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999B1 -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999B1
KR101586999B1 KR1020150123386A KR20150123386A KR101586999B1 KR 101586999 B1 KR101586999 B1 KR 101586999B1 KR 1020150123386 A KR1020150123386 A KR 1020150123386A KR 20150123386 A KR20150123386 A KR 20150123386A KR 101586999 B1 KR101586999 B1 KR 101586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emergency
closing
gea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삼우
Original Assignee
금전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전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전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3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9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2Equipment preventing vibration of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을 수문 개폐용 구동모터 후단에 설치시 비상구동엔진의 동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역으로 조절하여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수문의 비상구동시 수문의 개폐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수문을 와이어로프를 통해 감거나 풀어 수문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와이어드럼, 와이어드럼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의 속도를 감속시켜 토크(Torque)를 증대시키는 감속기, 구동모터와 감속기를 연결하는 연결축 상에 설치되어 연결축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러스트 브레이크, 감속기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통해 와이어드럼을 정역 회전시키는 회전축, 구동모터의 후단 구동축 상에 연결 설치되어 수동 조작을 통해 수문을 승강 조작하는 메뉴얼 디바이스, 구동모터와 메뉴얼 디바이스 사이의 구동축 상에 설치되어 수동 조작을 통해 구동모터와 메뉴얼 디바이스 사이의 동력을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동력차단수단 및 메뉴얼 디바이스에 연결되어지되 비상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수문을 개폐시키는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이 구비된 수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은 비상전원의 인가를 통해 정구동되는 비상구동엔진; 비상구동엔진의 구동에 따른 구동력을 메뉴얼 디바이스에 정방향으로 전달하는 정구동 전달수단; 및 비상구동엔진의 구동에 따른 구동력을 메뉴얼 디바이스에 역방향으로 전달하는 역구동 전달수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Emergency drive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floodgates}
본 발명은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을 수문 개폐용 구동모터 후단에 설치하여 평상시 수문 개폐용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시 회전으로 인한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수지는 하천 연안에 있는 호수 또는 평지나 넓은 하도(河道)안에 일시적으로 홍수량의 일부를 저수하는 곳으로, 하천을 완전히 제방으로 둘러 쌓아 물을 저수하고, 저수한 물은 하천의 물이 감수함에 따라 제방의 일부에 형성되는 수문 등에 의하여 하천으로 되보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수문을 열고 닫는 방식으로 중대형 수문이나 수압이 강한 곳인 경우에는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수문을 개폐시키는 와이어식 권양기를 주로 사용하는 수문 개폐장치가 적용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식 권양기를 이용한 종래 기술에 따른 수문 개폐장치는 수문을 와이어로프를 통해 감거나 풀어 수문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와이어드럼, 와이어드럼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의 속도를 감속시켜 토크(Torque)를 증대시키는 감속기, 구동모터와 감속기를 연결하는 구동축 상에 설치되어 구동축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러스트 브레이크, 감속기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통해 와이어드럼을 정역 회전시키는 회전축 및 스러스트 브레이크와 구동모터 사이에 설치되어 수동 조작을 통해 수문을 상승 조작하는 메뉴얼 디바이스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수문 개폐장치는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른 구동력이 메뉴얼 디바이스, 스러스트 브레이크, 감속기 및 회전축을 통해 와이어드럼에 전달되어 