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319B1 -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319B1
KR100278319B1 KR1019990022755A KR19990022755A KR100278319B1 KR 100278319 B1 KR100278319 B1 KR 100278319B1 KR 1019990022755 A KR1019990022755 A KR 1019990022755A KR 19990022755 A KR19990022755 A KR 19990022755A KR 100278319 B1 KR100278319 B1 KR 100278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aggregate
rail
moto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8755A (ko
Inventor
김학겸
Original Assignee
김학겸
오토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겸, 오토윈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학겸
Priority to KR1019990022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8319B1/ko
Publication of KR19990068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755A/ko
Priority to CNB008013276A priority patent/CN1300438C/zh
Priority to EP00937355A priority patent/EP1114231A4/en
Priority to AU52539/00A priority patent/AU5253900A/en
Priority to JP2001504596A priority patent/JP2003502535A/ja
Priority to US09/763,169 priority patent/US6581332B1/en
Priority to PCT/KR2000/000613 priority patent/WO2000079689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319B1/ko

Link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이 구비된 창틀용골재와, 이 창틀용골재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유리가 설치되는 창문용골재로 이루어진 아파트 등의 거실 창문을 리모콘에 의해 원격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한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창틀용골재(10)의 레일(1) 벽을 따라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용 레일(40)과; 창문용골재(30)의 요구(31)내에 장착되며 전원공급용 레일(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창문용골재(30)를 창틀용골재(10)에 대해 이동시키기 위한 창문용골재 이동수단(50)과; 창문용골재(30)의 이동을 원격방식으로 제어하는 원격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60); 및 이 송신기(6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창문용골재 이동수단(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70)으로 구성되며, 창문용골재 이동수단(50)은 창문용골재(30)의 요구(31) 내에 탄력적으로 장착되는 홀더(51)와, 이 홀더(51)에 장착되어 정 역회전 가능한 적어도 1개 이상의 모터(M)와, 이 모터(M)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홀더(51)에 축설된 구동부재(52)와, 창문용골재(30)를 창틀용골재(10)에 대해 이동시키기 위해서 구동부재(52)에 동축 상으로 장착 회전되면서 창틀용골재(10)의 레일에 안내되는 활차(53)와, 전원공급용 레일(40)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모터(M)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홀더(51)에 설치된 전원공급용 접촉부재(54), 및 창문용골재(30)의 요구(31) 내에서 홀더(5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활차(53)가 창틀용골재(10)의 레일(1)에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한 탄력부재(55)로 구성된다.
따라서 거실의 창문을 열거나 닫고자할 경우 사람은 창문에 가지 않더라도 리모콘으로 창문을 개폐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사람이 리모콘의 창문열림버튼이나 창문닫힘버튼을 누를 때에만 창문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고, 만약 창문이 완전히 열리거나 닫혀졌을 경우에는 마이크로스위치(80)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M)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모터(M)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창문이 완전히 닫혔을 경우에는 창문의 열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록커(56)가 창틀(10)에 록킹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적용된 창문은 록커(56)를 수동으로 해제하여 수동으로 열 수도 있다.

Description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Automatic window open and close apparatus by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창문을 수평적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한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의 대형 거실창문이나 발코니창문을 리모콘에 의해 원격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한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거실의 창문이나 발코니 창문은 방음 등을 위해 창문용골재에 페어 그라스가 끼워져 있고 그에 따라 중량이 매우 무거운 바, 지금까지 창문을 열거나 닫기 위해서는 사람이 일일이 창문에 가서 이를 열거나 닫아야만 하였다.
