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391B1 -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391B1
KR102370391B1 KR1020210115445A KR20210115445A KR102370391B1 KR 102370391 B1 KR102370391 B1 KR 102370391B1 KR 1020210115445 A KR1020210115445 A KR 1020210115445A KR 20210115445 A KR20210115445 A KR 20210115445A KR 102370391 B1 KR102370391 B1 KR 102370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opening
clos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호
Original Assignee
정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호 filed Critical 정선호
Priority to KR1020210115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3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가 구성된 복수개의 환기팬; 창문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고정홈과, 내측 창문 및 방충망의 프레임부가 밀착되게 고정되는 측면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환기팬이 결합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부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환기팬의 후방부가 연결되어 실내 공간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부와, 상기 배기부를 개폐시키는 개폐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배기 프레임; 및 상기 스위치로부터 온/오프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환기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외측창문의 개폐 여부에 따라 실내 공간에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Window type ventilation system with improved airtightness and watertightness}
본 발명은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되, 이 창틀에 구성되는 내측 창문 및 방충망과의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미세먼지나 빗물 등의 유입을 차단하고, 내측 창문이나 방충망이 임의적으로 분리되어 환기장치와의 기밀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시간을 주기로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는 것이 좋다. 특히, 근래에 들어 실내공기는 실내에서 음식을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나 각종 건축자재, 또는 전자기기에 의해 발생하는 유해물질 등에 의하여 쉽게 오염되는데, 이렇게 오염된 공기가 실내에 지속적으로 축적되면 거주자의 건강을 악화시키고, 각종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환기를 시켜주어야 한다.
또한, 최근 들어, 실내에서의 활동시간 증가에 따른 실내 환경 및 실내공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데, 공공주택 등에서는 창문의 기밀성이 높을수록 에너지 손실율은 작아지지만 환기량도 아울러 작아지기 때문에 실내공기 질의 저하를 피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오염된 실내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공기청정기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신선한 외부공기의 지속적인 유입을 차단한 채,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단순히 실내에서 반복하여 순환시키기 때문에 그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86948호에는, 창틀 프레임에 설치되는 공기청정기로서,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여 실내로 유입시키는 제1 필터 어셈블리가 제1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일체화된 제1 필터 유닛; 및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여 실내로 유입시키는 제2 필터 어셈블리가 제2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일체화된 제2 필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 유닛은 제1 필터 유닛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필터 유닛에 대한 전면 배치 상 태가 해제되도록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제1 필터 유닛에 결합되는 창문형 공기 청정기가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의하면, 단순히 실내의 공기 청정을 위해 창틀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으로, 송풍팬 등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이 창문형 공기 정정기와 연결되는 창문이 임의적으로 개방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공기 청정기와 창문 사이에 이격 공간을 발생시켜 오히여 외부 미세먼지나 빗물 등의 침투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86948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창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되, 이 창틀에 구성되는 내측 창문 및 방충망과의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미세먼지나 빗물 등의 유입을 차단하고, 내측 창문이나 방충망이 임의적으로 분리되어 환기장치와의 기밀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시키는 경우, 실내 공간의 공기량이 저하되면서 압력이 상승하면서 오염된 공기의 배기량이 저하되어, 압력 상승에 따른 환기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환기장치가 구동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환기장치가 미설치된 다른 창문을 개방시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오염된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배기시킬 수 있는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기장치가 설치된 창문의 개폐 여부에 따라 환기장치의 실외측 개폐 블레이드가 함께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환기장치의 미사용시 환기장치를 통해 미세먼지나 벌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가 구성된 복수개의 환기팬; 창문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고정홈과, 내측 창문 및 방충망의 프레임부가 밀착되게 고정되는 측면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환기팬이 결합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부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환기팬의 후방부가 연결되어 실내 공간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부와, 상기 배기부를 개폐시키는 