와이어드럼의 정역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수문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문 개폐장치는 평상시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른 수문의 개폐시 메뉴얼 디바이스의 상시 회전으로 인하여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음은 물론,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메뉴얼 디바이스의 상시 회전으로 인하여 마모가 심하게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문 개폐장치는 전원의 오프 상태에 따라 메뉴얼 디바이스의 수동 조작시 수문의 상승방향으로만 조작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문의 폐쇄시키는 조작은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131965호(2012.12.05.자 공개)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68082호(2007.10.18.자 공고)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426008호(2006.09.12.자 공고) 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36413호(2013.04.12.자 공개)
본 발명을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을 수문 개폐용 구동모터 후단에 설치시 비상구동엔진의 동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역으로 조절하여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수문의 비상구동시 수문의 개폐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을 수문 개폐용 구동모터 후단에 설치시 동력을 연결 또는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수문 개폐용 구동모터의 구동시에는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의 동력을 차단하여 작동이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른 효율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는 수문을 와이어로프를 통해 감거나 풀어 수문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와이어드럼, 와이어드럼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의 속도를 감속시켜 토크(Torque)를 증대시키는 감속기, 구동모터와 감속기를 연결하는 연결축 상에 설치되어 연결축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러스트 브레이크, 감속기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통해 와이어드럼을 정역 회전시키는 회전축, 구동모터의 후단 구동축 상에 연결 설치되어 수동 조작을 통해 수문을 승강 조작하는 메뉴얼 디바이스, 구동모터와 메뉴얼 디바이스 사이의 구동축 상에 설치되어 수동 조작을 통해 구동모터와 메뉴얼 디바이스 사이의 동력을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동력차단수단 및 메뉴얼 디바이스에 연결되어지되 비상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수문을 개폐시키는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이 구비된 수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은 비상전원의 인가를 통해 정구동되는 비상구동엔진; 비상구동엔진의 구동에 따른 구동력을 메뉴얼 디바이스에 정방향으로 전달하는 정구동 전달수단; 및 비상구동엔진의 구동에 따른 구동력을 메뉴얼 디바이스에 역방향으로 전달하는 역구동 전달수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정구동 전달수단은 비상구동엔진의 구동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지되 후단에 종동풀리가 구성된 비상용 원동축; 비상구동엔진의 엔진축에 구성된 원동풀리와 비상용 원동축의 종동풀리에 걸어감기되어 비상구동엔진의 동력을 비상용 원동축에 전달하는 구동벨트; 비상용 원동축 상에 전후로 이송 가능하게 구성된 원동용 이송스포크; 메뉴얼 디바이스에 정역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디바이스 구동축을 정역 회전시키는 비상용 종동축; 원동용 이송스포크에 대응하여 비상용 종동축의 후단에 구성되는 종동용 고정스포크; 및 원동용 이송스포크를 전후 이송시켜 종동용 고정스포크와 원동용 이송스포크의 동력을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원동용 이송스포크 작동핸들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역구동 전달수단은 원동용 이송스포크의 외주연에 구성된 제 1 기어; 비상용 원동축과 비상용 종동축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역구동축; 역구동축의 일단에 구성되어 제 1 기어에 치결합되는 제 2 기어; 역구동축의 타단에 구성되는 제 3 기어; 비상용 종동축의 외주연에 구성되는 제 4 기어; 및 제 3 기어와 제 4 기어 사이에서 치결합되어 제 3 기어의 역방향 회전을 제 4 기어에 전달하여 역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 5 기어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원동용 이송스포크 작동핸들의 전방향 작동시 원동용 이송스포크와 종동용 고정스포크는 연결되어 비상구동엔진의 구동력이 메뉴얼 디바이스에 정구동 방향으로 전달되어지되 