그러나, 산업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가전제품들은 대부분 리모콘을 사용하여 원격조정이 되도록 설계 되었던 바, 문 역시 자동으로 열리게 하는 추세에 있다. 예컨대 대형 건물 등에는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2개의 투명유리 문을 동시에 슬라이드방식으로 개폐시키는 자동 도어장치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자동 도어장치는 문의 상측 내외측에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도록 하고, 내부에는 실린더 및 피스톤을 장착하여 유압식으로 작동하거나, 모터나 로프를 이용한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슬라이드 방식의 자동 도어장치는 별도의 감지센서를 도어의 상측 내외부에 2개를 설치하여야하는 것으로서 사람이 접근했을 경우에만 도어가 오픈되는 것에 불과하였으며, 도어의 개폐시 소음이 많게되는 단점이 있으며, 더욱이 이러한 기술을 아파트와 같은 거실 및 발코니에 적용하기가 곤란하고, 설사 적용하더라도 개폐시 소음이 많아 조용한 실내 분위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의 대형 거실창문이나 발코니창문을 리모콘에 의해 원격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아파트의 실내 분위기를 더욱 고급스럽게 할 수 있으며 소음이 거의 없도록 한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를 발코니 창에 채용하여 개폐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3은 창문용골재 이동수단을 보인 도2의 Ⅲ-Ⅲ선 확대 단면도,
도4는 도2의 Ⅳ-Ⅳ선 확대 조립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의 조립 측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있어서 문의 수동 개방이 요구되는 경우 록커의 해제구조를 보인 창문의 일부절단 정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골재 이동수단의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라 창문을 자동적으로 원격제어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
도9는 도1에 도시된 발코니창의 한쪽 창문만을 원격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어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레일 2: 록킹공
10: 창틀용골재 30:창문용골재
31: 요구 40:전원공급용 레일
50: 창문용골재 이동수단 51: 홀더
52: 구동부재 53: 활차
54: 전원공급용 접촉부재 55:탄력부재
56: 록커 60: 리모콘송신기
70: 제어수단 80: 마이크로스위치
90: 록커해제수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자동 개폐장치는 레일이 구비된 창틀용골재와, 상기 창틀용골재의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유리가 설치되는 창문용골재로 이루어진 창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틀용골재의 레일 벽을 따라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용 레일과, 상기 창문용골재의 요구 내에 장착되며 상기 전원공급용 레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창문용골재를 창틀용골재에 대해 이동시키기 위한 창문용골재 이동수단과, 상기 창문용골재의 이동을 원격방식으로 제어하는 원격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창문용골재 이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용골재 이동수단은, 창문용골재의 요구 내에 탄력적으로 장착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장착되어 정 역회전 가능한 적어도 1개 이상의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홀더에 축설된 구동부재와, 상기 창문용골재를 창틀용골재에 대해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구동부재에 동축 상으로 장착 회전되면서 창틀용골재의 레일에 안내되는 활차와, 상기 전원공급용 레일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홀더에 설치된 전원공급용 접촉부재, 및 상기 창문용골재의 요구 내에서 상기 홀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활차가 상기 창틀용골재의 레일에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한 탄력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용골재 이동수단은 송신기에 의한 창문열림 및/또는 창문닫힘 제어신호가 발생될 때에만 작동하여 창문용골재를 수평적으로 열거나 닫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창문용골재가 완전히 열리거나 닫혀졌을 경우 창문용골재 이동수단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치수단과, 창문용골재가 완전히 닫혔을 경우 상기 창문용골재의 열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창틀용골재에 록킹되는 록커를 더 포함하는바, 록커는 창문용골재 이동수단이 작동될 경우 창틀용골재에 대한 록킹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닫혀진 창문용골재를 수동으로 열기 위해 록커를 수동으로 해제하기 위한 록커해제수단을 더 포함하는바, 이 록커해제수단은 사람이 레버를 잡아당김으로써 수동으로 조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의 회전축에는 워엄을 형성시키고, 구동부재는 모터의 회전축에 형성된 워엄과 치합되어 회전되는 워엄기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홀더에는 2개의 모터를 장착하고 각각의 모터의 회전축을 상호 워엄으로서 연결하여 저속의 강한 힘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 이용되는 활차는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구동부재인 워엄기어와 축상으로 가압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재는 모터의 회전축에 형성된 워엄과 치합되어 회전되는 워엄기어의 일측에 착자시킨 자성체와, 이 자성체와 면하는 활차의 일측면에 장착되며 활차가 워엄기어와 비접촉식으로 회전되도록 자성체에 대해 자력을 발생하는 영구자석을 더 포함하여 창문용골재를 수동으로 열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창문용골재 이동수단은 창문용골재의 하부요구에 장착될 수도 있으나, 창문용골재의 하중을 고려하여 창문용골재의 상측 요구 내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가 적용되는 발코니 창문(100)의 개략적으로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창문(100)은 레일(1)이 구비된 창틀용골재(10)와, 창틀용골재(10)의 레일(1)을 따라 이동되며 유리(20)가 설치되는 창문용골재(3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창문(100)에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창문용골재 이동수단(50)을 개폐되는 창문용골재(30)의 상부에 설치하여 창문을 리모콘 송신기(60)(이하 리모콘이라 약칭한다)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것이다.
