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614B1 -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614B1
KR101496614B1 KR20140036075A KR20140036075A KR101496614B1 KR 101496614 B1 KR101496614 B1 KR 101496614B1 KR 20140036075 A KR20140036075 A KR 20140036075A KR 20140036075 A KR20140036075 A KR 20140036075A KR 101496614 B1 KR101496614 B1 KR 101496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hain
coupled
fixing bracke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6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우
Original Assignee
박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우 filed Critical 박준우
Priority to KR20140036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cord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longitudinally-moving bars guided, e.g. by pivoted links, in or on the frame
    • E05F11/10Mechanisms by which a handle moves the bar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을 개폐하는 자동 창문 개폐장치와 상기 창문을 결합하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창문이 지지되는 창문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창문을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출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단부에 체인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과 결합되어 상기 창문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 창문 고정브래킷과; 상기 창문 고정 브래킷은 상기 체인 어태치먼트와 상기 창문 고정 브래킷에 결합되는 체결핀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창문 고정 브래킷에는, 상기 창문 고정 브래킷이 상기 창문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핀바디부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체결 유지 가능하게 상하로 형성된 이동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슬롯은 상기 창문 고정 브래킷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은 창문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사용이 편리하고 다양한 여건의 창문에 적용이 될 수 있으며, 조립시 간편하고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Connection Device between Window and Automatic open and close apparatus and Automatic open and close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를 결합하는 구조를 개선한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고층건물, 공장 등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실내 가구나 내장재 등의 연소로 인하여 대량의 연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연기에는 유독가스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로 인한 인적 피해는 열에 의한 피해보다는 유독가스를 포함한 연기에 의한 질식으로 인한 것이 대부분이다.
즉, 화재가 일어나게 되면 많은 양의 유독가스를 포함한 연기가 순간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유독한 연기가 피난 경로로 유출되면서 피난 경로를 통한 피난을 어렵게 하여 많은 사상자가 생겨날 뿐 아니라, 화재 진압 및 인명구조 작업에 큰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아파트 등에는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가 건물 전체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관련 법규에 의해 제연구역(전실)이 갖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보통 화재가 발생하면 제연구역의 도어와 창문은 자동적으로 닫히게 되며, 이와 함께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제연구역으로 유입하여 화재가 발생한 곳의 공기압보다 제연구역의 공기압을 높여주도록 되어 있다. 이에, 연기를 포함한 유독가스가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피난 경로 내지 통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제연구역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평상시 개방되어 외부와 제연구역을 환기시켜주고 화재시 폐쇄되어 외부와 제연구역을 차단 가능하게 창문을 자동적으로 개폐하는 창문 개폐 장치와, 화재 발생시 외부의 공기를 유입 가능하게 통로를 개방하고 제연구역의 내압을 상승시키는 급기부와, 각 세대와 피난계단 사이에 설치되는 방화용 도어와, 이러한 각종 장치 내지 기구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아파트 등의 각 세대 중 어느 한 곳에서 센서 등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창문을 폐쇄하고, 급기부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급기하여 제연구역의 내압을 상승시키는 한편, 방화용 도어를 폐쇄하여 화재 발생 구역과 피난계단 사이에 만들어져 있는 전실을 제연구역으로의 기능을 유지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실내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제연구역은 밀폐된 상태로 조성됨과 더불어 급기부의 급기 작용에 의해 제연구역의 내압이 일정 압력(예를 들면, 40Pa ~ 60Pa)이상으로 상승된다. 이에, 실내공간의 화재 발생에 의해 발생된 유독가스가 제연구역 및 피난계단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자동 창문 개폐장치의 일예가 공개특허공보 제1995-0014520호 (1995. 06. 16)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창문 개폐장치와 창문을 결합하는 경우, 창문에 브래킷을 결합하고 창문틀에 결합된 자동 창문 개폐장치를 결합하게 된다.
