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506B1 -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506B1
KR101812506B1 KR1020160034860A KR20160034860A KR101812506B1 KR 101812506 B1 KR101812506 B1 KR 101812506B1 KR 1020160034860 A KR1020160034860 A KR 1020160034860A KR 20160034860 A KR20160034860 A KR 20160034860A KR 101812506 B1 KR101812506 B1 KR 101812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force
door
auxiliary
force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0452A (ko
Inventor
박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창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창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창기업
Priority to KR1020160034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506B1/ko
Publication of KR20170110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counteractin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05Y2800/41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smoke or g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개폐 힌지축을 중심으로 폐쇄되는 폐쇄위치와 개방되는 개방위치 사이를 이동하며 회전축을 구비한 도어클로저와 결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폐쇄력 전달판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폐쇄력 전달판의 외측을 따라 접촉되어 도어의 폐쇄력을 보조하도록 탄성변형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폐쇄위치와 근접된 영역에서 상기 폐쇄력 전달판에 함몰 형성된 제1 글루브에 결합되어 도어에 제1 보조폐쇄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스프링과, 상기 제1 탄성스프링의 폐쇄력에 의해 도어가 상기 폐쇄위치로 더 회전하면 상기 폐쇄력 전달판에 함몰 형성된 제2 글루브에 결합되어 도어에 제2 보조폐쇄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조폐쇄력은 제1 보조폐쇄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도어를 개방시 과다한 힘을 오래동안 필요로 하지 않은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Door Closer Closing Force Auxiliary Device in Smoking-Proof Area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 발생시 제연구역을 밀폐시키는 도어클로저의 폐쇄력을 보조하는 구조와 그 작동방법을 개선하도록 개선한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서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특별 피난계단이나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 제연구역 등의 문은 방화문으로 설치하도록 소방 관련법에 의해서 규정되어 있다. 방화문에는 화재시 연기 및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하거나 불길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클로저(door closer)나 오토 힌지(auto hinge)와 같은 도어 자동 닫힘장치가 설치된다.
아울러 방화문 및 방화문 측벽에는 평상시에는 방화문이 개방된 상태로 걸림되게 하고 화재 등에 의해 실내에 연기나 유독가스 발생시 제어신호에 의해서 개방된 상태의 방화문의 걸림을 자동 해제시켜주는 방화문 자동 해정장치가 구비된다. 방화문 자동 해정장치의 일예로는 방화문에 걸림고리가 있고 벽체에 래치(latch)가 설치된 도어릴리즈(door release)가 있다.
도어 자동 닫힘장치와 방화문 자동 해정장치가 구비된 방화문은 평상시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연기 발생이나 유독가스 발생과 같은 화재발생 감지시 방화문 자동 해정장치가 작동되어 방화문의 도어 걸림상태를 해제시켜준다. 그에 따라 도어 자동 닫힘장치의 폐쇄력(닫힘력)에 의해 방화문이 닫혀지게 됨으로써 화재로 인한 연기 및 유독성 가스의 확산이 방지되고 불길의 확산도 방지된다.
한편, 도어 자동 닫힘장치의 닫힘력이 너무 강하게 되면 대피시 대피자가 방화문을 여는데 어려움이 있고 더욱이 도어릴리즈와 같은 방화문 자동 해정장치에 걸림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데에도 문제가 된다. 또, 그 반대로 그 닫힘력이 너무 약하게 되면 방화문이 빨리 닫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완전하게 닫혀지지도 않을 수 있어 연기나 유독가스가 새어나갈 수도 있게 된다.