개폐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배기 프레임; 및 상기 스위치로부터 온/오프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환기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외측창문의 개폐 여부에 따라 실내 공간에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상기 배기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을 분할하고, 상기 컨트롤러의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중앙 분리판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측면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내측창문의 프레임부가 밀착되게 고정되는 전방 기밀부재와, 상기 전방 기밀부재의 후방부에 구성되고, 상기 방충망의 프레임부가 삽입 및 고정되는 창문 고정부와, 상기 창문 고정부에 구성되고, 상기 방충망의 프레임부가 밀착되는 후방 기밀부재와,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전원 공급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방 기밀부재 및 후방 기밀부재는, 상기 내측 창문 및 방충망의 프레임부에도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기 프레임에는, 상기 창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전기어; 상기 외측창문에 구성되며, 상기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개폐레일; 상기 회전기어와 연결되는 동력 전달부재; 상기 개폐 블레이드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동력 전달부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개폐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개폐축; 상기 동력 전달부재 및 상기 개폐축을 연결하는 개폐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개폐 가이드 부재의 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재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개폐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환기장치에는 상기 외측창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여부에 따라 개폐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외측창문에 구성되고, 상기 감지센서로 개폐신호를 전송하는 개폐센서로 구성되는 센서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부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외측창문에 대한 개폐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복수개의 환기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환기장치에는, 상기 복수개의 환기팬이 미설치된 창문에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창문을 개방시켜 실내 공간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구동부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상기 창문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 사이의 이격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환기장치의 구동시 상기 복수개의 환기팬 주변으로 오염된 실내 공기, 또는 외부 오염된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것을 차단하는 프레임 장착부재가 더 구성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 장착부재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유리 프레임; 상기 상부 유리 프레임에 결합되는 밀폐유리; 상기 상부 유리 프레임의 하부에 승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부 유리 프레임; 상기 하부 유리 프레임에 장착되는 승강유리; 및 상기 밀폐유리 및 승강유리의 둘레면에 결합되며, 양측부로 승강레일을 형성하는 승강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창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되, 이 창틀에 구성되는 내측 창문 및 방충망과의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미세먼지나 빗물 등의 유입을 차단하고, 내측 창문이나 방충망이 임의적으로 분리되어 환기장치와의 기밀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실내 공간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시키는 경우, 실내 공간의 공기량이 저하되면서 압력이 상승하면서 오염된 공기의 배기량이 저하되어, 압력 상승에 따른 환기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환기장치가 구동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환기장치가 미설치된 다른 창문을 개방시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오염된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배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환기장치가 설치된 창문의 개폐 여부에 따라 환기장치의 실외측 개폐 블레이드가 함께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환기장치의 미사용시 환기장치를 통해 미세먼지나 벌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를 나타낸 후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의 개폐수단, 도어 구동부재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는 스위치(20)가 구성된 복수개의 환기팬(10)이 장착되고, 창문 프레임(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 프레임(100)과, 이 본체 프레임(100)의 후방부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환기팬(10)의 구동시 오염된 실내 공기를 실외측으로 배출하고, 빗물이나 이물질 등이 환기팬(1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기 프레임(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 프레임(100)은 중앙부가 관통되게 형성되며, 복수개의 환기팬(10)이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팬 장착홀(102)이 형성된다.
이때, 본체 프레임(100)에는 팬 장착홀(102)에 결합되며, 배기 프레임(200)과 본체 프레임(100)을 분할하는 한편, 컨트롤러(300) 및 전원 및 통신 케이블 등의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중앙 분리판(120)이 구성된다.
여기서, 중앙 분리판(120)은 복수개의 환기팬(10)에 구성되는 모터 등이 관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환기팬(10)의 프레임, 컨트롤러(300), 케이블 등이 결합되도록 스크류 등이 체결되는 체결공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300)는 상기 복수개의 환기팬(10)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며, 후술할 센서부(410)와 연동하여 개폐수단(430) 및 도어 구동부재(4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00)가 장착된다.
