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630B1 - 고가 창문 개폐방법 - Google Patents

고가 창문 개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630B1
KR102146630B1 KR1020190076195A KR20190076195A KR102146630B1 KR 102146630 B1 KR102146630 B1 KR 102146630B1 KR 1020190076195 A KR1020190076195 A KR 1020190076195A KR 20190076195 A KR20190076195 A KR 20190076195A KR 102146630 B1 KR102146630 B1 KR 102146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re
building
opening
shape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만
Original Assignee
박정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만 filed Critical 박정만
Priority to KR1020190076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균 신장의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건물 벽면의 상단에 슬라이딩 방식의 미닫이 창문을 개폐하는 고가 창문 개폐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창틀 안에 장착되는 한 쌍의 창문 중에 상대적으로 건물 내측으로 돌출된 창문에 지지브래킷의 일단이 건물 내부로 돌출되도록 장착하고, 상기 지지브래킷에서 건물 내부로 돌출된 일단에는 와이어를 관통시켜 고정시키되, 상기 와이어의 양단은 건물 벽면 또는 창틀에 설치된 롤러에 의해 하부로 향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와이어의 양단 중 일단을 당기면 창문은 창틀 내에서 슬라이딩 되어 개방되고, 타단을 당기면 개방된 창문이 슬라이딩 되어 다시 닫히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고가 창문 개폐방법은 장치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 및 조작이 매우 간단하고, 수동으로 조작하기에 전기료 등의 유지관리비용이 적게 든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가 창문 개폐방법{Method for opening and closing elevated window}
본 발명은 고가 창문 개폐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균 신장의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건물 벽면의 상단에 설치된 창문을 개폐하는 방법으로서, 특히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 개의 슬라이딩 방식의 미닫이 창문을 동시에 개폐하는 고가 창문 개폐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장과 같은 건물은 내부에 대규모의 설비나 높이가 매우 높은 장치가 설치되어야 하기에 건물벽의 높이가 매우 높게 시공되며, 여러 가지 안전상 통풍수단으로서 창문은 건물벽의 상단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대다수의 사람은 창문을 열고 닫기 위하여 사다리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창문을 열고 닫기 때문에 매우 불편함을 호소하기에 고가 창문을 열고 닫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있다.
상술한 고가 창문을 열고 다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공보 제0000234호에 창문(1)의 중간에 지축(2)이 축설되어 상하가 축동하여 개폐되는 통상의 고가 창문에 있어서 창문(1)의 하방측 벽면(3)에 2줄의 견인 로우프(5)(5')를 좌우 수평 이동되게 나사홈(4'')이 형성된 풀리(4)(4')로 장설하고 창문(1)의 지축(2)에서 등거리 위치의 상하 창문에 2개의 견인줄(6)(6')을 각각 결첩하여 그 하단부를 공지의 90도 안내 로울러(7)(7')(7'')(7''')를 통하여 견인로우프(5)(5')에 각각 결립하여서 된 고가 창문 자동 개폐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공보 0003438호에 고가창문틀(1)의 내측으로 별도의 축잡이(2)에 지지되는 회동축(3)을 횡설하여 개폐창문(5)과 마주보는 위치에 일정형상의 창문개폐간(4)을 부착하여 그 외측연결부(4a)를 개폐창문(5)의 측면에 부착한 연결편(6)의 안내장공(6a)에 접속시키고 회동축(3) 중간부에 일정형상의 회동축 작동간(10)을 부착시켜 그 외측 연결부를 고가창문틀에 가설한 실린더부착대(7)의 접속부(7a)에 연결핀으로 접속시킨 복동형 공압실린더(8)의 작동간(9)끝에 형성된 접속구(9a)와 접속시켜서 공압실린더(8)에 공급되는 공기압의 공급방향을 선택하므로서 회동축을 정역으로 회동시켜 개폐창문(5)을 개폐할 수 있게 한 고가창문의 개폐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고가 창문의 개폐장치는 전기를 동력을 하는 전동장치를 사용하므로 전기료 등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들며, 장치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설치가 어려우며, 또한 복잡한 장치구조로 인해 작동 시 고장이 잦기 때문에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장치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 및 조작이 매우 간단하고, 수동으로 조작하기에 전기료 등의 