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267Y1 - 방범창 - Google Patents

방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267Y1
KR200340267Y1 KR20-2003-0028638U KR20030028638U KR200340267Y1 KR 200340267 Y1 KR200340267 Y1 KR 200340267Y1 KR 20030028638 U KR20030028638 U KR 20030028638U KR 200340267 Y1 KR200340267 Y1 KR 2003402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curity
window
balcony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현
Original Assignee
박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현 filed Critical 박수현
Priority to KR20-2003-0028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2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2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2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9/067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in a stacked configu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Bars or rods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dir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18Control using sensors
    • E06B2009/6827Control using sensors sensing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18Control using sensors
    • E06B2009/6836Control using sensors sensing obstac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18Control using sensors
    • E06B2009/6854Control using sensors sensing torq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범창에 관한 것으로서, 창틀이나 문틀에 설치되는 방범프레임과; 상기 방범프레임이 상기 창틀이나 문틀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방범프레임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방범프레임이 창틀이나 문틀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재발생시 방범프레임이 창틀이나 문틀의 개구를 자동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조도에 따라 방범프레임이 작동할 뿐만 아니라 침입자의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방범창{Device for preventing crimes}
본 고안은, 방범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범프레임이 창틀이나 문틀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방범창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빈집만을 이용하여 물건을 훔친다거나 혹은, 아동이나 주부, 혹은 노인만이 집에 있을 경우, 침입하여 물건을 훔쳐 가는 일이 다반사로 행해지고 있다. 물론, 단순히 물건만을 훔쳐 날아난 경우에는 그나마 다행일 수 있으나, 뉴스나 신문기사를 보면, 물건 외에도 사람에게 상해를 입히는 일이 쉽게 눈에 띄고 있다.
따라서, 현대인들에게 있어, 방범의 문제는 단순히 간과해서는 아니되는 새로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방범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가정이나 회사 등에 방범창을 설치하는 경우가 흔히 있다.
방범창은, 특히 도둑의 침임을 저지하기 위해 빌라나 아파트를 포함하여 주거환경의 창틀이나 문틀에 흔히 설치되는데, 통상의 구조를 보면, 창틀이나 문틀에 가로, 세로방향을 따라 이격간격을 두고 파이프 등을 용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이러한 형태로 방범창을 형성할 경우, 도둑으로부터의 침입에는 어느 정도 안심을 할 수 있으나, 반대로 방범창으로 인해 여러 가지 불편한 일이 많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집안에 모든 식구가 있어 방범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하다고 느낀다 하더라도 방범창은 창틀이나 문틀에 일체로 용접이 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해제할 수 없다. 따라서, 집안에서 보면 좀 답답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심지어, 집안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각 창문마다 위와 같은 방범창이 설치되어 있다면, 대피할 수 있는 출구는 단지 현관문으로만 국한될 수밖에 없어, 창문 등이 대피출구로 이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방범프레임이 창틀이나 문틀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방범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재발생시 방범프레임이 창틀이나 문틀의 개구를 자동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조도에 따라 방범프레임이 작동할 뿐만 아니라 침입자의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방범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범창의 방범프레임이 창틀의 개구를 일정하게 개방한 상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범프레임이 창틀의 개구를 폐쇄한 상태의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1의 "A" 및 "B"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어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방범프레임 20 : 슬라이딩부
21 : 수직프레임 22 : 제1수평프레임
24 : 동력전달부 25 : 모터
25a : 회전브레이크 30 : 모터제어부
32 : 리모컨 33 : 화재발생감지센서
34 : 조도센서 35 : 적외선센서
36 : 비상벨 37 : 센서제어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창틀이나 문틀에 설치되는 방범프레임과; 상기 방범프레임이 상기 창틀이나 문틀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방범프레임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창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이동부는, 창틀이나 문틀의 높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방범프레임을 지지하는 한편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수평프레임과; 상기 제1수평프레임을 상기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며상기 창틀이나 문틀의 상단에 배치된 제2수평프레임 내에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 마련되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와 상기 제1수평프레임의 양측을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창틀이나 문틀에 마련되어 상기 모터의 온오프(ON/OFF) 동작, 회전속도 회전량 및 상기 모터 내의 회전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제어부와; 상기 모터제어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모터제어부를 원거리 제어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틀이나 문틀에 마련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화재발생감지센서와; 상기 화재발생감지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화재발생시 상기 모터제어부를 통해 상기 회전브레이크의 동작을 정지시켜 상기 수평프레임을 포함한 상기 방범프레임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도록 하는 센서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창틀이나 문틀에 마련되는 조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제어부를 통해 상기 모터를 자동제어함으로써 상기 방범프레임의 배치상태를 제어한다.