이 경우 창문 개폐장치와 창문의 높이 등이 상이한 경우 창문을 개폐하는 창문 개폐장치의 체인 등이 창문 개폐장치에 결합이 잘 되지 않거나 용이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과 창문 개폐 장치의 높이 등이 상이하더라도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작동이 용이한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한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장을 예방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가 용이한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을 개폐하는 자동 창문 개폐장치와 상기 창문을 결합하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창문이 지지되는 창문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창문을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출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단부에 체인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체인과; 상기 창문에 결합되는 창문 고정브래킷과; 상기 체인 어태치먼트에 결합되는 체인로드와; 일측은 상기 창문 고정브래킷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체인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창문 고정브래킷에 대하여 상기 체인로드가 회전 운동 가능하는 브래킷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 로드는, 상기 창문 고정브래킷에 결합되는 브래킷 고정부와, 상기 브래킷 고정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체인로드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체인로드 회동슬롯을 구비한 체인로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인로드는, 상기 체인과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체인결합부재와, 상기 체인결합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브래킷 로드와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인로드 홀을 구비한 브래킷로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을 개폐하는 자동 창문 개폐장치와 상기 창문을 결합하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창문이 지지되는 창문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창문을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출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단부에 체인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체인과; 상기 창문에 결합되는 창문 고정브래킷과; 상기 체인 어태치먼트에 결합되는 체인로드와; 일측은 상기 창문 고정브래킷에 대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체인로드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유니버설 회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을 개폐하는 자동 창문 개폐장치와 상기 창문을 결합하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창문이 지지되는 창문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창문을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출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단부에 체인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체인과; 상기 창문에 결합되는 창문 고정브래킷과; 일측은 상기 체인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창문 고정브래킷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상기 창문 고정 브래킷은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창문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 핀부재가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창문 고정 브래킷의 판면 중에서 상기 창문과 결합되는 영역의 판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상기 회동 핀부재를 수용하는 핀회동 슬롯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 핀부재는 상기 창문 고정 브래킷이 상기 창문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인 어태치먼트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호 결합을 위한 도구가 결합될 수 있는 지그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을 개폐하는 자동 창문 개폐장치와 상기 창문을 결합하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창문이 지지되는 창문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창문을 개폐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을 출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단부에 체인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체인과; 상기 창문에 결합되는 창문 고정브래킷과; 일측은 상기 체인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창문 고정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창문 고정브래킷에 대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마련된 결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과 창문 개폐 장치의 높이 등이 상이하더라도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작동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한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장을 예방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가 용이한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장치가 자동 창문 개폐장치와 창문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결합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장치가 자동 창문 개폐장치와 창문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의 측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결합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장치의 개략도,
도 10a 및 도 10b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1a 및 도 11b는 회전 제한부에 대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의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100, 이하에서 ‘창문 개폐장치’라 한다)를 도 1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장치가 자동 창문 개폐장치와 창문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결합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장치가 자동 창문 개폐장치와 창문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측단면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결합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11a 및 도 11b는 회전 제한부에 대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의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창문 유닛(10)과 창문 개폐장치(100)을 결합하는 결합 장치(17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15)이 지지되는 창문틀(13)에 결합되는 하우징(113)과, 상기 창문(15)을 개폐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13)을 출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단부에 체인 어태치먼트(117)를 포함하는 체인(115)과; 상기 창문(15)에 결합되는 창문 고정브래킷(171)과; 상기 체인 어태치먼트(117)에 결합되는 체인 로드(177)와; 일측은 상기 창문 고정브래킷(171)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체인 로드(177)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래킷 로드(175);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창문 개폐 장치(100)는 종래기술에서의 참고문헌이나 본 출원인 특허등록번호 제10-1187938호에의 구성요소인 모터, 체인, 스프로킷 등의 공지된 부품을 포함하고 이러한 공지의 부품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창문 유닛(10)은, 벽체 등의 구조물(30)에 지지되어 창문(15)을 지지하는 창문틀(13)과, 창문(15)과, 창문(15)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창문(15)을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17)를 구비한다. 창문(15)은 유리 등의 투명한 부분인 유리창(15a)과, 유리창(15a)을 고정시키도록 알루미늄 압출물을 포함하는 유리창 프레임(15b)을 포함한다.
여기서, 창문 개폐 장치(100)는 자동으로 개폐가 되지만 필요에 따라 손잡이(17)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개폐할 수도 있다.
창문 개폐유닛(110)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3)과, 체인(115)과, 체인 어태치먼트(117)를 포함하고, 체인 어태치먼트(117)에서 체인 로드(177)와 결합되는 어태치먼트홀(117a)을 구비한다.
결합 장치(170)는, 창문 고정브래킷(171)과, 브래킷 핀(173)과, 브래킷 로드(175)와, 체인 로드(177)를 포함한다.
창문 고정브래킷(171)은 창문(15)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일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미도시된 나사를 포함하는 결합수단이 프레임 고정홀(171c)을 통해 창문 고정브래킷(171)을 유리창 프레임(15b)에 고정 가능하게 결합한다.
