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070B1 -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070B1
KR101271070B1 KR1020110147091A KR20110147091A KR101271070B1 KR 101271070 B1 KR101271070 B1 KR 101271070B1 KR 1020110147091 A KR1020110147091 A KR 1020110147091A KR 20110147091 A KR20110147091 A KR 20110147091A KR 101271070 B1 KR101271070 B1 KR 101271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fire
closing device
clasp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석
Original Assignee
김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석 filed Critical 김문석
Priority to KR1020110147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방화문을 열어 놓더라도 화재발생시 방화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를 제공한다. 이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는 연소 끈(12), 걸쇠(20) 및 고정쇠(40)를 구비한다. 이때, 걸쇠(20)는 방화문(9)이 열렸을 때 방화문(9)에 걸림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고정쇠(40)는 걸쇠(20)와 힌지 블록(22)으로 결합되어 걸쇠(20)가 힌지운동가능하도록 하고, 방화문(9)이 설치되는 벽체(1)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연소 끈(12)은 열에 의해 소실되는 재질로 형성되고, 일단이 벽체(1)에 고정되며, 타단이 고정쇠(4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는 종래기술의 전자적인 화재감지장치나 모터 구동에 의한 방화문 폐쇄장치에 비해 초기 시설비와 유지관리비를 경감시키고, 전자 또는 기계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방화문 폐쇄장치의 점검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평상시 걸쇠(20)를 사용하여 방화문(9)을 열어 놓고 화재의 발생시 방화문(9)이 자동으로 폐쇄되므로, 평상시에는 통행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화재발생시에는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을 지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FIREDOOR AUTOMATIC CLOS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평상시에는 방화문을 열어 놓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 등에 의해 작용되는 작은 힘 또는 화재발생시 방화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주로 일반 주택, 아파트, 공장, 사무실, 조립식 가설건물 등의 현관 출입문 또는 비상 통로의 개폐문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화문은 외부의 화재가 실내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거나 실내에서 발생한 화재가 외부로 진행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화문은 평상시 개방되었더라도 화재발생시에는 반드시 폐쇄되도록 소방법으로 의무화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734925호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는 도어의 일측면 상부에 도어클로저가 설치되고, 도어클로저의 고정축에는 작동바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도어틀에 결합되는 지지편과 암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바와 암은 링크방식으로 연결되게 구성된 방범 방화문 자동 개폐장치에 있어서, 방범 방화문에 설치된 개폐장치와 연결되는 송수신부와 송수신부에 연결되는 제어부, 제어부에 연결되는 경보발생부와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중앙관리실; 도어클로저의 고정축에 래칫기어가 결합되고, 래칫기어의 일측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래칫이 솔레노이드에 의해 전,후진 이동되게 구성되며, 솔레노이드는 중앙관리실의 제어부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개폐장치; 방범 방화문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개폐장치와 중앙관리실에 연결 설치되는 CCD카메라;로 구성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등록번호 제10-0853747호 "방화문용 자동개폐 보조장치"는 본체 내부에 축과 제 1 작동부, 제 2 작동부가 내장되어 기어로 맞물려 작동됨으로써, 도어 개방시 사전에 셋팅작업 없이 개방각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바이메탈식 온도스위치와 연기감지센서가 병렬로 연결되어 형성됨으로써, 화재 발생시 연기감지나 온도감지, 혹은 연기와 온도를 동시에 감지함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가 폐쇄되는 방화문용 자동개폐 보조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133368호 "방화문 자동닫힘 시스템"은 방화문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방화문 구동부와,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방화문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구동신호를 상기 방화문 구동부로 제공하는 마이컴과, 방화문이 소정각도 이하로 개방된 경우에는 폐쇄가 이루어지고 소정각도 이상으로 개방된 경우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현재 방화문의 개방된 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마이컴으로 