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186B1 - 배연댐퍼장치 - Google Patents

배연댐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186B1
KR101525186B1 KR1020130089987A KR20130089987A KR101525186B1 KR 101525186 B1 KR101525186 B1 KR 101525186B1 KR 1020130089987 A KR1020130089987 A KR 1020130089987A KR 20130089987 A KR20130089987 A KR 20130089987A KR 101525186 B1 KR101525186 B1 KR 101525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opening
frame
driving moto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239A (ko
Inventor
고영석
Original Assignee
고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석 filed Critical 고영석
Publication of KR20140120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Abstract

본 발명은 배연댐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연댐퍼의 전면개폐부를 이루는 상측개폐날개와 하측개폐날개가 상하왕복이동되는 이동프레임부재의 간단한 동작만으로 상호 다른 방향으로 개방되게 함은 물론 부품의 개수를 줄여 배연댐퍼의 제작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한 배연댐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틀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부재, 상기 이동프레임부재의 상측에 구동축이 기어결합되는 구동모터, 상기 이동프레임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부재의 상하이동시 상기 몸체부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배연댐퍼장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면개폐부는, 상기 이동프레임부재의 이동시 외부공기가 상측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다수개의 상측개폐날개와 외부공기가 하측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다수개의 하측개폐날개로 구성되되 다수개의 하측개폐날개는 다수개의 상측개폐날개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측개폐날개와 하측개폐날개를 통해 배출되는 외부공기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연댐퍼장치{EXHAUST SMOKE DAMPER}
본 발명은 배연댐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연댐퍼의 전면개폐부를 이루는 상측개폐날개와 하측개폐날개가 상하왕복이동되는 이동프레임부재의 간단한 동작만으로 상호 다른 방향으로 개방되게 함은 물론 부품의 개수를 줄여 배연댐퍼의 제작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한 배연댐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환기, 냉난방, 제습 등과 같은 공기조화를 위하여 건물 내부에는 닥트가 설치되며, 이 닥트 입구에는 환기창이 설치된다. 특히 고층 빌딩이나 아파트의 비상계단 등에는 배연 환기창이 설치되어 화재시 연기와 유독가스가 건물내부의 유일한 대피공간이 되는 비상계단 또는 엘리베이터 전실 공간 등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건물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상기 대피 공간에 인입시킬 목적으로 댐퍼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배연댐퍼의 후방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배연닥트가 설치되며 배연닥트 입구에는 댐퍼가 설치되는데 화재시에는 화재 경보기의 신호에 의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댐퍼의 블레이드를 개방시켜 화재와 함께 발생되는 유독가스와 연기가 대피공간 또는 다른층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종래의 배연댐퍼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 형상의 프레임(4) 내측 상단에는 콘트롤 스위치부(7)가 구비되며 하단의 전면은 평상시에는 닫아지고, 사용시에는 열릴 수 있는 개폐기능을 가진 전면커버(5)는 흔히, 창문에 시설된 블라이던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열리는 구조로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배연댐퍼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막대(10)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해 기동축 막대(13)에 연결된 전면커버(5)가 중심축(11)을 중심으로 대항되게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연댐퍼는 배출되는 외부공기가 상호 충돌하게 되어 화재공간으로의 원활한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유해연기의 신속한 배출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으며, 전면커버를 개폐하기 위하여 별도의 기동축 막대를 전면커버마다 장착하여야하므로 배연댐퍼의 제작비용이 상승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연댐퍼의 전면개폐부를 이루는 상측개폐날개와 하측개폐날개가 상하왕복이동되는 이동프레임부재의 간단한 동작만으로 상호 다른 방향으로 개방되게 하여 그 상하측개폐날개를 통해 배출되는 외부공기가 상호 충돌하지 않는 상태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부품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배연댐퍼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배연댐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틀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부재, 상기 이동프레임부재의 상측에 구동축이 기어결합되는 구동모터, 상기 이동프레임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부재의 상하이동시 상기 몸체부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배연댐퍼장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면개폐부는, 상기 이동프레임부재의 이동시 외부공기가 상측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다수개의 상측개폐날개와 외부공기가 하측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다수개의 하측개폐날개로 구성되되 다수개의 하측개폐날개는 다수개의 상측개폐날개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측개폐날개와 하측개폐날개를 통해 배출되는 외부공기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프레임부재는, 상기 상측개폐날개의 측단이 핀결합되는 다수개의 상측개폐홀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하왕복이동되어 상기 상측개폐날개를 개폐하는 제1개폐프레임과 상기 하측개폐날개의 측단이 핀결합되는 다수개의 하측개폐홀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이 구동에 의해 상하왕복이동되어 상기 하측개폐날개를 개폐하는 제2개폐프레임이 상호 겹쳐지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개폐프레임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기어결합되는 제1나사부가 형성된 제1수용공이 형성되고, 그 제1수용공의 하측방향으로 상기 