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892Y1 - 제연 댐퍼의 브레이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제연 댐퍼의 브레이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892Y1
KR200211892Y1 KR2020000011018U KR20000011018U KR200211892Y1 KR 200211892 Y1 KR200211892 Y1 KR 200211892Y1 KR 2020000011018 U KR2020000011018 U KR 2020000011018U KR 20000011018 U KR20000011018 U KR 20000011018U KR 200211892 Y1 KR200211892 Y1 KR 200211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cover
damper
flue gas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재현
Original Assignee
김덕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웅 filed Critical 김덕웅
Priority to KR2020000011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8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892Y1/ko

Links

Landscapes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연설비(排煙設備)로서, 주로 빌딩이나 아파트의 세대문과 엘리베이터실 사이에 시공하는 대항(對抗)타입의 배연 댐퍼(DAMPER)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고층 빌딩 및 고층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연기 및 유독가스가 건물 내부로 분산되지 않도록 하여 건물안에 고립된 사람에게 피해가 없도록 건물 외부의 공기를 건물내부로 강제 유입시켜 주는 시설의 유입구에 설치되는 배연 댐퍼 (DAMPER)에 있어서, 상기 배연댐퍼에는 전면에 설치된 커버의 개폐구조가 대항(對抗)타입으로서, 서로 맞서 닫히고, 사용시에는 커버가 수평을 이루며 완전하게 열리게 되는바, 유사시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커버로 인한 저항(抵抗)없이 원만히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댐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연 댐퍼장치{Damper equipment}
본 고안은 배연설비(排煙設備)로서, 주로 빌딩이나 아파트의 세대문과 엘리베이터실 사이에 시공하는 대항(對抗)타입의 배연 댐퍼(DAMPE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빌딩 및 고층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연기 및 유독가스가 건물 내부로 분산되지 않도록 하여 건물안에 고립된 사람에게 피해가 없도록 건물 외부의 공기를 건물내부로 강제 유입시켜 주는 시설의 유입구에 설치되는 종래의 배연댐퍼(DAMPER)장치의 커버가 열리는 개폐범위는 도 7의(나)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하향으로 일부만 열리는 구조로서, 건물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커버의 내면에 의하여 저항(抵抗)이 발생하는 구조로서, 적기적소에 원할한 공기 유입이 어려운 것이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고층 빌딩 및 고층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연기 및 유독가스가 건물 내부로 분산되지 않도록 하여 건물안에 고립된 사람에게 피해가 없도록 건물 외부의 공기를 건물내부로 강제 유입시켜 주는 시설의 유입구에 설치되는 배연댐퍼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연댐퍼(DAMPER)에는 커버의 개폐 구조가 대항(對抗)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서, 유사시에 커버가 열리게 되면 수평을 이루며 충분히 열리게 되는바, 사용시에 건물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저항(抵抗)이 커버에 의하여 발생하지 않도록 커버 구조가 대항 (對抗)타입으로 개선된 배연댐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 1도는 본 고안의 대항(對抗)타입의 배연댐퍼 장치와 설치틀을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 2도는 본 고안의 대항(對抗)타입의 배연댐퍼의 일측면의 조립상태를 설명한 것으로, (가)는 커버의 일부가 개폐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나)는 커버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 3도는 본 고안의 대항(對抗)타입의 배연댐퍼 일측면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가)는 커버가 닫힌상태를 설명하며, (나)는 커버가 일부 개방되는 상태를 설명하고, (다)는 커버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제 4도는 본 고안의 대항(對抗)타입의 배연댐퍼 전면상태와 일측부에 전동모우터를 부설하여 사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다.