그러므로, 도어 자동 닫힘장치의 도어클로저나 오토 힌지 등은 해당 방화문에 요구되는 적절한 스프링 보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스프링 바이어스력으로 폐쇄력을 제공하는 도어 자동 닫힘장치의 생태적인 특성상 방화문이 거의 닫혀갈 즈음의 방화문 폐쇄력은 방화문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작용하는 초기 방화문 폐쇄력에 비해서 현저하게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방화문이 완전하게 닫히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다른 한편, 평상시에 도어 자동 닫힘장치에 의해서 방화문이 제대로 닫힌다 할지라도 화재 발생 등에 의해 송풍기와 같은 제연설비 가동시에는 송풍기에서 유입되는 바람의 압력인 풍압이 방화문에 작용하여 방화문이 제대로 닫히지 않을 우려가 있고 특히 이러한 현상은 방화문이 거의 닫혀가는 순간이고 이 순간에는 바람이 유출되도록 개방된 단면이 적어 더 큰 힘이 방화문에 작용하게 된다. 즉, 화재발생 등으로 제연설비가 가동이 되어지면 전실과 같은 밀폐된 공간인 실내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측인 도어가 개방된 부분으로 배출되면서 풍압을 형성하게 되는데, 항상 외부측으로 개방되게 설계된 방화문은 도어 자동 닫힘장치가 작동하더라도 그 풍압의 영향을 받아 완전하게 닫히지 못하게 될 우려가 크다. 방화문이 완전하게 닫히지 못하게 되면 연기나 유독가스가 방화문의 열려진 틈새로 새어나가 비상계단과 같은 피난통로를 유해가스로 오염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참고문헌과 같은 방안이 도출되었다,
그러나, 화재시를 고려하여 풍압을 고려한 폐쇄력까지 고려한 도어는 평상시 도어를 개방시 너무 과도한 힘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비상시에 도어에 필요한 폐쇄력을 제공하면서도 평상시 도어 개폐시 특히 개방시 과도한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0823854호 (2008.04.15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0885403호 (2009.02.24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도어를 개방시 과다한 힘을 오래동안 필요로 하지 않은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부드럽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일정압을 갖는 공간을 밀폐 가능하게 도어를 폐쇄시키는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 힌지축을 중심으로 폐쇄되는 폐쇄위치와 개방되는 개방위치 사이를 이동하며 회전축을 구비한 도어클로저와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폐쇄력 전달판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폐쇄력 전달판의 외측을 따라 접촉되어 도어의 폐쇄력을 보조하도록 탄성변형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폐쇄위치와 근접된 영역에서 상기 폐쇄력 전달판에 함몰 형성된 제1 글루브에 결합되어 도어에 제1 보조폐쇄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스프링과, 상기 제1 탄성스프링의 폐쇄력에 의해 도어가 상기 폐쇄위치로 더 회전하면 상기 폐쇄 전달판에 함몰 형성된 제2 글루브에 결합되어 도어에 제2 보조폐쇄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조폐쇄력은 제1 보조폐쇄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도어가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보조폐쇄력이 상기 제2 보조폐쇄력보다 먼저 소멸되고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보조폐쇄력이 상기 제1 보조폐쇄력보다 먼저 또는 동일하게 상기 회전축에 작용하도록 상기 제1 글루브와 상기 제2 글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조폐쇄력이 상기 제2 보조폐쇄력보다 더 크게 설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글루브와 상기 제2 글루브는 상기 회전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다른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글루브 및 상기 제2 글루브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탄성스프링와 상기 제2 탄성스프링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폐쇄력 전달판은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에 중첩되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일정압을 갖는 공간을 밀폐 가능하게 도어를 폐쇄시키는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작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 힌지축을 중심으로 폐쇄되는 폐쇄위치와 개방되는 개방위치 사이를 이동하며 회전축을 구비한 도어클로저와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폐쇄력 전달판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폐쇄력 전달판의 외측을 따라 접촉되어 도어의 폐쇄력을 보조하도록 탄성변형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폐쇄위치와 근접된 영역에서 상기 폐쇄력 전달판에 함몰 형성된 제1 글루브에 결합되어 도어에 제1 보조폐쇄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스프링과, 상기 제1 탄성스프링의 폐쇄력에 의해 도어가 상기 폐쇄위치로 더 회전하면 상기 폐쇄력 전달판에 함몰 형성된 제2 글루브에 결합되어 도어에 제2 보조폐쇄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제2 보조폐쇄력은 제1 보조폐쇄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에 작용하는 과정과; 도어가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보조폐쇄력이 상기 제1 보조폐쇄력보다 먼저 소멸되고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보조폐쇄력이 제2 보조폐쇄력보다 먼저 또는 동일하게 상기 회전축에 작용하도록 상기 제1 글루브와 상기 제2 글루브가 형성되는 과정과; 상기 제1 보조폐쇄력이 상기 제2 보조폐쇄력보다 더 크게 설정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작동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도어를 