또한, 본체 프레임(100)은 창문 프레임(3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면에 각각 소정의 요홈의 형태로 구성되며, 창문 프레임(30)에 구성되는 요철부가 삽입되는 프레임 고정홈(14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요철부는 외측창문(40), 내측 창문(50) 및 방충망(60) 등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체 프레임(100)에는 양측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창문 프레임(30)과의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이 창문 프레임(30)에 결합되어 있는 내측 창문(50) 및 방충망(60)이 각각 밀착, 또는 결합되도록 지지하는 측면 프레임(110)이 구성된다.
여기서, 외측창문(40)은 창문 프레임(30)으로부터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본체 프레임(100)의 노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측 창문(50)과 방충망(60)은 창문 프레임(30)에 밀착되는 일측 단부가 측면 프레임(110)의 전방 기밀부재(112)와 후방 기밀부재(118)에 각각 밀착되게 구성되면서 실내 공간에 대한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전방 기밀부재(112)와 후방 기밀부재(118)는 내측 창문(50) 및 방충망(6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의 후면부와 각각 밀착되게 구성되도록 브러쉬 형태의 기밀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전방 기밀부재(112)와 후방 기밀부재(118)는 본체 프레임(110)의 측면 프레임(110)에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내측 창문(50) 및 방충망(6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에도 구성되어 각각의 기밀부재들 간의 밀착에 의해 내측 창문(40)과 본체 프레임(100) 간의 보다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전방 기밀부재(112)와 후방 기밀부재(118)는 소정의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시트로 구성되어 상기 내측 창문(50) 및 방충망(60)의 프레임부와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통상의 벨크로테이브로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에도 부착되어 서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측면 프레임(110)에는 전방 기밀부재(112)의 후방으로 방충망(60)의 프레임부가 삽입 및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창문 고정부(116)가 형성된다.
이때, 창문 고정부(116)에는 내면으로 전술한 후방 기밀부재(118)를 더 구성하여 방충망(60)과의 기밀성을 극대화하는 한편, 이 방충망(60)이 임의적으로 본체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요철부를 따라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측면 프레임(110)에는 컨트롤러(300)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전원선 등과 같은 케이블이 수용되는 전원 공급부(13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부(130)는 전원선 등이 관통하는 소정의 홀의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커넥터 등으로 구성되어 콘센트 등과 연결되는 전원선의 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사용자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보다 다양하게 전원선을 배치할 수 있어 전원 공급으로 인한 설치 한계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30)는 측면 프레임(110)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체 프레임(100)의 둘레면 중 어느 한 면, 또는 두개의 면에 각각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본체 프레임(10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 프레임(30)과 환기장치 간의 크기(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에 대한 길이)가 일치하지 않아 상기 창문 프레임(30)과 본체 프레임(100) 사이의 이격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환기장치의 구동시 환기팬(10) 주변으로 오염된 실내 공기, 또는 외부 오염된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것을 차단하는 프레임 장착부재(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 장착부재(500)는 본체 프레임(10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프레임 고정홈(1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유리 프레임(510)과, 이 상부 유리 프레임(510)에 결합되는 밀폐유리(502)와, 상부 유리 프레임(510)의 하부에 승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부 유리 프레임(520)과, 상기 하부 유리 프레임(520)에 장착되는 승강유리(504) 및 밀폐유리(502) 및 승강유리(504)에는 그 둘레면에 결합되며, 양측부로 승강레일을 형성하는 승강 프레임(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승강 프레임(530)은 서로 승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밀폐유리(502)에 구성되는 상부 승강 프레임과, 승강유리(504)에 구성되는 하부 승강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승강 프레임에는 상부면으로 상기 상부 승강 프레임의 승강레일에 승강 작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레버(540)가 구성되어 승강유리의 승강 여부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배기 프레임(2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0)의 후방부에 구성되며, 