제 1 기어와 제 2 기어의 치결합은 단절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원동용 이송스포크 작동핸들의 후방향 작동시 원동용 이송스포크와 종동용 고정스포크는 연결은 단절되어지되 제 1 기어와 제 2 기어의 치결합은 연결되어 비상구동엔진의 구동력이 역구동 방향으로 전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동력차단수단은 구동모터의 구동축 후단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스포크; 고정스포크에 대응하여 메뉴얼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구동축 선단에 대향 설치되어지되 전후로 이송가능하게 구성되는 이송스포크; 및 이송스포크를 전후로 이송 작동시켜 고정스포크와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이송스포크 작동핸들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을 수문 개폐용 구동모터 후단에 설치시 비상구동엔진의 동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역으로 조절하여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수문의 비상구동시 수문의 개폐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을 수문 개폐용 구동모터 후단에 설치시 동력을 연결 또는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수문 개폐용 구동모터의 구동시에는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의 동력을 차단하여 작동이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른 효율의 감소를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가 적용된 수문장치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가 적용된 수문장치의 전체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가 적용된 수문장치의 일부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에서 동력차단수단의 차단 상태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에서 동력차단수단의 연결과 정구동 상태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에서 동력차단수단의 연결과 역구동 상태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에서 이송스포크 작동핸들의 작동을 보인 평면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가 적용된 수문장치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가 적용된 수문장치의 전체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가 적용된 수문장치의 일부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에서 동력차단수단의 차단 상태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에서 동력차단수단의 연결과 정구동 상태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에서 동력차단수단의 연결과 역구동 상태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에서 이송스포크 작동핸들의 작동을 보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100)는 수문(10)을 와이어로프(20)를 통해 감거나 풀어 수문(1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와이어드럼(30), 와이어드럼(30)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40), 구동모터(40)의 속도를 감속시켜 토크(Torque)를 증대시키는 감속기(50), 구동모터(40)와 감속기(50)를 연결하는 연결축 상에 설치되어 연결축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러스트 브레이크(60) 및 감속기(50)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모터(40)의 구동력을 통해 와이어드럼(30)을 정역 회전시키는 회전축(70)이 구비된 수문 개폐장치의 구동모터(40) 후단에 구성되어 평상시 구동모터(40)의 구동에 의한 수문(10) 개폐시에는 연결이 차단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40) 후단에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100)는 구동모터(40)의 후단 구동축(42) 상에 연결 설치되어 수동 조작을 통해 수문을 승강 조작하는 메뉴얼 디바이스(110), 구동모터(40)와 메뉴얼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축 상에 설치되어 수동 조작을 통해 구동모터(40)와 메뉴얼 디바이스(110) 사이의 동력을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동력차단수단(120) 및 메뉴얼 디바이스(110)에 연결되어지되 비상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수문을 개폐시키는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은 비상운전에 따른 수문(10)의 개폐시 메뉴얼 디바이스(110)에 의한 수동 조작 대신 비상전원에 의한 비상모터 구동을 통해 수문을 개폐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은 도 2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얼 디바이스(110)에 연결되어지되 