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780B1 -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 - Google Patents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780B1
KR101314780B1 KR1020110111786A KR20110111786A KR101314780B1 KR 101314780 B1 KR101314780 B1 KR 101314780B1 KR 1020110111786 A KR1020110111786 A KR 1020110111786A KR 20110111786 A KR20110111786 A KR 20110111786A KR 101314780 B1 KR101314780 B1 KR 101314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groove
louver
coupled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7028A (ko
Inventor
이호영
이규엽
Original Assignee
신성금속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금속공업(주) filed Critical 신성금속공업(주)
Priority to KR1020110111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78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7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로써, 루버의 프레임에 결합된 다수의 슬랫을 회전시켜 창호용 루버를 개폐시키는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는, 루버의 프레임에 결합된 다수의 슬랫을 회전시켜 창호용 루버를 개폐시키는 루버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와 연통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슬랫을 회전시키고,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작동레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작동레버는 길이방향으로 신장 또는 압축되면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을 이탈하거나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 {Length changeable louver handle}
본 발명은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로써, 루버의 프레임에 결합된 다수의 슬랫을 회전시켜 창호용 루버를 개폐시키는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버(louver)는 폭이 좁은 판 형상의 슬랫을 비스듬히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배열한 것으로, 건축에서 미늘살문이나 미늘살창이라고도 하며, 채광(採光), 인공조명, 일조조정(日照調整), 통풍, 환기(換氣)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루버는 밖에서는 실내가 들여다보이지 않고, 실내에서는 밖을 내다보는 데 불편이 없는 것이 특색이다.
이와 같은 루버는 보통 아파트의 베란다, 아파트 옥탑의 기계실 등에 환기를 목적으로 설치되며, 주상복합의 상업용 건물에 설치되는 에어컨의 실외기가 건물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루버는 등록특허공보 제10-0987363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루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루버 손잡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는 환풍구가 형성된 각형의 프레임(7)이 상하측 및 좌우측으로 연결되어 사각틀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들 프레임(7)이 건물 벽체의 구멍에 끼워져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7) 중 좌우측의 프레임(7) 대향면에는 다수개의 슬랫(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슬랫(1)은 인접한 슬랫(1)과 상하단이 각각 겹쳐지도록 일직선상으로 놓이면 환풍구가 닫힌 상태가 되며, 상기 슬랫(1)이 각각 수평의 상태로 회전하면 환풍구가 개방되어 열리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슬랫(1)은 가이드부재(8)와 작동레버(3,4)로 이루어진 루버 손잡이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슬랫(1)의 각도를 조절하여 환풍구를 개폐시켰다.
상기 가이드부재(8)는 상기 프레임(7)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작동레버(3,4)는 상기 가이드부재(8)에 결합되어 상기 슬랫(1)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3,4)에는 상기 작동레버(3,4)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탄성부재(9)와 스톱볼(10)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루버 손잡이는 상기 작동레버(3,4)의 회전 상태를 유지시키는 상기 탄성부재(9)와 스톱볼(10) 구조의 고정력이 약하기 때문에 슬랫(1)이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임의로 회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동레버(3,4)가 실내측으로 돌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람의 옷이나 물건 등이 걸리게 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길이를 가변시켜 작동레버를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시킴으로써 작동이 편리하고 작동레버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으며, 고정된 상태에서 길이가 짧아지는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루버의 프레임에 결합된 다수의 슬랫을 회전시켜 창호용 루버를 개폐시키는 본 발명의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와 연통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슬랫을 회전시키고,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작동레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작동레버는 길이방향으로 신장 또는 압축되면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을 이탈하거나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다.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슬랫에 연결되는 제1레버와; 일단에 상기 제1레버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레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상기 삽입홈의 외측에 상기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제2레버와;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홈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제1레버의 타단 또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상기 제2레버의 일단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탄성홈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홈은 상기 제2레버의 슬라이딩방향으로 다수개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레버는 슬라이딩하여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1레버에 대해 인출 또는 인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제1레버의 타단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된 면의 반대면에 정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레버에는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어 상기 정지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제2레버의 슬라이딩방향으로 긴 정지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레버에 대한 상기 제2레버의 슬라이딩시, 상기 정지돌기는 상기 정지공의 일단에 접하여 상기 제2레버의 인출 길이를 제한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레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레버에 결합되어 상기 제2레버가 상기 제1레버의 일단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한다.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사이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 배치되는 스프링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레버의 일단과 상기 슬랫을 연결하는 캡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프레임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레버의 일단은 상기 돌출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캡부재는 상기 제1레버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시 상기 제1레버의 회전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슬랫을 회전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작동레버를 길이방향으로 신장 또는 압축시켜 걸림돌기가 걸림홈을 이탈하거나 걸림홈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루버의 개폐가 편리하고 작동레버의 고정력을 높여 슬랫이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길이가 짧아진 상태로 고정되어 사람의 옷이나 물건이 걸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탄성홈에 탄성부재가 삽입됨으로써, 제2레버가 슬라이딩하여 제1레버에 대해 인출 또는 인입된 상태로 쉽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정지공의 일단에 정지돌기가 접하게 됨으로써, 제1레버에 대해 제2레버의 슬라이딩시 제2레버의 인출 길이를 제한하여 제1레버와 제2레버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루버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루버 손잡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서 작동레버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의 분해도,
도 6은 도 3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의 분해도,
도 9는 도 7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작동레버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의 분해도이고, 도 6(a)는 도 3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에서 작동레버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00), 작동레버(200) 및 캡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의 프레임(10)에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와 연통되는 가이드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1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레버(200)가 삽입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홈(11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슬랫(11)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10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20)는 상기 가이드부재(100)가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되면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일단에 상기 작동레버(200)가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100)에는 상기 가이드홈(110)을 따라 다수의 걸림홈(13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130)은 상기 가이드홈(110)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0)의 일단 방향으로 함몰되어 있다.