제 5도는 본 고안의 대항(對抗)타입의 배연댐퍼가 시설되는 고층건물이나 고층아파트의 각 층에 시설한 위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 6도는 본 고안의 대항(對抗)타입의 배연댐퍼 커버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로서, (가)는 커버가 닫힌상태를 설명하며, (나)는 커버가 일부 개방되는 상태를 설명하고, (다)는 커버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것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 7도는 종래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댐퍼장치의 커버개폐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배연댐퍼 2 : 전동모우터
3 : 휀(FAN) 4 : 전면커버 프레임
5 : 전면커버 6 : 공기 유입구
7 : 콘트롤스위치 8 : 모우터 고정틀
9 : 설치 틀 10 : 개폐막대
11 : 중심축 천공 12 : 기동축 천공
13 : 기동축 막대 14 : 개폐막대 기동공간
30 : 풍도(風道)
본 고안에 따르면, 고층 빌딩 및 고층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연기 및 유독가스가 건물 내부로 분산되지 않도록 하여 건물안에 고립된 사람에게 피해가 없도록 건물 외부의 공기를 건물내부로 강제 유입시켜 주는 시설의 유입부에 설치되는 배연댐퍼(1)에 있어서, 상기 배연댐퍼(1)에는 전면에 설치된 커버(5)의 개폐구조가 대항(對抗)타입으로서, 서로 맞서 닫히고, 사용시에는 커버(5)가 수평을 이루며 완전하게 열리게 되는바, 유사시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커버(5)로 인한 저항(抵抗)없이 원만히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댐퍼(1)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대항(對抗)타입의 배연댐퍼(1) 일측의 커버(5) 조립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고층 빌딩 및 고층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연기 및 유독가스가 건물 내부로 분산되지 않도록 하여 건물안에 고립된 사람에게 피해가 없도록 건물 외부의 공기를 건물내부로 강제 유입시켜 주는 시설의 유입구에 설치되는 장치로, 불연성을 고려하여 금속재를 성형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배연댐퍼(1)의 커버(5)구조는 도 2의(나)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의 커버(5)를 성형하여 본체 프레임의 전면부에 대항(對抗)을 이루게 하여 조립함으로서 구성할 수 있는데, 이 커버(5)의 구조는 금속 철판재 등을 이용하여 금형에 의하여 프레스 설비의 가압에 의하여 형상을 갖추며, 또한 좌,우측단을 도 2의(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방향으로 돌출시켜 중심축과 기동축으로 이용하기 위한 천공(穿孔)(11,12)구비하여 둔다.
상기와 같은 천공(穿孔)(11,12)부는 도 2의(가)에 예시한 바와 같이 커버(5)를 대항(對抗)타입으로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의 천공(穿孔)(11)은 커버가 기동을 할때 본체 프레임의 양측에 기동축 막대(13)와 개폐막대(10)에 연결하여 중심축 천공(穿孔)(11)으로 이용하기 위한것이며, 상단의 천공(12)은 커버(5)가 기동을 할때 개폐막대(10)의 일측에 고정되어 기동축 천공(穿孔)(12)으로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각각의 천공(穿孔)(11,12)에 기동축 막대(13) 및 개폐막대(10)를 연결하여 줌으로서 본체 프레임 상단에 구비된 전동모우터(2)에 의하여 작동이 이루워지면, 도 3의(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막대(10)가 위로 상승하게 되면 각각의 기동축 막대(13)에 연결된 커버(5)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대항(對抗)을 이루며 닫아지며, 도 3의(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막대(10)가 약간 하향하게 되는 과정을 걸쳐 도 3의(다)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폐막대(10)가 완전히 하향하게 되면, 대항(對抗)상태로 닫혀있던 커버(5)가 수평상태로 완전히 열리는 구조를 이루게 되는바, 사용시에 건물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배연댐퍼(1) 커버(5)에 의하여 저항(抵抗)없이 유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대항(對抗)타입의 배연댐퍼(1) 커버(5)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로서, (가)는 커버(5)가 닫힌상태를 설명하며, (나)는 커버(5)가 일부 개방되는 상태를 설명하고, (다)는 커버(5)가 수평상태로 완전히 개방된 것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때, 상기한 커버(5)의 양측단의 천공(穿孔)(11,12)에 기동축 막대(13)와 개폐막대(10)가 연결조립되는 상태는 커버(5)에 사소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이탈하지 않는 상태로 억지 끼움을 하되, 커버(5)가 기동을 할때 장애가 없도록 조립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커버(5)의 개폐는 배연댐퍼(1)의 상층에 구비된 전동모우터(2)에 의하여 체인 또는 기어 구동에 의하여 작동된다.
