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585B1 -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585B1
KR102555585B1 KR1020210095581A KR20210095581A KR102555585B1 KR 102555585 B1 KR102555585 B1 KR 102555585B1 KR 1020210095581 A KR1020210095581 A KR 1020210095581A KR 20210095581 A KR20210095581 A KR 20210095581A KR 102555585 B1 KR102555585 B1 KR 102555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bevel gear
window frame
build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4343A (ko
Inventor
이종복
Original Assignee
이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복 filed Critical 이종복
Priority to KR1020210095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585B1/ko
Publication of KR20230014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1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05Y2201/718Bevelled 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부에서 유리창의 내면 및 외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도와 줌과 아울러 바람의 방향에 따라 건물 내부로 바람이 용이하게 불어 들어올 수 있도록하여 건물 내부 공기를 신속하게 환기시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수용공간을 구비한 하부창틀과; 상기 하부창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창틀에 마주보게 설치되되, 수용공간을 구비한 상부창틀과; 상기 하부창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102)와; 상기 하부창틀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바람이 불어 오는 방향을 감지하는 바람방향감지부(104)와; 상기 하부창틀 일측과 상부창틀 일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건물 내부로 불어 들어 오는 바람을 건물 내부로 용이하게 안내하되,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1창문(108)과; 상기 제1창문(108)에 마주보게 하부창틀 일측과 상부창틀 일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건물 내부로 불어 들어 오는 바람을 건물 내부로 용이하게 안내하되,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2창문(110) 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Easy to clean and ventilate window system}
본 발명은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부에서 유리창의 내면 및 외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도와 줌과 아울러 바람의 방향에 따라 건물 내부로 바람이 용이하게 불어 들어올 수 있도록하여 건물 내부 공기를 신속하게 환기시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용도의 대형빌딩이나 대형창고 등과 같이 밀폐된 공간이 많은 건물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화염으로 인한 인명피해보다 건물 내부에 들어차는 유독가스 및 연기로 인한 인명피해가 더 큰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더욱이 초고층건물, 대공간, 멀티플렉스 및 대규모 지하공간 등의 증가세가 뚜렸하다는 현실을 감안하면 실효성 있는 연기 대응 기술의 확립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는 화재발생시 발생되는 유독가스를 신속하게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연기능을 수행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도록,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연창(또는 창문)(1)의 설치가 의무화 되어 있다. 이러한 배연창은 자동 개폐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화재감지기와 연계되어 화재발생시 자동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 대부분의 배연창에 적용되는 배연창의 개폐작동 방식은, 특허등록 제1123300호 "배연창 개폐장치" 등과 같이, 체인이 감긴 구동박스 내에 설치된 모터를 구동하여 체인의 일단에 연결된 배연창을 개폐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설치된 대부분의 배연창 개폐장치는 배연창에 설치된 체인이 모터의 구동으로 구동박스에서 인입/인출 작동하면서 배연창을 개폐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체인이 1m 이상 나갔을 경우 체인의 자체 무게로 처짐이 발생하여 유격이 발생하게 되고 바람이 불면 창문이 흔들려 소음이 발생하며, 심한 경우 충격으로 체인이 끊어지거나 꺽이거나 브라켓이 뽑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19년 10월 07일자 출원번호 제10-2019-0124063호(발명의 명칭 : 여닫이 창문의 자동 개폐장치)로 특허청에 출원된 바 있으며,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청구범위를 살펴보면, 청구범위는 " 창문프레임이 창틀프레임의 일측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여닫이식으로 자동 개폐되는 창문의 자동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창틀프레임의 일측변 실내측 면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로드(rod)의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있고, 로드의 양단부(兩端部)가 제1 및 제2서포트에 각각 지지되어 창틀프레임의 일측변 실내측 면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로드 상을 이동하게 되는 이동블록을 구비하며, 로드의 일단(一端)이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스크류샤프트; 양단(兩端)이 창문프레임의 일측변 실내측 면과 창틀프레임의 제2서포트가 설치된 쪽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며, 실린더 내부에서 이동하게 되는 피스톤롯드에 의해 길이가 가변(可變)되게 되는 작동실린더; 양단(兩端)이 상기 스크류샤프트의 로드 상을 이동하는 이동블록과, 작동실린더의 실린더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되는 연결바;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창틀프레임의 일측변 실내측 면에는,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폭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이 더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커버가 결합되어, 베이스프레임과 커버에 의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게 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커버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모터, 스크류샤프트, 제1 및 제2서포트가 배치되어 설치되게 되며,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함에 따라 이동블록이 스크류샤프트의 로드 상을 이동하면서 연결바가 작동실린더의 실린더 부분을 밀거나 잡아당겨서, 창문프레임이 창틀프레임의 일측변에서 회동하면서 창문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창문의 자동 개폐장치. " 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자동 개폐장치에 의해 개폐되는 창문은 유리창을 구비하고 있는 바,