유지관리비용이 적게 드는 고가 창문 개폐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평균 신장의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건물 벽면의 상단에 슬라이딩 방식의 미닫이 창문을 개폐하는 고가 창문 개폐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창틀 안에 장착되는 한 쌍의 창문 중에 상대적으로 건물 내측으로 돌출된 창문에 지지브래킷의 일단이 건물 내부로 돌출되도록 장착하고, 상기 지지브래킷에서 건물 내부로 돌출된 일단에는 와이어를 관통시켜 고정시키되, 상기 와이어의 양단은 건물 벽면 또는 창틀에 설치된 롤러에 의해 하부로 향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와이어의 양단 중 일단을 당기면 창문은 창틀 내에서 슬라이딩 되어 개방되고, 타단을 당기면 개방된 창문이 슬라이딩 되어 다시 닫히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고가 창문 개폐방법은 장치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 및 조작이 매우 간단하고, 수동으로 조작하기에 전기료 등의 유지관리비용이 적게 든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고가 창문 개폐방법을 나타낸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고가 창문 개폐장치의 동작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고가 창문 개폐방법을 나타낸 일부분 개요도.
도 4는 도 3의 다른 측면에 본 일부분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 고가 창문 개폐장치의 지지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고가 창문 개폐장치의 와이어와 지지브래킷 및 창문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고가 창문 개폐장치 중 지지브래킷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사시도.
본 발명 평균 신장의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건물 벽면(100)의 상단에 슬라이딩 방식의 미닫이 창문(200)을 개폐하는 고가 창문 개폐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창틀(110) 안에 장착되는 한 쌍의 창문(200) 중에 상대적으로 건물 내측으로 돌출된 창문(200)에 지지브래킷(300)의 일단이 건물 내부로 돌출되도록 장착하고, 상기 지지브래킷(300)에서 건물 내부로 돌출된 일단에는 와이어(500)를 관통시켜 고정시키되, 상기 와이어(500)의 양단은 건물 벽면(100) 또는 창틀(110)에 설치된 롤러(600)에 의해 하부로 향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와이어(500)의 양단 중 일단을 당기면 창문(200)은 창틀(110) 내에서 슬라이딩 되어 개방되고, 타단을 당기면 개방된 창문(200)이 슬라이딩 되어 다시 닫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창틀(110)은 건물 벽면(100)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창틀(110)에는 각각 한 쌍의 미닫이 창문(200)이 설치되되, 각각의 창문(200)에는 지지브래킷(300)이 장착됨으로써 와이어(500)가 당겨지는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창문(200)이 동시에 이동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래킷(300)은 사각판재형 몸체(310)와, 상기 사각판재형 몸체(310)의 일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구(320)와, 상기 관통구(320)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판재형 몸체(310)의 일면이 개구되어 복수 개의 관통구(320)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장홀(330)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 사각판재형 몸체(310)를 건물 내부 측으로 돌출된 창문(200)의 세로 측 창문프레임(220)에 사각판재형 몸체(3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구(320)는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고, 장홀(330)의 개구부는 상부를 향하도록 접촉시킨 후, 상기 관통구(320)에 핀 또는 볼트를 삽입시켜 사각판재형 몸체(310)를 창문(200)에 고정시키며, 상기 사각판재형 몸체(310)의 장홀(330)에는 와이어(500)를 관통시켜 고정부재(400)로서 와이어(500)와 사각판재형 몸체(310)를 고정함으로써 와이어(500)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창문(200)이 이동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0)는 U자형으로서 고정부재(400)의 개구부를 통해 와이어(500)를 관통시켜 개구된 양단 부를 펜치와 같은 공구로서 와이어(500)와 사각판재형 몸체(310)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고가 창문 개폐방법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고가 창문 개폐방법을 나타낸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고가 창문 개폐장치의 동작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고가 창문 개폐방법을 나타낸 