방충망(60)의 외부로 노출되어 오염된 실내 공기가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외부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기 프레임(200)은 상부 및 하부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중앙 분리판(120)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연통하는 배기부(202)가 구성되고, 이 배기부(202)를 개폐시키는 개폐 블레이드(210)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 블레이드(210)는 후술할 컨트롤러(300)의 제어에 따라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예로, 상기 개폐 블레이드(210)는 구동모터 및 구동축과 같은 수단과 연결되고, 컨트롤러(300)가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개폐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 프레임(30)의 상부 프레임, 또는 하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외측창문(40)의 상측 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이 상측 프레임의 개방 작동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는 회전기어(422)를 구비하는 개폐레일(420)이 구성되고, 상기 회전기어(422)와 연결되어, 이 회전기어(42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개폐 블레이드(210)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43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개폐수단(430)은 상기 회전기어(422)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기어(422)의 회전 작동시 함께 회전하는 동력 전달부재(432)와, 개폐 블레이드(2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동력 전달부재(43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개폐 블레이드(210)를 회전시키는 개폐축(434)과, 상기 동력 전달부재(432) 및 개폐축(434)을 연결하는 개폐 가이드 부재(436) 및 상기 개폐 가이드 부재(436)의 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재(432)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개폐 기어부(4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개폐수단(430)은 다수개의 기어부재 및 축 부재를 통해 외측창문(40)과 개폐 블레이드(210)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개폐 블레이드(210)의 개방 작동을 위한 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외측창문(40)을 개방하는 작동만으로 상기 개폐 블레이드(210)를 개방시킬 수 있어 환기장치의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개폐레일(420)은 후술할 센서부(410)가 장착되어 외측창문에 대한 개폐 신호의 생성 여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컨트롤러(300)는, 전술한 전원 공급부(130)와 연결되어 소정의 전원을 공급받으며, 복수개의 환기팬(10)에 구성되는 스위치(20)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위치(20)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컨트롤러(300)는 센서부(4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외측창문(40)에 대한 개폐 신호를 수신받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수신된 개폐 신호에 따라 환기팬(10)의 구동 여부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컨트롤러(300)는 외측창문(40)만을 개방하는 작동만으로도 환기팬(10)을 구동하고, 상기 외측창문(40)이 폐쇄되는 경우에는 환기팬(1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410)는 창문 프레임(30), 또는 상기 개폐레일(420)에 장착되며, 외측창문(4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여부에 따라 개폐 신호를 생성하여 컨트롤러(300)로 전송하는 감지센서(412)와, 외측창문(40)에 구성되고, 감지센서(412)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감지센서(412)로 개폐신호를 전송하는 개폐센서(414)로 전송될 수 있다.
아울러, 컨트롤러(300)는 상기 센서부(410)로부터 외측창문(40)의 개방신호가 수신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외측창문(40)의 폐쇄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환기장치가 미설치된 창문에 장착되는 도어 구동부재(440)의 구동을 제어하여 이 환기장치가 미설치된 창문에 대한 개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실내 공간이 밀폐된 상태에서 복수의 환기팬(10)이 구동하는 경우, 실내 공간의 공기량이 저하되면서 이 실내 공간에 대한 압력이 상승하여 환기팬(10)의 구동 소음이 발생하면서 해당 실내 공간에 머무르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실내 공간의 압력 상승으로 인한 오염된 실내 공기의 배기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환기장치가 구동된 이후 설정된 시간이 초과된 상태에서도 환기장치가 계속 구동하는 경우, 컨트롤러(300)에서는 상기 실내 공간에 설치된 다른 창문의 개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환기팬(10)의 소음 저감, 오염된 공기의 배기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도어 구동부재(440)는 전술한 환기장치가 미설치된 창문에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러(3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창문의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 구동부재(440)를 상기 창문의 프레임에 부착시키는 제1부착패널(442), 제1부착패널(442)에 결합되고, 상기 컨트롤러(3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창문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동하는 구동수단(444) 및 상기 구동수단(444)과 상기 창문에 양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444)의 구동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창문을 개폐시키는 구동로드(4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도어 구동부재(440)는 상기 창문의 개폐 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개폐 지지부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 지지부재(450)는 상기 창문의 프레임부에 결합되되, 상기 도어 구동부재(440)와 대향하는 위치에 결합된다. 