상기 창틀이나 문틀에 마련되어 상기 창틀이나 문틀의 개구를 넘나드는 물체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와, 비상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제어부는 상기 적외선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물체가 상기 개구를 넘어 실내로 침입할 경우 상기 비상벨을 작동시킨다.
상기 방범프레임은, 상기 방범프레임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포개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텔레스코픽 바아로 이루어진 복수의 수직단위부분과; 상기 복수의수직단위부분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단위부분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범창의 방범프레임이 창틀의 개구를 일정하게 개방한 상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범프레임이 창틀의 개구를 폐쇄한 상태의 구성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1의 "A" 및 "B"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어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범창은, 창틀이나 문틀(이하, "창틀(W)"로 설명함)에 설치되는 방범프레임(10)과, 방범프레임(10)이 창틀(W)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방범프레임(1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이동부(20)를 포함한다.
방범프레임(10)은, 방범프레임(10)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포개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텔레스코픽 바아로 이루어진 복수의 수직단위부분(12a~12c)과, 복수의 수직단위부분(12a~12c)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단위부분(14a~14c)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방범프레임(10)은, 창틀(W)의 개구 면적에 따라 수직단위부분과 수평단위부분의 개수가 정해질 수 있는데, 이하의 설명에서는 방범프레임(10)이 각각 3개의 제1 내지 제3수직단위부분(12a~12c)과 제1 내지 제3수평단위부분(14a~14c)으로 형성된 것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수평단위부분(14a~14c)들과 수직단위부분(12a~12c)들은 도 3a 및 도 3b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평단위부분(14a) 및 제1수직단위부분(12a)으로부터 제3수평단위부분(14c) 및 제3수직단위부분(12c)으로 갈수록 그 부피가 작아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의 상태에서 도 1의 상태로 포개질 수 있는 것이다.
슬라이딩이동부(20)는, 창틀(W)의 높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21)과,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방범프레임(10)을 일체로 지지하는 한편 양단이 한 쌍의 수직프레임(21)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수평프레임(22)과, 제1수평프레임(22)을 수직프레임(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24)를 포함한다.
제1수평프레임(22)은 방범프레임(10)의 제1수평단위부분(14a)에 일체로 용접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제1수평단위부분(14a)의 상단에 연결부(23)에 의해 용접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동력전달부(24)는, 모터(25)와, 모터(25)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며 창틀(W)의 상단에 배치된 제2수평프레임(29) 내에 마련되는 샤프트(26)와, 샤프트(26)의 양단에 마련되는 권취부(27)와, 권취부(27)와 제2수평프레임(29)의 양측을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28)를 포함한다.
이에, 모터(25)를 구동시키면 모터(25)의 구동축에 연결된 샤프트(26)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샤프트(26)의 양단에 결합된 권취부(27)가 회전한다. 권취부(27)가 회전하면서 와이어(28)를 일방향으로 권취시킴으로써 와이어(28)의 하단에 결합된 제1수평프레임(22)은 방범프레임(10)과 함께 상승되어 창틀(W)의 개구를 차폐할 수 있다(도 2 참조). 반대로, 모터(25)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하면 방범프레임(10)은 창틀(W)의 개구를 개방할 수 있다(도 1 참조).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범프레임(10)의 동작은 수동으로도 할 수 있으나, 자동으로 조작되도록 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창틀(W)에 마련되어 모터(25)의 온오프(ON/OFF) 동작, 회전속도 회전량 및 모터(25) 내의 회전브레이크(25a)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제어부(30)와, 모터제어부(30)와 이격된 위치에서 모터제어부(30)를 원거리 제어하는 리모컨(32)을 더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리모컨(32)을 통해 모터제어부(30)를 제어함으로써, 전술한 과정에 의해 창틀(W)의 개구는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물론, 모터제어부(30)로 인해 방범프레임(10)이 창틀(W)의 개구를 완전히 차폐하는 상태, 1/3 정도 개방하는 상태, 2/3 정도 개방하는 상태 및 완전히 개방하는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만일,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방범프레임(10)이 창틀(W)의 개구를 완전히 차폐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종래의 방범창과 마찬가지로 창틀(W)의 개구는 비상출구로 이용되지 못한다. 화재가 발생하면 각종 제어장치들에 공급되는 전기가 차단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창틀(W)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화재발생감지센서(33)와, 화재발생감지센서(33)의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제어부(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센서제어부(37)를 더 마련하고 있다.