상기 작동레버(200)는 상기 가이드부재(100)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1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슬랫(11)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상기 작동레버(200)는 제1레버(210), 제2레버(220) 및 탄성부재(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레버(210)는 상기 가이드홈(110)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캡부재(300)에 의해 상기 슬랫(11)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레버(210)의 일단은 상기 돌출부(120)의 일단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돌출부(120)와 함께 상기 가이드부재(100)가 장착된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작동레버(200)는 상기 돌출부(120)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레버(210)의 일단에는 상기 캡부재(300)가 결합되고, 양측에 상기 캡부재(300)의 결합위치를 제한하는 고정돌기(211)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레버(210)의 타단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정지돌기(212)가 돌출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탄성부재(230)가 결합된다.
상기 정지돌기(212)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레버(220)의 인출 길이를 제한한다.
상기 제2레버(220)는 상기 제1레버(210)에 결합되어 상기 제1레버(2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레버(220)의 일단에는 상기 제1레버(210)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홈(2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221)의 일단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221)의 외측에 상기 걸림홈(130)에 삽입되는 상기 걸림돌기(22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222)는 상기 삽입홈(221)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홈(221)의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작동레버(200)가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130)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레버(200)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200)가 길이방향으로 신장 또는 압축되면서 상기 걸림돌기(222)가 상기 걸림홈(130)을 이탈하거나 상기 걸림홈(130)에 삽입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홈(130)은 상기 가이드홈(110)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걸림돌기(222)가 삽입되는 걸림홈(13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슬랫(11)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킨 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홈(130)에 상기 걸림돌기(222)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슬랫(11)은 임의로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레버(220)에는 정지공(223)이 형성된다.
상기 정지공(223)은 상기 제2레버(220)의 슬라이딩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21)과 연통되어 상기 정지돌기(212)가 삽입 배치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레버(200)가 신장되도록 상기 제1레버(210)에 대해 상기 제2레버(220)가 슬라이딩하면 상기 정지돌기(212)가 상기 정지공(223)의 일단에 접하여 상기 제2레버(220)의 인출 길이를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221)의 내측면에는 상기 정지공(223)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탄성홈(224)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홈(224)은 상기 제2레버(220)의 슬라이딩방향으로 다수개가 이격 배치된다.
상기 탄성홈(224)에는 상기 탄성부재(230)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레버(220)가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레버(210)에 대해 인출 또는 인입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홈(224)은 상기 레버가 압축되어 상기 걸림돌기(222)가 상기 걸림홈(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레버(220)가 임의로 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레버(220)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230)는 상기 제1레버(210)와 제2레버(22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홈(130)에 상기 걸림돌기(222)가 삽입된 상태 또는 상기 제2레버(220)가 상기 제1레버(210)에 대해 슬라이딩하여 상기 레버가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230)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홈(221)에 삽입되는 상기 제1레버(21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홈(224)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탄성부재(230)는 상기 제2레버(220)가 상기 제1레버(210)에 대해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탄성홈(224)에 삽입되거나 상기 탄성홈(224)을 이탈하게 되고, 상기 탄성홈(2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레버(220)가 임의로 슬라이딩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상기 캡부재(300)는 상기 제1레버(210)의 일단과 상기 슬랫(11)을 연결한다.
상기 캡부재(300)는 상기 제1레버(210)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돌기(211)에 의해 상기 제1레버(210)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결합위치가 제한된다.