즉, 상기 도어 구동부재(440)가 상기 창문의 하부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개폐 지지부재(450)는 상기 창문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개폐 지지부재(450)는 상기 도어 구동부재(440)와 마찬가지로, 상기 창문의 프레임에 부착되게 구성되도록 제2부착패널(452)과, 상기 제2부착패널(452)과 상기 창문에 양단부가 결합되며, 절첩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창문의 개폐 작동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개폐 지지부재(450)는 통상의 실린더 부재, 또는 복수개의 중공축 부재로 구성되어 인입 및 인출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창문의 개폐 작동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기재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환기팬 20: 스위치
30: 창문 프레임 40: 외측창문
50: 내측 창문 60: 방충망
100: 본체 프레임 102: 팬 장착홀
110: 측면 프레임 112: 전방 기밀부재
116: 창문 고정부 118: 후방 기밀부재
120: 중앙 분리판 130: 전원 공급부
140: 프레임 고정홈 200: 배기 프레임
202: 배기부 210: 개폐 블레이드
300: 컨트롤러 410: 센서부
412: 감지센서 414: 개폐센서
420: 개폐레일 422: 회전기어
430: 개폐수단 432: 동력 전달부재
434: 개폐축 436: 개폐 가이드 부재
438: 개폐 기어부 440: 도어 구동부재
442: 제1부착패널 444: 구동수단
446: 구동로드 450: 도어 개폐 지지부재
452: 제2부착패널 454: 절첩 가이드
500: 프레임 장착부재 502: 밀폐유리
504: 승강유리 510: 상부 유리 프레임
520: 하부 유리 프레임 530: 승강 프레임
540: 승강 레버

Claims (9)

  1. 스위치가 구성된 복수개의 환기팬;
    창문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고정홈과, 내측 창문 및 방충망의 프레임부가 밀착되게 고정되는 측면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환기팬이 결합되며, 외측창문의 개폐 여부에 따라 실내 공간에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부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환기팬의 후방부가 연결되어 실내 공간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부와, 상기 배기부를 개폐시키는 개폐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배기 프레임; 및
    상기 스위치로부터 온/오프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환기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로서,
    상기 외측창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여부에 따라 개폐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외측창문에 구성되고, 상기 감지센서로 개폐신호를 전송하는 개폐센서로 구성되는 센서부와, 상기 복수개의 환기팬이 미설치된 창문에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창문을 개방시켜 실내 공간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구동부재가 더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부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외측창문에 대한 개폐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복수개의 환기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상기 배기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을 분할하고, 상기 컨트롤러의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중앙 분리판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측면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내측창문의 프레임부가 밀착되게 고정되는 전방 기밀부재와,
    상기 전방 기밀부재의 후방부에 구성되고, 상기 방충망의 프레임부가 삽입 및 고정되는 창문 고정부와,
    상기 창문 고정부에 구성되고, 상기 방충망의 프레임부가 밀착되는 후방 기밀부재와,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전원 공급부
    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기밀부재 및 후방 기밀부재는, 상기 내측 창문 및 방충망의 프레임부에도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프레임에는,
    상기 창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전기어;
    상기 외측창문에 구성되며, 상기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개폐레일;
    상기 회전기어와 연결되는 동력 전달부재;
    상기 개폐 블레이드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동력 전달부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개폐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개폐축;
