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585A - 도어장치가 구비된 방폭시설 - Google Patents

도어장치가 구비된 방폭시설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585A
KR20190027585A KR1020170114547A KR20170114547A KR20190027585A KR 20190027585 A KR20190027585 A KR 20190027585A KR 1020170114547 A KR1020170114547 A KR 1020170114547A KR 20170114547 A KR20170114547 A KR 20170114547A KR 20190027585 A KR20190027585 A KR 20190027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haft
operating
connecting means
roll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1378B1 (ko
Inventor
박대석
Original Assignee
박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석 filed Critical 박대석
Priority to KR1020170114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378B1/ko
Publication of KR20190027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3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05F15/64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operated by friction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부에 도어장치를 구비하는 방폭시설에 있어서, 상기 도어장치는 레일을 따라 회전하는 로울러를 구비하며 서로 연동하여 열고 닫히는 복수의 도어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부재의 어느 하나 이상에는 로울러를 구동하는 구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는 중공의 작동부하우징과 작동부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출력축을 가지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에 결합 구비되어 작동부를 구동하는 드라이브 모터와, 상기 작동부의 출력축의 회전을 로울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부에는 출력축으로의 동력 전달을 연결하거나 해제하는 동력전달해제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를 구비하는 방폭시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장치가 구비된 방폭시설{A Facilities Having Door System}
본 발명은 도어장치가 구비된 방폭시설에 관한 것으로, 설치가 간단하고 설치 공간에 제약이 적으며, 구조가 간단한 구동부로 이루어진 도어장치가 구비된 방폭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폭시설은 폭발로부터 내부의 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예로, 격납고를 들 수 있다. 격납고는 비행기등의 정비 또는 보관을 위하여 활주로 인접장소에 건설하는 것으로, 외부여건으로부터 비행기를 보호하고 내부에 정비소 및 사무실등이 설치된 본체와, 비행기등이 출입하는 출입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출입부는 개폐가 가능한 도어로 구성되어 있다.
격납고(200)에 구비되는 도어 장치는 다수개의 도어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부재(30)에는 하부에 이동로울러부재(20)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각각 도어이동부재(40) 및 탑가이드 로울러부재(50)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로울러부재(20)로 전력공급부재(1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되며, 전력공급부재(1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재(6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부재(30)는 이동로울러부재(20)에 의해 이동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격납고(200) 내부를 보호하는 것으로, 다수개의 도어부재(30)가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대칭되도록 구성된 다수개의 도어부재 중 격납고 도어를 폐할 시, 서로 일측이 접촉되는 도어부재의 하부 및 접촉부에, 구동로울러부(21)와 센서부(34)가 각각 설치되고, 나머지 도어부재의 하부에는 아이들 로울러부(22)가 설치되어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재(30)가 제 1, 2, 3 도어부재(31, 32, 33) 및 이와 대칭되도록 설치된 제 1`, 2`, 3` 도어부재(31`, 32`, 33`)로 구성된 격납고 도어에서 서로 접촉되는 제 1, 1` 도어부재(31, 31`)의 접촉면에는 센서부(34)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제 1, 1` 도어부재(31, 31`)의 하부에는 구동로울러부(21)가 설치되고, 나머지 제 2,2`,3,3` 도어부재(32,32`,33,33`)에는 아이들 로울러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부재(30)의 개수는 설치되는 격납고의 크기에 따라 변화된다.