그리고 상기 캡부재(300)는 상기 슬랫(11)의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작동레버(200)의 회전시 상기 제1레버(210)의 회전중심점 즉, 상기 제1레버(210)의 일단이 힌지결합된 상기 돌출부(120)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슬랫(11)을 회전시킨다.
상기 슬랫(11)은 하나의 슬랫(11)이 회전할 때 나머지 슬랫(11)이 함께 회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루버를 개폐시키게 된다.
이러한 슬랫(11)의 연결구조는 종래의 루버 구조에 다양하게 잘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랫(11)을 회전시켜 루버를 개폐시킬 때는 사용자가 상기 제2레버(220)를 잡아당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2레버(220)를 우측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탄성부재(230)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2레버(220)와 함께 우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222)가 상기 걸림홈(130)을 이탈하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230)가 상기 탄성홈(22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레버(220)가 임의로 슬라이딩하지 않고 상기 작동레버(200)가 신장된 상태로 고정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222)가 상기 걸림홈(130)을 이탈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레버(200)를 이동시켜 상기 슬랫(11)을 회전시킨다.
상기 슬랫(11)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루버를 개폐시킨 후에 다시 상기 제2레버(220)를 밀어 상기 걸림돌기(222)가 상기 걸림홈(130)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역시 상기 탄성부재(230)가 탄성변형되면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걸림돌기(222)가 상기 걸림홈(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230)가 상기 탄성홈(22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레버(220)가 임의로 인출되어 상기 작동레버(200)가 신장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레버(200)를 신장 또는 압축시켜 걸림돌기(222)가 상기 걸림홈(130)을 이탈하거나 상기 걸림홈(130)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루버의 개폐가 편리하면서, 상기 걸림홈(130)에 상기 걸림돌기(222)가 삽입되어 상기 작동레버(200)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어서 상기 슬랫(11)이 외력에 의해 임의로 회전하여 루버가 개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200)는 그 길이가 짧아진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실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작동레버(200)에 사람의 옷이나 물건이 걸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의 분해도이며, 도 9(a)는 도 7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에서 작동레버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실시예 2에 따른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작동레버에 차이가 있는바 이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00), 작동레버(200) 및 캡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재(100) 및 캡부재(300)는 실시예 1과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작동레버(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210), 제2레버(220) 및 탄성부재(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레버(210)는 일단이 상기 돌출부(120)의 일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캡부재(300)가 결합되어 상기 슬랫(11)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레버(210)의 타단에는 정지돌기(21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정지돌기(212)는 상기 제1레버(210)의 타단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레버(220)의 인출 길이를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제1레버(210)의 타단에는 스프링홈(213)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홈(213)에는 상기 탄성부재(230)가 삽입 배치된다.
상기 제2레버(220)에의 일단에는 삽입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21)에 상기 제1레버(210)의 타단이 삽입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레버(220)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홈(221)의 외측에 걸림돌기(222)가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레버(220)가 상기 제1레버(2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레버가 신장 또는 압축되게 되고, 상기 제2레버(220)가 슬라이딩하여 상기 레버가 압축되면 상기 걸림돌기(222)가 걸림홈(130)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작동레버(200)를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삽입홈(221)이 형성된 상기 제2레버(220)의 내측에는 정지공(223)이 형성된다.
상기 정지공(223)은 상기 제2레버(220)의 슬라이딩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정지돌기(212)가 삽입 배치되고, 상기 걸림돌기(222)가 상기 걸림홈(130)에서 이탈되도록 상기 제2레버(220)가 슬라이딩하면 상기 정지돌기(212)가 상기 정지공(223)의 일단에 접하여 상기 제2레버(220)의 인출 길이를 제한한다.
상기 탄성부재(230)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홈(213)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제1레버(2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레버(220)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230)는 상기 제2레버(220)가 상기 제1레버(210)의 일단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제2레버(220)를 우측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탄성부재(230)가 신장되면서 탄성변형되고 상기 걸림돌기(222)가 상기 걸림홈(130)에서 이탈하게 되어 상기 작동레버(200)를 이동시켜 상기 슬랫(11)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제2레버(220)를 놓으면 상기 탄성부재(2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레버(220)가 상기 제1레버(210)의 일단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걸림돌기(222)가 상기 걸림홈(130)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레버(200)가 압축된 상태로 고정된다.