비록 도1에는 본 발명이 창문용골재(30)의 상부 좌 우측에 각각 설치되어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이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은 창문용골재(30)의 상부 중앙에 1개만이 설치되고 창문용골재(30)의 상부 좌우측에는 활차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 또한 창문용골재(30)의 상부 좌우측 중 어느 한곳에만 설치되고 창문용골재(30)의 상부 좌우측 중 다른 곳에는 활차 만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명세서의 이해를 돕고 또한 페어 그라스(20)가 창문용골재(30)에 장착되면 창문의 하중이 매우 무거운 점을 감안하여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용골재(30)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도1에 도시된 창문은 중앙부에 대형의 고정창이 있고 그의 좌우측에는 수평적으로 개폐 가능한 창문이 각각 있으며, 이 각각의 창문의 창문용골재(30)의 상부 좌우측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50)이 각각 설치되어있다.
도2에는 본 발명에 필수적인 창문용골재 이동수단(5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창틀용골재(10)에는 전원공급용 레일(40)이 창틀용골재(10)의 레일(1) 벽을 따라 설치되어 소정의 직류전압(예컨대 12-30V)을 이후 설명하는 모터에 공급토록 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용골재 이동수단(50)은 창문용골재(30)의 상부 요구(31)내에 장착되며 전원공급용 레일(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창문용골재(30)를 창틀용골재(1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창문용골재 이동수단(50)은 창문용골재(30)의 요구(31) 내에 탄력적으로 장착되는 홀더(51)와, 이 홀더(51)에 장착되어 정 역회전 가능한 2개의 모터(M)와를 포함한다. 또한 창문용골재 이동수단(50)은 모터(M)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홀더(51)에 축설된 구동부재(52)와, 창문용골재(30)를 창틀용골재(1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서 구동부재(52)에 동축 상으로 장착 회전되면서 창틀용골재(10)의 레일(1)에 안내되는 활차(53)를 포함한다. 그리고, 홀더(51)에는 전원공급용 레일(1)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모터(M)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 전원공급용 접촉부재(54)가 설치되어있다.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모터(M)의 회전축(MS)에는 워엄(W)을 장착시키고 구동부재(52)는 모터(M)의 회전축(MS)에 형성된 워엄(W)과 치합되어 회전되는 워엄기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각각의 모터(M)의 회전축(MS)을 상호 워엄(W)으로서 연결하여서 강력한 구동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차(53)는 스프링(53a)의 탄발력에 의해 구동부재인 워엄기어(52)와 축(52a)상으로 가압 면 접촉됨으로써 워엄기어(52)와 함께 회전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모터(M)가 작동할 경우에는 활차(53)가 워엄기어(52)와 밀착 접촉되어 회전되고, 모터(M)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즉, 수동으로 창문을 열고자 할 경우에는) 워엄기어(52)는 회전되지 않으나 축(52a)에 베어링(57)을 매개로 활차(53)가 압입되어 있으므로 사람이 창문을 열 경우 활차(53)는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의 수동 개폐시 워엄기어(52)와 활차(53)간의 마찰력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워엄기어(52)에는 요구(52c)를 적당한 크기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7을 참조하면 창문의 수동 개폐시 워엄기어(52)와 활차(53)간의 마찰력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구조가 도시되어있는바, 모터(M)의 회전축(MS)에 형성된 워엄(W)과 치합되어 회전되는 워엄기어(52)의 일측에는 제1영구자석(152)을 착자시키고, 제1영구자석(152)과 면하는 활차(53)의 일측면에는 활차(53)가 워엄기어(52)와 비접촉식으로 회전되도록 제1영구자석(152)에 대해 자력을 발생하는 제2영구자석(153)을 장착시키되 제1영구자석(152)과 제2영구자석(153)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다시 말하면 워엄기어(52)의 회전시에는 제1영구자석(152)과 제2영구자석(153)에 의한 상호 자력에 의해 활차(53)가 회전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람이 직접 창문을 수동으로 열고자 할 경우에는 모터(M)가 작동되지 않음에 따라 워엄기어(52)가 회전되지 않더라도 제1영구자석(152)과 제2영구자석(153)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1영구자석(152)과 제2영구자석(153)에 의한 자력보다 큰 힘을 주어 창문을 밀 경우에는 활차(53)가 회전될 수 있게되고, 더욱이 제1영구자석(152)과 제2영구자석(153)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즉, 워엄기어(52)와 활차(53)가 도3과 달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수동 개폐시 소음이 전혀 없게 된다.