비상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수문(10)을 승강시킴으로써 개폐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은 비상전원의 인가를 통해 정구동되는 비상구동엔진(130), 비상구동엔진(130)의 구동에 따른 구동력을 메뉴얼 디바이스(110)에 정방향으로 전달하는 정구동 전달수단(140) 및 비상구동엔진(130)의 구동에 따른 구동력을 메뉴얼 디바이스(110)에 역방향으로 전달하는 역구동 전달수단(15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은 비상전원의 인가에 의한 비상구동엔진(130)의 구동시 수문(10)을 여는 정방향의 구동력은 정구동 전달수단(140)을 통해 전달되고, 수문(10)을 닫는 역방향의 구동력은 역구동 전달수단(150)을 통해 전달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의 구성에서 정구동 전달수단(140)은 비상구동엔진(130)의 구동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지되 후단에 종동풀리(141a)가 구성된 비상용 원동축(141), 비상구동엔진(130)의 엔진축(132)에 구성된 원동풀리(134)와 비상용 원동축(141)의 종동풀리(141a)에 걸어감기되어 비상구동엔진(130)의 동력을 비상용 원동축(141)에 전달하는 구동벨트(142), 비상용 원동축(141) 상에 전후로 이송 가능하게 구성된 원동용 이송스포크(143), 메뉴얼 디바이스(110)에 정역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디바이스 구동축(112)을 정역 회전시키는 비상용 종동축(144), 원동용 이송스포크(143)에 대응하여 비상용 종동축(144)의 후단에 구성되는 종동용 고정스포크(145) 및 원동용 이송스포크(143)를 전후 이송시켜 종동용 고정스포크(145)와 원동용 이송스포크(143)의 동력을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원동용 이송스포크 작동핸들(14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에 의한 수문(10)의 상승시 작용은 정구동 연결수단(140)을 통해 이루어진다. 먼저, 원동용 이송스포크 작동핸들(146)을 비상용 종동축(144) 방향으로 회전시켜 원동용 이송스포크(143)를 이송시켜 대향되는 종동용 고정스포크(145)에 연결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비상구동엔진(13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구동력은 구동벨트(142)를 통해 비상용 원동축(141)으로 전달되어 비상구동엔진(130)과 동일 방향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상구동엔진(130)의 구동력이 비상용 원동축(141)으로 전달되면 비상용 원동축(141)의 회전력은 연결된 원동용 이송스포크(143)와 종동용 고정스포크(145)를 통해 비상용 종동축(144)으로 전달되어 메뉴얼 디바이스(110)의 디바이스 구동축(112)을 정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비상구동엔진(130)의 회전은 정구동 연결수단(140)을 통해 메뉴얼 디바이스(110)의 디바이스 구동축(112)으로 그대로 전달되어 정회전에 따른 수문(10)의 상승이 이루어진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을 통해 수문(10)을 개폐시키는 경우에 있어 동력차단수단(120)은 상호 연결되어 메뉴얼 디바이스(110)의 동력이 구동모터(40)의 구동축(42)으로 전달될 수 있는 상태이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원동용 이송스포크 작동핸들(146)의 비상용 종동축(144)인 전방향 작동시 원동용 이송스포크(143)와 종동용 고정스포크(145)는 연결되어 비상구동엔진(130)의 구동력이 메뉴얼 디바이스(110)에 정구동 방향으로 전달된다. 이때, 역구동 전달수단(150)의 제 1 기어(151)와 제 2 기어(153)의 치결합은 단절된다. 즉, 정구동 전달수단(140)을 통해 수문(10)을 상승시키기 위한 작동이다.
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의 구성에서 역구동 전달수단(150)은 원동용 이송스포크(143)의 외주연에 구성된 제 1 기어(151), 비상용 원동축(141)과 비상용 종동축(144)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역구동축(152), 역구동축(152)의 일단에 구성되어 제 1 기어(151)에 치결합되는 제 2 기어(153), 역구동축(152)의 타단에 구성되는 제 3 기어(154), 비상용 종동축(144)의 외주연에 구성되는 제 4 기어(155) 및 제 3 기어(154)와 제 4 기어(155) 사이에서 치결합되어 제 3 기어(154)의 역방향 회전을 제 4 기어(155)에 전달하여 역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 5 기어(15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역구동 전달수단(150)은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에 의한 수문(10)을 하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역구동 전달수단(150)에 의한 수문(10)의 하강은 먼저, 원동용 이송스포크 작동핸들(146)을 비상용 원동축(141)의 후단 방향으로 회전시켜 원동용 이송스포크(143)와 종동용 고정스포크(145)의 연결을 차단하되 제 1 기어(151)와 제 2 기어(153)의 치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비상구동엔진(13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구동력은 구동벨트(142)를 통해 비상용 원동축(141)으로 전달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상구동엔진(130)의 구동력이 