건물 내부에서 유리창의 내면은 청소가 용이하지만 유리창의 외면은 건물 내부에서 청소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유리창의 외면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자동 개폐장치에 의해 개폐되는 창문은 바람의 방향에 따라 건물 내부로 바람이 용이하게 불어 들어올 수 없게 설계된 것으로, 건물 내부 공기를 신속하게 환기시키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독가스를 신속하게 환기시키지 못하여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내부에서 유리창의 내면 및 외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도와 줌과 아울러 바람의 방향에 따라 건물 내부로 바람이 용이하게 불어 들어올 수 있도록하여 건물 내부 공기를 신속하게 환기시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은,
수용공간을 구비한 하부창틀과;
상기 하부창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창틀에 마주보게 설치되되, 수용공간을 구비한 상부창틀과;
상기 하부창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102)와;
상기 하부창틀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바람이 불어 오는 방향을 감지하는 바람방향감지부(104)와;
상기 하부창틀 일측과 상부창틀 일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건물 내부로 불어 들어 오는 바람을 건물 내부로 용이하게 안내하되,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1창문(108)과;
상기 제1창문(108)에 마주보게 하부창틀 일측과 상부창틀 일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건물 내부로 불어 들어 오는 바람을 건물 내부로 용이하게 안내하되,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2창문(110)과;
상기 제어부(1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창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회전축(112)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114)와;
상기 제1회전축(112)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1회전축(11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베벨기어(116)와;
상기 제1베벨기어(11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베벨기어(116)에 마주보게 제1회전축(112)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1회전축(11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베벨기어(118)와;
상기 제1회전축(11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부창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회전축(120)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122)와;
상기 제2회전축(120)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2회전축(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3베벨기어(124)와;
상기 제3베벨기어(12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3베벨기어(124)에 마주보게 제2회전축(120)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2회전축(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4베벨기어(126)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은 건물 내부에서 유리창의 내면 및 외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도와 줌으로써, 유리창의 외면이 미려해 보이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의 방향에 따라 건물 내부로 바람이 용이하게 불어 들어올 수 있게 함으로써, 건물 내부 공기를 신속하게 환기시켜 주어 유독가스 등으로부터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연창(또는 창문)을 도시한 도면,
도 2a는 종래기술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도 2a의 창문 개폐장치의 동작에 따라 창문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a는 도 3의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4b는 도 3의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의 요부 확대도,
도 4c는 도 3의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도 3의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의 창문의 제1동작 상태도,
도 6은 도 3의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의 창문의 제2동작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는 도 3의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b는 도 3의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4c는 도 3의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100)은,
수용공간을 구비한 하부창틀(도시는 생략함)과;
상기 하부창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창틀에 마주보게 설치되되, 수용공간을 구비한 상부창틀(도시는 생략함)과;
상기 하부창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102)와;
상기 하부창틀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바람이 불어 오는 방향을 감지하는 바람방향감지부(104)와;
상기 하부창틀 일측과 상부창틀 일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건물 내부로 불어 들어 오는 바람을 건물 내부로 용이하게 안내하되,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1창문(108)과;
상기 제1창문(108)에 마주보게 하부창틀 일측과 상부창틀 일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건물 내부로 불어 들어 오는 바람을 건물 내부로 용이하게 안내하되,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2창문(110)과;
상기 제어부(1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창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회전축(112)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114)와;
상기 제1회전축(112)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1회전축(11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베벨기어(116)와;
상기 제1베벨기어(11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베벨기어(116)에 마주보게 제1회전축(112)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1회전축(11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베벨기어(118)와;
상기 제1회전축(11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부창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회전축(120)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122)와;