그리고 도3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축(52a)에는 축(52a)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서 베어링들(57)이 축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2를 참조하면 창문용골재(30)의 요구(31) 내에는 홀더(5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활차(53)가 도5에서와 같이 창틀용골재(10)의 레일(1)에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한 탄력부재(55)가 보울트(58)와 너트(59)에 의해 탄설된다.
그리고, 도1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창문이 완전히 닫혀질 경우 즉, 창문용골재(30)가 완전히 닫혔을 경우 창문용골재(30)의 열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록커(56)가 창틀용골재(10)에 록킹되도록 하였는바, 이 록커(56)는 솔레노이드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커(56)는 모터(M)의 전원선과 동시에 연결되어 창문용골재 이동수단(50)이 작동될 경우(창문을 열고자 할 경우) 창틀용골재(10)에 대한 록킹이 자동적으로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창문용골재(30)가 완전히 열리거나 닫혀졌을 경우 창문용골재 이동수단(50)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정지시켜 불필요한 전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또한 문이 완전히 열리거나 닫혔음에도 불구하고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람이 리모콘(60)의 열림버튼이나 닫힘버튼을 계속적으로 누르고 있음에 따른 모터(M)의 과부하상태를 방지할 필요가 있는바, 이를 위해 도1 및 도2에서와 같이 각각의 창문용골재(30)에는 마이크로스위치(80)를 설치하였다.
도6에는 록커해제수단(90)이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닫혀진 창문용골재(30)를 수동으로 열기 위해서 록커(56)를 수동으로 해제하기 위한 것인바,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커해제수단(90)은 힌지(9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작동바(92)와, 상기 작동바(92)를 조작하기 위해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레버(93)밀 핸들(94)로 이루어진다. 이 록커해제수단(90)의 핸들(94)은 사람이 록커(56)를 용이하게 해제시키기에 적당한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8에는 창문용골재(30)의 이동을 원격방식으로 제어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는바, 송신기(60)에서 발생된 전원신호, 창문열림 및/또는 창문닫힘 제어신호는 창문용골재 이동수단(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70)의 신호수신부(71)에 수신되고 제어에 필요한 신호는 파형정형부(72)에서 파형이 정형된 뒤 제어부(73)에 입력되고, 제어부(73)는 입력된 제어신호를 판단하여 전원장치(74)와 모터구동기(75,76)를 제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도1에 도시된 우측의 창문만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우선 도1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 문을 열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리모콘(60)의 전원스위치(ON/OFF)를 누르면 도8에 도시된 제어부(73)는 전원장치(74)와 모터구동기(75)를 인에이블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60)의 창문열림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모터(M)에는 창틀용골재(10)의 레일(1)벽 양측에 설치한 전원공급용레일(40)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고 이러한 전원은 전원공급용 레일(1)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전원공급용 접촉부재(54)에 의해 모터(M)에 전원이 계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모터(M)는 정회전을 하게되고, 이 경우 도4에 도시된 모터(M)의 회전축(MS)에 장착된 워엄(W)이 회전하게 된다. 워엄(W)이 회전함에 따라 이에 치합된 워엄기어(52)가 회전하고, 축(52a)에 탄설된 압축스프링(53a)에 의해 워엄기어(52)의 일측면과 가압 접촉된 활차(53)역시 회전됨으로써 창문용골재(30)는 도1의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게된다.