상기 이동로울러부재(20)는 전력공급부재(10)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것으로, 바닥면에 설치된 이동레일(101)을 따라 이동되는 구동로울러부(21) 및 아이들로울러부(22)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동로울러부(2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재의 하부프레임에 연결·설치되는 감속기(211)와, 상기 감속기(211)에 연결·설치되는 드라이브 모터(212)와, 상기 도어부재의 하부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이동레일(101)을 따라 이동되는 로울러(213)와, 상기 감속기의 스프라켓(214)과 로울러의 스프라켓(215)을 연결하는 체인(21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로울러부(21)는 전력공급부재(10)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아 드라이브 모터(212)가 작동되고, 상기 드라이브 모터(212)의 구동력은 감속기(211) 및 체인(216)을 통해 로울러(213)에 전달되며, 상기 로울러(213)는 바닥면에 설치된 이동레일(101)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상기 로울러(213)와 로울러 스프라켓(215)은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도어부재(30)는 채광이 용이하게 투과되는 유리강화플라스틱 패널(35)과, 상기 유리강화플라스틱 패널(35)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알루미늄 프레임(36)과, 상기 유리강화플라스틱 패널(35)을 서로 연결하는 패널연결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설치되는 도어의 크기에 따라 유리강화플라스틱 패널(35)과 알루미늄 프레임(36) 및 패널연결부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알루미늄 프레임(36)은 유리강화플라스틱 패널(35)을 지지하는 것으로, 유리강화플라스틱 패널(35)의 상, 하, 좌우 및 중간을 지지하는 상, 하, 좌우 및 중간 알루미늄 프레임(361, 362, 363, 364, 36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리강화플라스틱 패널(35)은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플레이트 형상의 내, 외부 패널과, 내부패널과 외부패널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내, 외부 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패널로 구성되어 있다. 유리강화플라스틱 패널(35)은 지지패널에 의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이중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어이동부재(40) 및 탑가이드 로울러부재(50)에 대한 설명과, 도어장치의 작동은 대한민국 공개번호 특2002-0028596 공개특허공보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도어장치를 구비한 방폭시설에서 정전 등의 원인으로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수동으로 도어장치를 닫거나 여는 것이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하여 전원 공급 차단시 필요에 따라 열고 닫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특2002-0028596 공개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정전 등의 원인으로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도 수동으로 도어장치를 닫거나 여는 것이 가능한 도어장치가 구비된 방폭시설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개구부에 도어장치를 구비하는 방폭시설에 있어서, 상기 도어장치는 레일을 따라 회전하는 로울러를 구비하며 서로 연동하여 열고 닫히는 복수의 도어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부재의 어느 하나 이상에는 로울러를 구동하는 구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는 중공의 작동부하우징과 작동부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출력축을 가지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에 결합 구비되어 작동부를 구동하는 드라이브모터와, 상기 작동부의 출력축의 회전을 로울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부에는 출력축으로의 동력 전달을 연결하거나 해제하는 동력전달해제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를 구비하는 방폭시설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출력축에는 드라이브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출력기어가 상대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출력기어의 축 방향 일측 중심부에는 내경면에 출력기어연결부가 형성된 출력기어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출력축에는 출력기어오목부의 전방으로 출력축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동력전달해제수단은 내경면에 출력축연결부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며 출력축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연결수단제2연결부가 형성되며 외경면에 상기 출력기어연결부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수단제1연결부가 형성된 연결수단과, 작동부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연결수단을 출력축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연결수단작동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연결수단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연결수단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수단작동부재는 작동부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 단부가 작동부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된 막대 형태의 작동부재회전부와, 상기 작동부재회전부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어 구비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연결수단오목부를 따라 미끄럼 가능하며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작동부재작동부와, 양단이 작동부재회전부와 작동부재작동부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편심형성부로 이루어져; 작동부재회전부가 회전하면 일체로 회전하며 편심 구비된 작동부재작동부가 연결수단을 출력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연결수단제1연결부와 출력기어연결부가 연결되거나 연결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작동부는 중공체인 작동부하우징과, 상기 작동부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1 구동기어가 구비된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과 나란하도록 작동부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구동기어와 치합하는 제1 종동기어와 제2 구동기어가 구비된 제2 회전축과, 상기 작동부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구동기어와 치합하는 제2 종동기어와 제3 구동기어를 구비하는 제3 회전축과, 상기 작동부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3 구동기어에 치합하는 출력기어를 가지는 출력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출력기어는 출력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작동부에는 출력기어와 출력축이 일체 회전하거나 일체 회전을 해제하는 동력전달해제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출력기어의 축 방향 일측 중심부에 오목하며 내경면에 출력기어연결부가 형성된 출력기어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출력기어오목부의 전방으로 출력축의 외경면에는 출력축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동력전달해제수단은 연결수단과 연결수단을 출력축을 따라 전후진시키는 연결수단작동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수단은 출력축이 삽입되며 내경면에 상기 출력축연결부에 결합되는 연결수단제2연결부가 구비되어 출력축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며 출력축과 일체로 회전하며, 외경면에 연결수단이 출력기어오목부로 삽입되면 출력기어연결부와 결합되어 출력기어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연결수단제1연결부가 구비되며, 연결수단제1연결부의 전방으로 외경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오목하게 