제공하는 각도센서와, 화재발생시 방화문의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화재로 인한 열을 감지하여 상기 마이컴으로 제공하는 온도센서와, 화재발생시 방화문의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화재로 인한 연기를 감지하여 상기 마이컴으로 제공하는 연기센서와, 피난 중인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에 방화문이 개방되도록 하기 위하여 방화문이 폐쇄된 상태에서 피난 중인 사람의 문두드림을 포함하는 단순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마이컴으로 제공하는 충격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와 관련된 종래기술은 기본적으로 화재발생을 검출한 전자적인 신호를 바탕으로 모터 구동 등의 전원이 공급되는 구동장치를 사용하여 방화문을 방화문을 폐쇄기키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화문의 자동 폐쇄장치는 화재감시장치와 방화문 폐쇄장치의 원활한 작동시 유용한 방법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적인 화재감지 및 모터 구동에 의한 방화문의 폐쇄방법은 초기 설치비와 유지관리비용이 높게 되고, 전자적인 화재감지장치 및 모터 구동장치의 오작동이나 파손시 방화문의 폐쇄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의 경우 소방관련 전자 및 기계에 대한 지식을 가진 전문가만이 점검할 수 있어 항상 점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평상시에는 방화문을 열어 놓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별도의 걸쇠를 사용하여 방화문을 고정시켜 놓게 되어 화재발생기 방화문이 닫히지 않는 우려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전자적인 화재감지장치나 모터 구동에 의한 방화문 폐쇄장치에 비해 초기 시설비와 유지관리비를 경감시키고, 전자 또는 기계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방화문 폐쇄장치의 점검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평상시 걸쇠를 사용하여 방화문을 열어 놓는 경우라도 관리자 또는 통행자 등의 사용자가 조그마한 힘으로 문 또는 걸쇠를 건드리거나, 화재의 발생으로 인해 연소 끈이 소손될 때 방화문이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화재발생시 방화문(9)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기 위한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9)이 열렸을 때 상기 방화문(9)에 걸림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걸쇠(20)와; 상기 걸쇠(20)와 힌지 블록(22)으로 결합되어 상기 걸쇠(20)가 힌지운동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방화문(9)이 설치되는 벽체(1)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쇠(40) 및; 열에 의해 소실되는 재질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벽체(1)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고정쇠(40)에 고정되는 연소 끈(12)을 포함하여; 화재발생시 상기 연소 끈(12)이 화재로 소실되어 상기 고정쇠(40)가 상기 벽체(1)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걸쇠(20)가 상기 방화문(9)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방화문(9)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에서 상기 연소 끈(12)은 상기 벽체(1)의 내면(2)과 외면(3)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4)을 통해 화재발생시 화염이 작용되는 위치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에서 상기 고정쇠(40)는 상기 벽체(1)의 홀(4)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사각관(50) 및, 상기 사각관(50)에 분리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결합되는 사각단(62)과, 상기 사각단(62)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걸쇠(20)와 힌지결합되는 머리(64)를 갖는 분리 블록(60)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에서 상기 걸쇠(20)는 일단이 상기 고정쇠(4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고정나사(30)가 설치되는 원통관(24) 및, 일단에 상기 원통관(24)으로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고정나사(30)에 결합됨으로써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는 나사봉(34)을 갖고 상기 방화문(9)에 걸리는 훅크(26)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에 따르면, 평상시 방화문이 열려있도록 고정하는 걸쇠(20)가 화재의 발생시 화염(불)에 의해 연소 끈(12)이 탔을 때 방화문(9)으로부터 분리되어 방화문(9)이 자동으로 닫히게 되므로, 종래기술의 전자적인 화재감지장치나 모터 구동에 의한 방화문 폐쇄장치에 비해 초기 시설비와 유지관리비를 경감시키고, 전자 또는 기계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방화문 폐쇄장치의 점검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평상시 걸쇠(20)를 사용하여 방화문(9)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관리자 및 통행자(사용자)가 걸쇠(20) 또는 방화문(9)을 약간의 힘으로 건드리기만 하더라도 방화문(9)이 닫히고, 화재의 발생시 화염이 발생되는 영역{화재시 방화문(9)이 닫히도록 할 필요가 있는 화재 검출 위치}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연소 끈(12)이 소실되었을 때 