼 베어링(2333)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안착 홈(231b, 231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 축(231)의 제 2 기어(233) 연결 단 끝에 수동으로 회전력을 인가하여 루프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핸들(도6의 부호 270참조)을 더 포함하여 구 성될 수 있다.
상기 탈착 수단 및 핸들은 전기적 고장으로 인해 구동 모터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수동으로 루프 개폐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드럼몸체(232)은 드럼 축(231)에 의해 제 2기어(233)와 연결되고 드럼 지지 철물(234)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 지지 철물은(234)는 드럼축(231)이 회전하도록 베어링(234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드럼 축(231)의 제 2 기어(233)의 반대편 일단 또는 양단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로프(240)는 드럼 몸체(232) 외주에 감기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프(240)는 섬유, 철선 등 어떠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나, 강도와 내구성을 위해 강선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드럼에 감긴 로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로프(240)는 드럼(230)의 일단에 감겨서 형성되는 제 1 로프(241)와 드럼부(230)의 타단에 상기 제 1로프(241)와 반대 방향으로 감겨서 형성되는 제 2 로프(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2 로프(240)는 제 1 루프(110)의 양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2 로프(240)는 로프를 고정하면서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는 다수의 로울러(도 5a의 부호 280 참조)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개폐 장치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 개폐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자동으로 루프가 개방되는 경우 개폐제어부의 개방 스위치를 턴온하면, 구동모터(210)가 작동하여 동력 전달기어(220)가 회전하고, 상기 동력 전달기어의 상부에 맞물려 형성된 제 2 기어(233)가 회전함에 따라 드럼 축(231)이 회전하여 드럼부(230)가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루프가 개방되는 경우 구동모터는 정회전 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드럼부(230)가 회전하면 제 1 로프(241)는 드럼에 감기게 되고, 반대로 제 2 로프(242)는 드럼몸체(232)로부터 풀리게 된다. 이를 통해, 제 1 루프(110)의 일단에 연결된 제 1 로프(241)가 제 1 루프(110)를 잡아당겨서 제 1 루프의 로울러(111b)가 레일 역할을 하는 I형 부재(111a)를 따라 이동하여 제 1 루프(110)가 개방된다.
이 때, 루프의 부분 개방을 원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루프의 개방 정도에 따라 상기 개방 스위치를 턴오프하여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루프를 닫는 경우는 도 5c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
루프를 닫기 위해 개폐제어부의 폐쇄 스위치를 턴온하면, 구동모터(210)가 역회전하여 드럼(230)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로프(241)는 풀리게 되고, 반대로 제 2 로프(242)는 드럼몸체(232)에 감기게 된다. 따라서, 제 1 루프(110)의 타단에 연결된 제 2 로프(242)가 제 1 루프(110)를 잡아 당겨서 개방 시와 반대방향으로 제 1 루프(110)가 이동 하게 되어 루프가 닫히게 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 개폐 장치의 수동 제어를 위한 구성도이다.