연결수단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수단작동부재는 일측 단부가 작동부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작동부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막대 형상의 작동부재회전부와, 상기 작동부재회전부와 편심되게 구비되며 내측 단부가 상기 연결수단오목부에 원주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부재작동부와, 양측이 작동부재회전부와 작동부재작동부에 연결되며 작동부재회전부에 대하여 작동부재작동부가 편심 구비되도록 하는 편심형성부로 이루어지며, 작동부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작동부재회전부에는 작동부재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출력축은 도어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작동부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작동부재회전부는 도어부재의 하향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작동부하우징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도어부재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패널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패널의 측방 양측에 구비되는 측방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부에는 상단이 하부프레임에 결합되며 측방 단부가 측방프레임에 결합되며 도어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여 구비되는 판상의 로울러지지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로울러는 로울러지지브라켓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는 로울러를 사이에 두고 측방프레임의 반대쪽에 위치하며 도어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출력축이 돌출 구비되도록 하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구비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로울러지지브라켓의 내측으로 위치하며 로울러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종동스프로켓과, 상기 돌출된 출력축의 단부에 출력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구동스프로켓과, 상기 종동스프로켓과 구동스프로켓을 감는 체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수단작동부재를 이루는 작동부재회전부의 단부는 작동부하우징으로부터 하향 돌출되고, 돌출된 단부에 작동부재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장치가 구비된 방폭시설은 설치가 간단하고 설치 공간에 제약이 적으며, 구조가 간단한 구동부로 이루어져 정전 등의 원인으로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도 수동으로 도어장치를 닫거나 여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격납고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격납고의 평면예시도이며,
도 3은 격납고에 구비되는 도어장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측면 예시도이며,
도 4는 격납고에 구비되는 도어장치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예시도이며,
도 5는 격납고에 구비되는 도어부재의 탑 가이드 로울러부재 및 도어 이동부재의 상세 예시도이며,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부재에 구비되는 구동로울러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구동 도어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는 본 발명에 따르는 격납고 도어장치를 이루는 도어부재의 일부로 도 7의 "A"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도어부재에 구비되는 구동수단의 작동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구조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A"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B"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8의 "A" 방향에서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장치가 구비된 방폭시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르는 격납고 도어장치를 이루는 도어부재의 일부로 도 7의 "A"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도어부재에 구비되는 구동수단의 작동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구조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A"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B"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8의 "A" 방향에서 도시한 저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장치가 구비된 방폭시설은 폭발로부터 내부의 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예로, 격납고를 들 수 있다. 상기 도어장치는 격납고 등의 방폭시설의 개구부에 구비된다.
상기 도어장치는 설치되는 도어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도어부재(600)가 연결되며, 도어부재(600)가 서로 연결되어 연동되며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도어장치가 설치되는 구조 및 상태는 대한민국 공개번호 특2002-0028596 공개특허공보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도어장치는 복수의 도어부재(6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부재(600)는 프레임부(610)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도어부재(6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구동부(620)가 구비된다.
도 8에서 가로 방향을 "폭 방향"이라 하고, 세로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하며,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두께 방향"이라고 한다.
도 8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610)는 패널(615)과, 상부프레임(도시하지 않음)과, 하부프레임(613)과, 측방프레임(611)과, 커버패널(612)과, 로울러지지브라켓(617)과, 로울러(619)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615)은 사각형의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패널(615)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상부프레임은 패널(615)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프레임(613)은 상기 패널(615)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하부프레임(613)은 패널(615)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프레임(613)은 상기 상부프레임과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측방프레임(611)은 상기 패널(615)의 측방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측방프레임(61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측방프레임(611)의 상단은 상기 상부프레임과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측방프레임(611)의 하부는 상기 하부프레임(613)과 연결되며, 측방프레임(611)의 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613)의 하부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커버패널(612)은 상기 패널(615)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커버패널(612)은 상기 하부프레임(613)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커버패널(612)은 2개이며 도어부재(600)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여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커버패널(612)의 상단은 상기 하부프레임(613)의 하부에 결합되고, 측방 단부는 상기 측방프레임(611)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2개의 커버패널(612) 중 방폭시설의 내부를 향하는 커버패널(612)에는 개폐가능한 도어(도시하지 않음)가 더 구비된다. 상기 도어는 구동부(620)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때 사용된다.