따라서, 상기 배연 댐퍼(DAMPER)(1)의 구조는 도 4의(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층에는 콘트롤 스위치부(7)가 구비되며, 하층의 전면(前面)은 평상시에는 닫혀 있는 상태이며, 유사시에 전면(前面)의 커버(5)가 흔히, 창문에 시설된 브라인더와 같이 대항(對抗)형으로 서로 맞서 닫혀 있다가 수평으로 완전하게 열리는 구조의 특징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고안의 배연 댐퍼(DAMPER)(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건층 건물이나 아파트의 각층 지정공간에 설치되어 건물내부에서 화재등이 발생하였 때 외부 공기를 인위적으로 건물의 내부로 주입시키는 종래의 배연댐퍼(1)의 커버(5) 개폐구조의 결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고층 빌딩 및 고층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연기 및 유독가스가 건물 내부로 분산되지 않도록 배연댐퍼의 전면 커버가 수평으로 완전하게 열리게 되어 충분한 량의 외부의 공기를 건물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으므로, 건물안에 고립된 사람에게 호흡에 장애가 없도록 하여 질식사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대항(對抗) 타입의 배연댐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고층 빌딩 및 고층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연기 및 유독가스가 건물 내부로 분산되지 않도록 하여 건물안에 고립된 사람에게 피해가 없도록 건물 외부의 공기를 건물내부로 강제 유입시켜 주는 시설의 유입구에 설치되는 배연댐퍼(1)에 있어서, 상기 배연댐퍼(1)에는 전면(前面) 커버(5)의 구조가 대항(對抗)상태로 닫혀 있다가 본체의 전동모우터(2)의 작동에 따라 기동축 막대(13) 및 개페막대(10)에 연결조립된 커버(5)의 양측에 구비된 중심축 천공(11)과 기동축 천공(穿孔)(12)을 중축으로 커버(5)가 수평상태를 이루며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항(對抗)타입의 배연댐퍼 장치.
KR2020000011018U 2000-04-14 2000-04-14 제연 댐퍼의 브레이드 개폐장치 KR200211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018U KR200211892Y1 (ko) 2000-04-14 2000-04-14 제연 댐퍼의 브레이드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018U KR200211892Y1 (ko) 2000-04-14 2000-04-14 제연 댐퍼의 브레이드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892Y1 true KR200211892Y1 (ko) 2001-02-01

Family

ID=73085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018U KR200211892Y1 (ko) 2000-04-14 2000-04-14 제연 댐퍼의 브레이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8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891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200437361Y1 (ko) 급기 댐퍼
JPH11313901A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KR200211892Y1 (ko) 제연 댐퍼의 브레이드 개폐장치
US3337990A (en) Temperature controlled windows
JP3567397B2 (ja) 排煙制御システム
JP2017223103A (ja) 差圧緩和型迅速作動両開き扉
KR101525186B1 (ko) 배연댐퍼장치
KR200277870Y1 (ko) 환기창의 개폐장치
KR101912079B1 (ko) 화재대피용 비상문
KR200195917Y1 (ko) 휀(fan)이 부설된 배연(排煙) 댐퍼(damper)장치
CN2297637Y (zh) 高气密多叶排烟口
JP3171545B2 (ja) 防火防煙設備
KR200164753Y1 (ko) 환기창의개폐장치
KR102555585B1 (ko)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
KR960006752Y1 (ko) 환기창의 개폐장치
KR102671959B1 (ko) 아파트 발코니창호 보호용 화염차단장치
KR200196848Y1 (ko) 환기창이 설치된 현관문
CN219177017U (zh) 一种防火阀
KR200307832Y1 (ko) 안전발코니 겸용 창호시스템
JP2003021385A (ja) 換気装置
KR200204668Y1 (ko) 배연댐퍼장치
KR200268648Y1 (ko) 공기 급,배기구 개폐장치
JP2005105527A (ja) 住宅の換気装置、及び換気用の通気口を備えた開口部枠
KR20050007868A (ko) 문화재 수장고용 기밀방화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