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0074A -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 - Google Patents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0074A
KR20150140074A KR1020140068351A KR20140068351A KR20150140074A KR 20150140074 A KR20150140074 A KR 20150140074A KR 1020140068351 A KR1020140068351 A KR 1020140068351A KR 20140068351 A KR20140068351 A KR 20140068351A KR 20150140074 A KR20150140074 A KR 20150140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fixing
mounting base
ventilation fan
b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국
Original Assignee
이성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국 filed Critical 이성국
Priority to KR1020140068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0074A/ko
Publication of KR20150140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0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미닫이 타입의 창문이 설치되는 창틀프레임(1)에 환풍기(2)를 설치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전후가 개방된 사각형체로 상부에 판상의 제1고정대(11)가 연장 형성되고, 하부에 판상의 제2고정대(12)가 연장형성되며, 전면에는 환풍기(2)를 체결부재(S)로서 고정하기 위한 사각 틀 형태의 결합부(13)가 일체로 형성된 설치대 본체(10)와; 상기 창틀프레임(1)에 일측이 걸쳐지는 지지플레이트(21)와, 지지플레이트(21)의 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설치대 본체(10)의 제1고정대(11) 및 제2고정대(12)를 관통지지하는 체결축(22) 및 지지축(23)을 포함하는 연결브라켓(20)과; 상기 연결브라켓(20)의 체결축(22)에 체결되어 창틀프레임(1)에 설치대 본체(1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별도로 구입하여 장착 사용하는 통상적인 환풍기를 설치대 본체에 장착하고, 설치대 본체는 창틀프레임에 손쉽게 연결브,라켓과 고정부재로서 공구 없이 손수 장착함으로써, 창틀을 훼손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환풍기 및 환풍기 설치대의 세팅이 용이하며, 세팅된 설치대는 연장블럭의 다단조합으로서 창문의 높이에 맞추어 연장 설치가 가능하고, 작은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용도도 활용할 수 있으며, 또 하나의 환풍기를 연결블럭과 조합하여 창틀 높이에 맞추어 다양하게 환풍기 장착사용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Ventilation fan mount for window frame fixing}
본 발명은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닫이 형식의 창틀로부터 환풍기 설치대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손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환풍기 또한 설치대에 손쉽게 세팅하여 사용가능하도록 하며, 창문의 높이에 따라서는 연장 설치 및 2중으로 환풍기의 장착 및 물품을 보관 및 장식할 수 있는 선반을 제공하여 인테리어에 의한 미감을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풍기는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 회전축을 갖는 전동 모터와, 전동 모터의 회전축에 맞물려 회전되는 환풍팬과, 전동 모터 및 환풍팬을 둘러싸는 보호 하우징 및 커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환풍기는 대개 건물의 화장실이나 또는 지하실 등에 설치되어 내부의 냄새나 습기를 외부로 배기하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근자들어서는 여름철에 실내의 더운 공기를 밖으로 배기하거나 또는 실내의 습한 공기와 쾌쾌한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거실이나 사무실 또는 방 등에 설치되기도 한다.
또한, 환풍기는 예를 들어 흡연실과 같이 밀폐된 공간에서 담배를 흡연할 때 발생되는 담배연기를 쉽게 배기하도록 하기 위해 흡연실 등에도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이 환풍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환풍팬의 회전동작에 의해 실내의 공기 및 냄새 등이 외부로 배기되도록 환풍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의 벽면이나 또는 창틀의 창문에 필수적으로 구멍을 뚫어 환풍기를 설치하여야 했다.
