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155Y1 - 고소 창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고소 창문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1155Y1 KR200471155Y1 KR2020130008622U KR20130008622U KR200471155Y1 KR 200471155 Y1 KR200471155 Y1 KR 200471155Y1 KR 2020130008622 U KR2020130008622 U KR 2020130008622U KR 20130008622 U KR20130008622 U KR 20130008622U KR 200471155 Y1 KR200471155 Y1 KR 20047115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lley
- sliding door
- winding
- winding means
- wind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cords, chains or cab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longitudinally-moving bars guided, e.g. by pivoted links, in or on the frame
- E05F11/12—Mechanisms by which the bar shifts the wing
- E05F11/16—Mechanisms by which the bar shifts the wing shifting the wing by pivotally-connected members (moving)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of the w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horizontal movement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은 곳에 설치된 미닫이문에 도르래에 의해 낮은 곳까지 연결되는 연결끈을 설치하여 낮은 곳에서도 사용자가 쉽게 문을 개폐할 수 있는 고소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고소 창문 개폐장치는, 본 고안의 고소 창문 개폐장치는, 건축물의 고소(高所)에 설치되며, 창틀(11)과 상기 창틀(11) 내부에 설치되는 미닫이문(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창틀(11)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제1전환도르래(110) 및 제2전환도르래(120); 상기 제1전환도르래(110) 및 상기 제2전환도르래(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권취수단(200); 상기 미닫이문(12)과 연결되며, 상기 제1전환도르래(110) 및 상기 제2전환도르래(120)를 거쳐 상기 권취수단(200)에 감기게 장착되는 연결수단(3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수단(300)이 상기 권취수단(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권취수단(200)에 감김 또는 풀림됨에 따라 상기 미닫이문(12)이 개폐된다.
본 고안의 고소 창문 개폐장치는, 본 고안의 고소 창문 개폐장치는, 건축물의 고소(高所)에 설치되며, 창틀(11)과 상기 창틀(11) 내부에 설치되는 미닫이문(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창틀(11)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제1전환도르래(110) 및 제2전환도르래(120); 상기 제1전환도르래(110) 및 상기 제2전환도르래(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권취수단(200); 상기 미닫이문(12)과 연결되며, 상기 제1전환도르래(110) 및 상기 제2전환도르래(120)를 거쳐 상기 권취수단(200)에 감기게 장착되는 연결수단(3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수단(300)이 상기 권취수단(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권취수단(200)에 감김 또는 풀림됨에 따라 상기 미닫이문(12)이 개폐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고소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축물의 높은 곳에 설치된 미닫이문을 사용자의 손이 닿는 낮은 곳에서 조작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소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장, 체육관, 교회 등 고소에 위치한 창문은 환기 목적과, 채광 목적으로 설치한다. 창문을 개방하지 않아도 채광 효과는 있으나 개폐장치가 없는 문은 환기 기능을 할 수가 없다.
특히, 미닫이문이란 문을 좌우로 이동시켜 문을 개폐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대부분의 주택의 창문은 이러한 미닫이문 방식으로 개폐된다.
이러한 미닫이문은 바람 등에 의해 문이 저절로 열리거나 닫히는 여닫이문 문제를 보완하고, 개폐시 이동 반경을 줄여 공간 활용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어 근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교회, 공장 및 실내체육관 등 천장이 높은 건축물에는 사람 키 높이 정도의 저소(低所) 뿐만 아니라 천장 근처의 고소(高所)에도 창문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창문은 비나 눈이 올 때에는 비나 눈이 건축물 내부로 들오는 것을 막기 위해 닫혀 있어야 하고, 건축물 내부의 공기가 탁할 때에는 개방되어 내부 공기를 환기시켜야 한다.
