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1144U -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 - Google Patents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1144U
KR20000021144U KR2019990008758U KR19990008758U KR20000021144U KR 20000021144 U KR20000021144 U KR 20000021144U KR 2019990008758 U KR2019990008758 U KR 2019990008758U KR 19990008758 U KR19990008758 U KR 19990008758U KR 20000021144 U KR20000021144 U KR 200000211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oupled
spur gear
clutch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규식
Original Assignee
김종진
주식회사 삼일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주식회사 삼일기공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90008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1144U/ko
Publication of KR200000211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144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actuated through worm gearings

Abstract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를 개시한다.
개시된 권양기는 수문과 결합된 랙바가 승강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랙 유니트; 이 랙 유니트에 동력을 전달하여 랙바를 구동하기 위해 프레임에 설치되며, 연결축이 설치된 메인 기어박스 유니트; 이 메인 기어박스 유니트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전동 스퍼기어가 설치된 전동축; 전동 스퍼기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축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수동 스퍼기어를 포함하며,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과 구동모터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한 수동축; 스퍼기어에 결합되도록 축상에 설치된 구동 스퍼기어를 포함하며, 핸들 또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연결축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 이 구동축의 회전력을 연결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전동 스퍼기어와 수동 스퍼기어를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전동단속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A wrinch capable of being driven by manual/driving force}
본 고안은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배수갑문용 권양기의 감속 및 구동 메커니즘을 개선하여 핸들에 의한 수동구동과 구동모터에 의한 전동구동이 가능한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권양기는 엘리베이터, 토사이송장치, 정수장 스컴제거장치, 수력발전장치, 전동 운반차, 곤돌라, 오징어 낚시용 권양기 등과 같이, 무거운 물체를 끌어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장치이다.
특히, 배수갑문용 권양기는 농수로용 소형 권양기로부터 수력 발전설비용 댐에 사용되는 대형 수문을 인양하기 위한 대형 권양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 배수갑문용 권양기는, 수문을 수동으로 인양할 경우, 메인 기어 박스의 동력축을 라쳇트(latch)를 이용하여 회전시키게 되어 있다. 따라서, 수문의 무게와 마찰, 시설물의 부식 및 수문에 걸린 찌꺼기의 걸림 현상이 발생할 경우, 상기 동력축의 회전에 많은 힘이 소요되어 조작자의 조작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핸들이 설치될 수 있는 수동축과, 전동모터와 결합되는 전동축을 각각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수동 또는 전동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상기 권양기가 채용된 배수갑문 시스템을 각각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랙유니트와 메인 기어박스 유니트 부위를 동력전달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감속기 유니트의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측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전동단속수단의 수동축, 전동축, 구동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8 및 도 9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풋 브레이크 부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원심 브레이크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랙 유니트 12...수문 20...메인 기어박스 유니트
24...연결축 30...감속기 유니트 31...구동축
32...핸들 33...수동축 34...구동모터
35...전동축 37...동력전달축 40...전동단속수단
42...제1클러치 레버 50...동력전달수단 60...풋 브레이크
70...원심 브레이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레임; 수문과 결합된 랙바가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랙 유니트; 상기 랙 유니트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랙바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연결축이 설치된 메인 기어박스 유니트; 상기 메인 기어박스 유니트에 설치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전동 스퍼기어가 설치된 전동축; 상기 전동 스퍼기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축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수동 스퍼기어를 포함하며,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과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한 수동축; 상기 수동 스퍼기어에 결합되도록 축상에 설치된 구동 스퍼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 또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연결축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연결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전동 스퍼기어와 상기 수동 스퍼기어를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전동단속수단;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전동단속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클러치 레버; 상기 제1클러치 레버의 회동에 의해 소정 간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클러치 홀더; 상기 제1클러치 홀더가 결합되도록 상기 수동 스퍼기어 측면에 설치된 제1클러치 디스크;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연결축에 동력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 가능하도록 설치된 동력전달축; 상기 구동축에 설치된 웜; 및 상기 동력전달축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동력전달축에 동축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웜에 결합된 웜휠; 및 상기 웜의 회전력을 상기 웜휠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절환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절환부재는: 상기 웜휠의 측면에 설치된 클러치부; 상기 클러치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동력전달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클러치 부재; 상기 제2클러치 부재에 결합된 제2클러치 홀더; 및 상기 제2클러치 홀더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클러치 레버;를 구비한다.
