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085B1 - 난간 겸용 방범창 이를 갖는 주택용 창문 - Google Patents

난간 겸용 방범창 이를 갖는 주택용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085B1
KR101840085B1 KR1020140038136A KR20140038136A KR101840085B1 KR 101840085 B1 KR101840085 B1 KR 101840085B1 KR 1020140038136 A KR1020140038136 A KR 1020140038136A KR 20140038136 A KR20140038136 A KR 20140038136A KR 101840085 B1 KR101840085 B1 KR 101840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security window
unit
window
window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4133A (ko
Inventor
최지혜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40038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085B1/ko
Publication of KR20150114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1Grilles fixed to walls, doors, or windows; Grilles moving with doors or windows; Walls formed as grilles, e.g.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4Security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철 가능한 방범창몸체와; 상기 방범창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방범창 몸체의 접철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난간 겸용 방범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난간 겸용 방범창을 갖는 주택용 창문도 제공한다.

Description

난간 겸용 방범창 이를 갖는 주택용 창문{SECURITY GRILLE HAVING FUNCTION OF HANDRAIL POLE AND WINDOW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난간 겸용 방범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측 창문 인근에 설치되어, 접철 동작에 따라 난간 또는 방범창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난간 겸용 방범창 이를 갖는 주택용 창문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빈집만을 이용하여 물건을 훔친다거나 혹은, 아동이나 주부, 혹은 노인만이 집에 있을 경우, 침입하여 물건을 훔쳐 가는 일이 다반사로 행해지고 있다. 물론, 단순히 물건만을 훔쳐 날아난 경우에는 그나마 다행일 수 있으나, 뉴스나 신문기사를 보면, 물건 외에도 사람에게 상해를 입히는 일이 쉽게 눈에 띄고 있다.
따라서, 현대인들에게 있어, 방범의 문제는 단순히 간과해서는 아니되는 새로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방범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가정이나 회사 등에 방범창을 설치하는 경우가 흔히 있다.
방범창은, 특히 도둑의 침임을 저지하기 위해 빌라나 아파트를 포함하여 주거환경의 창틀이나 문틀에 흔히 설치되는데, 통상의 구조를 보면, 창틀이나 문틀에 가로, 세로방향을 따라 이격간격을 두고 파이프 등을 용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이러한 형태로 방범창을 형성할 경우, 도둑으로부터의 침입에는 어느 정도 안심을 할 수 있으나, 반대로 방범창으로 인해 여러 가지 불편한 일이 많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집안에 모든 식구가 있어 방범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하다고 느낀다 하더라도 방범창은 창틀이나 문틀에 일체로 용접이 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해제할 수 없다. 따라서, 집안에서 보면 좀 답답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심지어, 집안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각 창문마다 위와 같은 방범창이 설치되어 있다면, 대피할 수 있는 출구는 단지 현관문으로만 국한될 수밖에 없어, 창문 등이 대피출구로 이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측 창문의 인근에 설치하고, 접찰 가능하게 하여 난간 또는 방범창으로 활용하도록 할 수 있는 난간 겸용 방범창 이를 갖는 주택용 창문을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접철 가능한 방범창몸체와; 상기 방범창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방범창 몸체의 접철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난간 겸용 방범창을 제공한다.
상기 방범창 몸체는, 다단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두 개 이상의 단위 방범창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는 다수의 리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 각각은, 지그 재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서로 다른 방향을 따르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돌출부가 교차로 형성되고, 접철시, 서로 상기 돌출부가 다른 단위 방범창몸체의 돌출부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의 돌출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방범창몸체의 삽입홈은 서로 레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방범창몸체의 양측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의 하단을 연결하고, 상기 방범창몸체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 지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에 일정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다수의 위치 결정홀과,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 각각의 양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위치 결정홀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도록 삽탈 가능한 고정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들 중 최상단에 위치되는 단위 방범창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홈과, 상기 상단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가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 회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간 겸용 방범창은, 구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기어치와, 최상단 측의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기어치에 기어 연결되어 회전되는 기어와,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상기 기어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최상단 측의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에 설치되며, 설정된 길이의 연결 로프와,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상기 연결 로프를 권취하거나 권취 해제하는 모터를 구비한다.