개방시 과다한 힘을 오래동안 필요로 하지 않은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부드럽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가 도어 및 문틀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폐쇄력 보조장치 개략적인 횡단면도 및 분해사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폐쇄력 보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3e는 도어가 폐쇄시 종래기술 및 본 발명의 작동 과정에서 작용하는 힘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4a 및 도 4b는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폐쇄력 보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4c는 도어가 개방시 종래기술 및 본 발명의 작동 과정에서 작용하는 힘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100, 이하에서 '폐쇄력 보조장치'라 함)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가 도어 및 문틀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폐쇄력 보조장치 개략적인 횡단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d는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폐쇄력 보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3e는 도어가 폐쇄시 종래기술 및 본 발명의 작동 과정에서 작용하는 힘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폐쇄력 보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4c는 도어가 개방시 종래기술 및 본 발명의 작동 과정에서 작용하는 힘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쇄력 보조장치(100)는, 화재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일정압을 갖는 공간을 밀폐 가능하게 도어(11)를 폐쇄시키는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17) 폐쇄력을 보조하며, 상기 도어(11)의 개폐 힌지축(15)을 중심으로 폐쇄되는 폐쇄위치(도 3d 참조)와 개방되는 개방위치(도 3a 참조) 사이를 이동하며 회전축(17c)을 구비한 도어클로저(17)와 결합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축(17c)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폐쇄력 전달판(130-1, 130-2)과; 상기 회전축(17c)의 회전에 따라 상기 폐쇄력 전달판(130-1, 130-2)의 외측을 따라 접촉되어 도어(11)의 폐쇄력을 보조하도록 탄성변형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된 탄성부재(150-1, 150-2);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150-1, 150-2)는, 상기 폐쇄위치와 근접된 영역에서 상기 폐쇄력 전달판(130-1, 130-2)에 함몰 형성된 제1 글루브(130-1a)에 결합되어 도어(11)에 제1 보조폐쇄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스프링(150-1a)과, 상기 제1 탄성스프링(150-1a)의 폐쇄력에 의해 도어(11)가 상기 폐쇄위치로 더 회전하면 상기 폐쇄력 전달판(130-1, 130-2)에 함몰 형성된 제2 글루브(130-2a)에 결합되어 도어(11)에 제2 보조폐쇄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스프링(150-2a);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조폐쇄력은 제1 보조폐쇄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회전축(17c)에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쇄력 보조장치(100)에서는 도어(11)가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보조폐쇄력이 상기 제2 보조폐쇄력보다 먼저 소멸되고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보조폐쇄력이 상기 제1 보조폐쇄력보다 먼저 또는 동일하게 상기 회전축(17c)에 작용하도록 상기 제1 글루브(130-1a)와 상기 제2 글루브(130-2a)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조폐쇄력이 상기 제2 보조폐쇄력보다 더 크게 설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글루브(130-1a)와 상기 제2 글루브(130-2a)는 상기 회전축(17c)의 축선 방향을 따라 다른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글루브(130-1a) 및 상기 제2 글루브(130-2a)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탄성스프링(150-1a)과 상기 제2 탄성스프링(150-2a)가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폐쇄력 보조장치(100)는, 문틀(13)에 개폐 힌지축(15)에 의하여 지지된 도어(11)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공지된 도어클로저(17)의 본체(17a) 및 본체(17a)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보조축(170)과 결합되는 회전축(17c)에 결합되어 있다.
도어클로저(17)는 일측은 문틀(13)에 지지되고 타측은 도어(11)에 지지된 아암(17b)을 구비하고 있다.
폐쇄력 보조장치(100)는,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110)을 구비하고 후술하는 구성들을 수용하고 지지하고 있다. 폐쇄력 보조장치(100)의 외관 등과 내부의 구조는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부분은 제외하고는 전술한 참고문헌 등의 공지기술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폐쇄력 전달판(130-1, 130-2)의 일예에서는 복수로 마련되어 회전축(17c)에 결합된 보조축(170)에 중첩되어 결합되어 있고, 편의상 도 2a를 참조하여 하측에 위치한 제1 폐쇄력 전달판(130-1)과 상측에 위치한 제2 폐쇄력 전달판(130-2)으로 구분되어 있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제1 폐쇄력 전달판(130-1)과 제2 폐쇄력 전달판(130-2)의 위치는 바뀌어도 그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므로 무관하다.