상기 제2회전축(120)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2회전축(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3베벨기어(124)와;
상기 제3베벨기어(12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3베벨기어(124)에 마주보게 제2회전축(120)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2회전축(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4베벨기어(126)와;
상기 제1창문(108)의 저면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1베벨기어(116)에 치합되어 제1베벨기어(116)의 회전에 따라 제1창문(108)을 회전시켜 제1창문(108)의 유리창(106) 외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도와 줌과 아울러 건물 내부로 바람이 불어 들어 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제5베벨기어(128)와;
상기 제5베벨기어(12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5베벨기어(128)에 마주보게 제1창문(108)의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3베벨기어(124)에 치합되어 제3베벨기어(124)의 회전에 따라 제1창문(108)을 회전시켜 제1창문(108)의 유리창(106) 외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도와 줌과 아울러 건물 내부로 바람이 불어 들어 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제6베벨기어(130)와;
상기 제2창문(110)의 저면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2베벨기어(118)에 치합되어 제2베벨기어(118)의 회전에 따라 제2창문(110)을 회전시켜 제2창문(110)의 유리창(106) 외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도와 줌과 아울러 건물 내부로 바람이 불어 들어 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제7베벨기어(132)와;
상기 제7베벨기어(13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7베벨기어(132)에 마주보게 제2창문(110)의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4베벨기어(126)에 치합되어 제4베벨기어(126)의 회전에 따라 제2창문(110)을 회전시켜 제2창문(110)의 유리창(106) 외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도와 줌과 아울러 건물 내부로 바람이 불어 들어 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제8베벨기어(134)와;
상기 제6베벨기어(13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창문(108)의 내부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리턴스프링축(136)과;
상기 제8베벨기어(13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창문(110)의 내부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리턴스프링축(138)과;
상기 제1리턴스프링축(136) 및 제2리턴스프링축(138)에 연결되어 감겨지거나 펼쳐져 건물 내부로 이물질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해 주는 방충망(14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100)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100)의 설치과정은 설치자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수용공간을 구비한 하부창틀(도시는 생략함)을 바닥에 설치한 후, 상기 하부창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창틀에 마주보게 수용공간을 구비한 상부창틀(도시는 생략함)을 천장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창틀의 내부 일측에 제어부(102)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창틀의 외부 일측에 바람이 불어 오는 방향을 감지하는 바람방향감지부(104)를 설치한 후, 제어부(102)에 바람방향감지부(104)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창틀의 내부 일측에 제1모터(114)를 설치하고, 제1모터(114)에 제1회전축(112)을 설치한 후, 제어부(102)에 제1모터(114)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축(112)의 가장자리 일측에 제1베벨기어(116)를 설치한 후, 제1베벨기어(11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베벨기어(116)에 마주보게 제1회전축(112)의 가장자리 일측에 제2베벨기어(118)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창틀의 내부 일측에 제2모터(122)를 설치하고, 제2모터(122)에 제2회전축(120)을 설치한 후, 제어부(102)에 제2모터(1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축(120)의 가장자리 일측에 제3베벨기어(124)를 설치한 후, 제3베벨기어(12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3베벨기어(124)에 마주보게 제2회전축(120)의 가장자리 일측에 제4베벨기어(126)를 설치한다.
그리고,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1창문(108)을 위치시킨 후, 제1창문(108)의 내부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제1리턴스프링축(136)을 설치한다.
그리고,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2창문(110)을 위치시킨 후, 제2창문(110)의 내부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제2리턴스프링축(138)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리턴스프링축(136) 및 제2리턴스프링축(138)에 방충망(140)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창틀 일측과 상부창틀 일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제1창문(108)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창문(108)의 저면 가장자리 일측에 제5베벨기어(128)를 설치한 후, 제5베벨기어(128)에 제1베벨기어(116)를 치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5베벨기어(12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5베벨기어(128)에 마주보게 제1창문(108)의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 제6베벨기어(130)를 설치한 후, 제6베벨기어(130)에 제3베벨기어(124)를 치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1창문(108)에 마주보게 하부창틀 일측과 상부창틀 일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제2창문(110)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창문(110)의 저면 가장자리 일측에 제7베벨기어(132)를 설치한 후, 제7베벨기어(132)에 제2베벨기어(118)를 치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7베벨기어(13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7베벨기어(132)에 마주보게 제2창문(110)의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 제8베벨기어(134)를 설치한 후, 제8베벨기어(134)에 제4베벨기어(126)를 치합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02)는 제어신호를 바람방향감지부(104)로 보낸다.