본 고안은 상기 연결축의 회전 속도를 감속 또는 정지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연결축 상에 설치된 브레이크 드럼; 상기 메인 기어박스 유니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페달; 및 상기 페달의 회동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드럼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브레이크 드럼 외측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 브레이크 라이닝;을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연결축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며, 상기 연결축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상기 연결축의 회전을 감속시킬 수 있는 원심 브레이크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원심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연결축 일단에 설치된 원심 브레이크 드럼; 상기 원심 브레이크 드럼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축 상에 설치된 로터; 상기 로터의 원심력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로터에 설치된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에 설치된 웨이트; 및 상기 원심 브레이크 드럼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에 설치된 마찰부재;를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 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상기 권양기가 채용된 배수갑문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랙 유니트와 메인 기어박스 유니트의 동력 전달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권양기는 한 쌍의 좌,우 랙 유니트(10)와 기어박스 유니트(20)가 프레임(2)에 설치된다. 상기 좌,우 랙 유니트(10)에는 수문(12)이 결합된 랙바(14)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좌,우의 랙 유니트(10)는 샤프트 커플러(16)와 다수의 기어군(22)에 의해 메인 기어박스 유니트(20)의 연결축(24)에 축결합된다. 도 2의 참조부호 3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참조부호 4는 충격흡수부재를, 참조부호 6은 가이드롤러를, 참조부호 8은 가이드롤러를 각각 나타낸다. 도 4의 26은 브레이크 드럼을 나타낸다.
상기 메인 기어박스 유니트(20)는 좌,우 랙 유니트(10)로 각각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다수의 스퍼기어군(22)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메인 기어박스 유니트(10) 상부에는 핸들(32)과 구동모터(34)가 설치된 감속기 유니트(30)가 위치된다. 도 2의 참조부호 42는 제1클러치 레버를, 참조부호 52는 제2클러치 레버를, 참조부호 60은 풋 브레이크를, 참조부호 70은 원심 브레이크를 각각 나타낸다.
도 5는 감속기 유니트(30)의 동력전달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 도이고, 도 6은 도 5의 "A"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전동단속수단의 수동축, 전동축, 구동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속기 유니트(30)는 구동축(31), 수동축(33), 전동축(35)이 나란하게 설치되며, 동력전달축(37)이 상기 3개축(31,33,35)에 수직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전동축(35)에 설치된 전동 스퍼기어(36)와 수동축(33)에 설치된 수동 스퍼기어(38)를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전동단속수단(40)과, 감속기 유니트(30)의 구동축(31)의 회전력을 메인 기어박스 유니트(20)의 연결축(22)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50)이 구비된다.
상기 전동축(35)과 구동모터(34)는 모터 커플러(34a)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수동 스퍼기어(38)는 전동 스퍼기어(36)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수동축(33)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수동축(33)의 일단부에는 핸들(32)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수동축(33)은 핸들(32)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가능하고, 수동 스퍼기어(38)가 전동 스퍼기어(36)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구동모터(34)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축(31)에는 수동 스퍼기어(38)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 스퍼기어(39)가 설치된다.
상기 전동단속수단(40)은 감속기 유니트(3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클러치 레버(42)와, 이 제1클러치 레버(42)의 회동에 의해 소정 간격 이동 가능한 제1클러치 홀더(44)와, 이 제1클러치 홀더(44)가 결합되도록 수동 스퍼기어(38)의 측면에 설치된 제1클러치 디스크(46)를 구비한다. 제1클러치 디스크(46)는 디스크 스토퍼(45a)에 의해 그 위치가 규제된다. 여기서, 제1클러치 디스크(46)에는 제1클러치 홀더(44)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또한, 수동축(33)과 제1클러치 디스크(46)는 미끄럼 키(47)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제1클러치 디스크(46)가 수동축(33)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제1클러치 디스크(46)에는 그 회전축과 수직되도록 설치홈(43)이 형성된다. 이 설치홈(43)에는 제1클러치 레버(42)의 시작점과 종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쇠구슬(43a)과 스프링(43b)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50)은 동력전달축(37)의 회전력을 체인(51)에 의해 연결축(24)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동력전달수단(50)은 구동축(31)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웜(59)과, 동력전달축(37)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동력전달축(37)에 동축적으로 설치되며 웜(59)에 기어결합된 웜휠(54)과, 웜(59)과 웜휠(54)을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동력전달축(37)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연결축(24)에 전달하는 동력절환부재(56)를 구비한다.
