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623U - 창문설치용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창문설치용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623U
KR20170001623U KR2020150007068U KR20150007068U KR20170001623U KR 20170001623 U KR20170001623 U KR 20170001623U KR 2020150007068 U KR2020150007068 U KR 2020150007068U KR 20150007068 U KR20150007068 U KR 20150007068U KR 20170001623 U KR20170001623 U KR 201700016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dy
window
blowing fan
mounting plate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0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대호
Original Assignee
임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대호 filed Critical 임대호
Priority to KR20201500070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623U/ko
Publication of KR201700016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62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틀에 설치되어 창문을 열지 않고도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게 하는 창문설치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밀폐된 내부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면과 후면에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각각 설치되는 기다란 박스본체; 상기 박스본체 내부 중 후면 도어의 안쪽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박스본체의 후방 개구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팬설치판; 상기 팬설치판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박스본체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박스본체의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팬; 상기 박스본체 내부 중 전면 도어의 안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박스본체의 전방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차폐시키기 위한 스로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문설치용 환기장치{Apparatus For Ventilating Installated with Window}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에 설치되어 창문을 열지 않고도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게 하는 창문설치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의 공기 중에는 건강에 해로운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미세먼지, 유해 기체, 악취를 풍기는 냄새 성분과 같이 여러가지 오염물질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실내의 공기는 실외의 신선한 공기로 수시로 대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주거용 건물이나 오피스 건물 등에는 창문을 개폐하여 실내를 환기하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비, 눈 및 황사와 같이 외부 환경이 좋지 않을 경우에는 환기를 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해 왔다. 따라서, 덕트와 같은 별도의 환기시스템을 구비하는 방법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방법이 될 수 있으나, 주거용 건물과 같이 공간의 제약이 있는 장소에는 설치가 어려울 뿐 아니라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환기시스템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큰 설치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외부환경에 따른 악영향을 감수하더라도 창문을 개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11146호는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을 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33282호는“건축물 창호 외기유입 구조물”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은 사용되는 팬의 특성상 송풍량을 늘이는데 한계가 있어 환기의 성능(내지 환기에 소요되는 시간)이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들에 의하면, 창틀의 외관이 불가피하게 변화될 수밖에 없어 실내의 미관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1114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33282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환기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외부 환경에 관계없이 실내환기를 가능케 함과 동시에, 설비 비용이 저렴하며, 미관상 번잡함이 없는 창문설치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문제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면과 후면에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각각 설치되는 기다란 박스본체; 상기 박스본체 내부 중 후면 도어의 안쪽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박스본체의 후방 개구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팬설치판; 상기 팬설치판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박스본체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박스본체의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팬; 상기 박스본체 내부 중 전면 도어의 안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박스본체의 전방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차폐시키기 위한 스로틀(throttle)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설치용 환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로틀수단은 전체면에 걸쳐 다수의 구멍이 타공되어 있는 타공망체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송풍팬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송풍팬은 상기 팬설치판에 마련된 송풍팬설치홈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송풍팬의 후방에는 우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루버도어 형태의 송풍팬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박스본체의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되는 도어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박스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실내 공기를 환기할 시, 창문의 개폐를 하지 