일부분 개요도 ,도 4는 도 3의 다른 측면에 본 일부분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 고가 창문 개폐장치의 지지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고가 창문 개폐장치의 와이어와 지지브래킷 및 창문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평균 신장의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건물 벽면(100)의 상단에 슬라이딩 방식의 미닫이 창문(200)을 개폐하는 고가 창문 개폐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창틀(110) 안에 장착되는 한 쌍의 창문(200) 중에 상대적으로 건물 내측으로 돌출된 창문(200)에 지지브래킷(300)의 일단이 건물 내부로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래킷(300)에서 건물 내부로 돌출된 일단에는 와이어(500)를 관통시켜 고정시키되, 상기 와이어(500)의 양단은 건물 벽면(100) 또는 창틀(110)에 설치된 롤러(600)에 의해 하부로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상기 와이어(500)의 양단 중 일단을 당기면 창문(200)은 창틀(110) 내에서 슬라이딩 되어 개방되고, 타단을 당기면 개방된 창문(200)이 슬라이딩 되어 다시 닫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500)의 양단에는 각각 손잡이(700)를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파지가 더욱 용이하도록 한다.
참고로, 창틀(110)은 창문을 장착하기 위해 관통된 건물 벽면(120)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사각 프레임을 가리키며, 창문(110)은 유리창(210)과 상기 유리창(210)의 가장자리에 체결되는 사각프레임 형상의 창문프레임(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브래킷(300)은 사각판재형 몸체(310)와, 상기 사각판재형 몸체(310)의 일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구(320)와, 상기 관통구(320)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판재형 몸체(310)의 일면이 개구되어 복수 개의 관통구(320)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장홀(330)로 구성되어 있다.
와이어(500)가 관통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구성으로 관통홀을 형성할 수도 있어나 이는. 와이어(500)의 일단이 직접 관통홀을 관통하여야 하지만 장홀(330)을 형성함으로써 와이어(500)의 몸체 부분이 장홀(330)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기 때무에 보다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사각판재형 몸체(310)를 건물 내부 측으로 돌출된 창문(200)의 세로 측 창문프레임(220)에 사각판재형 몸체(3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구(320)는 수직방향으로 나란하도록 하고, 장홀(330)의 개구부는 상부를 향하도록 접촉시킨 후, 상기 관통구(320)에 핀 또는 볼트를 삽입시켜 사각판재형 몸체(310)를 창문(200)에 고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사각판재형 몸체(310)의 장홀(330)에는 와이어(500)를 관통시켜 고정부재(400)로서 와이어(500)와 사각판재형 몸체(310)를 고정하게 되면 와이어(500)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창문(200)이 이동함으로써 창문(200)이 열리거나 닫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0)는 U자형으로서 고정부재(400)의 개구부를 통해 와이어(500)를 관통시켜 개구된 양단 부를 펜치와 같은 공구로서 와이어(500)와 사각판재형 몸체(310)가 고정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창틀(110)을 건물 벽면(100)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하고, 상기 창틀(110)에는 각각 한 쌍의 미닫이 창문(200)이 설치하되, 각각의 창문(200)에는 지지브래킷(300)이 장착하게 되면 와이어(500)가 당겨지는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창문(200)이 동시에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한편, 공장의 건물 벽면(100)의 경우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의 판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건물 벽면(10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 벽면(100)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H빔(120)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상기 H빔(120)으로 인해 와이어(500)가 복수 개의 창문(200)과 창문(200) 사이로 일자 형태로 연결이 어려워질 경우 쇄기형 부재(800)로서 H빔(120)과 금속재질의 건물 벽면(100) 사이에 억지끼움을 하게 되면 H빔(120)과 건물 벽면(100)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틈새로 와이어(500)를 관통시켜 창문(200)과 창문(200)을 연결할 수도 있다.