이에 따라, 벽면이나 창문에 구멍을 뚫는 작업이 어렵고 더딜 뿐만 아니라,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먼지 등에 의해 주변에 해를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창문에 구멍을 뚫기 위해서는 전문가가 직접 작업을 해야 하고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창문의 유리가 깨지거나 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물론, 창문이 구비된 창틀에 환풍기를 설치하고자 할 때 창틀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창문을 일정범위만큼 열은 다음 열린 창문과 창틀 사이의 공간에 환풍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환풍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나머지 공간을 다시 막아주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환풍장치를 창문의 창틀에 설치한 다음 나머지 공간을 스치로폼이나 판재로 막고는 있음에 따라 겨울철에 외부의 냉기가 스치로폼이나 판재 사이로 들어와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의 열손실이 발생되고, 여름철의 경우에는 창틀에 설치된 환풍장치에 의해 창문의 개방공간이 적어지기 때문에 실내의 온도가 크게 상승하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설치된 환풍장치의 경우에도 환풍장치의 환풍팬이 위치된 공간은 항상 뚫린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이 공간측으로 겨울철의 차가운 냉기나 여름철의 뜨거운 공기가 실내로 유입하게 되어 실내의 열손실을 야기시키게 되고, 여름철의 경우에는 모기나 파리와 같은 해충까지도 유입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로서, 등록실용 20-0458368호인 창틀고정용 환기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창틀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통기구가 관통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통기구와 연통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정면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본체의 배면측에 설치되되 다수의 슬릿이 관통 형성되는 배면플레이트와, 상기 통기구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합홈에 끼워져 삽입되는 필터부재와, 상기 본체의 정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통기구 상에 끼워져 결합되며, 내측에 회동가능한 팬이 설치되는 환풍장치와,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어 상기 환풍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 역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58368(2012.01.26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14567(2006.04.17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미닫이 형식의 창틀로부터 환풍기 설치대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손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환풍기 또한 설치대에 손쉽게 세팅하여 사용가능하도록 하며, 창문의 높이에 따라서는 연장 설치 및 2중 환풍기의 장착 및 물품을 보관 및 장식할 수 있는 선반을 제공하여 인테리어에 의한 미감을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는, 미닫이 타입의 창문이 설치되는 창틀 프레임에 환풍기를 설치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전후가 개방된 사각형체로 상부에 판상의 제1고정대가 연장 형성되고, 하부에 판상의 제2고정대가 연장형성되며, 전면에는 환풍기를 체결부재로서 고정하기 위한 사각 틀 형태의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설치대 본체와; 상기 창틀 프레임에 일측이 걸쳐지는 지지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의 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설치대 본체의 제1고정대 및 제2고정대를 관통지지하는 체결축 및 지지축을 포함하는 연결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의 체결축에 체결되어 창틀 프레임에 설치대 본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가 제공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고정대에는 연결브라켓의 체결축 및 지지축이 안내되는 장공이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대에는 연결브라켓의 체결축 및 지지축이 관통 안내되는 결합공이 다수개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설치대 본체의 상부에는 창틀 높이에 따라 설치대 본체의 상부로 전면 내측 공간부를 갖는 연장블럭이 다단으로 연결조립되기 위한 블럭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장블럭은 양측면과 후면을 제외한 전방과 상하부가 전면과 개방된 형체로 상하부에는 상호 다단 연결을 위한 조립돌부 및 조립홈이 교호로 형성되고, 양측면의 내측에는 돌출턱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돌출턱에는 양단이 안착되어 물품을 받치는 받침플레이트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단으로 연결되는 연장블럭 중 최상부에 위치하는 연장블럭의 상부에는 제1고정대가 구비되어 창틀의 상부측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설치대 본체는 연장블럭의 연결 조합과 함께 또 하나의 설치대 본체가 더 구비되는 형태로 조합되어 창틀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는 나비너트 또는 내측에 너트가 인서트 된 손잡이 일체형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설치대 본체의 결합부 전면에는 공기 유도를 위한 그릴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별도로 구입하여 장착 사용하는 통상적인 환풍기를 설치대 본체에 장착하고, 설치대 본체는 창틀프레임에 손쉽게 연결브,라켓과 고정부재로서 공구 없이 손수 장착함으로써, 창틀을 훼손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환풍기 및 환풍기 설치대의 세팅이 용이하며, 세팅된 