상기 바람방향감지부(104)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바람이 불어 오는 방향을 감지한 후, 바람이 불어 오는 방향값을 제어부(102)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2)는 수신된 바람이 불어 오는 방향값과 기 설정된 방향값을 비교한 후, 비교결과 바람이 불어 오는 방향값이 동쪽에서 불어 온 것이면, 정회전(또는 시계방향) 신호를 제1모터(114) 및 제2모터(122)로 보낸다. 이때, 상기 제1모터(114) 및 제2모터(122)는 정회전을 한다.
상기와 같이 제1모터(114) 및 제2모터(122)가 정회전을 하면,
상기 제1모터(114)의 정회전에 따라 제1회전축(112)이 정회전을 하고, 제1회전축(112)의 정회전에 따라 제1베벨기어(116) 및 제2베벨기어(118)가 정회전을 한다.
상기 제2모터(122)의 정회전에 따라 제2회전축(120)이 정회전을 하고, 제2회전축(120)의 정회전에 따라 제3베벨기어(124) 및 제4베벨기어(126)가 정회전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베벨기어(116)의 정회전에 따라 제1베벨기어(116)에 치합된 제5베벨기어(128)가 역회전을 하고, 제3베벨기어(124)의 정회전에 따라 제3베벨기어(124)에 치합된 제6베벨기어(130)가 역회전을 한다.
상기 제5베벨기어(128) 및 제6베벨기어(130)의 역회전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1창문(108)이 건물의 외부로 회전한다.
한편, 상기 제2베벨기어(118)의 정회전에 따라 제2베벨기어(118)에 치합된 제7베벨기어(132)가 역회전을 하고, 제4베벨기어(126)의 정회전에 따라 제4베벨기어(126)에 치합된 제8베벨기어(134)가 역회전을 한다.
상기 제7베벨기어(132) 및 제8베벨기어(134)의 역회전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2창문(110)이 건물의 내부로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1창문(108)이 건물의 외부로 회전하고,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2창문(110)이 건물의 내부로 회전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리턴스프링축(136) 및 제2리턴스프링축(138)에 연결되어 있는 방충망(140)이 펼쳐진다.
상기 방충망(140)이 펼쳐지면, 건물 내부로 바람은 통과 시키되, 건물 내부로 이물질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해 준다.
만약, 상기에서 비교결과 바람이 불어 오는 방향값이 서쪽에서 불어 온 것이면, 제어부(102)는 역회전(또는 반시계방향) 신호를 제1모터(114) 및 제2모터(122)로 보낸다. 이때, 상기 제1모터(114) 및 제2모터(122)는 역회전을 한다.
상기와 같이 제1모터(114) 및 제2모터(122)가 역회전을 하면,
상기 제1모터(114)의 역회전에 따라 제1회전축(112)이 역회전을 하고, 제1회전축(112)의 역회전에 따라 제1베벨기어(116) 및 제2베벨기어(118)가 역회전을 한다.
상기 제2모터(122)의 역회전에 따라 제2회전축(120)이 역회전을 하고, 제2회전축(120)의 역회전에 따라 제3베벨기어(124) 및 제4베벨기어(126)가 역회전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베벨기어(116)의 역회전에 따라 제1베벨기어(116)에 치합된 제5베벨기어(128)가 정회전을 하고, 제3베벨기어(124)의 역회전에 따라 제3베벨기어(124)에 치합된 제6베벨기어(130)가 정회전을 한다.
상기 제5베벨기어(128) 및 제6베벨기어(130)의 정회전에 따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1창문(108)이 건물의 내부로 회전한다.
한편, 상기 제2베벨기어(118)의 역회전에 따라 제2베벨기어(118)에 치합된 제7베벨기어(132)가 정회전을 하고, 제4베벨기어(126)의 역회전에 따라 제4베벨기어(126)에 치합된 제8베벨기어(134)가 정회전을 한다.
상기 제7베벨기어(132) 및 제8베벨기어(134)의 정회전에 따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2창문(110)이 건물의 외부로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1창문(108)이 건물의 내부로 회전하고,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2창문(110)이 건물의 외부로 회전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리턴스프링축(136) 및 제2리턴스프링축(138)에 연결되어 있는 방충망(140)이 펼쳐진다.