창문 고정브래킷(171)의 중앙 영역 전단에 브래킷 로드(175)가 결합될 수 있는 로드 삽입홀(171b)을 구비하고 중앙 영역 측면에 브래킷 핀(173)이 관통하여 브래킷 로드(175)를 창문 고정브래킷(171)에 고정시킬 수 있는 브래킷핀 고정홀(171a)을 마련한다.
브래킷 핀(173)은 다양한 공지의 형태를 구비하여 창문 고정브래킷(171)에 브래킷 로드(175)를 고정시키며 고정 후 분리가 되지 않도록 마련된 미도시된 스냅링이나 절곡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창문 고정브래킷(171)에 브래킷 로드(175)가 브래킷 핀(173)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로드 삽입홀(171b)이 브래킷 고정부(175a)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래킷 로드(175)에서 창문(15)의 내측에서 보아 창문 개폐 장치(100)와 결합되는 전방측은 체인 로드(177)와 결합되도록 체인로드 고정부(175b)가 형성되어 있고, 창문(15)측인 후방측은 창문 고정브래킷(171)과 결합되도록 체인로드 고정부(175b)에서 연장되어 브래킷 고정부(175a)가 구비된다. 그리고, 브래킷 고정부(175a)에는 브래킷 핀(173)이 결합되도록 관통 형성된 핀관통홀(175a1)이 마련된다.
한편, 브래킷 로드(175)에서 전방측에는 체인 로드(177)가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원통 형상의 중앙 영역이 절개된 형상의 체인로드 회동슬롯(175b1)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체인로드 회동슬롯(175b1)의 양 측면을 관통하여 체인로드 회동축(175b2)이 결합되는 회동축 관통홀(175b3)을 마련하고 있다.
체인로드 회동축(175b2)은 일실시예로 볼트와 너트로 도시하였으나 공지의 다양한 핀과 스냅링, 리벳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도 회전 가능한 축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체인 로드(177)는, 암나사로 형성된 어태치먼트홀(117a)과 결합되는 숫나사로 형성된 체인로드 결합부재(177b)와, 체인로드 결합부재(177b)에서 연장되어 브래킷 로드(175)의 체인로드 회동슬롯(175b1)에 결합되는 브래킷로드 결합부재(177a)를 포함한다. 브래킷로드 결합부재(177a)에는 체인로드 회동축(175b2)이 결합되도록 관통 형성된 체인로드홀(177a1)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체인로드 회동슬롯(175b1)은 창문(15)의 상하 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체인 어태치먼트(117), 체인 로드(177), 브래킷 로드(175)가 체인(115)의 출입 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의 축선은 창문 개폐 장치(100)를 창문틀(13)에 결합하는 수단인 볼트 등의 위치를 변경하여 일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체인 로드(177)는 체인로드 회동축(175b2)을 중심으로 체인(115)의 출입 방향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브래킷 로드(175)에 대하여 회전 운동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창문 개폐 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 개폐 장치(100)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체인(115) 및 체인 로드(177)의 축선(도 3a의 ‘C2’ 참조)과 브래킷 로드(175)의 축선(도 3a의 ‘C1’ 참조)이 일치하지 않고 기울어질 수가(도 3a의 각도 ‘A’ 참조)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슬라이딩 도어가 아니라 미닫이식의 창문으로 상측 또는 하측에 힌지가 구비되어 있고 하측 또는 상측에 창문 개폐 장치(100)가 결합된 경우이거나, 창문 개폐 장치(100)가 소방법 등의 제한을 받은 표준품으로 창문의 규격이 각 건물마다 상이한 경우에 발생될 가능성이 많다.