상기 로울러지지브라켓(617)은 상기 하부프레임(613)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로울러지지브라켓(617)은 상단이 상기 하부프레임(613)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로울러지지브라켓(617)은 상기 커버패널(612)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로울러지지브라켓(617)은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로울러지지브라켓(617)은 2개이며 상기 도어부재(600)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여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로울러지지브라켓(617)은 상단이 상기 하부프레임(613)에 결합되고, 일측 측방 단부가 상기 측방프레임(611)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로울러(619)는 상기 로울러지지브라켓(617)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로울러(619)에는 로울러지지브라켓(617)을 향하여 연장된 회전축이 구비된다. 상기 로울러(619)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로울러(619)의 회전축은 일측 단부가 상기 로울러지지브라켓(617)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의 단부는 상기 롤러지지브라켓(617)과 커버패널(612)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의 돌출된 단부는 구동부(620)의 동력전달수단인 종동스프로켓(627)과 연결된다.
상기 구동부(620)는 상기 하부프레임(613)과 측방프레임(611) 및 커버패널(61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620)는 로울러(619)를 사이에 두고 측방프레임(611)의 반대쪽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프레임(615)의 하부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620)는 드라이브모터(621)와, 작동부(623)와, 동력전달수단과, 동력전달해제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라이브모터(621)는 상기 작동부(623)에 결합 구비되어 작동부(623)를 구동하는 모터이다. 상기 드라이브모터(621)는 로울러(619)를 사이에 두고 상기 측방프레임(611)의 반대쪽에 위치한다. 상기 드라이브모터(621)는 작동부(623)의 제1 회전축(6231)과 커플링 등으로 결합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623)는 상기 드라이브모터(621)와 로울러(619)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623)는 상기 드라이브모터(621)와 작동부(623)의 제1 회전축(6231)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작동부(623)는 작동부하우징(623h)과, 제1 회전축(6231)과, 제2 회전축(6235)과, 제3 회전축(6232)과, 출력축(624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부하우징(623h)은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하우징(623h)은 상기 하부프레임(613)의 하부에 작동부하우징플랜지(623h-1)에 의해 고정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하우징(623h)의 내부에는 제1 회전축(6231), 제2 회전축(6235), 제3 회전축(6232) 및 출력축(6241)이 구비된다.
상기 제1 회전축(6231)은 도어부재(60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1 회전축(6231)은 상기 작동부하우징(623h)에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 회전축(6231)의 단부는 상기 작동부하우징(623h)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브모터(621)를 향하여 돌출 구비된다. 상기 제1 회전축(6231)의 돌출된 단부는 상기 드라이브모터(621)의 모터축과 커플링 등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제1 회전축(6231)에는 제1 구동기어(6233)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구동기어(6233)는 제1 회전축(6231)과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제2 회전축(6235)은 상기 제1 회전축(6231)과 나란하게 연장 구비된다. 상기 제2 회전축(6235)은 상기 제1 회전축(6231)과 이격 구비된다. 상기 제2 회전축(6235)의 일측 단부는 상기 작동부하우징(623h)에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 회전축(6235)에는 상기 제1 구동기어(6233)에 치합하는 제1 종동기어(6237)와 제2 구동기어(6239)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구동기어(6233)와 제1 종동기어(6237)는 헤리컬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기어(6239)는 상기 제1 종동기어(6237)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 회전축(6235)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 구동기어(6239)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종동기어(6237)와 제2 구동기어(6239)는 제2 회전축(6235)과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제3 회전축(6232)은 도어부재(60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3 회전축(6232)은 양단이 상기 작동부하우징(623h)에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3 회전축(6232)에는 상기 제2 구동기어(6239)에 치합하는 제2 종동기어(6234)와 제3 구동기어(6236)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종동기어(6234)와 제2 (6239)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져, 제2 회전축(6235)과 제3 회전축(6232)은 서로 직교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3 구동기어(6236)는 상기 제2 종동기어(6234)와 이격 구비된다. 상기 제2 종동기어(6234)와 제3 구동기어(6236)는 제3 회전축(6232)과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출력축(6241)은 상기 제3 회전축(6232)과 나란하게 연장 구비된다. 상기 출력축(6241)은 상기 제3 회전축(6241)으로부터 이격 구비된다. 상기 출력축(6241)은 양단이 상기 작동부하우징(623h)에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출력축(6241)은 일측 단부가 작동부하우징(623h)으로부터 도어부재(600)의 두께 방향 일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출력축(6241)의 돌출된 단부에는 동력전달수단의 구동스프로켓(625)이 구비된다.