상측개폐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개폐프레임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기어결합되는 제2나사부가 형성된 제1수용공이 형성되고, 그 제1수용공의 하측방향으로 상기 하측개폐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측개폐홀은 상기 제1개폐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하향경사진 호 형상으로 형성되되 오목한부분이 대각상측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측개폐홀은 상기 제2개폐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하향경사진 호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측개폐홀의 형성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오목한 부분이 대각하측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측개폐날개와 하측개폐날개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단에 일체화된 상태로 그 블레이드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연결체로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배면에는 핀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는 링크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와 연결체의 연결지점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측개폐날개와 하측개폐날개의 상호 다른 방향으로의 개폐가 이동프레임부재의 간단한 상하왕복이동 동작만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배연댐퍼가 구조적으로 간단해지고, 부품의 개수가 줄어들어 배연댐퍼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호반대되는 방향으로 개폐되는 상하측개폐날개로 인해 배출되는 외부공기가 상호 충돌하지 않는 상태로 배출되어 화재발생시 피난구역에 신속하고 균일하게 유입됨은 물론 하측개폐날개를 통해 배출되는 강한 압의 외부공기가 바닥면을 타고 상부로 이동하여 유해연기를 상부로 이동시키고, 상측개폐날개를 통해 배출되는 강한 압의 외부공기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된 유해연기 및 화재공간의 상측에 확대형성된 유해연기를 배연덕트 방향으로 유도하여 화재공간 내의 유해연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연 댐퍼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연 댐퍼장치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개폐부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상측개폐날개의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측개폐날개의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프레임부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프레임부재가 측면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프레임부재와 구동모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측개폐날개와 이동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종래 배연댐퍼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종래 전면커버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연댐퍼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연 댐퍼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연 댐퍼장치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개폐부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상측개폐날개의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측개폐날개의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프레임부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프레임부재가 측면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프레임부재와 구동모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측개폐날개와 이동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연댐퍼장치는 틀 형상의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부재(300), 상기 이동프레임부재(300)의 상측에 구동축이 기어결합되는 구동모터(400), 상기 이동프레임부재(30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4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부재(300)의 상하이동시 상기 몸체부(100)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배연댐퍼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면개폐부는 다수개의 상측개폐날개와 다수개의 하측개폐날개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0)는 일정길이를 갖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과 그 측면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을 상호 연결하는 상하연결프레임(120,1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100)에는 그 몸체부(100)의 내측 공간부를 상측공간부(150)와 하측공간부(170)로 구획하도록 상기 측면프레임(110)에 양단이 상호 연결되는 구획프레임(160)이 설치되는데, 상기 상측공간부(150)에 상기 구동모터(400)가 배치되고, 상기 하측공간부(170)에 상기 전면개폐부(200)가 배치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공간부(150)에는 상기 구동모터(400)의 구동을 위한 제어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측면프레임(110)은, 단면상 호 형상을 갖는 노출전면부(111)와 상기 노출전면부(111)의 일측단에 수직되게 일체로 결합되는 결합프레임(11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프레임(110)의 결합프레임(112)에는 상기 이동프레임부재(3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홈(11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개폐부(200)의 상측개폐날개(210a)와 하측개폐날개(210b)가 핀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결속공(115)이 길이방향으로 일렬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의 하측공간부(170)에 설치되는 전면개폐부(200)는 다수개의 상측개폐날개(210a)와 하측개폐날개(210b)로 구성되는데, 상기 상측개폐날개(210a)는 상기 이동프레임부재(300)의 이동시 외부공기가 상측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고, 상기 하측개폐날개(210b)는 외부공기가 하측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여기서, 다수개의 하측개폐날개는 다수개의 상측개폐날개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측개폐날개(210a)와 하측개폐날개(210b)를 통해 배출되는 외부공기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상측개폐날개(210a)와 하측개폐날개 사이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측면프레임(110)에 양단이 결합되는 경계프레임(220)이 설치된다.