제1 폐쇄력 전달판(130-1)은, 원형의 판상의 부재로 구비되며, 하우징(110)에 지지되어 중앙에 사각형 축공(170a)을 구비한 보조축(170)에 결합되도록 중앙에 관통 형성된 제1 축공(130-1b)과, 제1 축공(130-1b)의 내경측에서 복수로 돌출되어 보조축(170)의 외측 상하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복수의 물림부(170b)와 맞물려 보조축(170)과 동축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는 제1 걸림부(130-1c)와, 제1 탄성부재(150-1)가 도어(11)가 폐쇄위치에 근접된 위치에서 접촉되어 도어(11)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보조적인 힘인 제1 보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외주측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제1 글루브(130-1a)를 구비하고 있다.
제2 폐쇄력 전달판(130-2)은, 원형의 판상의 부재로 구비되며, 하우징(110)에 지지되어 중앙에 사각형 축공(170a)을 구비한 보조축(170)에 결합되도록 중앙에 관통 형성된 제2 축공(130-2b)과, 제2 축공(130-2b)의 내경측에서 복수로 돌출되어 보조축(170)의 외측 상하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복수의 물림부(170b)와 맞물려 보조축(170)과 동축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는 제2 걸림부(130-2c)와, 제2 탄성부재(150-2)가 도어(11)가 폐쇄위치에 근접된 위치에서 접촉되어 도어(11)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보조적인 힘인 제2 보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외주측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제2 글루브(130-2a)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탄성부재(150-1)는, 제1 폐쇄력 전달판(130-1)과 대응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10)에 결합되며, 탄성 변헝되어 제1 보조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150-1a)과, 제1 보조력을 제1 폐쇄력 전달판(130-1)으로 전달 및 전달해제하도록 제1 폐쇄력 전달판(130-1)과 점접촉이 되는 제1 롤러(150-1b)와, 회전에 의하여 제1 스프링(150-1a)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예를 들면 나사를 포함한 구조를 가져 제1 스프링(150-1a)의 가압하는 힘을 조절하도록 제1 스프링(150-1a)의 후단에 하우징(110)과 결합된 제1 조절부재(150-1c)와, 제1 롤러(150-1b)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1 롤러(150-1b)와 제1 스프링(150-1a)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150-1d)로 이루어진다.
제2 탄성부재(150-2)는, 제2 폐쇄력 전달판(130-2)과 대응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10)에 결합되며, 탄성 변헝되어 제2 보조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150-2a)과, 제2 보조력을 제2 폐쇄력 전달판(130-2)으로 전달 및 전달해제하도록 제2 폐쇄력 전달판(130-2)과 점접촉이 되는 제2 롤러(150-2b)와, 회전에 의하여 제2 스프링(150-2a)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예를 들면 나사를 포함한 구조를 가져 제2 스프링(150-2a)의 가압하는 힘을 조절하도록 제2 스프링(150-2a)의 후단에 하우징(110)과 결합된 제2 조절부재(150-2c)와, 제2 롤러(150-2b)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2 롤러(150-2b)와 제2 스프링(150-2a)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150-2d)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폐쇄력 보조장치(100)의 작동 과정 중에서 도어(11)의 폐쇄 과정은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고, 도어(11)의 개방 과정은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3)로부터 도어(11)가 일정한 각도(도 3a의 'θop' 참조)로 개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도어(11)에 어떠한 폐쇄에 대한 보조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제1 및 2 폐쇄력 전달판(130-1, 130-2)과 제1 및 2 탄성부재(150-1, 150-2)가 위치하고 있다. 즉, 제1 및 2 탄성부재(150-1, 150-2)에서 발생된 탄성력이 제1 폐쇄력 전달판(130-1)과 점 접촉하면서 보조축(170)에 대하여 어떠한 모멘트도 발생시키지 않아 보조축(170)에 대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지 못한다.
이러한 상태가 계속되다가 필요에 따라 도 3b와 같은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특히 화재 등이 발생한 경우 도어(11)가 폐쇄하려는 방향을 작용하는 힘(도 3b의 'Fclose' 참조)과 대향되는 방향에서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도 3b의 'Fair' 참조)이 작용하여 도어(11)의 닫히는 속도 내지 힘이 떨어져 도어(11)가 폐쇄위치로 이동하기 어려울 수 있다.