전술한 사항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인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프레임, 11 : 슬랫
100 : 가이드부재, 110 : 가이드홈, 120 : 돌출부, 130 : 걸림홈,
200 : 작동레버, 210 : 제1레버, 211 : 고정돌기, 212 : 정지돌기, 213 : 스프링홈, 220 : 제2레버, 221 : 삽입홈, 222 : 걸림돌기, 223 : 정지공, 224 : 탄성홈, 230 : 탄성부재,
300 : 캡부재,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루버의 프레임에 결합된 다수의 슬랫을 회전시켜 창호용 루버를 개폐시키는 루버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와 연통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슬랫을 회전시키고,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작동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작동레버는 길이방향으로 신장 또는 압축되면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을 이탈하거나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고,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슬랫에 연결되는 제1레버와;
    일단에 상기 제1레버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레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상기 삽입홈의 외측에 상기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제2레버와;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홈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제1레버의 타단 또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상기 제2레버의 일단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탄성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홈은 상기 제2레버의 슬라이딩방향으로 다수개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레버는 슬라이딩하여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1레버에 대해 인출 또는 인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버의 타단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된 면의 반대면에 정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레버에는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어 상기 정지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제2레버의 슬라이딩방향으로 긴 정지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레버에 대한 상기 제2레버의 슬라이딩시, 상기 정지돌기는 상기 정지공의 일단에 접하여 상기 제2레버의 인출 길이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레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레버에 결합되어 상기 제2레버가 상기 제1레버의 일단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사이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 배치되는 스프링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
  8.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버의 일단과 상기 슬랫을 연결하는 캡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프레임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레버의 일단은 상기 돌출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캡부재는 상기 제1레버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시 상기 제1레버의 회전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슬랫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
KR1020110111786A 2011-10-31 2011-10-31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 KR101314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786A KR101314780B1 (ko) 2011-10-31 2011-10-31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786A KR101314780B1 (ko) 2011-10-31 2011-10-31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028A KR20130047028A (ko) 2013-05-08
KR101314780B1 true KR101314780B1 (ko) 2013-10-08

Family

ID=48658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786A KR101314780B1 (ko) 2011-10-31 2011-10-31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7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75Y1 (ko) 2013-07-02 2014-11-04 유한회사 에스와이 환기장치
KR101828363B1 (ko) * 2016-07-04 2018-03-29 (주)인트라락 시스템루버의 손잡이 작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1677A (ja) * 2000-11-24 2002-06-04 Tateyama Alum Ind Co Ltd ルーバー窓の開閉装置
KR100484089B1 (ko) 2002-01-16 2005-04-20 (주)테크날시스템 루버시스템 작동 장치
KR100812592B1 (ko) * 2006-10-19 2008-03-13 이상면 환기창 유니트
KR20090003982U (ko) * 2007-10-25 2009-04-29 김찬수 환기창 셔터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1677A (ja) * 2000-11-24 2002-06-04 Tateyama Alum Ind Co Ltd ルーバー窓の開閉装置
KR100484089B1 (ko) 2002-01-16 2005-04-20 (주)테크날시스템 루버시스템 작동 장치
KR100812592B1 (ko) * 2006-10-19 2008-03-13 이상면 환기창 유니트
KR20090003982U (ko) * 2007-10-25 2009-04-29 김찬수 환기창 셔터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75Y1 (ko) 2013-07-02 2014-11-04 유한회사 에스와이 환기장치
KR101828363B1 (ko) * 2016-07-04 2018-03-29 (주)인트라락 시스템루버의 손잡이 작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028A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091B1 (ko) 친환경 기능성 창호
KR101989754B1 (ko) 미닫이방식의 시스템 창호
KR101236750B1 (ko) 롤 스크린 장치가 내장되게 한 시스템 창호
US20100263804A1 (en) Window blinds that let in air but block out light
KR101314780B1 (ko)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
KR100508797B1 (ko) 건축물용 환기장치
KR100938698B1 (ko) 환기창
JP6463148B2 (ja) ドアセット
KR20210076568A (ko) 방진망과 방충망을 갖는 롤 몸체 이동으로 차단을 다양하게 선택하는 창호
KR20170019681A (ko) 창호 시스템
KR101645522B1 (ko) 방범기능을 갖춘 실내용 개폐문틀
KR101446523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200440195Y1 (ko) 창문용 통풍 개폐장치
KR101694490B1 (ko) 단열 및 방풍성이 향상된 창호
CN111188556B (zh) 一种具有顶藏式窗户的集装箱房
KR100543792B1 (ko) 공동주택용 창호구조
KR100929813B1 (ko) 루버 및 그 개폐구조
KR101017581B1 (ko) 환기창용 각도조정레버의 멈춤장치
KR101904449B1 (ko) 미닫이형 이중창문
KR101503744B1 (ko) 환기창 개폐장치
KR200481687Y1 (ko) 환기창용 셔터 개폐장치의 결로 방지 장치
KR101231684B1 (ko) 절곡형 루버 손잡이
KR102049297B1 (ko) 방충망 일체형 차양장치
CN110792378B (zh) 一种百叶通风装置
CN214062815U (zh) 一种具有透气防风功能的磁控百叶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