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657B1 -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 - Google Patents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657B1
KR100662657B1 KR1020040036341A KR20040036341A KR100662657B1 KR 100662657 B1 KR100662657 B1 KR 100662657B1 KR 1020040036341 A KR1020040036341 A KR 1020040036341A KR 20040036341 A KR20040036341 A KR 20040036341A KR 100662657 B1 KR100662657 B1 KR 100662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window
glass
control ki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1146A (ko
Inventor
이승언
강재식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36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657B1/ko
Publication of KR20050111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3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by means of additional elements, e.g. mod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는 창문의 유리를 고정하는 고정틀에 환기통로를 설치하여 창문을 열지 않아도 실내의 공기를 환기할 수 있으며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창문은 유리를 고정하는 고정틀에 창문이 설치되는 실내외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상기 유리와 평행한 환기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환기통로 내부에는 필터와, 상기 환기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상기 창문이 설치되는 실내 쪽으로 장착되는 환기량 조절장치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VENTILATION WINDOW WITH MICRO CONTROLLABILITY VENT SLOT}
도 1a는 종래 기술에 의한 창의 정면도.
도 1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창의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창문의 유리 고정틀에 제공된 환기통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창문의 유리 고정틀에 제공된 환기통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내지 도 5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창문의 유리 고정틀에 제공된 환기통로에 여러 구성요소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6a는 환기통로에 삽입되는 환기 조절 키트의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A-A' 부분에서의 횡단면도.
도 6c는 도 6a의 종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환기 조절 키트 내부에 설치되는 흡음단열재의 대안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유리 고정틀 20 : 환기통로
31 : 필터 32 : 환기량 조절장치
42, 43 : 개폐기 44 : 개폐조절기
45 : 빗물막이 구조 51 : 라인 환기팬
63, 64, 65 : 단열 흡음재
본 발명은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는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환기 기능이 없거나 통풍구가 창문의 외곽 프레임에 설치되어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않고 개보수가 불가능한 종래의 창문과는 달리, 창문의 유리를 고정하는 고정틀 내지 유리에 환기통로를 설치하여 창문을 열지 않아도 실내의 공기를 환기할 수 있으며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고 창의 종류와 개폐방식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한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유리의 고정틀에 마련된 환기 통로에 삽입되는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조절 키트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창(10)을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인 창(10)의 구조는 유리(11) 및 유리(11)를 고정하는 고정틀(12)로 이루어진 창문과 이 고정틀(12)을 지지하는 외곽 프레임(13)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창(10)은 환기를 위하여 창문을 열거나, 또는 창(10)의 외곽 프레임(13)에 통풍구(14)를 마련하여 이러한 통풍구(14)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환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 래의 창은 환기를 목적으로 창문을 열어 놓음으로써 방범의 문제가 발생하거나 비가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일부 발코니 창에 적용되고 있는 하부 외곽 프레임에 설치되는 통풍구(14)는 구조적인 특성에 의하여 금속재의 프레임에만 적용이 가능하며, 유지관리나 개보수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을 지닌다.