방화문(9)이 자동으로 폐쇄되므로, 평상시에는 통행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화재발생시에는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을 지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보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가 도 3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지지 라인이 소실되어 방화문이 닫히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에서 걸쇠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에서 걸쇠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10)는 연소 끈(12), 걸쇠(20) 및 고정쇠(40)를 구비하여 화재발생시 방화문(9)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10)에서 걸쇠(20)는 방화문(9)이 열렸을 때 방화문(9)에 걸림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걸쇠(2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방화문(9)이 열린 위치를 갖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쇠(40)는 걸쇠(20)와 힌지 블록(22)으로 결합되어 걸쇠(20)가 힌지운동가능하도록 하고, 방화문(9)이 설치되는 벽체(1)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힌지 블록(22)은 통상의 경첩구조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경첩의 일측을 고정쇠(40)에 고정시키고, 타측을 걸쇠(20)에 고정시켜 걸쇠(20)를 방화문(9)의 위치에 따라 조정하여 방화문(9)에 걸리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연소 끈(12)은 열에 의해 소실되는 재질로 형성되고, 일단이 벽체(1)에 고정되며, 타단이 고정쇠(40)에 고정된다. 물론, 이와 같은 연소 끈(12)은 평상시에는 방화문(9)이 열린 상태에서 도어클로저(door closer)의 작용으로 닫히려는 힘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10)는 화재발생시 연소 끈(12)이 화재로 소실되어 고정쇠(40)가 벽체(1)로부터 분리되고 걸쇠(20)가 방화문(9)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방화문(9)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10)에서 연소 끈(12)은 건물 벽체(1)에 고정되는데, 이 고정은 나사, 앵커 볼트 등 다양한 형태의 고정핀(90)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연소 끈(12)이 고정되는 벽체(1)는 화재발생시 화염이 작용되는 위치의 건물 벽체로서 이 벽체(1)는 반드시 방화문(9)이 설치되는 벽체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방화문 자동 개폐장치, 소방법의 규정과 관련된 화재방재장치,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의 구성요소를 가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등 등 종래기술로부터 통상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야의 종사자들 및 그들이 관련분야의 종사자들을 통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보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가 도 3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지지 라인이 소실되어 방화문이 닫히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에서 걸쇠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에서 걸쇠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10)는 화재의 발생을 전자적으로 검출하여 구동 모터 등으로 방화문을 폐쇄시키는 종래기술과 달리 연소 끈(12), 걸쇠(20) 및 고정쇠(40)를 구비하여, 화재발생시 방화문(9)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10)에서 걸쇠(20)는 방화문(9)이 열렸을 때 방화문(9)에 걸림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걸쇠(20)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걸림단(36)이 방화문(9)의 손잡이에 걸쳐 방화문(9)이 열려 있도록 하는 훅크(26)를 갖도록 하거나,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훅크(26)의 걸림단(36)이 갈고리처럼 형성되어 방화문(9)의 열림방향의 면으로 걸리는 형태를 갖도록 하거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방화문(9)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ㄷ"자형의 걸림단(36)이 형성되는 훅크(26)를 갖도록 하는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5는 걸쇠(20)가 힌지 블록(22)에 의해 고정쇠의 머리(64)에 결합되는 훅크(26)만으로 이루어지는 형태를 보인 것으로, 이 경우 걸쇠(20)의 몸체(24')는 자바라형태의 주름관을 적용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6은 고정쇠(40)와 걸쇠(20)를 끈으로 연결시키는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10)는 걸쇠(20)를 구성함에 있어서 이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걸쇠(2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관(24)에 나사봉(34)을 갖는 훅크(26)를 결합시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방화문(9)의 열림위치와 걸쇠(20)의 설치위치가 맞지 않을 경우에 방화문(9)과 걸쇠(20)의 위치를 간단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걸쇠(20)의 원통관(24)은 일단이 고정쇠(4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고정나사(30)가 설치된다. 