비상용 원동축(141)으로 전달되면 제 1 기어(151)에 치결합된 제 2 기어(153)의 역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2 기어(153)의 역회전에 의해 역구동축(152)과 제 3 기어(154)는 역회전되고, 제 3 기어(154)의 역회전은 제 5 기어(156)의 정회전을 통해 제 4 기어(155)로 전달되어 제 4 기어(155)와 비상용 종동축(144)의 역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역회전 되는 비상용 종동축(144)에 의해 메뉴얼 디바이스(110)의 디바이스 구동축(112)의 역회전이 이루어져 구동모터(40), 스러스트 브레이크(60), 감속기(50), 회전축(70) 및 와이어드럼(30)으로 전달됨으로써 수문(10)의 하강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역구동 전달수단(150)에 의한 수문(10)의 하강시 각 기어의 회전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제 1 기어(151)의 정회전, 제 1 기어(151)에 치결합된 제 2 기어(153)의 역회전, 역회전되는 제 3 기어(154)에 치결합된 제 5 기어(156)의 정회전, 정회전되는 제 5 기어(156)에 치결합된 제 4 기어(155)의 역회전이 이루어져 비상용 종동축(144)을 역회전시킴으로써 베뉴얼 디바이스(110), 구동모터(40), 스러스트 브레이크(60), 감속기(50), 회전축(70) 및 와이어드럼(30)으로 역회전이 전달되어 수문(10)의 하강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의 구서에서 비상구동엔진(130)은 정회전만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비상구동엔진(130)의 정회전은 정구동 전달수단(140)을 통해 수문(10)을 상승시켜 여는데 작용하는 한편, 비상구동엔진(130)의 정회전은 역구동 전달수단(150)을 통해 수문(10)을 하강시켜 닫는데 작용하기도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원동용 이송스포크 작동핸들(146)의 비상용 원동축(141) 방향인 후방향 작동시 원동용 이송스포크(143)와 종동용 고정스포크(145)는 연결은 단절된다. 이때, 역구동 전달수단(150)의 제 1 기어(151)와 제 2 기어(153)의 치결합은 연결되어 비상구동엔진(130)의 구동력이 역구동 방향으로 전달된다. 즉, 역구동 전달수단(150)을 통해 수문(10)을 하강시키기 위한 작동이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동력차단수단(120)은 메뉴얼 디바이스(110)와 구동모터(40)를 연결 또는 차단하여 비상운전에 따른 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거나 평상시 구동모터(40)에 의한 수문(10)의 개폐시 메뉴얼 디바이스(110)와 구동모터(40)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것으로, 이러한 동력차단수단(120)은 도 2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40)의 구동축(42) 후단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스포크(122), 고정스포크(122)에 대응하여 메뉴얼 디바이스(110)의 디바이스 구동축(112) 선단에 대향 설치되어지되 전후로 이송가능하게 구성되는 이송스포크(124) 및 이송스포크(124)를 전후로 이송 작동시켜 고정스포크(122)와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이송스포크 작동핸들(126)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동력차단수단(120)의 구성에서 고정스포크(122)와 이송스포크(124)는 상호 대응하는 암수 형태의 스포크로 형성되어 메뉴얼 디바이스(110)와 구동모터(40) 사이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스포크 작동핸들(126)를 구동모터(40)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송스포크(124)의 이송에 의한 고정스포크(122)와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스포크 작동핸들(126)를 구동모터(40)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송스포크(124)의 이송에 의한 고정스포크(122)와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면 메뉴얼 디바이스(110)를 통한 수동 조작을 통해 수문(10)을 개폐시키거나 후술하는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의 엔진 구동을 통한 수문(10)을 개폐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40)를 통한 수문(10)을 개폐시키는 평상시에는 고정스포크(122)와 이송스포크(124)의 연결을 차단하여 구동모터(40)의 정역 구동시 메뉴얼 디바이스(110)와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의 회전을 차단한다.