즉, 창문은 수시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고소에 설치된 창문은 사람의 손이 닿지 않기 때문에 개폐하기 위해서는 사다리 등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작업중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높은 곳에 있는 창문은 개폐가 어려워 거의 닫아 놓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환기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내부의 공기가 탁해지고, 작업 환경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높은 곳에 설치된 미닫이문에 도르래에 의해 낮은 곳까지 연결되는 연결끈을 설치하여 낮은 곳에서도 사용자가 쉽게 문을 개폐할 수 있는 고소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고소 창문 개폐장치는, 건축물의 고소(高所)에 설치되며, 창틀(11)과 상기 창틀(11) 내부에 설치되는 미닫이문(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창틀(11)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제1전환도르래(110) 및 제2전환도르래(120); 상기 제1전환도르래(110) 및 상기 제2전환도르래(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권취수단(200); 상기 미닫이문(12)과 연결되며, 상기 제1전환도르래(110) 및 상기 제2전환도르래(120)를 거쳐 상기 권취수단(200)에 감기게 장착되는 연결수단(3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수단(300)이 상기 권취수단(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권취수단(200)에 감김 또는 풀림됨에 따라 상기 미닫이문(12)이 개폐된다.
상기 권취수단(200)은, 상기 제1전환도르래(1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연결수단(300)의 일측이 감겨지는 제1구동도르래(210); 상기 제2전환도르래(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연결수단(300)의 타측이 감겨지는 제2구동도르래(220); 를 포함하되, 상기 제1구동도르래(2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수단(300)이 감겨짐으로써상기 미닫이문(12)이 개방되고, 상기 제2구동도르래(2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수단(300)이 감겨짐으로써 상기 미닫이문(12)이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수단(300)은, 일단이 상기 미닫이문(12)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전환도르래(110)를 거쳐 상기 권취수단(200)에 감겨진 제1연결끈(310); 일단이 상기 미닫이문(12)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전환도르래(120)를 거쳐 상기 권취수단(200)에 감겨진 제2연결끈(320);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취수단(200)은 이중도르래(250)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중도르래(250)에는 상기 제1연결끈(310)이 시계방향으로 감김 장착되는 제1권취부(251); 상기 제2연결끈(320)이 반시계방향으로 감김 장착되는 제2권취부(252); 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닫이문(12)에 장착되며, 양측에 상기 제1연결끈(310)과 상기 제2연결끈(320)이 각각 장착되는 잠금수단(400); 상기 창틀(11)에 장착되며, 상기 미닫이문(12)의 폐쇄시 상기 잠금수단(400)이 삽입 고정되는 잠금고리(500);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수단(400)은, 상기 미닫이문(12)에 고정 장착되는 몸체(410); 상기 몸체(4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되, 일단에는 상기 몸체(410)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잠금고리(500)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부(42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연결끈(310)이 연결되는 이동부재(420); 상기 몸체(410)와 상기 이동부재(42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부재(420)를 상기 몸체(410)의 외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40);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취수단(200)은, 상기 권취수단(200)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레버(230) 또는 상기 권취수단(200)을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터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고소 창문 개폐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미닫이문(12)과 상기 창틀(11)에 상기 잠금수단(400)과 상기 잠금고리(500)가 각각 장착됨으로써, 상기 미닫이문(12)을 외부에서 침입자가 열 수 없도록 하여 방범기능을 향상시키고, 상기 제1구동도르래(210)와 상기 제2구동도르래(220)를 사용하여 상기 미닫이문(12)을 열고 닫을 때 상기 미닫이문(12)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권취수단(200)을 사용하여 낮은 곳에서도 별도의 사다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미닫이문(12)을 개폐할 수 있어, 고소에 위치한 창문(10)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이로 인해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소 창문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 창문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 창문 개폐장치의 창문 개방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 창문 개폐장치의 창문 개방시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소 창문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 창문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 창문 개폐장치의 창문 개방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 