물론, 원통관(24)은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훅크(26)는 일단에 원통관(24)으로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되, 고정나사(30)에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되는 나사봉(34)과, 이 나사봉(34)에 결합되어 방화문(9)에 걸리는 걸림단(36)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원통관(24)의 고정나사(30)는 너트를 원통관(24)에 용접하여 결합시킨 예를 보여주고 있지만, 이와 같은 고정나사(30)의 구성은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원통관(24)에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훅크(26)의 나사봉(34)은 너트(32)에 의해 원통관(24)에 조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정쇠(40)는 걸쇠(20)와 힌지 블록(22)으로 결합되어 걸쇠(20)가 힌지운동가능하도록 하고, 방화문(9)이 설치되는 벽체(1)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힌지 블록(22)은 통상의 경첩구조를 사용하여 구성되는데, 경첩의 일측을 고정쇠(40)에 고정시키고, 타측을 걸쇠(20)에 고정시켜 걸쇠(20)를 방화문(9)의 위치에 따라 조정하여 방화문(9)에 걸리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고정쇠(40)는 벽체(1)의 홀(4)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사각관(50) 및, 분리 블록(60)을 구비하여, 걸쇠(20)가 고정쇠(40)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걸쇠(20)가 방화문(9)에 결합되는 위치가 바뀌지 않도록 한다. 이때, 분리 블록(60)은 사각관(50)에 분리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결합되는 사각단(62)과, 이 사각단(62)과 일체로 결합되어 걸쇠{20; 즉, 걸쇠(20)의 원통관(24)}와 힌지결합되는 머리(64)를 갖는 분리 블록(60)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사각관(50)은 내부 중공(51)의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10)에서 연소 끈(12)은 열에 의해 소실되는 재질로 형성되고, 일단이 벽체(1)에 고정되며, 타단이 고정쇠(40)의 분리 블록(60)에 고정된다. 물론, 이와 같은 연소 끈(12)은 평상시에는 방화문(9)이 열린 상태에서 도어클로저(door closer)의 작용으로 닫히려는 힘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가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연소 끈(12)은 벽체(1)의 내면(2)과 외면(3)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4)을 통해 화재발생시 화염이 작용되는 위치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즉, 도 3 및 도 4에서는 연소 끈(12)이 실내의 천장(5)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데, 화재의 위험이 있는 영역까지 천장(5)을 통해 연장시켜 화재로 인한 화염이 연소 끈(12)에 작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화문(9)이 한 곳인 경우 연소 끈(12)은 천장(5)을 통해 필요한 위치까지 연장된 후, 고정핀(90)에 고정되어 끝단이 지지되게 되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화문(9)이 두 곳인 경우 연소 끈(12)의 양 끝단이 각 방화문(9)을 고정하기 위한 분리 블록(60)에 고정되게 된다. 이를 위해 고정쇠(40)의 반대측에는 가이드 링(70)이 설치된다. 이 가이드 링(70)은 벽체(1)의 홀(4)에 결합되어 연소 끈(12)이 홀(4) 둘레의 모서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10)는 도 3과 같이 초기의 설치상태를 갖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연소 끈(12)은 화재발생시 방화문(9; 도 1 참조)을 자동으로 폐쇄시키기 위해 화염이 작용되는 위치(통상 이 위치는 화재검출센서가 설치되는 위치)로 연장되어 벽체(1)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도 3은 방화문 내측인 실내에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화염에 의해 연소 끈(12)이 소실되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쇠(40)의 분리 블록(60)을 지탱하는 지지력이 없어지게 된다. 즉,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연소 끈(12)은 벽체(1)에 고정되어 분리 블록(60)을 당기는 기능을 하고 있는데, 연소 끈(12)이 화재로 인해 소실되면, 분리 블록(60)은 자유상태가 되고, 이는 분리 블록(60)과 결합된 걸쇠(20) 방향(벽체의 외측)으로 힘이 작용되는 효과를 가져와 결국 분리 블록(40)은 벽체(1)에 고정된 사각관(50)으로부터 이탈되어 외부로 떨어지면서 동시에 걸쇠(20)도 방화문(9)으로부터 이탈되게 되어 방화문(9)은 통상 설치되는 도어클로져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벽체 2 : (벽체) 내면
3 : (벽체) 외면 4 : 홀
9 : 방화문 10 :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12 : 연소 끈 20 : 걸쇠
22 : 힌지 블록 24 : 원통관
26 : 훅크 30 : 고정 나사
34 : 나사봉 40 : 고정쇠
50 : 사각관 60 : 분리 블록
62 : 사각단 64 : (분리 블록) 머리

Claims (4)

  1. 화재발생시 방화문(9)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기 위한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9)이 열렸을 때 상기 방화문(9)에 걸림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걸쇠(20)와;