최상단측의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유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술한 난간 겸용 방범창이 실내측의 창틀 인근에 설치되는 주택용 창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 방식이 구현된 창호를 통해, 내리면 난간 역할을 할 수 있고, 올리면 방범창 역할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방범창호와 난간을 일체화함으로써 건축물의 입면을 차별화할 수 있으며, 유사시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탈부착이 어려운 방범창으로 인해 저해되었던 미관과 조망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a 와 도 1b는 난간 겸용 방범창 및 이를 갖는 주택용 창문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a와 도 2b는 방범창이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범창몸체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단위 방범창몸체들의 돌출부와 삽입홈 간의 결합 관계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가이드 프레임과, 단위 방범창몸체의 측부와의 연결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고정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고정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난간 겸용 방범창 및 이를 갖는 주택용 창문을 설명한다.
도 1a 와 도 1b는 난간 겸용 방범창 및 이를 갖는 주택용 창문을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2a와 도 2b는 방범창이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주택용 창문(1)은, 개폐 가능한 유리문(20)을 갖는 창틀(10)과, 난간 겸용 방범창으로 구성된다.
상기 창틀(10)은 개폐 가능한 유리문(20)이 설치되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는 주택에 설치된다. 상기 유리문(20)은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난간 겸용 방범창은 주택의 실내에서 창틀(10)의 인근 영역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범창은 창틀(10)과 인접하는 상태로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난간 겸용 방범창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난간 겸용 방범창은 크게 방범창몸체(100)와, 지지부(200)와, 고정부로 구성된다.
방범창 몸체(10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범창몸체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 하면, 상기 방범창몸체는 상하를 따라 접철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방범창몸체는 다수의 단위 방범창몸체(101)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방범창몸체(100)는 상하를 따라 배치되며, 상하를 따라 다단으로 접철되도록 구성된다.
단위 방범창몸체(101)는 수평 방향을 따라 상하로 교차로 돌출되도록 지그 재그 형상의 돌출부(120)가 형성되며, 각 돌출부(120)는 삽입홈(122)을 형성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101)는 수평 리브(110)와, 수평 리브(110)의 다수 위치에서 분기되어 교차로 돌출되어 돌출부(120)를 형성하는 다수의 돌출 리브(121)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 리브(121)의 벤딩되는 내측 공간이 상술한 삽입홈(122)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수의 단위 방범창몸체(101)이 다단으로 접철되는 경우, 하나의 단위 방범창몸체(101)의 돌출부들(120)은 하부에 위치되는 다른 단위 방범창몸체(101)의 돌출부들(120)에 형성되는 삽입홈(122) 각각에 삽입되도록 위치된다.
도 4는 단위 방범창몸체들의 돌출부와 삽입홈 간의 결합 관계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 하면, 하나의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101)의 돌출부(120)와 다른 하나의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101)의 삽입홈(122)은 서로 레일 결합되는 것이 좋다.
즉, 각각의 돌출 리브(121)의 양측면부에는 돌출되는 돌출 레일 돌기(122a)가 형성되고, 각각의 돌출 리브(121)의 내측면부에는 다른 단위 방범창몸체(101)의 돌출 리브(121)의 돌출 레일 돌기(122a)가 레일 결합될 수 있는 레일홈(122b)이 형성된다.
따라서, 각 단위 방범창몸체들(100)이 슬라이딩 접철되도록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돌출부들(120)이 삽입홈(1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일정 이상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지지부
도 1a 내지 도 2b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부(200)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210)과, 하단 지지 프레임(220)과 상단 지지 프레임(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210)은 서로 간격을 이루어 직립되는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하단 지지 프레임(220)은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210)의 하단을 연결한다.
상기 상단 지지 프레임(230)은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210)의 상단을 연결한다.
따라서,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부(200)는 전체적으로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는 가이드 프레임과, 단위 방범창몸체의 측부와의 연결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 하면,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210)의 내측부에는 상하를 따르는 안내 레일(211)이 형성된다.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101)의 양측부에는 상기 안내 레일(211)과 레일 결합되는 레일 돌기(111)가 형성된다.