상기 출력축(6241)에는 상기 제3 구동기어(6236)에 치합하는 출력기어(6243)가 구비된다. 상기 제3 구동기어(6236)와 출력기어(6243)는 헤리컬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드라이브모터(621)의 회전 속도는 상기 제1 회전축(6231), 제2 회전축(6235), 제3 회전축(6232), 출력축(6241) 순으로 드라이브모터(621)의 회전이 전달되면서 회전 속도가 감속된다.
상기 출력기어(6243)는 상기 출력축(6241)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출력기어(6243)에는 출력기어(6243)의 축 방향 일측 중심부에 오목한 출력기어오목부(6243b)가 형성된다. 상기 출력기어오목부(6243b)의 내경면에는 스플라인인 출력기어연결부(6243a)가 형성된다.
이하에서 상기 출력기어오목부(6243b)가 개구된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한다.
상기 출력축(6241)의 외경면에는 상기 출력기어오목부(6243b)의 전방으로 출력축연결부(6241a)가 형성된다. 상기 출력축연결부(6241a)는 스플라인으로 형성된다.
상기 출력기어(6243)에 형성된 출력기어연결부(6243a)와 출력축(6241)에 형성된 출력축연결부(6241a) 사이에는 동력전달해제수단인 연결수단(6245)이 구비되어 출력기어(6243)와 출력축(6241)이 일체 회전하거나 일체 회전이 해제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작동부하우징(623h)의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출력축(6241)의 회전을 상기 로울러(619)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구동스프로켓(625)과, 종동스프로켓(627)과, 체인(62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스프로켓(625)은 상기 출력축(6241)의 작동부하우징(623h)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에 결합 구비된다. 상기 구동스프로켓(625)은 상기 출력축(6241)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종동스프로켓(627)은 상기 로울러(619)의 로울러지지브라켓(617)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의 단부에 결합 구비된다. 상기 종동스프로켓(627)은 로울러(619)와 로울러지지브라켓(617)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종동스프로켓(627)은 상기 로울러(619)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로울러(619)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체인(629)은 상기 구동스프로켓(625)과 종동스프로켓(627)을 감아서 구비된다. 상기 체인(629)은 구동스프로켓(625)과 종동스프로켓(627)을 연결하여 출력축(6241)의 회전을 로울러(619)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출력축(6241)에 구비되는 구동기어와, 로울러(619)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출력축(6241)에 구비되는 구동기어에 치합하는 종동기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해제수단은 상기 작동부(623)의 출력축(6241)에 연결되어 출력기어(6243)로부터 출력축(6241)으로의 동력을 연결하거나 해제한다. 상기 동력전달해제수단은 상기 작동부(623)의 출력축(6241)과 출력기어(6243)에 연결되어 일체 회전되거나 출력기어(6243)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출력축(6241)과 출력기어(6243)의 일체 회전을 해제한다.