설치대는 연장블럭의 다단조합으로서 창문의 높이에 맞추어 연장 설치가 가능하고, 작은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용도도 활용할 수 있으며, 또 하나의 환풍기를 연결블럭과 조합하여 창틀 높이에 맞추어 다양하게 환풍기 장착사용에 유리한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환풍기 설치대에 환풍기 및 그릴부재가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환풍기 및 그릴부재가 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대 본체를 창틀프레임에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에서 설치대 본체를 창틀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3에서 설치대 본체를 창틀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대 본체에 연장블럭이 다단으로 적용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설치대 본체에 연장블럭이 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6에서 서치대 본체를 창틀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대 본체를 연장블럭에 대해 상,하부에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도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설치대 본체를 창틀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풍기 설치대의 설치 및 설치대본체에 환풍기 및 기타 장식공간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미닫이 타입의 창문이 설치되는 창틀프레임(1)에 환풍기(2)를 설치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전후가 개방된 사각형체로 상부에 판상의 제1고정대(11)가 연장 형성되고, 하부에 판상의 제2고정대(12)가 연장형성되며, 전면에는 환풍기를 체결부재로서 고정하기 위한 사각 틀 형태의 결합부(13)가 일체로 형성된 설치대 본체(10)와; 상기 창틀프레임(1)에 일측이 걸쳐지는 지지플레이트(21)와, 지지플레이트(21)의 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설치대 본체(10)의 제1고정대(11) 및 제2고정대(12)를 관통지지하는 체결축(22) 및 지지축(23)을 포함하는 연결브라켓(20)과; 상기 연결브라켓(20)의 체결축(22)에 체결되어 창틀프레임(1)에 설치대 본체(1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고정대(11)에는 연결브라켓(20)의 체결축(22) 및 지지축(23)이 안내되는 장공(11a)이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대(12)에는 연결브라켓(20)의 체결축(22) 및 지지축(23)이 안내 관통되는 결합공(12a)이 다수개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2a)은 제2고정대(12)에 있어 각각 4개소를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설치대 본체(10)의 상부에는 첨부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창틀프레임(1)의 높이에 따라 설치대 본체(10)의 상부로 전면 내측 공간부(41)를 갖는 연장블럭(40)이 다단으로 연결조립되기 위한 블럭연결부(14)가 형성된다.
상기 블럭연결부(14)는 설치대 본체(10)의 상부에 있어, 상기와 같은 고정대(11)는 생략 상태에서 상부 모서리측 전후에 후술하는 연장블럭측과 동일한 조립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홈에는 두개의 조립턱이 일체로 간격지게 형성된 연결블럭(47)으로써, 설치대 본체와 연장블럭(40)이 연결 조합되도록 한다.
상기 연장블럭(40)은 양측면과 후면을 제외한 전방과 상,하부가 개방된 형체로 상,하부에는 상호 다단 연결을 위한 조립돌부(42) 및 조립홈(43)이 교호로 형성되고, 양측면의 내측에는 돌출턱(44)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돌출턱(44)에는 양단이 안착되어 물품을 받치는 받침플레이트(45)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다단으로 연결되는 연장블럭(40) 중 최상부에 위치하는 연장블럭의 상부에는 제1고정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3고정대(46)가 구비되어 창틀프레임(1)과 연결 설치되도록 한다. 제3고정대(46)에 형성된 장공은 상기 고정대와 구분하기 위해 부호 표기상 46a로 표기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설치대 본체(10)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블럭(40)들의 연결 조합과 함께 또 하나의 설치대 본체(1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설치대 본체(10')는 창틀프레임의 상부에서 연결브라켓에 의해 조합 설치되고, 하부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대(11)측의 조립홈과 동일한 형성되도록 하여 두개의 조립턱이 일체로 간격지게 형성된 연결블럭(47)으로서 연장블럭(40)과 연결 조합하여 사용하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치대 본체(10)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고정부재(30)는 나비너트 또는 내측에 너트가 인서트 된 손잡이 일체형 너트를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타입은 별도의 드라이버, 렌치 등과 같은 체결용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창틀프레임(1)에 설치대 본체(10)를 손쉽게 장착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환풍기(2)가 설치되는 설치대 본체(10)의 결합부(13) 전면에는 실내측에서 외측으로 공기 배출유도를 위한 그릴부재(50)가 더 장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환풍기(2)는 설치대 본체(10)에 선 고정한 다음, 설치대 본체(10)를 창틀프레임(1)에 위치시키는 4지점의 연결브라켓(20)을 통해 창틀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브라켓(20)은 창틀프레임(1)의 내측 즉, 실내측 방향에서 볼 때 제일 외곽에 해당하는 외측에 연결브라켓의 지지플레이트(21) 일측을 위치시키고, 설치대 본체(10)의 하부측에 위치한 제2고정대(12)에 형성된 결합공(12a)을 연결브라켓(20)의 체결축(22) 및 지지축(23)을 관통시킨 다음, 외측에서 고정부재(30)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축(22)에 나사체결시켜 줌으로써 설치대 본체(10)의 하부를 선 고정시켜 준다.