이러한 경우에 체인 로드(177)가 브래킷 로드(175)에 대하여 체인로드 회동축(175b2)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여 이러한 각도의 불일치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체인(115)의 출입 방향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으면서도 체인(115)이 경우에 따라 구부러져야 하는 영역에서 이를 대신하여 체인 로드(177)가 회전 운동을 하여 창문의 개방 또는 폐쇄를 원만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170)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운동제한부(39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른 혹시 갑작스런 외력 등에 의해 회전 운동이 급격하게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으로, 회전 운동제한부(390)의 일실시예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391)과, 걸림턱(391)과 맞불리는 걸림돌기(393)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A’위치에서 최대 회전위치인 ‘A`’까지만 회전 운동(호전 각도 ‘θ’참조)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방지부는 공지된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도 10a 및 10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a는 종래기술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의 개폐 과정으로, 먼저 개방 위치인 ‘A’에서 폐쇄 위치인 ‘C’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체인의 피치인 ‘P-chain’에 비하여 창문에 결합되어 체인 어태치먼트와 결합되는 결합장치의 길이(도 10a에서 ‘L’ 길이 참조)가 매우 길어 창문이 닫히기 전인 ‘B’ 위치에서는 창문의 결합위치가 이동하려는 원호 ‘O’(점선 표시 참조)와 이격되어 원호 ‘O’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여 창문이 닫히지 않거나 무리한 힘을 가하여야 닫힌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달리 ‘B’위치에서 두 개의 링크 기능을 하는 결합장치를 포함하고 있어 ‘P’점에서 두 개의 링크(R1, R2)가 구부러져 종래기술에 비하여 부드럽고 원활하게 위치 ‘B’를 거쳐 페쇄위치인 ‘C’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그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장점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 장치(200)는, 도 5 내지 도 8b에 도시되어 있다.
창문(15)의 구조가 전술한 예와 달리 창문 고정브래킷(271)과 손잡이(17)가 하나로 마련되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 경우에 회동 핀부재(270)가 창문 고정브래킷(171)에 별도의 핀 등이 없이 핀회동 슬롯(271e)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 내지 결합되어 핀회동홀(271d)을 통해 체인(115)측으로 돌출되어 체인 어태치먼트(117)와 결합된다.
여기서, 핀회동 슬롯(271e)은 창문 고정브래킷(171)의 판면에서 함몰 형성되어 회동핀 부재(270)의 핀머리부(273)를 수용 내지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핀회동홀(271d)은 핀바디부(275)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제공한다.
이 경우 회동핀 부재(270)를 체인 어태치먼트(117)의 암나사가 형성된 어태치먼트홀(117a)에 숫나사가 형성된 블록 결합부재(275d)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핀바디부(275)를 회전할 수 있는 스패너를 포함하는 지그가 결합될 수 있는 지그 결합부재(275a)를 구비한다. 이러한 지그 결합부재(275a)는 관통홀(미도시)로 형성되어 관통홀을 관통하는 원형 막대를 이용하여 핀바디부(275)를 회전시켜 어태치먼트홀(117a)에 블록 결합부재(275d)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회전 운동하는 과정에서 전술한 회전 운동제한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창문 개폐 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작동 과정에서 창문 고정브래킷(171)에 대하여 회동핀 부재(270)가 회전한다는 내용을 제외하고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보다 더 간단한 구조를 가져 부품을 줄일 수 있고 고장 등의 우려도 적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 장치(100)의 결합 장치(170)는, 창문 고정브래킷(171)과 체인 어태치먼트(117) 사이를 유니버설 조인트 내지 유니버설 링크 형태로 결합된다. 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림이 도 9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장치(371, 373, 375)는, 창문 고정브래킷(미도시)과 결합되는 제1 링크(371)와 체인 어태치먼트(미도시)와 결합되는 제2링크(375)를 포함하고 제1 링크(371)와 제2 링크(375) 사이에 각각 제1 링크핀(371a)과 제2 링크핀(373a)으로 결합되는 중간 링크(37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링크(371) 축선(도 9에서 ‘S1’ 참조)과 제2 링크(375) 중선(도 9에서 ‘S2’ 참조)이 상호 어긋나면서 회전을 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에, 전술한 실시예보다 훨씬 자유도가 증가되어 보다 더 공차나 상호 오차가 많은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 장치(371, 373, 375)에서 먼저 제1 링크(371)와 결합된 중간 링크(373)를 창문 고정브래킷에 결합하고, 제2 링크(375)를 체인 어태치먼트에 결합한 후 체2 링크(373)를 회전하여 중간 링크(373)와 제2 링크(375)를 제2 링크핀(373a)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링크핀(371a) 및 제2 링크핀(373a)은 리벳으로 마련되어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링크핀(371a, 373a)을 포함하는 전술한 결합 부품들은 창문 개폐 장치가 필요로 하는 장력이나 힘에 충분하게 견딜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결합 장치(371, 373, 375)의 링크핀 축선(P1, P2 참조)가 직교하는 것만 설명하여 축선의 이동이 상하 방향,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링크핀 축선이 평행이 되어 축선의 이동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 있다. 또한, 이러한 회전 운동하는 과정에서 전술한 회전 운동제한부가 포함될 수 있다.