상기 동력전달해제수단은 연결수단(6245)과 연결수단(6245)을 출력축(6241)을 따라 전후진시키는 연결수단작동부재(626)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수단(6245)은 상기 출력축(6241)에 구비된다. 상기 연결수단(6245)으로 상기 출력축(6241)이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연결수단(6245)은 스플라인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연결수단(6245)의 내경면에는 연결수단제2연결부(6245c)가 구비되고, 연결수단(6245)의 외경면에는 연결수단제1연결부(6245a)와 연결수단오목부(6245b)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수단제2연결부(6245c)는 상기 출력축연결부(6241a)에 치합하여 결합 구비된다. 상기 연결수단제2연결부(6245c)는 스플라인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수단(6245)은 내경면에 상기 연결수단제2연결부(6245c)가 구비되어 출력축연결부(6241a)에 결합됨으로써 출력축(6241)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수단(6245)은 상기 출력축(6241)과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연결수단제1연결부(6245a)는 상기 출력기어연결부(6243a)에 치합하여 결합 구비된다. 상기 연결수단제1연결부(6245a)는 스플라인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수단(6245)은 외경면에 상기 연결수단제1연결부(6245a)가 구비되어 출력기어연결부(6243a)에 결합됨으로써 출력기어(6243)의 출력기어오목부(6243b)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수단(6245)은 상기 출력기어(6243)의 출력기어연결부(6243a)에 치합되어 상기 출력기어(6243)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연결수단오목부(6245b)는 상기 연결수단제1연결부(6245a)의 전방으로 연결수단(6245)의 외경면 형성된다. 상기 연결수단오목부(6245b)는 상기 연결수단(6245)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수단오목부(6245b)에는 연결수단작동부재(626)가 구비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수단작동부재(626)는 상기 작동부하우징(623h)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수단작동부재(626)는 상기 연결수단(6245)의 연결수단오목부(6245b)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연결수단(6245)을 출력축(6241)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시킨다.
상기 연결수단작동부재(626)는 작동부재회전부(6261)와, 작동부재작동부(6265)와, 편심형성부(6263)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부재회전부(626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재회전부(6261)는 도어부재(600)의 하향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작동부하우징(623h)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재회전부(6261)는 작동부하우징(623h)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재회전부(6261)의 돌출된 단부에는 작동부재손잡이(6267)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재작동부(6265)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재작동부(6265)는 상기 작동부재회전부(6261)와 나란하며 일측으로 편심되게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재작동부(6265)의 일측 단부는 상기 연결수단오목부(6245b)에 위치한다. 상기 작동부재작동부(6265)의 일측 단부는 연결수단오목부(6245b)에 원주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며 회전 가능하게 삽입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재작동부(6265)의 타측 단부는 편심형성부(6263)에 연결된다.
상기 편심형성부(6263)는 상기 작동부재회전부(6261)와 작동부재작동부(6265)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편심형성부(6263)는 양측이 상기 작동부재회전부(6261)와 작동부재작동부(6265)에 연결된다. 상기 편심형성부(6263)는 상기 작동부재회전부(6261)에 대하여 작동부재작동부(6265)가 편심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수단작동부(626)는 작동부재손잡이(6267)에 의해 작동부재회전부(6261)가 회전하면 편심 구비된 작동부재작동부(6265)가 작동부재회전부(6261)와 일체로 회전하며 연결수단(6245)을 출력축(624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연결수단제1연결부(6245a)와 출력기어연결부(6243a)가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된다.
상기 연결수단(6245)에 의해 출력기어(6243)와 출력축(6241)이 연결되면 통력전달수단을 통해 로울러(619)로 동력이 전달되어 로울러(619)가 회전되고, 연결수단(6245)이 출력기어(6243)로부터 분리되면 동력전달수단이 작동되지 않아 로울러(619)의 회전이 멈춘다.