상기 동력절환부재(56)는 웜휠(54)의 측면에 설치된 클러치부(55)와, 이 클러치부(55)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동력전달축(3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클러치 부재(58)와, 이 제2클러치 부재(58)에 결합된 제2클러치 홀더(57) 및 이 제2클러치 홀더(57)를 이동시키기 위해 감속기 유니트(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클러치 레버(52)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절환부재(56)의 제2클러치 부재(58), 제2클러치 홀더(57) 및 제2클러치 레버(52)의 구조 및 작동은 상기 전동단속수단(40)의 제1클러치 부재(46), 제1클러치 홀더(44) 및 제1클러치 레버(42)의 그것과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풋 브레이크(60)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풋 브레이크(60)는 수문(12)이 자중에 의해 하강할 때, 그 수문(12)의 하강 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풋 브레이크(60)는 연결축(24) 상에 설치된 브레이크 드럼(26)과, 메인 기어박스 유니트(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페달(62) 및 이 페달(62)의 회동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26)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브레이크 드럼(26) 외측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 브레이크 라이닝(64)을 구비한다.
상기 페달(62)은 회동축(65)에 의해 메인 기어박스 유니트(20)에 결합되며, 브레이크 케이스(66)에 의해 수납된다. 또한, 페달(62)의 타측은 탄성부재(67)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26) 측으로 바이어스 된다.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64)은 연결핀(68)에 의해 결합되며, 이 연결핀(68)은 페달(62)에 연결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페달(62)을 밟으면 회동축(65)을 중심으로 페달의 타단이 탄성부재(67)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회동되고, 그 회동에 의해 연결핀(68)이 브레이크 라이닝(64)은 브레이크 드럼(26)에 접촉되면서 연결축(24)의 회전을 감속시킨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되며, 도 4에 도시된 연결축의 일단에 설치되는 원심 브레이크(7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원심 브레이크(70)는 연결축(24)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며, 연결축(24)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연결축(24)의 회전을 감속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원심 브레이크(70)는, 연결축(24)의 일단에 설치된 원심 브레이크 드럼(72)과, 이 원심 브레이크 드럼(72)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연결축(24) 상에 설치된 로터(74), 이 로터(74)의 원심력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로터(74)에 설치된 다수의 회동부재(76), 이 회동부재(76)의 일단에 설치된 웨이트(78), 및 원심 브레이크 드럼(72)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회동부재(76)의 타단에 설치된 마찰부재(79)를 구비한다.
상기 원심 브레이크(70)는 메인 기어박스 유니트(20)의 연결축(24)에 설치되어 수문(12)의 하강시 수문(12)의 급강하에 의한 수문(12)의 파손을 방지하며, 수문(12)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한다. 즉, 원심 브레이크(70)는 원심 브레이크 드럼(72)을 연결축(24) 상에 설치된 플렌지(73)에 결합하고, 로터(74)의 반경 방향으로 다수의 회동부재(76)를 설치하고, 그 회동부재(76)에는 원심추로 작용하는 웨이트(78)를 로터(74)의 반경 방향으로 대칭되게 설치하여 웨이트(78)의 원심력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부재(76)의 타단에 설치된 마찰부재(79)가 원심 브레이크 드럼(72)에 접촉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원심 브레이크(70)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중량이 적은 웨이트(78)에 의해서도 충분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고, 장치를 소형화시킬 수 있어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진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핸들(32)로 수문(12)을 상승시키는 수동 구동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수동 구동 동작은 평소에는 전동으로 구동하다가 여를철 우기때 정전이되는 경우 또는 전력을 공급하기 곤란한 산간 지방의 경우에 사용하면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굳이 전동 구동할 필요가 없는 소형 권양기의 경우에도 수동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제1클러치 레버(42)를 "B"방향으로 회동시켜 수동 스퍼기어(38)와 전동 스퍼기어(36) 간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또한, 제2클러치 레버(52)를 "C" 방향으로 회동시켜 웜휠(54)의 클러치부(55)에 제2클러치 부재(58)를 결합시킨다.