아울러 건물은 필요에 따라 적정 양의 환기가 필요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의 창은 닫힌 상태에서 적절한 환기 기능을 수행할 수 없고, 열어 놓은 상태에서는 외부의 풍압이나 실내외의 온도차 및 압력차가 수시로 변동하는 조건에서 단순히 개폐 정도에 따라 환기량을 가늠하거나 조절할 수 없으므로 냉난방기간 중 환기에 의하여 많은 에너지가 손실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최근 대부분의 중대형 건물은 기계식 환기의 공조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중대형 건물에 설치되는 창은 고기밀 창문으로서 개폐가 불가능한 고정식 창문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고정식의 종래 창을 통해서는 야간에 실내 온도보다 외기 온도가 낮아 외기 도입에 의한 자연 냉방이 가능한 기간에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으므로, 건물의 실내 환경이 열악해지는 문제와 함께 불필요한 공조 시스템 가동에 따른 운전비용 손실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학교, 지하 공간 또는 음식점 등 다중 이용 시설에 있어서는 공간의 사용 특성상 다량의 지속적인 환기가 필요하지만, 이를 위해서 단순히 창문 또는 문을 개방하는 방법 외에 대안이 없는 실정이며, 이렇게 창문이나 문을 개방하더라도 실내에서 요구하는 필요 환기량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한편, 앞서 일부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아파트 발코니 창에 일부 적용되 고 있는 창의 하부 외곽 프레임에 설치되는 통풍구는 청소나 유지관리가 매우 어렵고 개보수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창에 이러한 통풍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외곽 프레임을 제거하고 창 전체를 다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창 전체의 구조적 안전성을 고려하여 금속재 창틀에만 설치가 가능하다는 한계를 지닌다. 즉, 통풍구가 창문의 외곽 프레임에 설치된 종래의 창문은 유지보수가 어렵고 실제 적용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창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환기 조절이 가능한 창문의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의 유리를 고정하는 고정틀에 환기통로를 설치하여 창문을 열지 않아도 실내의 공기를 환기할 수 있으며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리의 고정틀에 마련된 환기 통로에 삽입되는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조절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와 상기 유리를 고정하는 고정틀로 구성된 환기 창문으로서, 상기 고정틀은 상기 창문이 설치되는 실내외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상기 유리와 평행한 환기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환기통로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와, 상기 환기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상기 창문이 설치되는 실내 쪽으로 장착되는 환기량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환기 창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환기량 조절장치는 다수의 회전 가능한 루버(louve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창문의 실내 쪽으로 상기 환기통로가 뻗은 방향으로 장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환기통로의 개폐기로서 상기 환기통로를 닫을 때 상기 환기통로에 밀착하여 접촉하는 패킹재 및 상기 패킹재의 뒷면에 부착되는 단열 방음 커버를 구비하는 개폐기와, 상기 지지대를 회전축으로 상기 개폐기를 회전시켜 상기 환기통로를 개폐하는 개폐조절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환기통로는 외부에서 실내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창문이 설치되는 실외쪽으로 경사지도록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창문이 설치되는 실외쪽으로 상기 환기통로 상부에 장착되는 빗물막이 구조를 설치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기통로의 횡방향으로 상기 환기통로 내부에 장착되는 라인 환기팬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리와 상기 유리를 고정하는 고정틀로 구성된 창문의 상기 고정틀에 상기 유리와 평행하게 제공되는 환기통로에 삽입되는 환기 조절 키트로서, 상기 환기 조절 키트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의 후면으로 단차를 두어 상기 환기 조절 키트의 상하에 연결되는 다중층의 단열 흡음재와, 상기 환기 조절 키트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상기 필터 전면으로 장착되는 환기량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환기 조절 키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환기량 조절장치는 다수의 회전 가능한 루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 며, 상기 환기 조절 키트의 횡방향으로 상기 환기 조절 키트 내부에 장착되는 라인 환기팬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 창의 외곽 프레임을 그대로 둔 채, 유리 고정틀에 적용할 수도 있다. 종래의 창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창문을 열지 않고도 환기가 가능하며 창문을 열지 않기 때문에 방범 문제와 비의 실내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환기통로에 설치되는 환기량 조절이 가능한 조절기에 의해 난방기, 중간기, 냉방기 등 외기의 온도, 습도 조건과 실내의 온도, 습도 조건에 따라 환기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다량의 지속적인 환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유리의 고정틀에 마련된 환기통로에 설치된 환기팬을 가동함으로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의 목재 내지 플라스틱재의 외곽 프레임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재료 특성상 구조 내력성능이 낮기 때문에 외곽 프레임에 환기통로를 설치할 수 없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환기통로를 창의 유리를 고정하는 고정틀에 설치하므로 창의 외곽 프레임의 재질과 구조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외곽 프레임에 설치된 환기통로는 청소 등 유지관리가 어려우며, 보수시 외곽 프레임을 모두 제거하여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지만, 