않고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으므로, 비, 눈 및 황사와 같은 외부 환경에 관계없이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관상 일반적인 창틀과 다름이 없어 번잡함이 없는 환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설치용 환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설치용 환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설치용 환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창문설치용 환기장치에서 환기커버가 열린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풍기가 내장된 창문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환기장치(10)는 기다란 박스 형태로 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환기장치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면과 후면에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각각 설치되는 기다란 박스본체(11)를 포함하고 있다. 박스본체(11)는 유리창(1)이 끼워지는 창틀의 일부 또는 건물벽에 고정 설치되는 창문틀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박스본체(11)는 유리창이 끼워지는 창틀로 설치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창틀은 사각으로서 각 변을 구성하는 4개의 직선형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환기장치는 창틀(10',10"10"')을 구성하는 각 변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그중 일부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2개의 세로 창틀에 환기장치(10,10')가 설치되고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팬설치판(40)이 박스본체(11)의 후방 개구부를 밀폐시키고 동시에 송풍팬(50)을 설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박스본체(11) 내부 중 후면 도어(14)의 안쪽에 고정 설치된다. 팬설치판(40)은 송풍팬(50)의 설치를 위해 1개 이상의 송풍팬 설치홈(15)을 마련하고 있다.
송풍팬(50)이 팬설치판(40)의 송풍팬 설치홈(15)에 끼워져 고정 설치된다. 송풍팬(50)은 박스본체(1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이를 박스본체(11)의 외부, 즉 건물 외부로 토출시킨다. 박스본체의 내부공간(S)은 부압(負壓)이 걸리도록 송풍팬(50)의 송풍량, 송풍팬(50)의 개수 등을 결정한다. 송풍팬(50)은 건물의 환풍기로 널리 사용되는 구성으로서, 중심에 모터(51)와 블레이드(52)가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이 사용된다. 송풍팬(50)은 박스본체(11)의 외부로 돌출 연장되는 케이블(20) 및 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되는 전원플러그(21)를 통해 외부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스로틀수단(30)은 박스본체(11) 내부 중 전면 도어(13)의 안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박스본체(11)의 전방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차폐시킨다. 스로틀수단은 박스본체(11)의 내부공간(S)이 약간의 부압(負壓)이 걸리도록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것이다. 스로틀수단(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느다란 선재를 직조하여 제작한 타공망체(31) 및 이를 지지하는 지지틀(32)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얇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판재에 다수의 구멍이 촘촘히 타공하여 제작한 형태일 수도 있다. 스로틀수단(30)에 의해 박스본체(11) 전체 면적에 걸쳐 미세한 흡기공이 마련되는 것이다. 스로틀수단(30)은 자석(33) 등에 의해 쉽게 탈부착될 수 있도록 박스본체(11)에 결합될 수 있다. 세척의 용이성을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스로틀수단이 필터의 역할을 할 수도 있게 되므로 별도의 필터링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7에는 다른 형태의 스로틀수단(30')이 개시된다. 이에 의하면 지지틀(32) 내부에 지지판(34)이 설치되고, 필터망(36)은 지지판의 곳곳에 마련된 망설치홈(35)에 끼워져 고정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송풍팬(50)의 후방에는 우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루버도어 형태의 송풍팬커버(41)가 결합될 수 있다. 송풍팬커버(41)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팬설치판(40)에 돌출 형성된 팬지지대(42)에 끼워져 설치된다. 송풍팬커버(41)는 외부틀(41b)과 빗살무늬 형태로 고정되는 복수의 블레이드(41a)로 구성된다. 송풍팬커버(41)는 송풍팬(50)의 형태에 대응되는 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탈부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박스본체(11)의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되는 도어(13,14)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박스본체(11)의 상판(12)과 하판(12')에는 각 도어(13,14)를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홈(12a,12b,12'a,12'b)이 마련된다(도 6 참조).
도어(13,14)에는 손으로 잡고 열 수도 있도록 손잡이(13a)가 마련되어 있다.
도어(13,14)는 박스본체(11)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마련되는데 이들 도어(13,14)는 서로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실내측을 향해 배치되는 전면 도어(13)를 열면 이와 동시에 후면 도어(14)도 열릴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13,14)는 전기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개폐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어개폐를 위한 도어 구동부(미도시됨)가 박스본체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도어는 여닫이식을 개폐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 이외에도 다양한 개폐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송풍팬이 가동하게 되면, 내부공간은 부압이 작용하게 된다. 이 부압은 실내측공기로 하여금 화살표(IA) 방향을 따라 박스본체(11)의 전체 면적에 걸쳐 고르게 박스본체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박스본체에 유입된 공기는 송풍팬에 의해 실외로 화살표(OA) 방향을 따라 배출되게 된다. 도 6에는 3개의 송풍팬(50)이 도시되어 있지만, 언급한 것처럼 송풍팬(50)은 1개 또는 3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환기장치는 사용자가 스위치를 켬으로써 작동하도록 할 수 있지만, 특정 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운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타이머 및 마이콤을 더 구비함으로써 특정시각에 특정 시간 동안 자동적으로 운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 : 유리창 10 : 환기장치
11 : 박스본체 13 : 전면도어
14 : 후면도어 20 : 케이블
30 : 스로틀(throttle)수단 31 : 타공망체
33 : 자석 36 : 필터망
40 : 팬설치판 41 : 송풍팬커버
50 : 송풍팬