여기서, 도어(11)가 닫히면서 도어클로저(17)의 아암(17b)과 결합된 회전축 - 보조축 - 제1 및 제2 폐쇄력 전달판(130-2)이 회전하여 폐쇄위치에 근접된 위치에 도달하도록 도어(11)가 개방된 각도(도 3b의 ''θclose1' 참조' 참조)에서, 제2 탄성부재(150-2)가 제2 글루브(130-2a)의 단부인 외주와 연결되어 다소 둥근 형상으로 함몰된 영역에 접촉하면서 제2 보조폐쇄력을 보조축(170)으로 서서히 전달하게 된다.
또한, 마찬가지 원리로 제1 폐쇄력 전달판(130-1)의 제1 글루브(130-1a)에 제1 탄성부재(150-1)가 접촉되어 제1 보조폐쇄력이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문제는 제1 보조폐쇄력과 제2 보조폐쇄력이 반대라는 것이다. 그리고, 제1 보조폐쇄력은 제2 보조폐쇄력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폐쇄위치에 다소 더 떨어진 각도인 도 3b 위치에서는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압이 도 3c의 위치보다 더 적게 작용(개방된 정도가 많아 많은 바람이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하기 때문에 제1 보조폐쇄력이 모두 초기부터 작용할 필요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어(11) 더욱 닫혀 도 3c와 같은 위치의 개방각도(도 3c의 'Fclose2' 참조)에 도달하게 되면, 제2 탄성부재(150-2)는 제2 글루브(130-2a)를 벗어날 위치에 도달하여 제2 보조폐쇄력은 거의 없어지고 제1 보조폐쇄력은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제1 보조폐쇄력이 풍압을 이기고 도어(11)가 더 닫히게 되면 도 3d와 같은 위치에 도달하게 되어 도어(11)는 폐쇄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제2 보조폐쇄력은 작용하지 않고 제1 보조 폐쇄력만 제1 폐쇄력 전달판(130-1)에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제1 보조폐쇄력은 제2 보조폐쇄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보조폐쇄력과 제2 보조폐쇄력의 작용 및 크기는 스프링(150-1a, 150-2a)의 탄성력, 글루브(130-1a, 160-2a)의 형상 및 깊이, 롤러(150-1b, 150-2b)의 크기, 조절부재(150-1c, 150-2c)의 조절 정도 등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도 3a 내지 도 3d와 같이 도어(11)가 폐쇄되는 과정을 그래프로 개략적으로 설명한 것이 도 3e이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력이 보조되는 구간(도 3e의 'Fclose2'부터 'close' 구간)에서 종래기술(도 3e의 상측의 '점선' 표시 참조)에 비하여 큰 힘이 작용하지 않고 힘이 단계적으로 분산되어 작용하여 풍압(도 3e의 '이점 쇄선' 표시 참조)을 이기고 폐쇄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상기 도어(11)가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보조폐쇄력이 작동하여 상기 제연구역의 압력이 상승하여 목표 압력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어(11)가 점점 닫히면서 개방되는 각도가 점점 적어지면 많은 공기량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공기의 압력이 모두 도어(11)에 작용하고 개방된 부분으로 빠져나가려는 경향이 있어 도어(11)에 점점 풍압이 점점 더 크게 작용하여 바람직하지 않아 도어(11)가 닫히는 각도가 점점 적어지면 공급되는 공기의 량도 점점 감소시켜 도어(11)에 작용하는 풍압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때에도 밀폐된 공간의 압력은 원하는 압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도어(11)가 개방되는 과정을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폐쇄위치에서 사용자가 평소에 도어(11)를 개방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보조폐쇄력과 도어클로저(17)의 저항(도 4a의 'Fclose' 참조)을 이기고 도어(11)에 힘(도 4a의 'Fpush' 참조)을 작용시켜야 하고, 도어(11)가 조금 개방되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도달하면, 제1 보조폐쇄력과 받대되는 힘이 작용할 수 있는 제2 보조폐쇄력이 작용할 시점이 된다.