본 발명은 환기통로가 설치되는 창문을 탈부착할 수 있으므로 청소 등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개 보수시 해당 부위만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며, 미닫이창, 여닫이창, 오르내리창, 회전창 등 창의 구동 방식과 단창, 이중창, 삼중창 등 창문의 구성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지금부터 단지 예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창문의 단면도와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10)은 유리(11) 및 유리(11)를 고정하는 고정틀(12)로 이루어진 창문과 고정틀(12)을 지지하는 외곽 프레임(13)으로 구성되며, 도 2a 및 도 2b에는 이와 같이 유리(11)를 고정하는 고정틀(12)에 유리(11)와 평행하게 마련된 환기통로(20)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환기통로(20)는 도 2b에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모두 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수평 및 수직 어느 한 쪽 방향으로만 낼 수도 있다. 또한, 환기통로(20)의 전체 길이 및 폭은 창문이 설치되는 실내의 환기 소요량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창문의 수평 방향의 환기통로(20)는 고정틀(12)에 대해 평행하게 낼 수도 있지만, 빗물 등이 창문이 설치되는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창문이 설치되는 실외 쪽으로 경사지게 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는 이와 같이 유리(11)의 고정틀(12)에 마련된 환기통로(20)의 내부에 필터(31)와 창문이 설치되는 실내 쪽으로 환기량 조절장치(32)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필터(31)는 실내외의 기류는 통과시키지만 실외의 오염 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필터(31)는 기류 통과 성능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압축 폴리에스테르 소재 내지 글라스 파이버 소재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환기량 조절장치(32)는 환기통로(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환기량 조절장치(31)는 회전 가능한 다수의 루버(louver)(3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루버(33)를 적절히 회전시킴으로써 실내에 필요한 환기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환기량 조절장치(32)는 도 3a에서처럼 다수의 루버(33)로 조정하는 방식 이외에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통로(20) 내부에 회전 방식의 환기량 조절장치(32')를 삽입하여 환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회전방식에 의한 환기량 조절장치(32')는 실의 필요 환기량에 따라 하나 내지 여러 개가 조합되어 상호 맞물려 연동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환기량 조절장치(32')가 완전히 닫혔을 경우에는 기밀성능을 얻기 위하여 회전 부위에 단열과 기밀성능이 우수한 소재가 패킹재(34, 35)로 설치된다. 도 3c는 이와 같은 회전 방식의 환기량 조절장치(32')의 회전에 의한 환기 조절의 구체적인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a에서 설명한 필터(31) 이외에 도 3a 및 도 3b와는 다른 환기량 조절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환기량 조절장치는 실내 쪽으로 환기통로(20)가 뻗은 방향으로 장착되는 지지대(41)와 이러한 지지대(4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기(42, 43) 및 지지대(41)를 회전축으로 개폐기(42, 43)를 회전시켜 환기통로(20)를 개폐하는 개폐조절기(44)로 구성된다.
앞에 설명한 지지대(4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기(42, 43)는 개폐조절기(44)를 이용하여 환기통로(20)를 닫을 때 환기통로(20)와 밀착하여 접촉하는 패킹재(42) 및 이러한 패킹재(42)의 뒷면에 부착되는 단열 방음 커버(43)로 구성된 다. 이러한 패킹재(42) 및 단열 방음 커버(43)는 일반적으로 실외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음 역할을 하며, 특히 패킹재(42)는 개폐기(42, 43)가 완전히 닫혔을 때 실내외의 기밀성(氣密性)을 유지시키고 단열 방음 커버(43)는 실내외의 온도차로 인하여 환기통로(20) 근처에 발생할 수 있는 결로(結露)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개폐조절기(44)는 지지대(41)을 중심으로 개폐기(42, 43)를 회전시켜 환기통로(20)를 열고 닫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개폐조절기(44)를 적당히 조절하면 환기통로(20)의 개구부를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창문이 설치되는 실내의 환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개폐조절기(44)는 무동력 또는 동력에 의해 환기통로(20)의 개폐 정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물 등이 창문이 설치되는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기통로(20)를 창문이 설치되는 실외 쪽으로 경사지게 내는 것 이외에도 근본적으로 빗물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빗물막이 구조(45)를 창문이 설치되는 실외 쪽으로 환기통로 상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5는 이와 같은 환기통로(20)의 횡방향으로 환기통로(20) 내에 라인 환기팬(51)을 설치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는 환기팬(51)만이 도시된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이러한 라인 환기팬(51)은 도 3 또는 도 4의 필터(31) 외측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환기통로(20)에 라인 환기팬(51)을 설치함으로써 강제식으로 실내에 필요한 환기량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a는 단층 유리 미닫이 창문에 환기통로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도 3 내지 도 5는 이중 유리 미서기 창문에 환기통로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지만, 앞서 언급하였듯이 본 발명은 그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창문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제 까지 설명한 환기 통로 내부에 설치되는 다양한 구성요소는 도 2b에서 수평 방으로 난 환기통로에 대해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만, 수직 방향의 환기통로에의 설치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창문의 유리 고정틀의 환기통로에 장착되는 필터, 개폐기 및 라인 환기팬은 환기통로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지만, 청소 등의 유지관리 문제를 고려하여 환기통로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구조도 고려할 수 있다. 