상기 고정부재(30)는 도구의 필요없이 체결할 수 있는 나비너트 또는 너트가 인서트되어 사출 성형된 너트 중 어느 하나로 손쉽게 체결함으로써, 설치대 본체의 하부측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의 설치대 본체(10)의 상부는 창틀프레임(1)에 있어 상부측에도 연결브라켓(20)을 상술한 바와 같이 창틀프레임의 외측에 걸치는 형태로 위치시키고, 제1고정대(11)의 장공(11a)을 체결축(22) 및 지지축(23)을 관통시킨 다음. 외측에서 고정부재(30)를 이용하여 체결고정함으로써, 설치대 본체(10)를 포함한 환풍기(2)의 설치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고정대(11)의 장공(11a) 부분은 미닫이 형태의 창문이 설치되는 창틀에 연결브라켓을 통해 고정되기 위한 것으로서 창틀의 높이에 따른 설치대 본체의 설치를 고려하여야 한다.
이는 고정대(11)의 장공(11a)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설치대 본체(10)를 상하방향으로 미세조정하여 창틀 높이 범위에서 설치대 본체(10)의 안정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한편, 상기 설치대 본체(10)는 그 상부에 연장블럭(40)을 다층으로 다단 조립함으로써, 창틀 높이에 대한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연장블럭(40)은 조립돌부(42) 및 조립홈(43)의 상호 연결조합과 후방 상부측에서는 연결블럭(47)으로 이음 설치가 가능하다.
최상부에 위치한 연장블럭(40)의 전면에는 상부측을 횡방향으로 가릴 수 있는 가림판(40-1)이 조합되도록 한다. 상기 가림판의 후방에는 연장블럭의 조힙폼에 결합되는 조립턱이 돌출형성되어 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타입의 설치는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연장블럭(40)을 다단 조합하여 창틀에 설치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남는 공간을 막아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사용 예에서 연장블럭(40)은 내측 공간부(41)에 받침플레이트(45)를 안착시킴으로써, 기타 소형 장식물, 생활용품 등을 얹어놓는 미니 선반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9 및 도 10은 창틀의 길이가 길어 환풍기 하나만으로는 배출이 원활하지 못할 때, 두개의 환풍기(2)를 상하측 설치대 본체(10, 10')에 각각 설치하고지 할 때, 하나 이상의 연장블럭(40)을 사이에 연결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에 연결브라켓(20)을 이용하여 설치대 본체(10)를 별도의 공구 없이 창틀에 세팅 및 해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치대 본체에는 시중에서 유통판매되는 통상적인 환풍기(2)를 손쉽게 별도의 장착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환풍기의 교체 및 유지보수에 매우 유리한 이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환풍기 설치대는 창틀에 구비된 창문을 열고 닫음에 전혀 간섭을 받지 않으며, 창틀을 훼손시키지 않는다는 장점과 함께 누구나 쉽게 빠르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창틀프레임 2: 환풍기
10, 10' : 설치대 본체 11 : 제1고정대
11a: 장공 12: 제2고정대
12a: 결합공 13: 결합부
14: 블럭연결부 20: 연결브라켓
21: 지지플레이트 22: 체결축
23: 지지축 30: 고정부재
40: 연장블럭 41: 내측 공간부
42: 조립돌부 43: 조립홈
44: 돌출턱 45: 받침플레이트
46: 제3고정대 47: 연결블럭
50: 그릴부재 S: 체결부재

Claims (8)

  1. 미닫이 타입의 창문이 설치되는 창틀프레임(1)에 환풍기(2)를 설치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전후가 개방된 사각형체로 상부에 판상의 제1고정대(11)가 연장 형성되고, 하부에 판상의 제2고정대(12)가 연장형성되며, 전면에는 환풍기(2)를 체결부재(S)로서 고정하기 위한 사각 틀 형태의 결합부(13)가 일체로 형성된 설치대 본체(10)와;
    상기 창틀프레임(1)에 일측이 걸쳐지는 지지플레이트(21)와, 지지플레이트(21)의 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설치대 본체(10)의 제1고정대(11) 및 제2고정대(12)를 관통지지하는 체결축(22) 및 지지축(23)을 포함하는 연결브라켓(20)과;
    상기 연결브라켓(20)의 체결축(22)에 체결되어 창틀프레임(1)에 설치대 본체(1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대(11)에는 연결브라켓(20)의 체결축(22) 및 지지축(23)이 안내되는 장공(11a)이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대(12)에는 연결브라켓(20)의 체결축(22) 및 지지축(23)이 안내 관통되는 결합공(12a)이 다수개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 본체(10)의 상부에는 창틀프레임(1)의 높이에 따라 설치대 본체(10)의 상부로 전면 내측 공간부(41)를 갖는 연장블럭(40)이 다단으로 연결조립되기 위한 블럭연결부(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블럭(40)은 양측면과 후면을 제외한 전방과 상,하부가 개방된 형체로 상하부에는 상호 다단 연결을 위한 조립돌부(42) 및 조립홈(43)이 교호로 형성되고, 양측면의 내측에는 돌출턱(44)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돌출턱(44)에는 양단이 안착되어 물품을 받치는 