따라서, 단위 방범창몸체(101)는 안내 레일(211)과 레일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고정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고정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범창은 실내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고정부 역시, 실내측에서 작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최상단의 단위 방범창몸체(101)를 양측부에 위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210)에 고정시켜, 다수의 단위 방범창몸체(101)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실외측에서 타인에 의해 접철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여 방범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하기에 언급되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한 고정부의 예들은 최상단의 단위 방범창몸체(101)를 고정하는 실시예들이며, 이들 예외에, 최상단의 단위 방범창몸체(101)의 접철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강제로 고정하는 방식은 유동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수단 모두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210)에 일정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다수의 위치 결정홀(310)과,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101) 각각의 양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위치 결정홀(310)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도록 삽탈 가능한 고정 베어링(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베어링(320)은 단위 방범창몸체(101) 각각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베어링 홀(321)에 삽입 및 돌출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이들은 베어링 홀(321)에 설치되는 스프링(112)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고정 베어링(320)이 돌출되어 해당 위치 결정홀(310)에 끼워지면, 해당 단위 방범창몸체(101)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고정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고정부는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들(100) 중 최상단에 위치되는 단위 방범창몸체(101)의 수평 리브(110)에 형성되는 고정홈(330)과, 상기 상단 지지 프레임(230)에 회전(H)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가 상기 고정홈(330)에 끼워지는 고정 회전 부재(340)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고정 회전 부재(340)를 상기 고정홈(330)에 끼워 걸리도록 함으로써, 지지부(200) 내측 공간에서 방범창몸체는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동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부(500)는 방범창몸체의 접철을 강제적으로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기어치(510)와, 최상단 측의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101)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기어치(510)에 기어 연결되어 회전되는 기어(520)와,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상기 기어(520)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530)로 구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 하면, 구동부(600)는 연결 로프와, 상기 최상단 측의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101)에 설치되어 연결 로프(630)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단(610)과, 가이드 프레임(210)의 상단에 설치되며, 연결 로프(630)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안내 롤러(620)와, 상기 안내 롤러(620)에 의해 안내되는 연결 로프(630)를 권취하는 권취 롤러(640)와, 상기 권취 롤러(640)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6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최상단측의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101)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좋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난간 겸용 방범창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 하면, 난간 겸용 방범창이 지지부(200)를 따라 펼쳐진 상태로, 창문의 인근에서 창문을 커버하는 방범창의 역할을 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고정부는 최상단측의 단위 방범창몸체(101)를 상단 지지프레임(230)에 고정하는 상태를 이룬다.
여기서, 고정부의 예는 상술한 예들이 적용될 수 있고, 이의 구성을 상기에 설명하였기 때문에 설명를 생략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부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면, 도 2a 및 도 2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최하단측의 단위 방범창몸체(101)를 제외한 그 상부의 단위 방범창몸체들(100)은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접철 가능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들이 접철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위 방범창몸체(101)의 돌출부들(120)은 그 하방에 위치되는 다른 단위 방범창몸체(101)의 돌출부들(120)에 형성되는 삽입홈(122)에 끼워지도록 배치된다.
또한, 접철되는 동작은 상술한 구동부(500,600)의 예들을 사용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500,6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단위 방범창몸체들(100) 양측부에 형성되는 고정 베어링(320)을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210)의 내측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위치 결정홀들(310) 중 해당 위치에 형성되는 위치 결정홀(310)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접철 위치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이상,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슬라이딩 방식이 구현된 방범창을 내리면 난간 역할을 할 수 있고, 올리면 방범창 자체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방범창과 난간을 일체화함으로써 건축물의 입면을 차별화할 수 있으며, 유사시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기존에 탈부착이 어려운 방범창으로 인해 저해되었던 미관과 조망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 : 창문 100 : 방범창몸체
101 : 단위 방범창 몸체 110 : 수평 리브
120 : 돌출부 121 : 돌출 리브
122 : 삽입홈 200 : 지지부
210 : 가이드 프레임 220 : 하단 지지프레임
230 : 상단 지지프레임 500, 600 : 구동부