미설명한 375a는 체인 어태치먼트와 결합되는 나사 부분이고, 371b는 창문 고정 브래킷과 결합되는 수단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의미한다.
도 12,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장치인 창문 고정 브래킷(400)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문 고정 브래킷(400)은 통상 사용되는 창문용 손잡이이나 체인 어태치먼트(117)와 창문 고정 브래킷에 결합되는 체결핀바디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창문 고정 브래킷(400)에는, 창문 고정 브래킷(400)이 상기 창문틀(13)에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핀바디부의 일측이 창문 고정 브래킷(400)에 출입 가능하게 형성된 출입홀(410)과, 출입홀(410)에서 연장되어 체결핀바디부의 타측을 이동 안내하여 체인(115)이 작동되는 작동위치에서 체결핀바디부의 일측의 출입을 억제하는 이동슬롯(4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동슬롯(430)은 체인(115)이 창문틀(13)이 닫힌 상태에서 체인(115)이 거의 수평을 유지하는 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어 약 5 ~ 7mm 정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홀(410)은 이동슬롯(43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체결핀바디부가 6mm의 바디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면, 결합홀(410)의 크기는 직경 약 10mm이고, 이동슬롯(430)은 폭이 약 7mm이고, 높이가 약 13mm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슬롯(430)의 후방은 결합홀(410)의 크기와 같은 10mm 폭으로 형성되고, 이동슬롯(430)의 전방은 7mm 폭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동슬롯(430)을 따라 머리부가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방과 후방의 깊이는 머리부의 높이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어 체인(115)에 결합된 상태에서 머리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핀바디부는 단면적이 큰 머리부(미도시)와 상기 머리부보다 단면적이 더 작은 바디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바디부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체인 어태치먼트(117)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핀바디부는 통상의 접시머리볼트이고, 필요에 따라 육각볼트 등의 다양한 볼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에 대응하여 결합홀(410)과 이동슬롯(430)의 형상도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라, 먼저 체결핀바디부를 체인 어태치먼트(117)에 결합한 상태에서 머리부를 출입홀(410)에 삽입한 후 이동슬롯(430)을 따라 상측으로 체결핀바디부를 이동시키면 된다. 즉, 종래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손잡이(17)에 먼저 회동핀부재(270)를 결합한 상태에서 창문틀(13)에 손잡이(17)를 결합하고 회동핀부재(270)를 회전시키면서 체인어태치먼트(117)에 결합을 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창문틀(13)에 창문 고정 브래킷(400)을 먼저 결합한 상태에서 체인어태치먼트(117)와 회동핀부재(270)를 결합한 상태에서 체결핀바디부를 창문 고정 브래킷(400)에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이 매우 간단하다.
본 출원인이 실험한 결과 창문 고정 브래킷(400)에 회동핀부재(270)가 결합된 체인어태치먼트(117)를 결합하는 것이 종래에 비하여 4~5배 정도 작업 속도가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좁은 작업 장소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고 부품수도 줄일 수 있는 장점도 가질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회동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이 편리하고 다양한 여건의 창문에 적용이 될 수 있으며 개폐되는 과정에서 높이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조절하여 창문의 개폐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하며, 고장, 수리 등을 줄여 수명을 증대시키며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창문 개폐 장치 110 : 창문 개폐 유닛
113 : 하우징 115 : 체인
117 : 체인 어태치먼트 117a : 어태치먼트홀
170 : 결합 장치 171 : 창문 고정브래킷
171a : 브래킷핀 고정홀 171b : 로드 삽입홀
171c : 프레임 고정홀 173 : 브래킷 핀
175 : 브래킷 로드 175a : 브래킷 고정부
175a1 : 핀관통홀 175b : 체인로드 고정부
175b1 : 체인로드 회동슬롯 175b2 : 체인로드 회동축
175b3 : 회동축 관통홀
177 : 체인로드 177a : 브래킷로드 결합부재
177b : 체인로드 결합부재 177a1 : 체인로드홀
270 : 회동핀 부재 271 : 창문 고정 브래킷
271d : 핀회동홀 271e : 핀회동 슬롯
273 : 핀머리부 275 : 핀바디부
275a : 지그 결합부재 275b : 블록 결합부재
10 : 창문유닛 13 : 창문틀
15 : 창문 15a : 유리창
15b : 유리창 프레임 17 : 손잡이
30 : 구조물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창문을 개폐하는 자동 창문 개폐장치와 상기 창문을 결합하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창문이 지지되는 창문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창문을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출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단부에 체인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과 결합되어 상기 창문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 창문 고정브래킷과;