도 6a을 참조하면, 제 2 기어(233)를 드럼 축(231)에 고정하는 제 1 결합공으로부터 고정핀(235)을 제거하고 제 2 기어(233)를 드럼 몸체(232) 방향으로 밀착하여 동력전달 기어(220)와 분리시키고, 드럼 축(231)에 형성된 제 2 결합공(231a′)에 고정핀(235)을 결합시켜 제 2 기어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제 2 기어(233)가 동력 전달 기어(22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드럼축(231) 전면에 핸들(270)을 결합하여 수동으로 제 2 기어(233)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루프를 개폐하게 된다. 구체적은 루프 개폐 동작은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 개폐 장치의 수동 제어를 위한 구성도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 2 기어(233)를 안쪽의 드럼 방향으로 가압하면 제 2 기어 고정부재(2330) 내부에 삽입된 볼베어링(2333)이 압축 스프링(2332)을 상부로 가압하여 상기 볼베어링(2333)이 제 1 안착홈(231b)을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기어(233)가 드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 2 안착홈(231b′)에 볼 베어링(2333)이 안착되면 제 2 기어(233)가 고정되어 동력 전달기어(220)와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드럼축(231) 전면에 핸들(270)을 결합하여 수동으로 제 2 기어(233)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루프를 개폐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 개폐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루프 개폐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개폐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드럼에 감긴 로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 개폐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 개폐 장치의 수동 제어를 위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루프 110 : 제 1 루프
120 : 제 2 루프 20 : 개폐 제어부
210 : 구동모터 220 : 동력전달기어
230 : 드럼 240 : 로프
241 : 제 1 로프 242 : 제 2 로프

Claims (9)

  1. 개폐 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루프가 개폐되는 루프 개폐 장치에 있어서,
    루프 개폐를 위한 동력을 인가하되 정 역회전이 가능한 구동 모터(210)와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어(220)와, 상기 동력 전달기어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드럼부(230)와 상기 드럼부에 감겨서 루프에 연결되어 루프를 이동시키는 로프(240)를 포함해 구성되는 개폐제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드럼부(230)는 외주 상에 로프가 감기는 드럼 몸체(232)와 상기 드럼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드럼 축(231) 및 상기 동력 전달기어의 상부에 맞물려 연결되어 상기 드럼축에 결합된 제 2 기어(233) 및 드럼 축 상에서 상기 제 2 기어와 동력전달기어와의 연결을 분리시키는 탈착 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로프(240)는 드럼 일단 외주에 감겨서 루프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 1 로프(241)와 상기 제 1 로프와 반대 방향으로 드럼 타단 외주에 감겨서 루프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2로프(2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개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수단은
    상기 제2기어의 측면에 밀착결합되고 고정핀의 결합공(2331)이 형성된 제2기어고정부재(2330)와 상기 드럼 축상에 형성되는 제 1 관통공(231a)공과 제 2 결합공(231a')을 구비하며,
    상기 드럼축에 결합된 제 2 기어를 드럼축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 2 기어 고정 부재(2330)상의 결합공(2331)과 상기 제 1 관통공이나 상기 제 2 관통공 중 어느 하나를 고정핀을 통하여 결합시켜 상기 제2기어를 드럼축 상에 고정시키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개폐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수단은
    상기 드럼 축(231) 상에 제 1 안착홈(231b)과 제 2 안착홈(231b')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기어의 측면에 밀착결합되어 형성되는 제2기어고정부재(2330) 내부에 형성된 압축 스프링(2332)과,압축스프링의 말단에 볼베어링(2333)을 구비하며,
    상기 드럼축에 결합된 제2기어를 드럼축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기어고정부재(2330) 내의 상기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제1안착홈 또는 제2 안착홈 사이에 상기 볼베어링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기어를 드럼축 상에 고정시키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개폐 장치.
  7. 제 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축은
    상기 제 2 기어와 연결되는 단에 수동으로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는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개폐 장치.
  8. 삭제
  9. 제 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회전 및 정지를 제어하는 개폐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개폐 장치.