상기 방충망(140)이 펼쳐지면, 건물 내부로 바람은 통과 시키되, 건물 내부로 이물질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해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물 내부에서 유리창의 내면 및 외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도와 줌과 아울러 바람의 방향에 따라 건물 내부로 바람이 용이하게 불어 들어올 수 있도록하여 건물 내부 공기를 신속하게 환기시킬 수 있도록 도와 준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
102 : 제어부
104 : 바람방향감지부
106 : 유리창
108 : 제1창문
110 : 제2창문
112 : 제1회전축
114 : 제1모터
116 : 제1베벨기어
118 : 제2베벨기어
120 : 제2회전축
122 : 제2모터
124 : 제3베벨기어
126 : 제4베벨기어
128 : 제5베벨기어
130 : 제6베벨기어
132 : 제7베벨기어
134 : 제8베벨기어
136 : 제1리턴스프링축
138 : 제2리턴스프링축
140 : 방충망

Claims (4)

  1. 수용공간을 구비한 하부창틀과;
    상기 하부창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창틀에 마주보게 설치되되, 수용공간을 구비한 상부창틀과;
    상기 하부창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102)와;
    상기 하부창틀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바람이 불어 오는 방향을 감지하는 바람방향감지부(104)와;
    상기 하부창틀 일측과 상부창틀 일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건물 내부로 불어 들어 오는 바람을 건물 내부로 용이하게 안내하되,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1창문(108)과;
    상기 제1창문(108)에 마주보게 하부창틀 일측과 상부창틀 일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건물 내부로 불어 들어 오는 바람을 건물 내부로 용이하게 안내하되,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2창문(110)과;
    상기 제어부(1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창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회전축(112)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114)와;
    상기 제1회전축(112)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1회전축(11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베벨기어(116)와;
    상기 제1베벨기어(11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베벨기어(116)에 마주보게 제1회전축(112)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1회전축(11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베벨기어(118)와;
    상기 제1회전축(11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부창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회전축(120)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122)와;
    상기 제2회전축(120)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2회전축(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3베벨기어(124)와;
    상기 제3베벨기어(12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3베벨기어(124)에 마주보게 제2회전축(120)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2회전축(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4베벨기어(12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
  2. 수용공간을 구비한 하부창틀과;
    상기 하부창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창틀에 마주보게 설치되되, 수용공간을 구비한 상부창틀과;
    상기 하부창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102)와;
    상기 하부창틀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바람이 불어 오는 방향을 감지하는 바람방향감지부(104)와;
    상기 하부창틀 일측과 상부창틀 일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건물 내부로 불어 들어 오는 바람을 건물 내부로 용이하게 안내하되,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1창문(108)과;
    상기 제1창문(108)에 마주보게 하부창틀 일측과 상부창틀 일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건물 내부로 불어 들어 오는 바람을 건물 내부로 용이하게 안내하되,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2창문(110)과;
    상기 제어부(1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창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회전축(112)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114)와;
    상기 제1회전축(112)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1회전축(11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베벨기어(116)와;
    상기 제1베벨기어(11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베벨기어(116)에 마주보게 제1회전축(112)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1회전축(11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베벨기어(118)와;
    상기 제1회전축(11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부창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회전축(120)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122)와;
    상기 제2회전축(120)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2회전축(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3베벨기어(124)와;
    상기 제3베벨기어(12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3베벨기어(124)에 마주보게 제2회전축(120)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2회전축(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4베벨기어(126)와;
    상기 제1창문(108)의 저면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1베벨기어(116)에 치합되어 제1베벨기어(116)의 회전에 따라 제1창문(108)을 회전시켜 제1창문(108)의 유리창(106) 외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도와 줌과 아울러 건물 내부로 바람이 불어 들어 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제5베벨기어(128)와;
    상기 제5베벨기어(12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5베벨기어(128)에 마주보게 제1창문(108)의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3베벨기어(124)에 치합되어 제3베벨기어(124)의 회전에 따라 제1창문(108)을 회전시켜 제1창문(108)의 유리창(106) 외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도와 줌과 아울러 건물 내부로 바람이 불어 들어 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제6베벨기어(13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