즉, 상기 경계프레임(220)을 기준으로 상측에는 다수개의 상기 상측개폐날개(210a)가 설치되고 하측에는 다수개의 상기 하측개폐날개(210b)가 설치되므로 외부공기가 건물내부로 강제 유입시 유입 외기가 상호 충돌하지 않게 되어 건물 내부공간으로 신속하고 균일 분포되게 외기를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부(100)에 상기 경계프레임(220)이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경계프레임(220)을 생략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면프레임(110)의 슬라이딩홈(113)에 설치되는 상기 이동프레임부재(300)는 상기 상측개폐날개(210a)의 측단이 핀결합되는 다수개의 상측개폐홀(313)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400)의 구동에 의해 상하왕복이동되어 상기 상측개폐날개(210a)를 개폐하는 제1개폐프레임(310)과 상기 하측개폐날개(210b)의 측단이 핀결합되는 다수개의 하측개폐홀(323)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400)의 구동에 의해 상하왕복이동되어 상기 하측개폐날개(210b)를 개폐하는 제2개폐프레임(320)이 상호 겹쳐지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개폐프레임(310)은 상기 제2개폐프레임(320)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개폐프레임(320)이 상기 측면프레임(110)의 슬라이딩홈(113)에 설치되고, 그 다음 상기 제1개폐프레임(310)이 상기 제2개폐프레임(320)의 일측면에 순차적으로 상호 겹쳐지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개폐프레임(310)과 제2개폐프레임(320)의 상태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1개폐프레임(310)은 상기 제2개폐프레임(32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길이방향 상측에는 상기 구동모터(400)의 구동축과 기어결합되는 제1나사부(312)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제1수용공(311)이 형성되고, 그 제1수용공(311)의 하측방향으로 상기 상측개폐홀(31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수용공(311)에 형성되는 제1나사부(312)는, 그 제1수용공의 내측긴변 양측 중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제1나사부(312)에 상기 구동모터(400)의 구동축이 기어결합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400)의 구동에 의해 상하왕복이동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측개폐홀(313)은 상기 제1개폐프레임(310)의 길이방향으로 하향경사진 호 형상으로 형성되되 오목한 부분이 대각상측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4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개폐프레임(310)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상측개폐홀(313)에 핀 결합되는 상측개폐날개(210a)가 개방되고, 상기 제1개폐프레임(310)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상측개폐날개(210a)가 몸체부(100)의 내측을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개폐프레임(310)의 긴벽측 양단부에는, 그 제1개폐프레임의 일측면이 상기 제2개폐프레임(320)의 일측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하여 상하왕복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돌출턱(315)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제1개폐프레임(310)의 일측면부가 상기 제2개폐프레임(320)의 일측면에 면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1개폐프레임(310)의 상하이동시 마찰력이 증대되어 상기 상측개폐날개(210a)의 개폐동작에 이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개폐프레임(310)에 돌출턱(315)을 형성하여 상기 제1개폐프레임(310)과 제2개폐프레임(320)이 면 접촉이 아닌 선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개폐프레임(310)의 상하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개폐프레임(320)은 상기 측면프레임(110)의 슬라이딩홈(113)에 설치되는 것으로, 길이방향 상측에는 상기 구동모터(400)의 구동축과 기어결합되는 제2나사부(322)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제2수용공(3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용공(321)의 하측방향으로 상기 하측개폐홀(32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수용공(321)에 형성되는 제2나사부(322)는, 상기 제1수용공(311)에 형성되는 제1나사부(312)와 반대되는 긴변 즉 제2수용공의 내측긴변 양측 중 상기 제1나사부(312)의 형성위치와 반대되는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나사부(322)에 상기 구동모터(400)의 구동축이 기어결합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400)의 구동에 의해 상하왕복이동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측개폐홀(323)은 상기 제2개폐프레임(320)의 길이방향으로 하향경사진 호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측개폐홀(313)의 형성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오목한 부분이 대각하측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4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개폐프레임(320)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하측개폐홀(323)에 핀 결합되는 하측개폐날개(210b)가 개방되고, 상기 제2개폐프레임(320)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하측개폐날개(210b)가 몸체부(100)의 내측을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개폐프레임(320)의 긴변측 양단부에는, 그 제2개폐프레임의 일측면이 상기 측면프레임(110)의 면부에 밀착되지 않도록 하여 그 제2개폐프레임의 상하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돌출단턱(325)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개폐프레임(320)의 상하왕복이동시 그 제2개폐프레임이 상기 측면프레임(110)의 면부에 선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하이동시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원활한 상하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2개폐프레임(310,320)이 상기 구동모터(400)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상측개폐날개(210a)와 하측개폐날개(210b)를 상하측방향으로 개폐하는 상태를 간략히 살펴보면, 상기 구동모터(400)의 구동축에 상기 제1,2개폐프레임(310,320)의 제1,2나사부(312,32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400)가 구동하여 그 구동축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개폐프레임(310)은 상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개폐프레임(320)은 하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개폐프레임(310)이 상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 제1개폐프레임의 상측개폐홀(313)에 측단이 핀 결합된 상기 상측개폐날개(210a)가 개방되고, 상기 제2개폐프레임(320)이 하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 제2개폐프레임의 하측개폐홀(323)에 측단이 핀 결합된 상기 하측개폐날개(210b)가 개방되는 것이다.