창문 개폐장치의 창문 개방시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소 창문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소 창문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소 창문 개폐장치는 제1전환도르래(110), 제2전환도르래(120), 권취수단(200) 및 연결수단(3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전환도르래(110) 및 상기 제2전환도르래(120)는, 일반적인 원통형 형상의 도르래로 이루어지며, 고소(高所)에 위치한 창문(10)의 좌우 양측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창문(10)이 설치된 벽면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창문(10)은 건축물의 높은 곳, 즉 고소(高所)에 설치되는 미닫이 방식의 창문(10)으로서, 창틀(11)과, 상기 창틀(11)에 좌우로 이동되게 설치되는 미닫이문(12)으로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전환도르래(110) 및 상기 제2전환도르래(120)는 상기 창틀(11)에 장착될 수도 있으나,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창틀(11)의 양측에 위치한 벽면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전환도르래(110) 및 상기 제2전환도르래(120)에는 후술할 상기 연결수단(300)이 약 90도 각도로 절곡되게 감긴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수단(300)의 방향을 가로 방향에서 세로 방향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권취수단(200)은 상기 제1전환도르래(110) 및 상기 제2전환도르래(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권취수단(200)은 제1구동도르래(210), 제2구동도르래(220) 및 회전레버(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구동도르래(210) 및 상기 제2구동도르래(220)는 제1전환도르래(110)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도르래이며, 상기 제1전환도르래(110)와 상기 제2전환도르래(120)의 하부에서 사람의 손이 쉽게 닿는 높이에 배치되고, 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구동도르래(2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전환도르래(110)에 의해 하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된 상기 연결수단(300)이 반시계 방향으로 감기고, 상기 제2구동도르래(2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전환도르래(120)에 의해 하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된 상기 연결수단(300)이 시계방향으로 감긴다.
또한, 상기 제1구동도르래(210) 및 상기 제2구동도르래(220)에는 각각 상기 회전레버(230)가 장착된다.
상기 회전레버(230)는 상기 제1구동도르래(210) 및 상기 제2구동도르래(220)의 회전 중심부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1구동도르래(210) 및 상기 제2구동도르래(220)를 사람이 수동으로 힘을 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전환도르래(110) 및 상기 제2전환도르래(120)의 하부에 상기 연결수단(300)이 감기는 상기 권취수단(200)이 각각 구비됨으로써, 회전력을 통해 상기 미닫이문(12)을 개폐하여 개폐 작업을 편리하게 하며, 상기 연결수단(300)의 끝단을 가지런히 감아 외관을 깔끔하게 보이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회전레버(230) 대신 상기 제1구동도르래(210)와 상기 제2구동도르래(220)를 전동모터와 연결하여 자동으로 회전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연결수단(300)은 통상적인 노끈, 밧줄 또는 와이어 등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밧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300)은 1개의 밧줄로 이루어지는데, 중간 부분이 상기 미닫이문(12)의 일측 또는 양측에 고정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제1구동도르래(210)와 상기 제2구동도르래(220)에 감김 장착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소 창문 개폐장치는, 상기 제1구동도르래(2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수단(300)의 좌측단이 상기 제1구동도르래(210)에 감기면서 상기 미닫이문(12)이 개방되고, 상기 제2구동도르래(2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수단(300)의 우측단이 상기 제2구동도르래(220)에 감기면서 상기 미닫이문(12)이 폐쇄된다.
제2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 창문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 창문 개폐장치의 창문 개방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 창문 개폐장치의 창문 개방시 단면 구조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 창문 개폐장치는 제1전환도르래(110), 제2전환도르래(120), 권취수단(200), 연결수단(300), 잠금수단(400) 및 잠금고리(500)로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 창문 개폐장치는 제1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수단(300)상기 잠금수단(400) 및 상기 잠금고리(500)를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이 모두 동일하므로, 상기 제1전환도르래(110), 제2전환도르래(120), 권취수단(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수단(300)은 통상적인 노끈, 밧줄 또는 와이어 등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밧줄로 구성되고, 구체적으로 제1연결끈(310)과 제2연결끈(3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결끈(310)은 상기 미닫이문(12)의 좌측에 배치되되, 일단이 상기 잠금수단(400)을 통해 상기 미닫이문(12)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전환도르래(110)를 거쳐 상기 권취수단(200), 즉 상기 제1구동도르래(210)에 감기게 장착된다.