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동력차단수단(120)의 구성에서 디바이스(110)와 구동모터(40) 사이를 연결을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스포크 작동핸들(126)를 메뉴얼 디바이스(110)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송스포크(124)의 이송에 의한 고정스포크(122)와의 연결이 끊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스포크(122)와 이송스포크(124)의 연결을 끊는다는 것은 구동모터(40)의 구동을 통해 수문(10)을 개폐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수문(10), 와이어로프(20), 와이어드럼(30), 구동모터(40), 감속기(50), 스러스트 브레이크(60), 회전축(70), 메뉴얼 디바이스(110), 동력차단수단(120) 및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이 구비된 수문 개폐장치에서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의 구성을 비상전원의 인가를 통해 정구동되는 비상구동엔진(130), 비상구동엔진(130)의 구동에 따른 구동력을 메뉴얼 디바이스(110)에 정방향으로 전달하는 정구동 전달수단(140) 및 비상구동엔진(130)의 구동에 따른 구동력을 메뉴얼 디바이스(110)에 역방향으로 전달하는 역구동 전달수단(150)으로 구성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40)의 후단에 구성되어 비상운전을 통해 수문(10)을 개폐시키는 경우에만 구동모터(40)의 구동축(42)과 연결하여 비상구동엔진(130)에 의한 조작을 통해 수문(10)을 개폐시키게 된다. 이때, 비상운전을 통해 수문(10)을 개폐시키는 경우 동력차단수단(120)을 통해 연결하여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에 의한 비상구동엔진(130)의 구동을 통해 수문(10)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비상운전을 통해 수문(10)을 개폐시키는 경우 비상전원에 의한 비상구동엔진(130)의 구동을 통해 정구동시킴으로써 와이어드럼(30)을 정역 회전시켜 수문(1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의 구동력은 구동모터(40), 스러스트 브레이크(60), 감속기(50), 회전축(70) 및 와이어드럼(30)으로 전달되어 와이어(20)를 감거나 풀어냄으로써 수문(10)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을 수문 개폐용 구동모터(40) 후단에 설치하여 동력을 연결 또는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운전시에만 구동모터(40)의 구동축(42) 연결시켜 비상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 수문 20. 와이어
30. 와이어드럼 40. 구동모터
50. 감속기 60. 스러스트 브레이크
70. 회전축
100. 비상구동장치 110. 메뉴얼 디바이스
112. 디바이스 구동축 114. 수동핸들
120. 동력차단수단 122. 고정스포크
124. 이송스포크 126. 이송스포크 작동핸들
130. 비상구동엔진 132. 엔진축
134. 원동풀리 140. 정구동 전달수단
141. 비상용 원동축 141a. 종동풀리
142. 구동벨트 143. 원동용 이송스포크
144. 비상용 종동축 145. 종동용 고정스포크
146. 원동용 이송스포크 작동핸들 150. 역구동 전달수단
151. 제 1 기어 152. 역구동축
153. 제 2 기어 154. 제 3 기어
155. 제 4 기어 156. 제 5 기어

Claims (6)

  1. 와이어로프를 감거나 풀어 수문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와이어드럼, 상기 와이어드럼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 상기 구동모터와 감속기를 연결하는 연결축 상에 설치되어 연결축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러스트 브레이크,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통해 와이어드럼을 정역 회전시키는 회전축, 상기 구동모터의 후단 구동축 상에 연결 설치되어 수동 조작을 통해 수문을 승강 조작하는 메뉴얼 디바이스, 상기 구동모터와 메뉴얼 디바이스 사이의 구동축 상에 설치되어 수동 조작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와 메뉴얼 디바이스 사이의 동력을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동력차단수단 및 상기 메뉴얼 디바이스에 연결되어지되 비상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수문을 개폐시키는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이 구비된 수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수단은 비상전원의 인가를 통해 정구동되는 비상구동엔진;
    상기 비상구동엔진의 구동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지되 후단에 종동풀리가 구성된 비상용 원동축, 상기 비상구동엔진의 엔진축에 구성된 원동풀리와 상기 비상용 원동축의 종동풀리에 걸어감기되어 상기 비상구동엔진의 동력을 상기 비상용 원동축에 전달하는 구동벨트, 상기 비상용 원동축 상에 전후로 이송 가능하게 구성된 원동용 이송스포크, 상기 메뉴얼 디바이스에 정역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디바이스 구동축을 정역 회전시키는 비상용 종동축, 상기 원동용 이송스포크에 대응하여 상기 비상용 종동축의 후단에 구성되는 종동용 고정스포크 및 상기 원동용 이송스포크를 전후 이송시켜 상기 종동용 고정스포크와 원동용 이송스포크의 동력을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원동용 이송스포크 작동핸들로 이루어져 상기 비상구동엔진의 구동에 따른 구동력을 상기 메뉴얼 디바이스에 정방향으로 전달하는 정구동 전달수단; 및