다시, 상기 구동모터(400)의 구동축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개폐프레임(310)은 하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상측개폐날개(210a)가 닫히게 되고, 상기 제2개폐프레임(320)은 상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하측개폐날개(210b)가 닫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측개폐날개(210a)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블레이드(211a) 및 상기 블레이드(211a)의 일측단에 일체화된 상태로 그 블레이드(211a)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연결체(215a)로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211a)의 배면에는 핀결합공(213a)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체(215a)의 단부에는 링크체결공(217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211a)와 연결체(215a)의 연결지점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219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개폐날개(210a)의 결합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상측개폐날개(210a)의 블레이드(211a)에 형성된 핀결합공(213a)이 상기 측면프레임(110)의 결합프레임(112)에 형성된 결속공(115)과 연통되어 축결합되고, 상기 상측개폐날개(210a)의 연결체(215a)에 형성된 링크체결공(217a)이 상기 제1개폐프레임(310)의 상측개폐홀(313)고 연통되어 링크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측개폐날개(210a)가 왕복이동하게 되면 축결합된 연결부위를 축으로 하여 상기 상측개폐날개(210a)의 일측이 상기 상측개폐홀(313)을 따라 이동하면서 개폐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측개폐날개(210b)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블레이드(211b) 및 상기 블레이드(211b)의 일측단에 일체화된 상태로 그 블레이드(211b)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연결체(215b)로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211b)의 배면에는 핀결합공(213b)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체(215b)의 단부에는 링크체결공(217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211b)와 연결체(215b)의 연결지점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219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측개폐날개(210b)의 결합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하측개폐날개(210b)의 블레이드(211b)에 형성된 핀결합공(213b)이 상기 측면프레임(110)의 결합프레임(112)에 형성된 결속공(115)과 연통되어 축결합되고, 상기 하측개폐날개(210b)의 연결체(215b)에 형성된 링크체결공(213b)이 상기 제2개폐프레임(320)의 하측개폐홀(323)과 연통되어 링크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2개폐프레임(320)이 왕복이동하게 되면 축결합된 연결부위를 축으로 상기 하측개폐날개(210b)의 일측이 상기 하측개폐홀(323)을 따라 이동하면서 개폐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연댐퍼장치에서는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하왕복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배연댐퍼장치는 다수개의 상측개폐날개와 하측개폐날개가 상하왕복이동되는 제1,2개폐프레임의 간단한 동작만으로 상호 다른 방향으로 개방됨으로써 그 상하측개폐날개를 통해 배출되는 외부공기가 상호 충돌하지 않게 되어 화재발생시 피난구역에 신속하고 균일하게 유입되고, 부품의 개수가 줄어 배연댐퍼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재시 하측개폐날개를 통해 배출되는 강한 압의 외부공기가 바닥면을 타고 상부로 이동하여 유해연기를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측개폐날개를 통해 배출되는 강한 압의 외부공기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된 유해연기 및 화재공간의 상측에 확대형성된 유해연기를 천장의 배연구 방향으로 유도하여 화재공간 내의 유해연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몸체부 110: 측면프레임
120,130: 상하연결프레임 150: 상측공간부
160: 구획프레임 170: 하측공간부
200: 전면개폐부 210a, 210b: 상,하측개폐날개
220: 경계프레임 300: 이동프레임부재
310: 제1개폐프레임 320: 제2개폐프레임
400: 구동모터

Claims (6)

  1. 틀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부재, 상기 이동프레임부재의 상측에 구동축이 기어결합되는 구동모터, 상기 이동프레임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부재의 상하이동시 상기 몸체부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배연댐퍼장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면개폐부는, 상기 이동프레임부재의 이동시 외부공기가 상측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다수개의 상측개폐날개와 외부공기가 하측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다수개의 하측개폐날개로 구성되되 다수개의 하측개폐날개는 다수개의 상측개폐날개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측개폐날개와 하측개폐날개를 통해 배출되는 외부공기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동프레임부재는, 상기 상측개폐날개의 측단이 핀결합되는 다수개의 상측개폐홀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하왕복이동되어 상기 상측개폐날개를 개폐하는 제1개폐프레임과 상기 하측개폐날개의 측단이 핀결합되는 다수개의 하측개폐홀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이 구동에 의해 상하왕복이동되어 상기 하측개폐날개를 개폐하는 제2개폐프레임이 상호 