이에,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발생감지센서(33)가 이를 감지하면, 센서제어부(37)는 모터제어부(30)를 통해 모터(25) 내의 회전브레이크(25a)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그러면, 모터(25)의 구동축은 구속이 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기때문에, 수평프레임을 포함한 방범프레임(10)은 그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창틀(W)의 개구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방범창은 화재발생감지센서(33) 외에 조도센서(34)를 더 포함하고 있다. 비교적 밝은 낮에 방범프레임(10)이 창틀(W)의 개구를 차폐하고 있는 것은 답답한 일이다.
이에, 조도센서(34)를 두고 조도센서(34)의 신호에 기초하여 센서제어부(37)가 모터제어부(30)를 통해 모터(25)를 자동제어함으로써 방범프레임(10)의 배치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어두운 밤이 되면 방범프레임(10)이 창틀(W)의 개구를 차폐하도록 하고 밝은 낮이 되면 창틀(W)의 개구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조도센서(34) 외에도, 본 고안의 방범창은, 창틀(W)의 개구를 넘나드는 물체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35)와, 비상벨(36)을 더 마련하고 있다. 적외선센서(35)는 고속도로의 톨게이트 등에 장착되어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의 일종으로써, 창틀(W)의 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침입자가 개구를 넘어 실내로 들어오면 이를 적외선센서(35)가 감지한다.
그러면, 센서제어부(37)는 적외선센서(35)의 신호에 의해 비상벨(36)을 동작시켜 침입자가 발생했음을 외부로 알리게 된다. 물론, 이러한 경우, 비상벨(36)의 작동과 함께 방범프레임(10)이 자동으로 창틀(W)의 개구를 차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한 예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방범프레임(10)으로 하여금 필요시 방범으로써의 역할을 하도록 창틀(W)의 개구를 차폐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불필요시 개구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방범프레임(10)의 개폐동작은 수동으로도 조작가능하지만 리모컨(32)에 의해 원거리에서도 조작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조도센서(34)에 의해 밤과 낮에 따라 방범프레임(10)이 창틀(W)의 개구를 적절하게 개폐할 수 있다. 또한, 화재발생시, 화재발생감지센서(33)로 인해 방범프레임(10)이 창틀(W)의 개구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어 창틀(W)의 개구가 비상출구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창틀(W)의 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침입자가 발생할 경우, 적외선센서(35)의 신호에 기초하여 비상벨(36)이 동작함으로써 그 사실을 외부에 알리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방범프레임이 창틀이나 문틀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방범창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화재발생시 방범프레임이 창틀이나 문틀의 개구를 자동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조도에 따라 방범프레임이 작동할 뿐만 아니라 침입자의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방범창이 제공된다.