  3. 수용공간을 구비한 하부창틀과;
    상기 하부창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창틀에 마주보게 설치되되, 수용공간을 구비한 상부창틀과;
    상기 하부창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102)와;
    상기 하부창틀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바람이 불어 오는 방향을 감지하는 바람방향감지부(104)와;
    상기 하부창틀 일측과 상부창틀 일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건물 내부로 불어 들어 오는 바람을 건물 내부로 용이하게 안내하되,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1창문(108)과;
    상기 제1창문(108)에 마주보게 하부창틀 일측과 상부창틀 일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건물 내부로 불어 들어 오는 바람을 건물 내부로 용이하게 안내하되,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2창문(110)과;
    상기 제어부(1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창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회전축(112)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114)와;
    상기 제1회전축(112)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1회전축(11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베벨기어(116)와;
    상기 제1베벨기어(11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베벨기어(116)에 마주보게 제1회전축(112)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1회전축(11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베벨기어(118)와;
    상기 제1회전축(11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부창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회전축(120)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122)와;
    상기 제2회전축(120)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2회전축(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3베벨기어(124)와;
    상기 제3베벨기어(12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3베벨기어(124)에 마주보게 제2회전축(120)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2회전축(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4베벨기어(126)와;
    상기 제1창문(108)의 저면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1베벨기어(116)에 치합되어 제1베벨기어(116)의 회전에 따라 제1창문(108)을 회전시켜 제1창문(108)의 유리창(106) 외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도와 줌과 아울러 건물 내부로 바람이 불어 들어 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제5베벨기어(128)와;
    상기 제5베벨기어(12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5베벨기어(128)에 마주보게 제1창문(108)의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3베벨기어(124)에 치합되어 제3베벨기어(124)의 회전에 따라 제1창문(108)을 회전시켜 제1창문(108)의 유리창(106) 외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도와 줌과 아울러 건물 내부로 바람이 불어 들어 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제6베벨기어(130)와;
    상기 제2창문(110)의 저면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2베벨기어(118)에 치합되어 제2베벨기어(118)의 회전에 따라 제2창문(110)을 회전시켜 제2창문(110)의 유리창(106) 외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도와 줌과 아울러 건물 내부로 바람이 불어 들어 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제7베벨기어(132)와;
    상기 제7베벨기어(13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7베벨기어(132)에 마주보게 제2창문(110)의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4베벨기어(126)에 치합되어 제4베벨기어(126)의 회전에 따라 제2창문(110)을 회전시켜 제2창문(110)의 유리창(106) 외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도와 줌과 아울러 건물 내부로 바람이 불어 들어 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제8베벨기어(13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
  4. 수용공간을 구비한 하부창틀과;
    상기 하부창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창틀에 마주보게 설치되되, 수용공간을 구비한 상부창틀과;
    상기 하부창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102)와;
    상기 하부창틀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바람이 불어 오는 방향을 감지하는 바람방향감지부(104)와;
    상기 하부창틀 일측과 상부창틀 일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건물 내부로 불어 들어 오는 바람을 건물 내부로 용이하게 안내하되,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1창문(108)과;
    상기 제1창문(108)에 마주보게 하부창틀 일측과 상부창틀 일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건물 내부로 불어 들어 오는 바람을 건물 내부로 용이하게 안내하되, 유리창(106)을 구비하는 제2창문(110)과;
    상기 제어부(1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창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회전축(112)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114)와;
    상기 제1회전축(112)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1회전축(11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베벨기어(116)와;
    상기 제1베벨기어(11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베벨기어(116)에 마주보게 제1회전축(112)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1회전축(11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베벨기어(118)와;
    상기 제1회전축(11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부창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회전축(120)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122)와;