상기 제2연결끈(320)은 상기 미닫이문(12)의 우측에 배치되되, 일단이 상기 잠금수단(400)을 통해 상기 미닫이문(12)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전환도르래(120)를 거쳐 상기 제2구동도르래(220)에 감기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1연결끈(310)은 상기 제1구동도르래(2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1구동도르래(210)에 감기며, 상기 미닫이문(12)을 좌측으로 잡아당기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2연결끈(320)은 상기 제2구동도르래(2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2구동도르래(220)에 감기며, 상기 미닫이문(12)을 우측으로 잡아당기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잠금수단(400)은 상기 미닫이문(12)에 고정 장착되며, 양측에 상기 제1연결끈(310)과 상기 제2연결끈(320)이 각각 고정 장착되어 상기 제1연결끈(310) 및 상기 제2연결끈(320)을 상기 미닫이문(12)과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400)은 상기 미닫이문(12)의 폐쇄시 후술할 상기 잠금고리(500)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미닫이문(12)을 잠금 상태로 유지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수단(400)은 몸체(410), 이동부재(420), 지지돌기(430) 및 탄성부재(4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410)는 상기 미닫이문(12)의 우측에 장착되며, 우측단이 상기 창틀(11) 방향으로 돌출되고, 내부에는 상기 이동부재(420), 상기 지지돌기(430) 및 상기 탄성부재(440)가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42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몸체(41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단에는 경사부(42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제1연결끈(310)이 고정된다.
상기 경사부(421)는 상면이 상기 잠금고리(500)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이동부재(420)는 좌측의 두께가 우측의 두께보다 높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420)는 평상시 상기 몸체(4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끈(310)이 상기 제1구동도르래(210)에 감길 때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몸체(4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지지돌기(430)와 접하여 정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돌기(430)는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이동부재(42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41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부재(420)의 하방향 이동시 접하여 상기 이동부재(42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한다.
상기 탄성부재(440)는 일반적인 코일스프링이며, 상기 이동부재(420)의 하단과 상기 몸체(4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420)를 상기 몸체(410)의 외부 방향, 즉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440)의 탄성력은 상기 제1연결끈(310)의 장력보다 크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끈(310)이 당겨질 때 상기 이동부재(42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축되었다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닫이문(12)이 개방된 후에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42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잠금고리(500)는 상기 창틀(11)에 장착되며, 상기 몸체(410)가 삽입 관통되도록 내측에 사각형의 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잠금고리(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420)의 좌측면과 접하여 상기 미닫이문(12)을 잠금상태로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미닫이문(12)에 상기 잠금수단(400)이 장착되고, 상기 창틀(11)에 상기 잠금고리(500)가 장착됨으로써, 외부 침입자가 상기 권취수단(200)을 사용하지 않고 외부에서 상기 미닫이문(12)을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 창문 개폐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미닫이문(12)이 닫힌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410)는 상기 잠금고리(500)에 관통 삽입되고, 상기 이동부재(420)는 상기 탄성부재(440)에 의해 상기 잠금고리(500)의 상단보다 높게 돌출되며, 상기 잠금고리(500)와 접하여 상기 미닫이문(12)을 외부에서 열 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회전레버(230)를 이용하여 상기 제1구동도르래(2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연결끈(310)이 상기 제1구동도르래(210)에 감기게 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420)는 상기 탄성부재(440)를 압축시키면서 상기 몸체(410) 내부로 삽입된다.