    상기 원동용 이송스포크의 외주연에 구성된 제 1 기어, 상기 비상용 원동축과 비상용 종동축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역구동축, 상기 역구동축의 일단에 구성되어 상기 제 1 기어에 치결합되는 제 2 기어, 상기 역구동축의 타단에 구성되는 제 3 기어, 상기 비상용 종동축의 외주연에 구성되는 제 4 기어 및 상기 제 3 기어와 제 4 기어 사이에서 치결합되어 상기 제 3 기어의 역방향 회전을 상기 제 4 기어에 전달하여 역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 5 기어로 이루어져 상기 비상구동엔진의 구동에 따른 구동력을 상기 메뉴얼 디바이스에 역방향으로 전달하는 역구동 전달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용 이송스포크 작동핸들의 전방향 작동시 상기 원동용 이송스포크와 종동용 고정스포크는 연결되어 상기 비상구동엔진의 구동력이 상기 메뉴얼 디바이스에 정구동 방향으로 전달되어지되 상기 제 1 기어와 상기 제 2 기어의 치결합은 단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용 이송스포크 작동핸들의 후방향 작동시 상기 원동용 이송스포크와 종동용 고정스포크는 연결은 단절되어지되 상기 제 1 기어와 상기 제 2 기어의 치결합은 연결되어 상기 비상구동엔진의 구동력이 역구동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
  6. 삭제
KR1020150123386A 2015-09-01 2015-09-01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 KR101586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386A KR101586999B1 (ko) 2015-09-01 2015-09-01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386A KR101586999B1 (ko) 2015-09-01 2015-09-01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999B1 true KR101586999B1 (ko) 2016-01-20

Family

ID=55308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386A KR101586999B1 (ko) 2015-09-01 2015-09-01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99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6588A (ja) * 1989-09-07 1991-04-22 Bunka Shutter Co Ltd 建物用シャッタの動作異常検知装置
KR20000021144U (ko) * 1999-05-21 2000-12-15 김종진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
KR200426008Y1 (ko) 2006-06-29 2006-09-12 주식회사 광명산업기계 양방향 와이어드럼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KR100768082B1 (ko) 2006-06-29 2007-10-18 주식회사 광명산업기계 양방향 와이어드럼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KR20120131965A (ko) 2011-05-27 2012-12-05 주식회사 파워텍 도르래 방식 수문 개폐 장치
KR20130036413A (ko) 2011-10-04 2013-04-12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문용 체인식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6588A (ja) * 1989-09-07 1991-04-22 Bunka Shutter Co Ltd 建物用シャッタの動作異常検知装置
KR20000021144U (ko) * 1999-05-21 2000-12-15 김종진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
KR200426008Y1 (ko) 2006-06-29 2006-09-12 주식회사 광명산업기계 양방향 와이어드럼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KR100768082B1 (ko) 2006-06-29 2007-10-18 주식회사 광명산업기계 양방향 와이어드럼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KR20120131965A (ko) 2011-05-27 2012-12-05 주식회사 파워텍 도르래 방식 수문 개폐 장치
KR20130036413A (ko) 2011-10-04 2013-04-12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문용 체인식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997B1 (ko)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
KR100509011B1 (ko) 수문 권양기의 동력전달 변환장치
KR102020925B1 (ko) 수동 강하제어가 가능한 수문권양기
CN102654178B (zh) 一种电动门一体传动箱
KR102002795B1 (ko) 수문 권양장치
JPS589234B2 (ja) トクニホ−ベルヨウノ デンキシキチエ−ンクドウソウチ
KR101586999B1 (ko) 수문 개폐용 비상구동장치
KR100915023B1 (ko) 수문 개폐 제어용 실린더
KR101762566B1 (ko) 수문 개폐 제어장치
KR100915020B1 (ko) 싸이크로 전도수문
KR102013720B1 (ko) 수문 권양장치
WO2019085708A1 (zh) 一种卷盘式喷灌机的机械离合装置及其应用方法
KR100823211B1 (ko) 수문 권양기
KR100885968B1 (ko) 수동수문 및 자동수문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수문권양장치
KR200386255Y1 (ko) 수문권양기
JP3165760U (ja) 水門開閉装置
KR20080099950A (ko) 유압 레디얼 게이트와 자동보 수문으로 구성되는 수문장치
CN110303104A (zh) 一种用于不同长度电线自动剪裁机械手
KR101687551B1 (ko) 수문개폐장치
JP2014109168A (ja) 水門開閉装置
CN102094983B (zh) 翻板式燃气电机阀
CN212801440U (zh) 一种事故闸门用液压缓冲速闭启闭机
JPH07224417A (ja) 水門扉開閉装置
CN111455941A (zh) 双向正向力伺服驱动启闭机结构
KR101018540B1 (ko) 비닐하우스의 내부 보온덮개 개폐용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