    상기 동력 전달부재 및 상기 개폐축을 연결하는 개폐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개폐 가이드 부재의 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재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개폐 기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상기 창문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 사이의 이격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환기장치의 구동시 상기 복수개의 환기팬 주변으로 오염된 실내 공기, 또는 외부 오염된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것을 차단하는 프레임 장착부재가 더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장착부재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유리 프레임;
    상기 상부 유리 프레임에 결합되는 밀폐유리;
    상기 상부 유리 프레임의 하부에 승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부 유리 프레임;
    상기 하부 유리 프레임에 장착되는 승강유리; 및
    상기 밀폐유리 및 승강유리의 둘레면에 결합되며, 양측부로 승강레일을 형성하는 승강 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
KR1020210115445A 2021-08-31 2021-08-31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 KR102370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445A KR102370391B1 (ko) 2021-08-31 2021-08-31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445A KR102370391B1 (ko) 2021-08-31 2021-08-31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391B1 true KR102370391B1 (ko) 2022-03-03

Family

ID=80818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445A KR102370391B1 (ko) 2021-08-31 2021-08-31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39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7103A (ko) * 2006-11-24 2008-05-28 김상권 정압실을 형성한 격벽형 에어필터를 이용한 공기정화용창호
KR20180001344U (ko) * 2016-10-28 2018-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해물질 흡착모듈을 포함하는 도장공장용 환기창
KR200487718Y1 (ko) * 2018-03-20 2018-10-24 이태영 방충창용 환풍장치
KR20190000821U (ko) * 2019-03-12 2019-04-01 임명일 이동식 베란다 환풍기
KR102087826B1 (ko) * 2018-11-23 2020-03-10 조진숙 창문 설치용 환기장치
KR102097791B1 (ko) * 2019-12-06 2020-04-06 서현재 창틀용 환풍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문 조립체
KR102169716B1 (ko) * 2019-05-31 2020-10-26 주식회사 비룡씨에이치씨 방충 및 방진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KR102186948B1 (ko) 2018-03-16 2020-12-04 김승민 창문형 공기 청정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7103A (ko) * 2006-11-24 2008-05-28 김상권 정압실을 형성한 격벽형 에어필터를 이용한 공기정화용창호
KR20180001344U (ko) * 2016-10-28 2018-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해물질 흡착모듈을 포함하는 도장공장용 환기창
KR102186948B1 (ko) 2018-03-16 2020-12-04 김승민 창문형 공기 청정기
KR200487718Y1 (ko) * 2018-03-20 2018-10-24 이태영 방충창용 환풍장치
KR102087826B1 (ko) * 2018-11-23 2020-03-10 조진숙 창문 설치용 환기장치
KR20190000821U (ko) * 2019-03-12 2019-04-01 임명일 이동식 베란다 환풍기
KR102169716B1 (ko) * 2019-05-31 2020-10-26 주식회사 비룡씨에이치씨 방충 및 방진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KR102097791B1 (ko) * 2019-12-06 2020-04-06 서현재 창틀용 환풍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2091A (ko) 창문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JP2015048631A (ja) 電動突き出し窓
KR20190025270A (ko) 창문형 환기 필터장치
CN108344096B (zh) 一种建筑通风结构
KR20130017658A (ko) 환기장치
KR20170046117A (ko) 여닫이 방식의 환기 장치
KR20160142605A (ko) 창문에 설치되는 실내공기 환풍장치
KR102370391B1 (ko)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문형 환기장치
KR101526136B1 (ko) 에너지 회수형 가역팬 환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시스템
CN102733714A (zh) 会呼吸的门窗
JP4442249B2 (ja) 通気方向制御装置並びにこれを具備した通気機構及び建物
CN211071125U (zh) 一种通信机房内通风除尘装置
KR200374308Y1 (ko) 자동환기 기능이 구비된 창호
KR100628982B1 (ko) 자동환기 기능이 구비된 창호
JP2001349154A (ja) 引違いサッシ
CN108332338B (zh) 一种建筑室内隔断式降噪通风方法
CN214501559U (zh) 一种建筑设计用节能通风装置
KR20170001623U (ko) 창문설치용 환기장치
US1938797A (en) Window ventilator and silencer
CN220229446U (zh) 一种建筑通风结构
CN219100436U (zh) 一种幕墙通风器
JP3985324B2 (ja) 建物仕上げ工事中の室内換気方法
JP3230748U (ja) 換気用窓パネル装置
KR101329302B1 (ko) 창틀의 통풍장치
KR101772888B1 (ko) 창호용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