이 후 상기 이동부재(420)가 상기 지지돌기(430)에 접하게 되면,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닫이문(12)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문이 개방되며, 사용자가 상기 회전레버(230)에서 손을 놓으면 상기 탄성부재(4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420)가 다시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문을 다시 닫을 때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2구동도르래(2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연결끈(320)이 상기 제2구동도르래(220)에 감기면서 상기 미닫이문(12)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경사부(421)가 상기 잠금고리(500)에 닿으면 상기 이동부재(420)는 점점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몸체(410)에 삽입되었다가, 상기 몸체(410)의 우측단이 상기 잠금고리(500)를 통과한 후에는 상기 탄성부재(440)에 의해 상방향으로 다시 돌출된다.
상기 이동부재(420)의 좌측은 대략 수직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미닫이문(12)을 임의로 좌측으로 당기더라도 상기 잠금고리(500)와 상기 이동부재(420)의 좌측면이 닿아서 상기 미닫이문(12)은 열리지 않고, 반드시 상기 제1구동도르래(210)를 사용하여 상기 제1연결끈(310)을 당겨야 상기 미닫이문(12)이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미닫이문(12)과 상기 창틀(11)에 상기 잠금수단(400)과 상기 잠금고리(500)가 각각 장착됨으로써, 상기 미닫이문(12)을 외부에서 침입자가 열 수 없도록 하여 방범기능을 향상시키고, 상기 제1구동도르래(210)와 상기 제2구동도르래(220)를 사용하여 상기 미닫이문(12)을 열고 닫을 때 상기 미닫이문(12)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자동으로 이루어져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권취수단(200)을 사용하여 낮은 곳에서도 별도의 사다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미닫이문(12)을 개폐할 수 있어, 고소에 위치한 창문(10)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이로 인해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제3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소 창문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소 창문 개폐장치는 상기 권취수단(200)을 제외하고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 권취수단(200)은 제1권취부(251) 및 제2권취부(252)가 형성된 1개의 이중도르래(250)로 이루어진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중도르래(250)는 상기 제1전환도르래(110)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권취부(251)에는 상기 제1전환도르래(11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상기 연결수단(300)이 감기고, 상기 제2권취부(252)에는 상기 제2전환도르래(12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상기 연결수단(300)이 감긴다..
여기에서, 제1권취부(251)에 감긴 상기 연결수단(300)과 상기 제2권취부(252)에 감긴 상기 연결수단(300)의 감김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또한, 상기 이중도르래(250)는 전동모터(260)에 의해 정역 회전된다.
또한, 상기 권취수단(200)이 상기 이중도르래(250)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권취수단(200)의 양측에는 상기 연결수단(300)을 상기 권취수단(200) 방향으로 절곡시키는 제3전환도르래(130) 및 제4전환도르래(140)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권취수단(200)이 1개의 이중도르래(250)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창문(10)의 개폐시 하나의 수단으로 개폐가 가능하여 사용을 좀더 편리하게 하고, 상기 권취수단(200)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전동모터(260)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 단가가 감소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 창문, 11 :창틀,
12 : 미닫이문, 110 : 제1전환도르래,
120 : 제2전환도르래, 200 : 권취수단,
210 : 제1구동도르래, 220 : 제2구동도르래,
230 : 회전레버, 250 : 이중도르래,
251 : 제1권취부, 252 : 제2권취부,
260 : 전동모터,
300 : 연결수단, 310 : 제1연결끈,
320 : 제2연결끈, 400 : 잠금수단,
410 : 몸체, 420 : 이동부재,
430 : 지지돌기, 440 : 탄성부재,
500 : 잠금고리,
12 : 미닫이문, 110 : 제1전환도르래,
120 : 제2전환도르래, 200 : 권취수단,
210 : 제1구동도르래, 220 : 제2구동도르래,
230 : 회전레버, 250 : 이중도르래,
251 : 제1권취부, 252 : 제2권취부,
260 : 전동모터,
300 : 연결수단, 310 : 제1연결끈,