KR1020080078448A 2008-08-11 2008-08-11 루프 개폐 장치 KR100905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448A KR100905319B1 (ko) 2008-08-11 2008-08-11 루프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448A KR100905319B1 (ko) 2008-08-11 2008-08-11 루프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5319B1 true KR100905319B1 (ko) 2009-07-02

Family

ID=41337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448A KR100905319B1 (ko) 2008-08-11 2008-08-11 루프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531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07130A (zh) * 2011-10-18 2012-06-20 四川省绵阳西南自动化研究所 一种重载顶门自动横移装置
CN106346370A (zh) * 2016-11-01 2017-01-25 山东电力建设第工程公司 一种钢结构及管道喷砂车间
KR101987774B1 (ko) * 2018-03-22 2019-06-13 주식회사 유니온 전동 윈치를 이용한 어트랙션 구난장치
CN110159047A (zh) * 2019-05-31 2019-08-23 黑龙江省机械科学研究院 一种超大功率燃气轮机试运行平台排气塔用手自一体移动顶盖
CN110273991A (zh) * 2019-07-15 2019-09-24 浙江精工钢结构集团有限公司 一种无源开启屋盖的机械同步式驱动传动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2202B2 (ja) * 1995-07-27 1999-06-28 八洲鉄工株式会社 アーケードの屋根開閉装置
JP2000120207A (ja) 1998-10-15 2000-04-25 Nippon Steel Corp 屋根開閉装置
KR20000021144U (ko) * 1999-05-21 2000-12-15 김종진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
KR20070109770A (ko) * 2006-10-16 2007-11-15 주식회사 장학산업 슬라이드식 개방형 지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2202B2 (ja) * 1995-07-27 1999-06-28 八洲鉄工株式会社 アーケードの屋根開閉装置
JP2000120207A (ja) 1998-10-15 2000-04-25 Nippon Steel Corp 屋根開閉装置
KR20000021144U (ko) * 1999-05-21 2000-12-15 김종진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
KR20070109770A (ko) * 2006-10-16 2007-11-15 주식회사 장학산업 슬라이드식 개방형 지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07130A (zh) * 2011-10-18 2012-06-20 四川省绵阳西南自动化研究所 一种重载顶门自动横移装置
CN106346370A (zh) * 2016-11-01 2017-01-25 山东电力建设第工程公司 一种钢结构及管道喷砂车间
KR101987774B1 (ko) * 2018-03-22 2019-06-13 주식회사 유니온 전동 윈치를 이용한 어트랙션 구난장치
CN110159047A (zh) * 2019-05-31 2019-08-23 黑龙江省机械科学研究院 一种超大功率燃气轮机试运行平台排气塔用手自一体移动顶盖
CN110159047B (zh) * 2019-05-31 2020-10-13 黑龙江省机械科学研究院 一种超大功率燃气轮机试运行平台排气塔用手自一体移动顶盖
CN110273991A (zh) * 2019-07-15 2019-09-24 浙江精工钢结构集团有限公司 一种无源开启屋盖的机械同步式驱动传动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319B1 (ko) 루프 개폐 장치
US7755004B2 (en) Motorized hinge system for oven door
CN106149316B (zh) 洗衣机门盖开合方法、洗衣机门盖自动开合装置和洗衣机
KR101233770B1 (ko) 파노라마 선루프용 롤러 블라인드 장치
KR20150109653A (ko) 구동롤러를 이용한 창짝 자동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CN107386891B (zh) 一种推拉组合门
US20170008158A1 (en) Power tool to spring torsioner converter
JP4938360B2 (ja) 開閉扉装置
KR101769181B1 (ko) 볼스크류를 이용한 창짝 자동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KR101764957B1 (ko) 래크와 피니언을 이용한 창짝 자동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JP2001280001A (ja) ドアの開閉装置
JP2006525016A (ja) シェードを巻き上げ/巻き降ろすための機器
KR20220127000A (ko) 하이브리드 밸런싱 도어장치
KR200403058Y1 (ko) 전동식 커텐장치
KR102112164B1 (ko) 보조문 자동 개폐장치
KR101261319B1 (ko) 범용 영구자석 조작기용 수동조작모듈
US20050121940A1 (en) Closing unit
KR102648825B1 (ko) 현장용 리프트도어 안전개폐장치
KR20040027576A (ko) 자동 수동 겸용 오버 헤드 셔터 도어
KR100675347B1 (ko) 전동창문용 구동장치
KR101964112B1 (ko) 수동전환이 가능한 자동 창문개폐장치
JP5580775B2 (ja) 防火戸閉鎖装置
KR100278319B1 (ko)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JP2021038541A (ja) 引戸
CN205477076U (zh) 一种带有同步带传动结构智能化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