만약에 이러한 이동 중에 누르고 있던 창문열림버튼(◀)을 해제하면 모터(M)에 공급되던 전원이 끊기게 되어 모터(M)는 정지되고 그에 따라 창문용골재(30)역시 열림동작을 정지하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모터(M)를 작동시켜 창문용골재(30)를 도1에 이점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열 경우 마이크로스위치(80)가 작동함으로써 모터(M)에 인가되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모터(M)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1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창문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창문을 닫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전원스위치(ON/OFF)를 눌러 전원장치(74)와 모터구동기(75)를 인에이블시킨 다음, 리모콘(60)의 창문닫힘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모터(M)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M)가 역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도4에 도시된 모터(M)의 회전축(MS)에 장착된 워엄(W)과, 이에 치합된 워엄기어(52)가 역회전하고, 축(52a)에 탄설된 압축스프링(53a)에 의해 워엄기어(52)의 일측면과 가압 접촉된 활차(53) 역시 역회전됨으로써 창문용골재(30)는 도1의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된다.
만약에 이러한 이동 중에 누르고 있던 창문닫힘버튼(▶)을 해제하면 모터(M)에 공급되던 전원이 끊기게 되어 모터(M)는 정지되고 그에 따라 창문용골재(30)역시 닫힘동작을 정지하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모터(M)를 작동시켜 창문용골재(30)를 도1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닫을 경우 마이크로스위치(80)가 작동함으로써 모터(M)에 인가되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사람이 리모콘(60)을 이용하여 창문열림/닫힘버튼(◀/▶)을 이용하여 창문을 먼 거리에서도 원격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며, 리모콘(60)의 창문열림/닫힘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창문이 개폐되므로 원하는 만큼만 창문을 개폐하고자 할 경우에는 누르고 있던 창문열림/닫힘버튼(◀/▶)을 해제하면 되고, 만약에 문이 완전히 개방되었거나 닫혔을 경우에는 마이크로스위치에 의해 전원이 자동적으로 오프되어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문이 완전히 닫혔을 경우에는 록커(56)가 자동적으로 창틀용골재(10)에 록킹됨으로써 외출시 별도의 잠금장치를 작동시킬 필요가 없어 방범에도 일익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문의 개폐 동작 시에 전원공급용 레일(1)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전원공급용 접촉부재(54)에 의해 모터(M)에는 전원이 계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레일이 어린이나 어른의 손이 잘 닿지 않는 상부 창틀용골재에 설치되므로 감전의 염려가 없는 것이다.
한편 창문을 원격방식이 아닌 수동으로 열거나 닫고자할 경우를 설명한다.
문이 완전히 닫혀져있는 상태에서 문을 열고자할 경우 우선 창틀용골재(10)에 록킹되었던 록커(56)를 인위적으로 해제시켜야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창문용골재(30)의 일측에 있는 핸들(94)(도6참조)을 잡아당겨 작동바(92)가 힌지(9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록커(56)의 자유단부가 창문용골재(30)의 록킹공(2)으로부터 해제 되도록 한다.