상기 작동부재회전부(6261)가 작동부하우징(623h)으로부터 돌출된 위치에는 작동부재회전지지부(628)가 더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재회전지지부(628)가 구비됨으로써 연결수단작동부재(626)의 회전을 지지하며,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작동부재회전지지부(628)는 회전지지부(6281)와 회전지지부플랜지(6283)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지지부(6281)는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회전지지부(6281)는 하단부가 상기 작동부하우징(623h)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회전지지부(628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된다. 상기 홀에는 상기 작동부재회전부(6261)가 삽입되어 관통 구비된다. 상기 회전지지부(6281)의 홀에는 회전지지부(6281)의 양단으로부터 이격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한 홈이 형성된다. 상기 홈에는 오링(O-ring)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지지부(6281)의 하단부에는 회전지지부플랜지(6283)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지지부플랜지(6283)는 판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하우징(623h)의 외면에 구비된다. 상기 회전지지부플랜지(6283)에는 상기 회전지지부(6283)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나사가 체결된다. 상기 나사는 회전지지부플랜지(6283)와 작동부하우징(623h)을 결합시켜 작동부재회전지지부(628)를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장치가 구비된 방폭시설은 도어부재(600)의 작동부(623)에 동력전달해제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정전 등의 원인으로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수동으로 작동부재손잡이(6267)를 회전시켜 도어장치를 닫거나 여는 것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도어장치를 열고 닫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장치가 구비된 방폭시설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600 : 도어부재
610 : 프레임부 611 : 측방프레임
612 : 커버패널 613 : 하부프레임
615 : 패널 617 : 롤러지지브라켓
619 : 로울러 620 : 구동부
621 : 드라이브모터 623 : 작동부
625 : 구동스프로켓 626 : 연결수단작동부재
627 : 종동스프로켓 628 : 작동부재회전지지부
629 : 체인

Claims (4)

  1. 개구부에 도어장치를 구비하는 방폭시설에 있어서, 상기 도어장치는 레일을 따라 회전하는 로울러(619)를 구비하며 서로 연동하여 열고 닫히는 복수의 도어부재(6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부재(600)의 어느 하나 이상에는 로울러(619)를 구동하는 구동부(620)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620)는 중공의 작동부하우징(623h)과 작동부하우징(623h)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출력축(6241)을 가지는 작동부(623)와, 상기 작동부(623)에 결합 구비되어 작동부(623)를 구동하는 드라이브 모터(621)와, 상기 작동부(623)의 출력축(6241)의 회전을 로울러(619)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부(623)에는 출력축(6241)으로의 동력 전달을 연결하거나 해제하는 동력전달해제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를 구비하는 방폭시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6241)에는 드라이브모터(62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출력기어(6243)가 상대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출력기어(6243)의 축 방향 일측 중심부에는 내경면에 출력기어연결부(6243a)가 형성된 출력기어오목부(6243b)가 형성되며, 상기 출력축(6241)에는 출력기어오목부(6243b)의 전방으로 출력축연결부(6241a)가 형성되며; 상기 동력전달해제수단은 내경면에 출력축연결부(6341a)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며 출력축(6241)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연결수단제2연결부(6245c)가 형성되며 외경면에 상기 출력기어연결부(6243a)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수단제1연결부(6245a)가 형성된 연결수단(6245)과, 작동부하우징(623h)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연결수단(6245)을 출력축(6241)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연결수단작동부재(62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를 구비하는 방폭시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6245)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연결수단오목부(6245b)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수단작동부재(626)는 작동부하우징(623h)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 단부가 작동부하우징(623h)의 외측으로 돌출된 막대 형태의 작동부재회전부(6261)와, 상기 작동부재회전부(6261)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어 구비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연결수단오목부(6245b)를 따라 미끄럼 가능하며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작동부재작동부(6265)와, 양단이 작동부재회전부(6261)와 작동부재작동부(6265)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편심형성부(6263)로 이루어져; 작동부재회전부(6261)가 회전하면 일체로 회전하며 편심 구비된 작동부재작동부(6265)가 연결수단(6245)을 출력축(624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연결수단제1연결부(6245a)와 출력기어연결부(6243a)가 연결되거나 연결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를 구비하는 방폭시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재(600)는 패널(615)과, 상기 패널(615)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패널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613)과, 상기 패널(615)의 측방 양측에 구비되는 측방프레임(61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프레임(613)의 하부에는 상단이 하부프레임(613)에 결합되며 측방 단부가 측방프레임(611)에 결합되며 도어부재(600)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여 구비되는 판상의 로울러지지브라켓(617)이 구비되고 상기 로울러(619)는 로울러지지브라켓(617)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620)는 로울러(619)를 사이에 두고 측방프레임(611)의 반대쪽에 위치하며 도어부재(600)의 두께 방향으로 출력축(6241)이 돌출 구비되도록 하부프레임(615)의 하부에 결합되어 구비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로울러지지브라켓(617)의 내측으로 위치하며 로울러(619)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종동스프로켓(627)과, 상기 돌출된 출력축(6241)의 단부에 출력축(6241)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구동스프로켓(625)과, 상기 종동스프로켓(627)과 구동스프로켓(625)을 감는 체인(629)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수단작동부재(626)를 이루는 작동부재회전부(6261)의 단부는 작동부하우징(623h)으로부터 하향 돌출되고, 돌출된 단부에 작동부재손잡이(626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를 구비하는 방폭시설.