그러나 H빔(120)과 건물 벽면(100)이 너무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어 쇄기형 부재(800)를 사용시 파손이나 변형이 발생할 수 있기에 또 다른 방법을 안출하여야 하기에 이에 대한 해법을 아래의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 고가 창문 개폐장치 중 지지브래킷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판재형 몸체(310)를 관통구(320)가 형성되어 있는 제1몸체(311)와 장홀(330)이 형성되어 있는 제1몸체(312)로 분할하고, 상기 제1몸체(311)에 대향하는 제2몸체(312)의 일면에는 제1몸체(311)를 향하여 돌출되는 육면체형 삽입돌기(312-1)를 형성하고, 상기 제2몸체(312)에 대향하는 제1몸체(311)의 일면에는 삽입돌기(31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311-1)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삽입돌기(312-1)와 삽입홈(311-1)의 결합시 관통구(320)에 간섭되지 않도록 삽입홈(311-1)은 관통구(320)와 관통구(32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돌기(312-1)에는 삽입돌기(3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2체결공(312-2)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311-1)이 형성되어 있는 제1몸체(312-1)의 일면에도 삽입돌기(312-1)에 형성된 제2체결공(312-2)에 대응하는 제1체결공(311-2)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에, 상기 제2몸체(312)의 삽입돌기(312-1)를 제1몸체(311)의 삽입홈(311-1)에 삽입하여 제1체결공(311-2)과 제2체결공(312-2)을 동심원상에 위치시킨 후, 볼트로 체결하게 되면 사각판재형 몸체(310)의 길이는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사각판재형 몸체(310)를 길이를 늘여 와이어(500)가 H빔(120)과 건물 벽면(110) 사이로 통과하지 않고, H빔(120)의 상부로 지나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고가 창문 개폐방법은 장치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 및 조작이 매우 간단하고, 수동으로 조작하기에 전기료 등의 유지관리비용이 적게 든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건물 벽면 110. 창틀 120. H빔
200. 창문 210. 유리창 220. 창문프레임
300. 지지브래킷 310. 사각판재형 몸체 320. 관통구
330. 장홀
311. 제1몸체 311-1. 삽입홈 311-2. 제1체결공
312. 제2몸체 312-1. 삽입돌기 312-2. 제2체결공
400. 고정부재
500. 와이어
600. 롤러
700. 손잡이
800. 쇄기형 부재

Claims (3)

  1. 평균 신장의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건물 벽면(100)의 상단에 슬라이딩 방식의 미닫이 창문(200)을 개폐하기 위하여 하나의 창틀(110) 안에 장착되는 한 쌍의 창문(200) 중에 상대적으로 건물 내측으로 돌출된 창문(200)에 지지브래킷(300)의 일단이 건물 내부로 돌출되도록 장착하고, 상기 지지브래킷(300)에서 건물 내부로 돌출된 일단에는 와이어(500)를 관통시켜 고정시키되, 상기 와이어(500)의 양단은 건물 벽면(100) 또는 창틀(110)에 설치된 롤러(600)에 의해 하부로 향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와이어(500)의 양단 중 일단을 당기면 창문(200)은 창틀(110) 내에서 슬라이딩 되어 개방되고, 타단을 당기면 개방된 창문(200)이 슬라이딩 되어 다시 닫히는 고가 창문 개폐방법에 있어서,
    상기 창틀(110)은 건물 벽면(100)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창틀(110)에는 각각 한 쌍의 미닫이 창문(200)이 설치되되, 각각의 창문(200)에는 지지브래킷(300)이 장착됨으로써 와이어(500)가 당겨지는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창문(200)이 동시에 이동하게 되며,
    상기 지지브래킷(300)은 사각판재형 몸체(310)와, 상기 사각판재형 몸체(310)의 일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구(320)와, 상기 관통구(320)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판재형 몸체(310)의 일면이 개구되어 복수 개의 관통구(320)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장홀(330)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 사각판재형 몸체(310)를 건물 내부 측으로 돌출된 창문(200)의 세로 측 창문프레임(220)에 사각판재형 몸체(3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구(320)는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고, 장홀(330)의 개구부는 상부를 향하도록 접촉시킨 후, 상기 관통구(320)에 핀 또는 볼트를 삽입시켜 사각판재형 몸체(310)를 창문(200)에 고정시키며,