이어서, 작동자가 핸들(32)을 약 3kg의 힘으로 회전시키면, 수동축(33)이 회전되고 수동 스퍼기어(38)에 맞물린 구동 스퍼기어(39)가 회전되면서 구동축(31)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구동축(31)에 설치된 웜(59)이 회전하여 웜휠(54)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웜휠(54)의 클러치부(55)에 결합된 제2클러치 부재(58)가 회전되면서 동력전달축(37)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감속기 유니트(30)의 동력전달축(37)의 일단에 설치된 스프로킷과 메인 기어박스 유니트(30)의 연결축(24)에 설치된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체인(51)에 의해 연결축(24)이 회전된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기어박스 유니트(30)에 설치된 다수의 스퍼기어들(22)과 커플링(16)을 통해 좌,우 랙 유니트(10)에 설치된 랙 회전축(11)이 회전되고 따라서, 랙 회전축(11)에 설치된 스프로킷 기어(13)가 회전된다. 그러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바(14)가 스프로킷 기어(13)의 회전에 의해 "A"방향으로 상승되면서 수문(12)을 콘크리트 구조물(3)로부터 개방시키게 된다. 여기서, 수문(12)의 상승 속도는 약 7cm/min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구동모터(34)로 수문(12)을 상승시키는 전동 구동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클러치 레버(42)를 "D"방향으로 회동시켜 수동 스퍼기어(38)와 전동 스퍼기어(36)를 결합시킨다. 그러면, 전동 스퍼기어(36)와 수동 스퍼기어(38) 및 구동 스퍼기어(39)는 각각 기어결합된 상태이다. 이어서, 전동 구동을 위해서는 수동축(33)으로부터 핸들(32)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전동 구동 모드에서도 수동축(33)이 회전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동 구동 모드는 프로그램된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일괄작업으로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웜휠(54)의 클러치부(55)와 제2클러치 부재(58)는 수동 구동 모드와 동일하게 서로 결합되어 있고, 동력전달메커니즘 또한 상기 수동 구동 모드와 동일하다. 다만, 구동모터(34)에 의한 수문(12)의 상승 속도는 약 30cm/min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핸들(32) 및 구동모터(34)에 의한 수문(12)의 인양 능력은 약 1 ton 내지 약 10ton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상승된 수문(12)을 하강시키는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클러치 레버(52)를 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시켜 웜휠(54)의 클러치부(55)와 제2클러치 부재(58) 간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그러면, 수문(12)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고 그 하강력은 랙 유니트(10) 및 메인 기어박스 유니트(20) 내의 정지된 스퍼기어군(12)을 통해 연결축(24)을 회전시키고 그 회전력은 체인(51)을 통해 전달되어 동력전달축(37)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동력전달축(37)에 설치된 제2클러치 부재(58)는 동력전달축(37)과 함께 회전된다. 그러나, 웜(59)에 결합된 웜휠(54)은 회전되지 않는다. 즉, 동력전달축(37)은 웜휠(54)에 대해 상대 회전되면서 수문(12)이 하강된다.
넷째, 풋 브레이크(60)의 동작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수문(12)이 하강될 때, 그 수문(12)의 하강 속도를 줄이거나 수문(12)을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페달(62)을 발로 밟는다. 그러면, 페달(62)은 회동축(65)에 의해 회동되면서, 탄성부재(67)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연결핀(68)을 당기게 된다. 그러면, 연결핀(68)은 브레이크 라이닝(64)을 조이게 되고, 그 결과 브레이크 라이닝(64)은 브레이크 드럼(26)과의 접촉에 의해 연결축(24)의 회전을 제동시킨다.
다섯째, 원심 브레이크(70)의 동작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수문(12)의 하강 속도가 증가하게 되면, 원심 브레이크(70)의 웨이트(78)의 원심력이 커지고 회동부재(76)의 회동각도가 커져 마찰부재(79)는 원심 브레이크 드럼(72)에 접촉되는 접촉력이 커짐으로써 연결축(24)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클러치 레버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에 의한 전동 구동과 핸들에 의한 수동 구동 사이를 용이하게 절환시킬 수 있는 감속 메커니즘이 구현된다.