    상기 제2회전축(120)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2회전축(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3베벨기어(124)와;
    상기 제3베벨기어(12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3베벨기어(124)에 마주보게 제2회전축(120)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제2회전축(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4베벨기어(126)와;
    상기 제1창문(108)의 저면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1베벨기어(116)에 치합되어 제1베벨기어(116)의 회전에 따라 제1창문(108)을 회전시켜 제1창문(108)의 유리창(106) 외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도와 줌과 아울러 건물 내부로 바람이 불어 들어 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제5베벨기어(128)와;
    상기 제5베벨기어(12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5베벨기어(128)에 마주보게 제1창문(108)의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3베벨기어(124)에 치합되어 제3베벨기어(124)의 회전에 따라 제1창문(108)을 회전시켜 제1창문(108)의 유리창(106) 외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도와 줌과 아울러 건물 내부로 바람이 불어 들어 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제6베벨기어(130)와;
    상기 제2창문(110)의 저면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2베벨기어(118)에 치합되어 제2베벨기어(118)의 회전에 따라 제2창문(110)을 회전시켜 제2창문(110)의 유리창(106) 외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도와 줌과 아울러 건물 내부로 바람이 불어 들어 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제7베벨기어(132)와;
    상기 제7베벨기어(13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7베벨기어(132)에 마주보게 제2창문(110)의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4베벨기어(126)에 치합되어 제4베벨기어(126)의 회전에 따라 제2창문(110)을 회전시켜 제2창문(110)의 유리창(106) 외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도와 줌과 아울러 건물 내부로 바람이 불어 들어 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제8베벨기어(134)와;
    상기 제6베벨기어(13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창문(108)의 내부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리턴스프링축(136)과;
    상기 제8베벨기어(13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창문(110)의 내부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리턴스프링축(138)과;
    상기 제1리턴스프링축(136) 및 제2리턴스프링축(138)에 연결되어 감겨지거나 펼쳐져 건물 내부로 이물질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해 주는 방충망(14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
KR1020210095581A 2021-07-21 2021-07-21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 KR102555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581A KR102555585B1 (ko) 2021-07-21 2021-07-21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581A KR102555585B1 (ko) 2021-07-21 2021-07-21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343A KR20230014343A (ko) 2023-01-30
KR102555585B1 true KR102555585B1 (ko) 2023-07-13

Family

ID=8510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581A KR102555585B1 (ko) 2021-07-21 2021-07-21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5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3714B2 (ja) 2001-11-29 2007-12-19 日本テクニカ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ステー
JP2012122285A (ja) 2010-12-10 2012-06-28 Misawa Homes Co Ltd 通風経路選出システム
KR102015902B1 (ko) 2018-11-13 2019-08-28 주식회사 세이인 출입문 자동 개폐장치
KR102189861B1 (ko) 2020-03-27 2020-12-14 주식회사 한일윈 2개의 모터를 동시에 제어하는 배연창 개폐장치
KR102230074B1 (ko) 2019-10-07 2021-03-19 (주)나우펀 여닫이 창문의 자동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3714B2 (ja) 2001-11-29 2007-12-19 日本テクニカ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ステー
JP2012122285A (ja) 2010-12-10 2012-06-28 Misawa Homes Co Ltd 通風経路選出システム
KR102015902B1 (ko) 2018-11-13 2019-08-28 주식회사 세이인 출입문 자동 개폐장치
KR102230074B1 (ko) 2019-10-07 2021-03-19 (주)나우펀 여닫이 창문의 자동 개폐장치
KR102189861B1 (ko) 2020-03-27 2020-12-14 주식회사 한일윈 2개의 모터를 동시에 제어하는 배연창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343A (ko) 202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969B1 (ko) 회전식 방화판
KR101497963B1 (ko)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KR101550157B1 (ko) 에어컨실외기의 자동루버시스템
KR200437361Y1 (ko) 급기 댐퍼
KR102555585B1 (ko)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
KR100814745B1 (ko) 차압 배연창 자동개폐시스템
KR100804516B1 (ko) 바람 인입 장치
KR200405830Y1 (ko) 화재 시 온도 감지를 할 수 있는 자동화 댐퍼
KR100662657B1 (ko)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
KR200319639Y1 (ko) 창문용 블라인드
JP2007170138A (ja) 竪軸滑り出し窓
EP1518035A1 (en) Revolving door
KR20050115840A (ko) 주택 외벽 창호용 방화 스크린 장치
KR20040092401A (ko) 창문용 블라인드
KR200149248Y1 (ko) 개폐각도 조절이 가능한 제연댐파의 개폐장치
KR200307832Y1 (ko) 안전발코니 겸용 창호시스템
JP5351716B2 (ja) 建物の通気システム
KR102626995B1 (ko) 환기시스템의 역풍방지 전동댐퍼유닛
JP4353071B2 (ja) 天窓開閉装置
CN218033534U (zh) 带有防火阀门的建筑通风器
KR200164753Y1 (ko) 환기창의개폐장치
KR20140050358A (ko) 제연용 환기창
KR102481047B1 (ko) 다기능 커튼 박스
KR200211892Y1 (ko) 제연 댐퍼의 브레이드 개폐장치
KR100315214B1 (ko) 문화재 수장고용 기밀방화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