이렇게 록커(56)가 창문용골재(30)의 록킹공(2)으로부터 해제된 뒤 사람이 창문에 힘을 주어 밀게되면 비록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활차(53)가 스프링(53a)에 의해 워엄기어(52)에 가압 접촉되어 있더라도 창문을 미는 힘이 스프링(53a)에 의한 가압력 보다 클 경우 활차(53)는 회전하게되어 창문은 열리게되는 것이다.
그런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이용할 경우에는 수동으로 문을 열고 닫을 경우 워엄기어(52)와 활차(53)간의 마찰음이 생길 수도 있으나 창문의 수동개폐에는 방해를 받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마찰음의 발생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혀 고려대상이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수동 개폐시 이러한 마찰음을 완전히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7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였다. 즉 창문을 수동으로 열고자 할 경우에는 모터(M)가 작동되지 않음에 따라 워엄기어(52)가 회전되지 않더라도 제1영구자석(152)과 제2영구자석(153)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1영구자석(152)과 제2영구자석(153)에 의한 자력보다 큰 힘을 주어 창문을 밀게되면 활차(53)가 회전될 수 있게되고, 더욱이 제1영구자석(152)과 제2영구자석(153)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수동 개폐시 소음이 전혀 없게 된다.
도9에는 본 발명에 따라 창문을 개폐하기 위한 제어부(73)의 플로우챠트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를 설명한다.
우선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 문을 열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리모콘(60)의 전원스위치(ON/OFF)를 누르면 프로그램은 스텝(S1)에서 스텝(S2)으로 진행되는바, 이때 제어부(73)는 그 다음 입력되는 신호가 창문열림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입력된 신호가 창문열림신호일 경우 제어부(73)는 전원장치(74)와 모터구동기(75)를 제어하여 모터(M1)(M2)(여기에서 M1,M2는 도1에 도시된 창문용골재30의 상부 좌우측에 설치된 모터를 편의상 구분 표기한 것임)에 전원을 공급하여 창문이 열리도록 함과 동시에 록커(56)의 솔레노이드 코일(부호생략)에 전류를 인가하여 록커(56)가 창틀용골재(10)의 록킹공(2)으로부터 자동적으로 해제되도록 한다(스텝S3).
이러한 문의 열림동작 시에 제어부(73)는 문이 완전히 열렸는가를 판단하는데 완전히 열리지 않았을 경우 프로그램은 스텝(S4)에서 스텝(S5)으로 진행되어 열림버튼이 오프되지 않았을 경우 프로그램을 스텝(S5)에서 스텝(S3)으로 진행시켜 문의 열림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토록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동작 시에 사람이 누르고 있던 창문열림버튼(◀)을 해제하면 모터(M)에 공급되던 전원이 끊기게 되어 모터(M)는 정지되고 그에 따라 창문용골재(30) 역시 열림동작을 정지하게된다(스텝S6).
그러나, 문 열림 작동시에 문이 완전히 열렸을 경우에는 프로그램은 스텝(S4)에서 스텝(S7)으로 진행되어 마이크로스위치(80)의 입력을 기다린다. 마이크로스위치(80)가 작동되면 제어부(73)는 모터(M)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하여 모터(M)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프로그램을 스텝(S7)에서 스텝(S6)으로 진행시킨다.
한편 스텝(S2)에서 판단한 결과 입력되는 신호가 창문닫힘 신호일 경우 제어부(73)는 프로그램을 스텝(S2)에서 스텝(S11)으로 진행시킨 뒤 전원장치(74)와 모터구동기(75)를 제어하여 모터(M1)(M2)에 전원을 공급하여 창문이 닫히도록 모터를 역회전시킨다(스텝S12).
이러한 문의 닫힘 동작시에 제어부(73)는 문이 완전히 닫혔는가를 판단하는데 완전히 닫히지 않았을 경우 프로그램은 스텝(S13)에서 스텝(S14)으로 진행되어 닫힘버튼이 오프되지 않았을 경우 프로그램을 스텝(S14)에서 스텝(S12)으로 진행시켜 문의 닫힘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토록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동작시에 사람이 누르고 있던 창문닫힘버튼(▶)을 해제하면 모터(M)에 공급되던 전원이 끊기게 되어 모터(M)는 정지되고 그에 따라 창문용골재(30) 역시 닫힘동작을 정지하게된다(스텝S15).