KR1020170114547A 2017-09-07 2017-09-07 도어장치가 구비된 방폭시설 KR102071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547A KR102071378B1 (ko) 2017-09-07 2017-09-07 도어장치가 구비된 방폭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547A KR102071378B1 (ko) 2017-09-07 2017-09-07 도어장치가 구비된 방폭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585A true KR20190027585A (ko) 2019-03-15
KR102071378B1 KR102071378B1 (ko) 2020-01-30

Family

ID=6576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547A KR102071378B1 (ko) 2017-09-07 2017-09-07 도어장치가 구비된 방폭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3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144U (ko) * 1999-05-21 2000-12-15 김종진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
KR20020028596A (ko) 2000-10-11 2002-04-17 이용태 격납고 도어장치
KR20060111797A (ko) * 2005-04-25 2006-10-30 문성관 개폐와이어와 모터를 이용한 차량용 슬라이딩도어 개폐구동 장치
KR20090020316A (ko) * 2007-08-23 2009-02-26 하나답코 주식회사 수동개폐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가능한 방폭문
KR101535166B1 (ko) * 2014-11-07 2015-07-10 우일산업 주식회사 수문권양기의 자동전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144U (ko) * 1999-05-21 2000-12-15 김종진 전동/수동 구동 가능한 권양기
KR20020028596A (ko) 2000-10-11 2002-04-17 이용태 격납고 도어장치
KR20060111797A (ko) * 2005-04-25 2006-10-30 문성관 개폐와이어와 모터를 이용한 차량용 슬라이딩도어 개폐구동 장치
KR20090020316A (ko) * 2007-08-23 2009-02-26 하나답코 주식회사 수동개폐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가능한 방폭문
KR101535166B1 (ko) * 2014-11-07 2015-07-10 우일산업 주식회사 수문권양기의 자동전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378B1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6902A (en) Door with flexible wound sections
US7578096B2 (en) Apparatus for movable separating elements, a drive assembly and a separating element
EP2947249B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vehicle door
US20120325414A1 (en) Movable partition systems and components thereof, methods of installing movable partition systems, and methods of moving a movable partition
US8375635B2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overhead sectional doors
CA2842510C (en) Moving body drive apparatus
CN103025552A (zh) 车辆用开闭体的驱动装置
KR101582170B1 (ko) 이동체 구동 장치
KR101588379B1 (ko) 전동 폴딩 도어 개폐장치
JPS6288998A (ja) 遠隔制御式燃料移送装置
US20160168898A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vehicle door
KR20190027585A (ko) 도어장치가 구비된 방폭시설
EP1964998B1 (en) A retractable awning
KR100706196B1 (ko) 전동 도어 수동 조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동 도어
EP3216961B1 (en) Modular and multi-purpose platform for moving doors and sliding doors
US7997324B2 (en) Moveable barrier systems
US7174673B2 (en) Jack-shaft operator assembly having connecting plate secured by a coupler to a drive member
WO2014021368A1 (ja) モータユニット及びモータ内蔵ローラ
KR102044100B1 (ko) 일체형 자동문 어셈블리
US11193314B2 (en)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a building
KR20150029909A (ko) 케이블 포설장치
US20190092212A1 (en) Slidable room assemblies
CN103314171A (zh) 用于回转门操作器的附连件
KR102170956B1 (ko) 휴대용 전선 풀링기
EP2551435B1 (fr) Système autonome d'ouverture et de fermeture de battants, et installation equipée d'un tel systè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