둘째, 작업자의 편의와 관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핸들을 수동축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셋째, 수동 구동의 경우 종래 라쳇트 방식에 비해 약 1/20의 힘으로도 쉽게 운전할 수 잇다.
넷째, 조작부의 중앙 집중식 설계로 운전자의 조작이 간편하다.
다섯째, 풋 브레이크와 원심 브레이크의 2중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적용하여 제동 효율을 향상시키고 제동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여섯째, 전동/수동 겸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름철 우기때에 정전이 되는 경우 주로 전동 구동 방식에 의해 운용되는 권양기를 수동으로 전환이 가능하고, 산간 지방에서 전력을 인입하기 곤란한 경우나 소형 권양기와 같이 전동 구동이 불필요한 경우에 사용하면 편리하다.

Claims (8)

  1. 프레임;
    수문과 결합된 랙바가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랙 유니트;
    상기 랙 유니트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랙바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연결축이 설치된 메인 기어박스 유니트;
    상기 메인 기어박스 유니트에 설치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전동 스퍼기어가 설치된 전동축;
    상기 전동 스퍼기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축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수동 스퍼기어를 포함하며,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과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한 수동축;
    상기 수동 스퍼기어에 결합되도록 축상에 설치된 구동 스퍼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 또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연결축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연결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상기 전동 스퍼기어와 상기 수동 스퍼기어를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전동단속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단속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클러치 레버;
    상기 제1클러치 레버의 회동에 의해 소정 간격 이동 가능하다 설치된 제1클러치 홀더;
    상기 제1클러치 홀더가 결합되도록 상기 수동 스퍼기어 측면에 설치된 제1클러치 디스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연결축에 동력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 가능하도록 설치된 동력전달축;
    상기 구동축에 설치된 웜;
    상기 동력전달축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동력전달축에 동축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웜에 결합된 웜휠; 및
    상기 웜의 회전력을 상기 웜휠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절환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절환부재는:
    상기 웜휠의 측면에 설치된 클러치부;
    상기 클러치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동력전달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클러치 부재;
    상기 제2클러치 부재에 결합된 제2클러치 홀더; 및
    상기 제2클러치 홀더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클러치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회전 속도를 감속 또는 정지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연결축 상에 설치된 브레이크 드럼;
    상기 메인 기어박스 유니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페달; 및
    상기 페달의 회동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드럼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브레이크 드럼 외측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 브레이크 라이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며, 상기 연결축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상기 연결축의 회전을 감속시킬 수 있는 원심 브레이크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연결축 일단에 설치된 원심 브레이크 드럼;
    상기 원심 브레이크 드럼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축 상에 설치된 로터;
    상기 로터의 원심력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로터에 설치된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에 설치된 웨이트; 및
    상기 원심 브레이크 드럼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에 설치된 마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
KR2019990008758U 1999-05-21 1999-05-21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 KR200000211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758U KR20000021144U (ko) 1999-05-21 1999-05-21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758U KR20000021144U (ko) 1999-05-21 1999-05-21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144U true KR20000021144U (ko) 2000-12-15