320 : 제2연결끈, 400 : 잠금수단,
410 : 몸체, 420 : 이동부재,
430 : 지지돌기, 440 : 탄성부재,
500 : 잠금고리,
Claims (7)
- 건축물의 고소(高所)에 설치되며, 창틀(11)과 상기 창틀(11) 내부에 설치되는 미닫이문(12)으로 이루어진 고소 창문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틀(11)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제1전환도르래(110) 및 제2전환도르래(120);
상기 제1전환도르래(110) 및 상기 제2전환도르래(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권취수단(200);
상기 미닫이문(12)과 연결되며, 상기 제1전환도르래(110) 및 상기 제2전환도르래(120)를 거쳐 상기 권취수단(200)에 감기게 장착되는 연결수단(3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수단(300)이 상기 권취수단(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권취수단(200)에 감김 또는 풀림됨에 따라 상기 미닫이문(12)이 개폐되고,
상기 연결수단(300)은,
일단이 상기 미닫이문(12)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전환도르래(110)를 거쳐 상기 권취수단(200)에 감겨진 제1연결끈(310);
일단이 상기 미닫이문(12)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전환도르래(120)를 거쳐 상기 권취수단(200)에 감겨진 제2연결끈(320);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미닫이문(12)에 장착되며, 양측에 상기 제1연결끈(310)과 상기 제2연결끈(320)이 각각 장착되는 잠금수단(400);
상기 창틀(11)에 장착되며, 상기 미닫이문(12)의 폐쇄시 상기 잠금수단(400)이 삽입 고정되는 잠금고리(5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창문 개폐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수단(200)은,
상기 제1전환도르래(1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연결수단(300)의 일측이 감겨지는 제1구동도르래(210);
상기 제2전환도르래(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연결수단(300)의 타측이 감겨지는 제2구동도르래(220); 를 포함하되,
상기 제1구동도르래(2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수단(300)이 감겨짐으로써상기 미닫이문(12)이 개방되고,
상기 제2구동도르래(2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수단(300)이 감겨짐으로써 상기 미닫이문(12)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창문 개폐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수단(200)은 이중도르래(250)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중도르래(250)에는
상기 제1연결끈(310)이 시계방향으로 감김 장착되는 제1권취부(251);
상기 제2연결끈(320)이 반시계방향으로 감김 장착되는 제2권취부(252); 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창문 개폐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400)은,
상기 미닫이문(12)에 고정 장착되는 몸체(410);
상기 몸체(4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되, 일단에는 상기 몸체(410)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잠금고리(500)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부(42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연결끈(310)이 연결되는 이동부재(420);
상기 몸체(410)와 상기 이동부재(42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부재(420)를 상기 몸체(410)의 외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창문 개폐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수단(200)은,
상기 권취수단(200)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레버(230) 또는 상기 권취수단(200)을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터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창문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8622U KR200471155Y1 (ko) | 2013-10-21 | 2013-10-21 | 고소 창문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8622U KR200471155Y1 (ko) | 2013-10-21 | 2013-10-21 | 고소 창문 개폐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1155Y1 true KR200471155Y1 (ko) | 2014-02-11 |
Family
ID=51419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8622U KR200471155Y1 (ko) | 2013-10-21 | 2013-10-21 | 고소 창문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1155Y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9158B1 (ko) | 2014-09-29 | 2016-01-27 | 류만열 | 쌍 미닫이 창문용 개폐장치 |