겹쳐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댐퍼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프레임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기어결합되는 제1나사부가 형성된 제1수용공이 형성되고, 그 제1수용공의 하측방향으로 상기 상측개폐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개폐프레임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기어결합되는 제2나사부가 형성된 제1수용공이 형성되고, 그 제1수용공의 하측방향으로 상기 하측개폐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댐퍼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개폐홀은 상기 제1개폐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하향경사진 호 형상으로 형성되되 오목한부분이 대각상측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측개폐홀은 상기 제2개폐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하향경사진 호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측개폐홀의 형성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오목한 부분이 대각하측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댐퍼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개폐날개와 하측개폐날개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단에 일체화된 상태로 그 블레이드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연결체로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배면에는 핀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는 링크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댐퍼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와 연결체의 연결지점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댐퍼장치.
KR1020130089987A 2013-04-01 2013-07-30 배연댐퍼장치 KR101525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5115 2013-04-01
KR1020130035115 2013-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239A KR20140120239A (ko) 2014-10-13
KR101525186B1 true KR101525186B1 (ko) 2015-06-04

Family

ID=5199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987A KR101525186B1 (ko) 2013-04-01 2013-07-30 배연댐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1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5941A1 (en) * 2012-02-16 2014-03-06 Daelim Industrial Co., Ltd. Non-directional smoke control damper having chain gear type blade advancing/retreating device
KR102426159B1 (ko) 2022-03-21 2022-07-27 고영석 상하향 자동차압 급기댐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870Y1 (ko) * 2002-03-09 2002-06-14 보우에어테크 주식회사 환기창의 개폐장치
JP2009035893A (ja) * 2007-07-31 2009-02-19 Ykk Ap株式会社 ルーバー装置および建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870Y1 (ko) * 2002-03-09 2002-06-14 보우에어테크 주식회사 환기창의 개폐장치
JP2009035893A (ja) * 2007-07-31 2009-02-19 Ykk Ap株式会社 ルーバー装置および建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5941A1 (en) * 2012-02-16 2014-03-06 Daelim Industrial Co., Ltd. Non-directional smoke control damper having chain gear type blade advancing/retreating device
US9452304B2 (en) * 2012-02-16 2016-09-27 Daelim Industrial Co., Ltd. Non-directional smoke control damper having chain gear type blade advancing/retreating device
KR102426159B1 (ko) 2022-03-21 2022-07-27 고영석 상하향 자동차압 급기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239A (ko) 201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005B1 (ko) 창문의 미세먼지유입 방지장치
US3951051A (en) Dampers
JP5066899B2 (ja) 災害時対応型エレベータのかご内換気装置
KR101740230B1 (ko)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KR200473282Y1 (ko) 복합댐퍼 자동개폐기
KR101525186B1 (ko) 배연댐퍼장치
KR200437361Y1 (ko) 급기 댐퍼
KR101389159B1 (ko) 실내 압력 조절 장치
KR101932622B1 (ko) 방화문
CN210832413U (zh) 一种建筑消防浓烟快速排风装置
US3337990A (en) Temperature controlled windows
JP6007403B2 (ja) 換気口
JP6839009B2 (ja) 換気装置及び建具
JP6375182B2 (ja) 建具
KR102394431B1 (ko) 제연 댐퍼
JP4414538B2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室装置
KR200164753Y1 (ko) 환기창의개폐장치
KR200211892Y1 (ko) 제연 댐퍼의 브레이드 개폐장치
JP2016152627A (ja) ファンユニット
JPS5819645A (ja) 換気具付き開口部装置
KR102272098B1 (ko) 이중창 동시 개폐 장치
KR200277870Y1 (ko) 환기창의 개폐장치
KR20140140727A (ko) 배연용 환기창
KR102613188B1 (ko)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
KR102426159B1 (ko) 상하향 자동차압 급기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