Family

ID=5476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758U KR20000021144U (ko) 1999-05-21 1999-05-21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1144U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156B1 (ko) * 2001-03-16 2004-10-14 광 훈 전 전동, 수동 겸용 수문 권양장치
KR100885968B1 (ko) * 2007-07-11 2009-02-26 (주)연일 수동수문 및 자동수문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수문권양장치
KR100905319B1 (ko) * 2008-08-11 2009-07-02 주식회사 동아스트 루프 개폐 장치
KR100908910B1 (ko) * 2008-07-21 2009-07-23 광 훈 전 수문개폐장치
KR100926525B1 (ko) * 2009-08-11 2009-11-12 금전기업 주식회사 수문용 권양기
KR101026735B1 (ko) * 2008-12-02 2011-04-08 윤영직 전동·수동 복합 수문개폐장치
KR101067928B1 (ko) * 2011-01-21 2011-09-26 원종열 수문용 권양장치
KR101535166B1 (ko) * 2014-11-07 2015-07-10 우일산업 주식회사 수문권양기의 자동전환장치
KR101535167B1 (ko) * 2015-05-12 2015-07-10 우일산업 주식회사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1586997B1 (ko) * 2015-09-01 2016-01-20 금전기업 주식회사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
KR101586999B1 (ko) * 2015-09-01 2016-01-20 금전기업 주식회사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
KR20190027585A (ko) * 2017-09-07 2019-03-15 박대석 도어장치가 구비된 방폭시설
KR20200101730A (ko) * 2019-02-20 2020-08-28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권양기의 간편 조작장치
CN112160102A (zh) * 2020-09-30 2021-01-01 际华三五四二纺织有限公司 一种浆纱机经轴架装置
KR20230027547A (ko) * 2021-08-19 2023-02-28 엄지선 수동 회전구동이 가능한 제진기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156B1 (ko) * 2001-03-16 2004-10-14 광 훈 전 전동, 수동 겸용 수문 권양장치
KR100885968B1 (ko) * 2007-07-11 2009-02-26 (주)연일 수동수문 및 자동수문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수문권양장치
KR100908910B1 (ko) * 2008-07-21 2009-07-23 광 훈 전 수문개폐장치
KR100905319B1 (ko) * 2008-08-11 2009-07-02 주식회사 동아스트 루프 개폐 장치
KR101026735B1 (ko) * 2008-12-02 2011-04-08 윤영직 전동·수동 복합 수문개폐장치
KR100926525B1 (ko) * 2009-08-11 2009-11-12 금전기업 주식회사 수문용 권양기
KR101067928B1 (ko) * 2011-01-21 2011-09-26 원종열 수문용 권양장치
KR101535166B1 (ko) * 2014-11-07 2015-07-10 우일산업 주식회사 수문권양기의 자동전환장치
KR101535167B1 (ko) * 2015-05-12 2015-07-10 우일산업 주식회사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1586997B1 (ko) * 2015-09-01 2016-01-20 금전기업 주식회사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
KR101586999B1 (ko) * 2015-09-01 2016-01-20 금전기업 주식회사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
KR20190027585A (ko) * 2017-09-07 2019-03-15 박대석 도어장치가 구비된 방폭시설
KR20200101730A (ko) * 2019-02-20 2020-08-28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권양기의 간편 조작장치
CN112160102A (zh) * 2020-09-30 2021-01-01 际华三五四二纺织有限公司 一种浆纱机经轴架装置
KR20230027547A (ko) * 2021-08-19 2023-02-28 엄지선 수동 회전구동이 가능한 제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21144U (ko)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
KR100964740B1 (ko) 수문용 권양장치
CN201214585Y (zh) 具有防坠落功能的限速滑轮
KR102002795B1 (ko) 수문 권양장치
CA2084242A1 (en) Disc brake for elevator drive sheave
CN201074316Y (zh) 一种用齿轮驱动闸门的启闭机
KR101005016B1 (ko) 수문용 권양장치
KR101893760B1 (ko) 수문용 권양기
CN205277716U (zh) 高速盘车机构
CN1746099A (zh) 离合式制动器
CN204549699U (zh) 具有棘爪自动复位功能的双向自动防溜车限速器系统
KR200386255Y1 (ko) 수문권양기
KR102199659B1 (ko) 전자브레이크가 없는 무대장치용 리프트 구동장치
CN210736069U (zh) 一种多功能绞车
KR100586435B1 (ko) 와이어로프식 다단전도수문용 권양기의 수동핸들역회전방지장치
CN1046117C (zh) 高处作业吊篮用提升机
CA1286654C (en) Cable hoist
KR20030082720A (ko) 수문용 권양장치
KR101658827B1 (ko)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KR102459567B1 (ko) 수문 권양기용 휴대형 리프터
CN214219590U (zh) 液压集成链式抓梁穿销系统
CN2897953Y (zh) 电梯用无齿曳引机的手动盘车装置
KR200267805Y1 (ko) 수문용 권양장치
KR100468877B1 (ko) 스프라그 잭 권양기
JP3306229B2 (ja) 昇降ケージの駆動装置と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