이에, 사용자가 도어(11)를 점점 더 가압하면 제2 보조폐쇄력이 점점 더 커져 사용자가 도어(11)에 작용시키는 힘을 적게 할 수 있고 도 4b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어 제1 보조폐쇄력도 거의 소멸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그래프로 표시한 것이 도 4c이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도 4c의 '점선' 표시 참조)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11)를 보다 적은 힘으로 개방할 수 있어 사용자가 비상시에는 폐쇄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평상시 또는 비상시 개방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도어를 개방시 과다한 힘을 오래동안 필요로 하지 않은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부드럽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 및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평면도 및 우측면도)에 도시된 폐쇄력 보조장치(200)의 폐쇄력 전달판(230)은 분리된 것이 아니고 높이를 상이(도 5a의 'H1' 및 'H2' 참조)하게 하여 제1 및 제2 글루브(230-1a, 230-2a)를 형성하였다.
도 5b에 따른 폐쇄력 보조장치(300)는, 전술한 실시에와 달리 제1 및 제2 탄성부재(350-1, 350-2)의 위치를 달리 배치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폐쇄력 보조장치 11 : 도어
13 : 문틀 15 : 개폐 힌지축
17 : 도어클러저 17a : 본체
17b : 아암 17c : 회전축
110 : 하우징
130-1, 130-2 : 제1 및 제2 폐쇄력 전달판
130-1a, 130-2a : 제1 및 제2 글루브
130-1b, 130-2b : 제1 및 제2 축공
130-1c, 130-2c : 제1 및 제2 걸림부
150-1, 150-2 : 제1 및 제2 탄성스프링
150-1a, 150-2a : 제1 및 제2 스프링
150-1b, 150-2b : 제1 및 제2 롤러
150-1c, 150-2c : 제1 및 제2 조절부재
150-1d, 150-2d : 제1 및 제2 지지부재
170 : 보조축 170a : 축공
170b : 물림부

Claims (6)

  1. 화재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일정압을 갖는 공간을 밀폐 가능하게 도어를 폐쇄시키는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 힌지축을 중심으로 폐쇄되는 폐쇄위치와 개방되는 개방위치 사이를 이동하며 회전축을 구비한 도어클로저와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폐쇄력 전달판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폐쇄력 전달판의 외측을 따라 접촉되어 도어의 폐쇄력을 보조하도록 탄성변형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폐쇄위치와 근접된 영역에서 상기 폐쇄력 전달판에 함몰 형성된 제1 글루브에 결합되어 도어에 제1 보조폐쇄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스프링과, 상기 제1 탄성스프링의 폐쇄력에 의해 도어가 상기 폐쇄위치로 더 회전하면 상기 폐쇄력 전달판에 함몰 형성된 제2 글루브에 결합되어 도어에 제2 보조폐쇄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조폐쇄력은 제1 보조폐쇄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도어가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보조폐쇄력이 상기 제2 보조폐쇄력보다 먼저 소멸되고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보조폐쇄력이 상기 제1 보조폐쇄력보다 먼저 또는 동일하게 상기 회전축에 작용하도록 상기 제1 글루브와 상기 제2 글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조폐쇄력이 상기 제2 보조폐쇄력보다 더 크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루브와 상기 제2 글루브는 상기 회전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다른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글루브 및 상기 제2 글루브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탄성스프링와 상기 제2 탄성스프링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력 전달판은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에 중첩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5. 화재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일정압을 갖는 공간을 밀폐 가능하게 도어를 폐쇄시키는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작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 힌지축을 중심으로 폐쇄되는 폐쇄위치와 개방되는 개방위치 사이를 이동하며 회전축을 구비한 도어클로저와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폐쇄력 전달판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폐쇄력 전달판의 외측을 따라 접촉되어 도어의 폐쇄력을 보조하도록 탄성변형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폐쇄위치와 근접된 영역에서 상기 폐쇄력 전달판에 함몰 형성된 제1 글루브에 결합되어 도어에 제1 보조폐쇄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스프링과, 상기 제1 탄성스프링의 폐쇄력에 의해 도어가 상기 폐쇄위치로 더 회전하면 상기 폐쇄력 전달판에 함몰 형성된 제2 글루브에 결합되어 도어에 제2 보조폐쇄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제2 보조폐쇄력은 제1 보조폐쇄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에 작용하는 과정과;
    도어가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보조폐쇄력이 상기 제2 보조폐쇄력보다 먼저 소멸되고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보조폐쇄력이 상기 제1 보조폐쇄력보다 먼저 또는 동일하게 상기 회전축에 작용하도록 상기 제1 글루브와 상기 제2 글루브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보조폐쇄력이 상기 제2 보조폐쇄력보다 더 크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작동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보조폐쇄력이 작동하여 상기 제연구역의 압력이 상승하여 목표 압력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감소시키는 과정;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작동방법.