    상기 창문 고정 브래킷은 상기 체인 어태치먼트와 상기 창문 고정 브래킷에 결합되는 체결핀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창문 고정 브래킷에는, 상기 창문 고정 브래킷이 상기 창문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핀바디부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체결 유지 가능하게 상하로 형성된 이동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슬롯은 상기 창문 고정 브래킷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은 창문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바디부는 크기가 큰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보다 크기가 더 작은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슬롯의 후방은 상기 머리부가 이동 또는 회전 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슬롯의 전방은 상기 바디부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12. 창문을 개폐하는 자동 창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창문이 지지되는 창문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창문을 개폐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을 출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단부에 체인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체인과;
    상기 창문에 결합되는 창문 고정브래킷과;
    일측은 상기 체인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창문 고정브래킷에 결합된 상기 제10항의 결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20140036075A 2014-03-27 2014-03-27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101496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6075A KR101496614B1 (ko) 2014-03-27 2014-03-27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6075A KR101496614B1 (ko) 2014-03-27 2014-03-27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643A Division KR101577915B1 (ko) 2014-01-24 2014-12-04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614B1 true KR101496614B1 (ko) 2015-02-25

Family

ID=5259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6075A KR101496614B1 (ko) 2014-03-27 2014-03-27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6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460Y1 (ko) 2014-08-13 2016-05-26 재복 강 자동개폐 소방창문용 손잡이 결합구조
KR101790311B1 (ko) 2016-02-05 2017-11-06 주식회사 화창기업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
WO2023277707A1 (en) * 2021-06-28 2023-01-05 Assa Abloy New Zealand Limited Actu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092U (ko) * 1995-06-08 1997-01-24 창문 자동 개폐장치
KR200215954Y1 (ko) 2000-10-07 2001-03-15 주식회사한일배연창 체인 내장형 환기창 자동개폐장치
KR20130046417A (ko) * 2013-04-22 2013-05-07 (주) 금강씨에스 개량된 클러치 구조를 갖는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1377300B1 (ko) 2013-08-07 2014-03-25 박준우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092U (ko) * 1995-06-08 1997-01-24 창문 자동 개폐장치
KR200215954Y1 (ko) 2000-10-07 2001-03-15 주식회사한일배연창 체인 내장형 환기창 자동개폐장치
KR20130046417A (ko) * 2013-04-22 2013-05-07 (주) 금강씨에스 개량된 클러치 구조를 갖는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1377300B1 (ko) 2013-08-07 2014-03-25 박준우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460Y1 (ko) 2014-08-13 2016-05-26 재복 강 자동개폐 소방창문용 손잡이 결합구조
KR101790311B1 (ko) 2016-02-05 2017-11-06 주식회사 화창기업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
WO2023277707A1 (en) * 2021-06-28 2023-01-05 Assa Abloy New Zealand Limited Actuator
GB2623684A (en) * 2021-06-28 2024-04-24 Assa Abloy New Zealand Ltd Actu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614B1 (ko)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101789664B1 (ko) 구동부 및 감속부를 개선한 창문 폐쇄 장치
KR101377300B1 (ko)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101577915B1 (ko)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20170012846A (ko) 매립형 양여닫이 방화문
KR100767069B1 (ko) 처짐방지장치가 구비된 루버형 도어
KR20130118037A (ko) 여닫이창문 개폐장치
JP6436438B2 (ja) 差圧緩和型迅速作動両開き扉
ES2960157T3 (es) Dispositivo de cierre para una puerta con una hoja de puerta de una o varias partes
KR100677937B1 (ko) 탈출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전방범창
KR101812506B1 (ko)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JP6262484B2 (ja) 差圧用ドア装置
KR101790311B1 (ko)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
KR101624802B1 (ko)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
KR20110036899A (ko) 직선위치 제어방식에 의한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KR102354966B1 (ko)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KR102094605B1 (ko) 방화문용 제어장치
KR101852335B1 (ko) 이중창호용 접이식 안전 장치
KR20190003120U (ko) 좌우구분없이 설치가능한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개폐장치
JP6143323B2 (ja) 通気装置
NL2014770B1 (en) Security device for a window.
KR20110000695U (ko) 점검구 도어 힌지
JP3540011B2 (ja) 後付脱出面格子の取付施工方法
KR20170142138A (ko)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1271070B1 (ko)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