    상기 걸쇠(20)와 힌지 블록(22)으로 결합되어 상기 걸쇠(20)가 힌지운동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방화문(9)이 설치되는 벽체(1)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쇠(40) 및;
    열에 의해 소실되는 재질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벽체(1)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고정쇠(40)에 고정되는 연소 끈(12)을 포함하여;
    화재발생시 상기 연소 끈(12)이 화재로 소실되어 상기 고정쇠(40)가 상기 벽체(1)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걸쇠(20)가 상기 방화문(9)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방화문(9)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끈(12)은 상기 벽체(1)의 내면(2)과 외면(3)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4)을 통해 화재발생시 화염이 작용되는 위치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쇠(40)는 상기 벽체(1)의 홀(4)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사각관(50) 및,
    상기 사각관(50)에 분리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결합되는 사각단(62)과, 상기 사각단(62)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걸쇠(20)와 힌지결합되는 머리(64)를 갖는 분리 블록(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20)는 일단이 상기 고정쇠(4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고정나사(30)가 설치되는 원통관(24) 및,
    일단에 상기 원통관(24)으로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고정나사(30)에 결합됨으로써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는 나사봉(34)을 갖고 상기 방화문(9)에 걸리는 훅크(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KR1020110147091A 2011-12-30 2011-12-30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KR101271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091A KR101271070B1 (ko) 2011-12-30 2011-12-30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091A KR101271070B1 (ko) 2011-12-30 2011-12-30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070B1 true KR101271070B1 (ko) 2013-06-04

Family

ID=48866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091A KR101271070B1 (ko) 2011-12-30 2011-12-30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0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670A (ko) * 2008-07-29 2010-02-08 삼화금속 주식회사 방화문용 도어 릴리스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670A (ko) * 2008-07-29 2010-02-08 삼화금속 주식회사 방화문용 도어 릴리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403B1 (ko)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
KR20100009291U (ko)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
KR101271070B1 (ko)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JP4796380B2 (ja) 建物の警備装置
KR101496614B1 (ko)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20110099514A (ko) 피난문 연동 방화셔터 구동시스템
KR200410354Y1 (ko) 방화문 개방유지 및 폐쇄장치
KR100677937B1 (ko) 탈출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전방범창
US20220298845A1 (en) Testing system for swing door-based entrance system
KR101577915B1 (ko)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200419727Y1 (ko) 방화문 개방유지 및 폐쇄장치.
JP7066501B2 (ja) 防水シャッター
KR100933069B1 (ko) 건축현장용 세대내 자동 안전문 장치
KR101578709B1 (ko) 비상문 개방 장치
JP6567898B2 (ja) シャッター装置
KR200340267Y1 (ko) 방범창
KR100527035B1 (ko) 화재 시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
KR101591231B1 (ko) 대피공간이 형성되는 비상문
RU65088U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арийного открытия оконных или двер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EP1014322B1 (en) Burglary prevention apparatus particularly for protecting apartments and the like
NL2032287B1 (en) Door closing device, doorway system, and door closing method
KR100888723B1 (ko) 방화문의 보조 개방력 제공구조
JP4648273B2 (ja) 開閉仕切具施錠機構
JP2003223684A (ja) 防犯装置
US20220282545A1 (en) Entran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an entra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