Claims (8)

  1. 창틀이나 문틀, 베란다 발코니에 설치되는 방범프레임과;
    상기 방범프레임이 상기 창틀이나 문틀, 베란다 발코니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방범프레임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상하 슬라이딩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슬라이딩이동부는,
    창틀이나 문틀,베란다 발코니의 높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방범프레임을 지지하는 한편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수평프레임과;
    상기 제1수평프레임을 상기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며 상기 창틀이나 문틀, 베란다 발코니의 상단에 배치된 제2수평프레임 내에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 마련되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와 상기 제1수평프레임의 양측을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이나 문틀, 베란다 발코니에 마련되어 상기 모터의 온오프(ON/OFF) 동작, 회전속도 회전량 및 상기 모터 내의 회전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제어부와; 상기 모터제어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모터제어부를 원거리 제어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이나 문틀, 베란다 발코니에 마련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화재발생감지센서와;
    상기 화재발생감지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화재발생시 상기 모터제어부를 통해 상기 회전브레이크의 동작을 정지시켜 상기 수평프레임을 포함한 상기 방범프레임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도록 하는 센서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이나 문틀, 베란다 발코니에 마련되는 조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제어부를 통해 상기 모터를 자동제어함으로써 상기 방범프레임의 배치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범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이나 문틀, 베란다 발코니에 마련되어 상기 창틀이나 문틀, 베란다 발코니의 개구를 넘나드는 물체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와, 비상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제어부는 상기 적외선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물체가 상기 개구를 넘어 실내로 침입할 경우 상기 비상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창.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프레임은, 상기 방범프레임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포개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텔레스코픽 바아로 이루어진 복수의 수직단위부분과; 상기 복수의 수직단위부분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단위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창.
KR20-2003-0028638U 2003-09-05 2003-09-05 방범창 KR2003402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638U KR200340267Y1 (ko) 2003-09-05 2003-09-05 방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638U KR200340267Y1 (ko) 2003-09-05 2003-09-05 방범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267Y1 true KR200340267Y1 (ko) 2004-01-31

Family

ID=49423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638U KR200340267Y1 (ko) 2003-09-05 2003-09-05 방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26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645B1 (ko) 2013-01-29 2013-04-19 임노경 건조대 겸용 창문 잠금 장치
KR20150101560A (ko) * 2014-02-27 2015-09-0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방범창
KR101840085B1 (ko) * 2014-03-31 2018-04-27 (주)엘지하우시스 난간 겸용 방범창 이를 갖는 주택용 창문
RU209931U1 (ru) * 2021-05-07 2022-03-2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тал Н" Дверное полотно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645B1 (ko) 2013-01-29 2013-04-19 임노경 건조대 겸용 창문 잠금 장치
KR20150101560A (ko) * 2014-02-27 2015-09-0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방범창
KR101581408B1 (ko) * 2014-02-27 2015-12-3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방범창
KR101840085B1 (ko) * 2014-03-31 2018-04-27 (주)엘지하우시스 난간 겸용 방범창 이를 갖는 주택용 창문
RU209931U1 (ru) * 2021-05-07 2022-03-2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тал Н" Дверное полотно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353996U (zh) 一种带有监控与报警功能的智能安防墙窗
KR200340267Y1 (ko) 방범창
US20020196155A1 (en) Alarm system and method
JP3756330B2 (ja) 防犯センサ
KR200462728Y1 (ko)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KR101900495B1 (ko) 방범기능을 구비한 건축물 창호구조
CN112983217A (zh) 一种物联网安防智能窗台防入室系统
CA2101376C (en) Electrically operated folding operable walls
US9406207B2 (en) Chain driven gate and security system
JP4263978B2 (ja) 防犯装置及び防犯サッシ
KR20100052238A (ko) 경보기능이 마련된 블라인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범창
JP4929493B2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
KR101428468B1 (ko) 차량 출입용 접이식 자동 보안 게이트 장치
GB2404479A (en) Intruder alarm detecting motion in between a window or door and a blind, curtain or shutter
CN2586803Y (zh) 防盗自锁窗
CN206707511U (zh) 一种智能窗户
CN216008289U (zh) 一种可自动升降的防盗防坠落安全装置
EP1014322B1 (en) Burglary prevention apparatus particularly for protecting apartments and the like
KR200208373Y1 (ko)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경계용 방범창
JP2008280777A (ja) 侵入監視領域の開閉システム
KR101400726B1 (ko) 미닫이창용 외부 침입 방지장치
JP2001243566A (ja) 防犯システム
JP2019085853A (ja) 電動シャッター装置
JP3681736B2 (ja) 自動ドア
JP4431971B2 (ja) 建築用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