그러나, 문닫힘작동시 문이 완전히 닫혀졌을 경우에는 프로그램은 스텝(S13)에서 스텝(S16)으로 진행되어 마이크로스위치(80)의 입력을 기다린다. 마이크로스위치(80)가 작동되면 제어부(73)는 모터(M)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하여 모터(M)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프로그램을 스텝(S16)에서 스텝(S15)으로 진행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사람이 리모콘을 이용하여 창문열림/닫힘버튼을 이용하여 창문을 먼거리에서도 원격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며, 리모콘(60)의 창문열림/닫힘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창문이 개폐되므로 원하는 만큼만 창문을 개폐하고자 할 경우에는 누르고 있던 창문열림/닫힘버튼을 해제하면 되고, 만약에 문이 완전히 개방되었거나 닫혔을 경우에는 마이크로스위치에 의해 전원이 자동적으로 오프되어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문이 완전히 닫혔을 경우에는 록커가 자동적으로 창틀용골재에 록킹됨으로써 외출시 별도의 잠금장치를 작동시킬 필요가 없어 방범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 및 변형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창문용골재 이동수단(50)은 창문용골재(30)의 상부 중앙에 1개만이 설치되고 창문용골재(30)의 상부 좌우측에는 활차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 창문용골재(30)의 상부 좌우측 중 어느 한곳에만 설치되고 창문용골재(30)의 상부 좌우측 중 다른 곳에는 활차만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2)

  1. 레일(1)이 구비된 창틀용골재(10)와, 상기 창틀용골재(10)의 레일(1)을 따라 이동되며 유리(20)가 설치되는 창문용골재(30)로 이루어진 창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틀용골재(10)의 레일(1) 벽을 따라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용 레일(40)과;
    상기 창문용골재(30)의 요구(31)내에 장착되며 상기 전원공급용 레일(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창문용골재(30)를 창틀용골재(10)에 대해 이동시키기 위한 창문용골재 이동수단(50)과;
    상기 창문용골재(30)의 이동을 원격방식으로 제어하는 원격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60); 및
    상기 송신기(6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창문용골재 이동수단(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7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용골재 이동수단(50)은,
    창문용골재(30)의 요구(31) 내에 탄력적으로 장착되는 홀더(51)와,
    상기 홀더(51)에 장착되어 정 역회전 가능한 적어도 1개 이상의 모터(M)와,
    상기 모터(M)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홀더(51)에 축설된 구동부재(52)와,
    상기 창문용골재(30)를 창틀용골재(10)에 대해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구동부재(52)에 동축 상으로 장착 회전되면서 창틀용골재(10)의 레일(1)에 안내되는 활차(53)와,
    상기 전원공급용 레일(1)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모터(M)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홀더(51)에 설치된 전원공급용 접촉부재(54), 및
    상기 창문용골재(30)의 요구(31) 내에서 상기 홀더(5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활차(53)가 상기 창틀용골재(10)의 레일(1)에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한 탄력부재(5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용골재 이동수단(50)은 상기 송신기(60)에 의한 창문열림 및/또는 창문닫힘제어신호가 발생될 때에만 작동하여 상기 창문용골재(30)를 수평적으로 열거나 닫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용골재(30)가 완전히 열리거나 닫혀졌을 경우 상기 창문용골재 이동수단(50)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치수단(80)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용골재(30)가 완전히 닫혔을 경우 상기 창문용골재(30)의 열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창틀용골재(10)에 록킹되는 록커(56)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56)는 창문용골재 이동수단(50)이 작동될 경우 창틀용골재(10)에 대한 록킹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닫혀진 창문용골재(30)를 수동으로 열기 위해 상기 록커(56)를 수동으로 해제하기 위한 록커해제수단(90)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M)의 회전축(MS)에는 워엄(W)을 형성시키고 상기의 구동부재(52)는 상기 모터(M)의 회전축(MS)에 형성된 워엄(W)과 치합되어 회전되는 워엄기어(5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51)에는 2개의 모터(M)를 장착하고 상기 각 모터(M)의 회전축(MS)을 상호 워엄(W)으로서 연결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활차(53)는 스프링(53a)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인 