Claims (4)

  1. 밀폐된 내부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면과 후면에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각각 설치되는 기다란 박스본체;
    상기 박스본체 내부 중 후면 도어의 안쪽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박스본체의 후방 개구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팬설치판;
    상기 팬설치판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박스본체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박스본체의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팬;
    상기 박스본체 내부 중 전면 도어의 안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박스본체의 전방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차폐시키기 위한 스로틀(throttle)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설치용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수단은 전체면에 걸쳐 다수의 구멍이 타공되어 있는 타공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설치용 환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팬설치판에 마련된 송풍팬설치홈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송풍팬의 후방에는 우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루버도어 형태의 송풍팬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설치용 환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의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되는 도어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박스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설치용 환기장치.
KR2020150007068U 2015-10-30 2015-10-30 창문설치용 환기장치 KR201700016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068U KR20170001623U (ko) 2015-10-30 2015-10-30 창문설치용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068U KR20170001623U (ko) 2015-10-30 2015-10-30 창문설치용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623U true KR20170001623U (ko) 2017-05-11

Family

ID=58716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068U KR20170001623U (ko) 2015-10-30 2015-10-30 창문설치용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62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094A (ko) * 2020-03-05 2021-09-15 백복현 공기 청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1146A (ko) 2004-05-21 2005-11-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
KR100733282B1 (ko) 2007-04-06 2007-06-28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남양 건축물 창호 외기유입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1146A (ko) 2004-05-21 2005-11-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
KR100733282B1 (ko) 2007-04-06 2007-06-28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남양 건축물 창호 외기유입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094A (ko) * 2020-03-05 2021-09-15 백복현 공기 청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4461A (en) Portable window dryer vent
KR101864160B1 (ko) 창문 실내외 겸용 공기청정기
KR100754926B1 (ko) 창호용 환기장치
US8727842B2 (en) Filter fan with a quick fastening device
KR20190025270A (ko) 창문형 환기 필터장치
US8371913B1 (en) Exterior sealed window-mounted fan
KR20170046117A (ko) 여닫이 방식의 환기 장치
KR20150140074A (ko)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
KR20200113529A (ko) 실내 환기 및 공기정화 창문
KR20170001623U (ko) 창문설치용 환기장치
KR20090046344A (ko) 방충망이 구비된 시스템 루버
KR100980199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장착연결구조
KR102186948B1 (ko) 창문형 공기 청정기
JP4691172B2 (ja) 換気フード
KR101971168B1 (ko) 환기용 공기 청정기를 구비한 미세먼지 차단 창호 시스템
JP6470504B2 (ja)
JP2016090154A (ja) 空気清浄装置
KR101995119B1 (ko) 창문설치형 공기청정기
WO2017022087A1 (ja) 換気扇
KR102370391B1 (ko)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
KR102280520B1 (ko) 유리창 대체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KR101772888B1 (ko) 창호용 환기장치
KR102343614B1 (ko) 환기량이 증대되는 자연환기장치
JP7377537B2 (ja) 窓装置
JP2017161116A (ja) 換気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463;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46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126

Effective date: 2017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