    상기 사각판재형 몸체(310)의 장홀(330)에는 와이어(500)를 관통시켜 고정부재(400)로서 와이어(500)와 사각판재형 몸체(310)를 고정함으로써 와이어(500)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창문(200)이 이동하는 것이 특징인 고가 창문 개폐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90076195A 2019-06-26 2019-06-26 고가 창문 개폐방법 KR102146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195A KR102146630B1 (ko) 2019-06-26 2019-06-26 고가 창문 개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195A KR102146630B1 (ko) 2019-06-26 2019-06-26 고가 창문 개폐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630B1 true KR102146630B1 (ko) 2020-08-20

Family

ID=7229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195A KR102146630B1 (ko) 2019-06-26 2019-06-26 고가 창문 개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6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708B1 (ko) 2020-11-05 2021-09-14 김동우 고가 창문의 개폐 및 잠금장치
KR20220049353A (ko) * 2020-10-14 2022-04-21 조웅현 미닫이 창문의 유리창을 실외풍압으로부터 보호하는 보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383Y1 (ko) * 2007-02-09 2007-11-29 김해용 공장용 환기창 개폐장치
KR200471155Y1 (ko) * 2013-10-21 2014-02-11 (주)세진정밀 고소 창문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383Y1 (ko) * 2007-02-09 2007-11-29 김해용 공장용 환기창 개폐장치
KR200471155Y1 (ko) * 2013-10-21 2014-02-11 (주)세진정밀 고소 창문 개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353A (ko) * 2020-10-14 2022-04-21 조웅현 미닫이 창문의 유리창을 실외풍압으로부터 보호하는 보강장치
KR102417953B1 (ko) 2020-10-14 2022-07-06 조웅현 미닫이 창문의 유리창을 실외풍압으로부터 보호하는 보강장치
KR102301708B1 (ko) 2020-11-05 2021-09-14 김동우 고가 창문의 개폐 및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630B1 (ko) 고가 창문 개폐방법
US5353473A (en) Bottom fixture for overhead garage doors
KR101100012B1 (ko) 도어의 록킹실린더 장착홈 형성장치
CN105155960A (zh) 一种适用于压合推拉门的五金系统
CN204941128U (zh) 一种适用于压合推拉门的五金系统
CN112144747A (zh) 一种装配式瓦楞板吊顶安装结构
JP3152344U (ja) 吊り戸装置
KR102036946B1 (ko) 창호용 롤러 인서팅 장치
KR100623111B1 (ko) 중실체의 도어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자동 도어 조립체
CN217380246U (zh) 一种反向联动安装装置及反向联动移门柜
CN213269534U (zh) 一种防撬推拉窗
CN219652456U (zh) 一种电梯轿顶固定装置
CN218931408U (zh) 一种电梯门挂板
CN109580205B (zh) 一种滑轮和吊轮的反复启闭试验机
CN204941192U (zh) 一种适用于压合推拉门的下滑轨组件
CN209780722U (zh) 一种推拉窗卷帘盒型材
CN220553802U (zh) 一种电力电缆安装用张紧装置
CN212317667U (zh) 一种旋转锁组装用固定装置
CN212715937U (zh) 一种建筑工程模板固定装置
CN215948615U (zh) 一种幕墙的便捷安装结构
CN216228063U (zh) 一种导轮钻孔加工用治具
CN213477999U (zh) 自动平衡门隐藏式或外置式开门机易装通用动力梁
CN219754375U (zh) 一种自动门底梁侧置动力结构
CN220078278U (zh) 一种具有张紧功能的层门装置
CN216403402U (zh) 一种管道机器人用放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