워엄기어(52)와 축(52a)상으로 가압 접촉되어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52)는 상기 모터(M)의 회전축(MS)에 형성된 워엄(W)과 치합되어 회전되는 워엄기어(52)의 일측에 착자시킨 제1영구자석(152)과, 상기 제1영구자석(152)과 면하는 상기 활차(53)의 일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활차(53)가 상기 워엄기어(52)와 비접촉식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1영구자석(152)에 대해 자력을 발생하는 제2영구자석(153)을 더 포함하여 상기 창문용골재(30)를 수동으로 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용골재 이동수단(50)은 상기 창문용골재(30)의 상측 요구(31)내에 설치되어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KR1019990022755A 1999-06-17 1999-06-17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KR100278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755A KR100278319B1 (ko) 1999-06-17 1999-06-17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CNB008013276A CN1300438C (zh) 1999-06-17 2000-06-12 玻璃窗自动开闭用的遥控装置
EP00937355A EP1114231A4 (en) 1999-06-17 2000-06-12 REMOTELABLE DEVICE FOR OPENING / CLOSING A WINDOW
AU52539/00A AU5253900A (en) 1999-06-17 2000-06-12 Remote controllable device for opening/closing of a window
JP2001504596A JP2003502535A (ja) 1999-06-17 2000-06-12 遠隔操作可能な窓の自動開閉装置
US09/763,169 US6581332B1 (en) 1999-06-17 2000-06-12 Remote controllable device for opening/closing of a window
PCT/KR2000/000613 WO2000079689A2 (en) 1999-06-17 2000-06-12 Remote controllable device for opening/closing of a wind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755A KR100278319B1 (ko) 1999-06-17 1999-06-17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755A KR19990068755A (ko) 1999-09-06
KR100278319B1 true KR100278319B1 (ko) 2001-01-15

Family

ID=54753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755A KR100278319B1 (ko) 1999-06-17 1999-06-17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83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546B1 (ko) * 1999-11-02 2001-11-02 김학겸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CN103375096A (zh) * 2013-07-17 2013-10-30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遥控门窗系统及使用方法
KR102326305B1 (ko) * 2020-01-13 2021-11-16 주식회사 대현상공 창문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755A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1332B1 (en) Remote controllable device for opening/closing of a window
US7484333B2 (en) Method of using a door operator
US5507120A (en) Track driven power door operator
KR100706328B1 (ko) 슬라이드 도어의 전동 개폐장치
WO2012016108A2 (en) Automatic door opener
KR100704451B1 (ko) 문 자동개폐장치
KR100278319B1 (ko)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US11851932B2 (en) Door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JP4938360B2 (ja) 開閉扉装置
JP2001280001A (ja) ドアの開閉装置
KR200376430Y1 (ko) 건축용 슬라이드 도어의 전동 개폐장치
JP2006125149A (ja) 引き違いサッシ
KR200194351Y1 (ko)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시스템에 사용하기위한 창문이동장치
KR100300546B1 (ko)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0279730B1 (ko) 안전 도어클로저
KR200175856Y1 (ko)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KR200194374Y1 (ko) 미닫이식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JP2569950B2 (ja) 窓用の駆動装置
JP3861212B2 (ja) 引戸装置
JP3816000B2 (ja) 回転ドア装置
AU700255B3 (en) A door operator
JPH0333917Y2 (ko)
GB2422772A (en) Apparatus for drawing curtains, comprising a clutch.
WO200203690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barrier
JPS63189584A (ja) 自動開閉サツ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