도 6은 그러한 환기통로(20)에 삽입될 수 있는 환기 조절 키트(6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a는 환기 조절 키트(60)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의 A-A' 부분에서의 횡단면도이며, 도 6c는 도 6a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환키 조절 키트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요소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내외의 공기를 환기할 수 있는 기능이나 비나 온도차에 의한 결로 등 실외의 요인에 의해 실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할 수 있지만, 도 6에는 단지 단열 및 방음 기능을 하는 요소와 실외의 오염 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 및 환기 조절 키트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양을 조절할 수 있는 환기량 조절장치 만을 도시하였다. 아래에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조절 키트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환기 조절 키트(60)는 그 실내 쪽에 환기량 조절 장치(61)가 장착되는데, 이와 같은 환기량 조절 장치(61)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 가능한 다수의 루버 형태를 취할 수도 있으며, 또는 환기 조절 키트(60)가 뻗은 횡방향으로 장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기 및 지지대를 중심으로 개폐기를 회전시켜 환기 조절 키트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조절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기 조절 장치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은 앞서 설명한 것도 동일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환기 조절 키드(60)의 내부에는 환기량 조절장치(61) 뒤로 필터(62)가 설치되며, 필터(62)의 뒤로는 단차를 두어 환키 조절 키트(60)의 상하를 연결하는 다중층의 단열 흡음재(63, 64, 65)가 설치된다. 그와 같은 다중층의 단열 흡음재의 구조는 도 6b를 보면 잘 알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흡음재의 제 1층(63)이 일정한 간격을 설치된 후 단차를 두고, 즉 지그재그로 제 2층(64)이 제 1층(63) 뒤로 설치되며, 제 2층(64) 뒤로 단차를 두고 제 3층(65)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환기 조절 키트(60)가 설치되는 실내의 방음 및 결로를 예방할 수 있는 단열 기능이 최대화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제 4층 및 제 5층 등을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앞의 실시예에서처럼 환기 조절 키트의 횡방향으로 라인 환기팬을 설치하여 강제식의 환기를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필터(62) 뒤의 단열 흡음재(63, 64, 65)는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단차를 두고 설치되거나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1층(63)과 제3층(65) 사이에 는 환기통로내의 단열성능과 흡음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격막을 설치할 수 도 있다.
예시적으로 이와 같은 환기 조절 키트(60)는 도 2에 도시된 환기통로(20)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제까지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서만 받아들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다양한 변형을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인 권리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유리를 고정하는 고정틀에 환기통로를 마련하고 그 내부에 필터 나 환기량 조절장치 등의 구성요소를 설치함으로써 기존에 창문을 열거나 창의 외곽 프레임에 설치되는 통풍구를 통해서 실내의 공기를 환기하는 방식이 갖는 단점을 보완하여 창문을 열지 않고도 환기가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환기 창문을 제공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유리와 상기 유리를 고정하는 고정틀로 구성된 환기 창문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은 상기 창문이 설치되는 실내외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상기 유리와 평행한 환기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환기통로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와,
    상기 환기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상기 창문이 설치되는 실내 쪽으로 장착되는 환기량 조절장치로서, 상기 창문의 실내 쪽으로 상기 환기통로가 뻗은 방향으로 장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환기통로의 개폐기와, 상기 지지대를 회전축으로 상기 개폐기를 회전시켜 상기 환기통로를 개폐하는 개폐조절기를 구비하는 환기량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창문.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는 상기 환기통로를 닫을 때 상기 환기통로에 밀착하여 접촉하는 패킹재와 상기 패킹재의 뒷면에 부착되는 단열 방음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창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통로는 상기 창문이 설치되는 실외쪽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창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통로의 횡방향으로 상기 환기통로 내부에 장착되는 라인 환기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창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이 설치되는 실외쪽으로 상기 환기통로 상부에 장착되는 빗물막이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창문.