받침플레이트(45)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으로 연결되는 연장블럭(40) 중 최상부에 위치하는 연장블럭의 상부에는 제1고정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3고정대(46)가 구비되어 창틀프레임(1)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 본체(10)는 연장블럭(40)의 연결 조합과 함께 또 하나의 설치대 본체(10')가 더 구비되는 형태로 조합되어 창틀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는 나비너트 또는 내측에 너트가 인서트 된 손잡이 일체형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 본체(10)의 결합부 전면에는 공기 유도를 위한 그릴부재(5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
KR1020140068351A 2014-06-05 2014-06-05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 KR20150140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351A KR20150140074A (ko) 2014-06-05 2014-06-05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351A KR20150140074A (ko) 2014-06-05 2014-06-05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074A true KR20150140074A (ko) 2015-12-15

Family

ID=55021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351A KR20150140074A (ko) 2014-06-05 2014-06-05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007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968Y1 (ko) * 2016-02-19 2016-12-01 이성국 창틀 설치형 환풍장치
KR102097791B1 (ko) 2019-12-06 2020-04-06 서현재 창틀용 환풍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문 조립체
KR20200075454A (ko) 2018-12-18 2020-06-26 서현재 창틀용 환풍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문 조립체
KR20200129563A (ko) * 2019-05-09 2020-11-18 주식회사 조은바람 창문형 공기정화기 설치방법
KR102507833B1 (ko) 2022-08-11 2023-03-08 서현재 스마트 환풍기 조립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968Y1 (ko) * 2016-02-19 2016-12-01 이성국 창틀 설치형 환풍장치
KR20200075454A (ko) 2018-12-18 2020-06-26 서현재 창틀용 환풍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문 조립체
KR20200129563A (ko) * 2019-05-09 2020-11-18 주식회사 조은바람 창문형 공기정화기 설치방법
KR102097791B1 (ko) 2019-12-06 2020-04-06 서현재 창틀용 환풍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문 조립체
KR102507833B1 (ko) 2022-08-11 2023-03-08 서현재 스마트 환풍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40074A (ko)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
US6974383B2 (en) Cabinet for air handling equipment
EP1684022A4 (en) EXTERNAL UNIT OF A CLIMATISEUR
EP1933039A4 (en) CENTRIFUGAL FAN AND THIS INSTALLING AIR CONDITIONING
KR20160142605A (ko) 창문에 설치되는 실내공기 환풍장치
WO2009020170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20170046117A (ko) 여닫이 방식의 환기 장치
KR100639037B1 (ko) 공동주택의 환기장치
US20110219714A1 (en) Built-in interior wall cavity drying and filtration system
KR20080045301A (ko) 공기 조화 장치
KR102159867B1 (ko) 창틀용 환풍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문 조립체
US2592174A (en) Ventilating apparatus
KR200358405Y1 (ko) 강제식 환기장치의 장착구
KR100717342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70097483A (ko) 방향제가 분사되고 창틀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환풍기
KR20170079558A (ko) 환풍 장치
KR200481968Y1 (ko) 창틀 설치형 환풍장치
KR20170001623U (ko) 창문설치용 환기장치
KR101329302B1 (ko) 창틀의 통풍장치
KR20120008405U (ko) 차단구
KR20170019634A (ko) 여닫이 방식의 환기 장치
KR102630352B1 (ko) 이중창 내입형 환기용 공기청정기
JP3177376U (ja) 風向調節後付ユニット
JP4645098B2 (ja) 換気装置と換気システムと住宅構造
KR20150015712A (ko) 환풍장치 설치방법 및 환풍장치 설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