KR1020160034860A 2016-03-23 2016-03-23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1812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860A KR101812506B1 (ko) 2016-03-23 2016-03-23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860A KR101812506B1 (ko) 2016-03-23 2016-03-23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148A Division KR20170142138A (ko) 2017-12-08 2017-12-08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452A KR20170110452A (ko) 2017-10-11
KR101812506B1 true KR101812506B1 (ko) 2018-01-30

Family

ID=60139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860A KR101812506B1 (ko) 2016-03-23 2016-03-23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5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8439B (zh) * 2019-10-03 2021-01-15 清远市广盛民防工程有限公司 一种常闭式对开防火门的顺序关闭方法
CN113944400B (zh) * 2021-10-21 2023-03-21 武汉市人防工程专用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人防门用抗撞击的门扇框架结构及其工作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9720A1 (de) 2006-08-14 2008-02-21 Dorma Gmbh + Co. Kg TÜRSCHLIEßER
KR100823854B1 (ko) 2007-09-05 2008-04-21 (주) 다원에스디에스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닫힘에 대한 부분 가력장치
WO2011121281A1 (en) 2010-03-29 2011-10-06 Ingersoli Rand Security Technologies Limited Door closer
US20120272475A1 (en) 2009-12-01 2012-11-01 Dorma Gmbh + Co. Kg Door Closer Comprising Additional Closing Spring
KR101210717B1 (ko) 2011-06-23 2012-12-10 구남호 방화문용 폐쇄력 보조장치
US20140331449A1 (en) 2013-05-08 2014-11-13 Heng Kuo Co., Ltd Adjustable door clos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9720A1 (de) 2006-08-14 2008-02-21 Dorma Gmbh + Co. Kg TÜRSCHLIEßER
KR100823854B1 (ko) 2007-09-05 2008-04-21 (주) 다원에스디에스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닫힘에 대한 부분 가력장치
US20120272475A1 (en) 2009-12-01 2012-11-01 Dorma Gmbh + Co. Kg Door Closer Comprising Additional Closing Spring
WO2011121281A1 (en) 2010-03-29 2011-10-06 Ingersoli Rand Security Technologies Limited Door closer
KR101210717B1 (ko) 2011-06-23 2012-12-10 구남호 방화문용 폐쇄력 보조장치
US20140331449A1 (en) 2013-05-08 2014-11-13 Heng Kuo Co., Ltd Adjustable door clo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452A (ko)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506B1 (ko)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20100100192A (ko)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
KR20170142138A (ko)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0888724B1 (ko) 도어 클로저의 부가적 폐쇄력 제공장치
KR101210717B1 (ko) 방화문용 폐쇄력 보조장치
KR101256450B1 (ko) 방화문용 도어클로저의 폐쇄력 보충장치
KR101442922B1 (ko) 도어클로저 폐쇄장치
KR20160021640A (ko) 폐쇄력 보조장치가 구비된 방화문 개폐장치
KR101989304B1 (ko)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
US20210222477A1 (en) Parallel operation of door operators
KR20140091427A (ko) 배연창 개폐장치용 록킹구조
JP2000304345A (ja) 給気ダンパ
JP2011153458A (ja) 戸の指挟み防止装置
KR200372389Y1 (ko) 환기창용 회전유닛 및 이를 채용한 환기창 개폐장치
KR20140081102A (ko) 방화문용 도어클로저의 폐쇄력 보충장치
KR20170115677A (ko) 방화문용 폐쇄력 보조장치
KR100853747B1 (ko) 방화문용 자동개폐 보조장치
KR101932620B1 (ko) 차압조절 기능을 갖는 방화문
KR101880821B1 (ko)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KR20200088756A (ko)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듀얼 폐쇄력 보조장치
TWI637102B (zh) 常開防火門
KR102373709B1 (ko)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
KR101591231B1 (ko) 대피공간이 형성되는 비상문
KR101917928B1 (ko)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
KR101893348B1 (ko) 차압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방화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