  8. 유리와 상기 유리를 고정하는 고정틀로 구성된 창문의 상기 고정틀에 상기 유리와 평행하게 제공되는 환기통로에 삽입되는 환기 조절 키트로서,
    상기 환기 조절 키트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의 후면으로 단차를 두어 상기 환기 조절 키트의 상하에 연결되는 다중층의 단열 흡음재와,
    상기 환기 조절 키트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상기 필터 전면으로 장착되는 환기량 조절장치로서, 상기 환기 조절 키트가 뻗은 횡방향으로 장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기와, 상기 지지대를 회전축으로 상기 개폐기를 회전시켜 상기 환기 조절 키트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조절기를 구비하는 환기량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조절 키트.
  9. 삭제
  10. 삭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조절 키트의 횡방향으로 상기 환기 조절 키트 내부에 장착되는 라인 환기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조절 키트.
KR1020040036341A 2004-05-21 2004-05-21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 KR100662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341A KR100662657B1 (ko) 2004-05-21 2004-05-21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341A KR100662657B1 (ko) 2004-05-21 2004-05-21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146A KR20050111146A (ko) 2005-11-24
KR100662657B1 true KR100662657B1 (ko) 2006-12-28

Family

ID=37286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341A KR100662657B1 (ko) 2004-05-21 2004-05-21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26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529A (ko) 2019-03-25 2020-10-07 오성종 실내 환기 및 공기정화 창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271B1 (ko) * 2006-01-16 2007-04-17 박기건 차광조절기능을 갖는 유리창
KR101143268B1 (ko) * 2009-09-16 2012-05-11 (주)이엔쓰리 환경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20170001623U (ko) 2015-10-30 2017-05-11 임대호 창문설치용 환기장치
KR101684221B1 (ko) * 2016-04-21 2016-12-09 주식회사 신밧드디자인 수영장 관람석 경계 유리 결로 방지 장치
KR102538734B1 (ko) * 2022-10-27 2023-05-31 최경선 커튼월 구조를 갖는 환기 시스템의 창틀 구조체
KR102534370B1 (ko) * 2022-10-27 2023-05-18 최경선 커튼월 구조를 갖는 환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529A (ko) 2019-03-25 2020-10-07 오성종 실내 환기 및 공기정화 창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146A (ko)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9185B2 (ja) 換気機能付きカーテンウォ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物
WO2009084879A2 (en) Double window having ventilation function
WO2010121456A1 (zh) 建筑通用外门窗遮阳一体化系统
CN101812957B (zh) 隔音通风窗
CN113123537B (zh) 具有邻近屋顶窗户安装的通风单元的屋顶窗户系统及其提供和改装方法、包括其的屋顶结构
KR100662657B1 (ko)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
KR100655086B1 (ko) 자연환기를 위한 기능성 이중외피구조
KR101112684B1 (ko) 창틀이 없는 삼중 창호의 구조
KR100662659B1 (ko)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문
KR101122584B1 (ko) 환기기능을 구비하는 창호시스템
KR100662656B1 (ko) 창유리 부위를 이용한 환기 창문
EP2141424A2 (en) ventilation device
RU120691U1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10025916A (ko) 환기장치
JP4866024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構造
CN206495615U (zh) 设有金刚网的断桥门窗
Roulet et al. Specific devices for natural ventilation
JP4143047B2 (ja) 換気機能付き窓
JP7448897B2 (ja) 換気システム
JP3480418B2 (ja) 換気装置付き断熱サッシ
US20020037697A1 (en) Ventilating structure
EP0551541A1 (en) Interior ventilation adjustment device
RU2189426C2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шумо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EP4350097A1 (en) Dynamic insulation wall assembly and respective control method
JPH04445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