Claims (11)

  1. 난간 겸용 방범창에 있어서,
    상기 난간 겸용 방범창은,
    접철 가능한 방범창몸체;
    상기 방범창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실내측에서 작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방범창 몸체의 접철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범창 몸체는, 다단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두 개 이상의 단위 방범창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는 다수의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 각각은, 지그 재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서로 다른 방향을 따르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돌출부가 교차로 형성되고,
    접철시, 서로 상기 돌출부가 다른 단위 방범창몸체의 돌출부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되,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는, 수평 리브와, 상기 수평 리브의 다수 위치에서 분기되어 교차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돌출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돌출 리브의 벤딩되는 내측 공간으로 형성되고,
    창틀은 개폐 가능한 유리문이 설치되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리문은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고,
    상기 난간 겸용 방범창은 창틀과 인접하는 상태로 대응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방범창몸체의 양측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의 하단을 연결하고, 상기 방범창몸체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 지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부에는 상하를 따르는 안내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의 양측부에는 상기 안내 레일과 레일 결합되는 레일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는 상기 안내 레일과 레일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에 일정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다수의 위치 결정홀과,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 각각의 양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위치 결정홀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도록 삽탈 가능한 고정 베어링을 구비하되,
    상기 고정 베어링은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베어링 홀에 삽입 및 돌출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 홀에 설치되는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들 중 최상단에 위치되는 단위 방범창몸체의 상단측 수평 리브에 설정된 깊이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고정홈과,
    상기 상단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 회전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상단 지지 프레임의 측부에는, 상기 고정 회전 부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전단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 회전 부재는 꺽이는 모서리를 이루도록 'ㄱ'형상으로 벤딩되되, 상기 모서리는 곡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겸용 방범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의 돌출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방범창몸체의 삽입홈은 서로 레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겸용 방범창.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 겸용 방범창은, 구동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기어치와,
    최상단 측의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기어치에 기어 연결되어 회전되는 기어와,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상기 기어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겸용 방범창.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최상단 측의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에 설치되며, 설정된 길이의 연결 로프와,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상기 연결 로프를 권취하거나 권취 해제하는 모터를 구비하되,
    최상단측의 상기 단위 방범창몸체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유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겸용 방범창.
  11. 제 1항, 제 5항, 제 9항,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난간 겸용 방범창이 실내측의 창틀 인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용 창문.
KR1020140038136A 2014-03-31 2014-03-31 난간 겸용 방범창 이를 갖는 주택용 창문 KR101840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136A KR101840085B1 (ko) 2014-03-31 2014-03-31 난간 겸용 방범창 이를 갖는 주택용 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136A KR101840085B1 (ko) 2014-03-31 2014-03-31 난간 겸용 방범창 이를 갖는 주택용 창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133A KR20150114133A (ko) 2015-10-12
KR101840085B1 true KR101840085B1 (ko) 2018-04-27

Family

ID=5434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136A KR101840085B1 (ko) 2014-03-31 2014-03-31 난간 겸용 방범창 이를 갖는 주택용 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230B1 (ko) * 2020-10-28 2021-06-23 (주)한미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안전 창문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973Y1 (ko) * 2002-09-27 2002-12-13 이덕재 베란다용 안전난간
KR200340267Y1 (ko) * 2003-09-05 2004-01-31 박수현 방범창
KR101015374B1 (ko) * 2010-06-10 2011-02-22 최상근 안전 창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973Y1 (ko) * 2002-09-27 2002-12-13 이덕재 베란다용 안전난간
KR200340267Y1 (ko) * 2003-09-05 2004-01-31 박수현 방범창
KR101015374B1 (ko) * 2010-06-10 2011-02-22 최상근 안전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133A (ko) 201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218B1 (ko) 접이식 미닫이 문
CA2884931A1 (en) Window and door system having easily changeable structure
KR200471155Y1 (ko) 고소 창문 개폐장치
JP2005113577A (ja) 外付けロールスクリーン
US10385600B2 (en) Horizontal garage door assembly
KR101719543B1 (ko) 이중창호용 접이식 안전 장치
US8176678B2 (en) Telescoping security window
KR101840085B1 (ko) 난간 겸용 방범창 이를 갖는 주택용 창문
KR101517098B1 (ko) 공동주택 창호용 방범 방충 시설물
KR200423291Y1 (ko) 아파트 전용 방범창 설치구조
KR200420406Y1 (ko) 수직사다리 출입통제 장치
KR100489814B1 (ko) 낙하방지를 위해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건축용 난간
JP5312188B2 (ja) 開閉体装置
KR101852335B1 (ko) 이중창호용 접이식 안전 장치
JPH09273361A (ja) 出入り口の開き扉
JP4334257B2 (ja) 開閉体装置
KR102665913B1 (ko) 반자동 미닫이문
KR102664317B1 (ko)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JP5226494B2 (ja) シャッタ及びそれを備えた建物
JP3970227B2 (ja) サッシ窓
KR20170119113A (ko) 방범 및 안전 방충망을 구비하는 창호 시스템
JP2007332616A (ja) 開閉体装置
KR20100136738A (ko) 미닫이 창호용 환기장치
JP4109691B2 (ja) 窓装置
KR20050109209A (ko) 커튼월 방식의 발코니 전용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