KR102047518B1 (ko) * | 2018-07-25 | 2019-11-21 |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 창문 개폐용 보조기구 |
KR102146630B1 (ko) * | 2019-06-26 | 2020-08-20 | 박정만 | 고가 창문 개폐방법 |
KR102167945B1 (ko) | 2019-05-17 | 2020-10-20 | 우장하 | 미닫이식 고소 창문구조체용 개폐장치 |
KR20210133699A (ko) | 2020-04-29 | 2021-11-08 | (주) 씨앤월 | 글라스 무빙 도어를 위한 로프 잠금 장치 |
KR102635109B1 (ko) * | 2023-11-07 | 2024-02-07 | 고련희 | 고소 창문 개폐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3224A (ko) * | 1996-12-02 | 1998-09-05 | 권오형 | 탈착식 미닫이문 자동 개폐 장치 |
KR20040027635A (ko) * | 2004-02-12 | 2004-04-01 | 김민우 | 높은 창문 원격 창문 개폐기 |
JP2009007805A (ja) * | 2007-06-27 | 2009-01-15 | Aisin Seiki Co Ltd | 建築物開閉体の自動開閉装置 |
KR20110006704U (ko) * | 2009-12-28 | 2011-07-06 | 최용환 | 배연창 개폐장치 |
-
2013
- 2013-10-21 KR KR2020130008622U patent/KR200471155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3224A (ko) * | 1996-12-02 | 1998-09-05 | 권오형 | 탈착식 미닫이문 자동 개폐 장치 |
KR20040027635A (ko) * | 2004-02-12 | 2004-04-01 | 김민우 | 높은 창문 원격 창문 개폐기 |
JP2009007805A (ja) * | 2007-06-27 | 2009-01-15 | Aisin Seiki Co Ltd | 建築物開閉体の自動開閉装置 |
KR20110006704U (ko) * | 2009-12-28 | 2011-07-06 | 최용환 | 배연창 개폐장치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9158B1 (ko) | 2014-09-29 | 2016-01-27 | 류만열 | 쌍 미닫이 창문용 개폐장치 |
KR102047518B1 (ko) * | 2018-07-25 | 2019-11-21 |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 창문 개폐용 보조기구 |
KR102167945B1 (ko) | 2019-05-17 | 2020-10-20 | 우장하 | 미닫이식 고소 창문구조체용 개폐장치 |
KR102146630B1 (ko) * | 2019-06-26 | 2020-08-20 | 박정만 | 고가 창문 개폐방법 |
KR20210133699A (ko) | 2020-04-29 | 2021-11-08 | (주) 씨앤월 | 글라스 무빙 도어를 위한 로프 잠금 장치 |
KR102635109B1 (ko) * | 2023-11-07 | 2024-02-07 | 고련희 | 고소 창문 개폐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1155Y1 (ko) | 고소 창문 개폐장치 | |
US20110061823A1 (en) | Counterbalanced blind | |
US9410364B1 (en) | Sealed magnetic-controlled window blind between two panes of glass | |
US20090273307A1 (en) | Remote vertical blind opening and closing system | |
CN209780705U (zh) | 一种门窗用护栏 | |
KR200451040Y1 (ko) | 인장형 가스 스프링이 구비된 화재 대피창 | |
JP2011132806A (ja) | ブラインド装置と窓枠との構造 | |
EP2700783A1 (en) | Magnetic mechanism for venetian blinds actuation positioned in between double glazing with the use of a small DC electric motor | |
JP6723096B2 (ja) | 建具 | |
KR20130004711U (ko) | 전동 환기창 | |
JP2007170138A (ja) | 竪軸滑り出し窓 | |
KR101015374B1 (ko) | 안전 창호 | |
JP3198547U (ja) | 雨よけブラインド | |
KR102700827B1 (ko) | 고소 설치형 창문용 개폐기 | |
KR100523248B1 (ko) |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 |
JP2018009437A (ja) | 建具 | |
KR101314780B1 (ko) |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 | |
JP5419436B2 (ja) | シャッター装置のロック機構、及び、それを備えるシャッター装置 | |
KR101840085B1 (ko) | 난간 겸용 방범창 이를 갖는 주택용 창문 | |
JP2004316094A (ja) | 扉の安全開閉構造 | |
CN215169272U (zh) | 一种智能儿童防坠窗 | |
CN205036228U (zh) | 一种新型窗户结构 | |
US9719296B1 (en) | Apparatuses and systems for selectively locking lift cords used to lift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s | |
JP2002364267A (ja) | ブラインド装置 | |
CN211008376U (zh) | 外拉手和拉绳式内置百叶中空玻璃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