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744B1 - 환기창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창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744B1
KR101503744B1 KR1020130105933A KR20130105933A KR101503744B1 KR 101503744 B1 KR101503744 B1 KR 101503744B1 KR 1020130105933 A KR1020130105933 A KR 1020130105933A KR 20130105933 A KR20130105933 A KR 20130105933A KR 101503744 B1 KR101503744 B1 KR 101503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lever
rotation
lever
ventilation window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7501A (ko
Inventor
박재석
Original Assignee
박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석 filed Critical 박재석
Priority to KR1020130105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744B1/ko
Publication of KR20150027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환기를 위하여 건물에 설치되는 환기창에서 손잡이를 작동하여 다수의 셔터를 개폐 조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환기창(100)의 프레임(101)의 측면에 고정 부착되는 것으로서, 실내 공간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5) 및 상기 곡면(5)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걸림홈(7)을 제공하는 베이스(3); 일단은 상기 프레임(101) 내부로 인입되어 셔터(103)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끔 실내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회전레버(11); 상기 회전레버(11)에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회전레버(11)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서, 양측면에 키돌기(19)가 돌출 형성되며 전방으로는 상기 걸림홈(7)에 끼워지는 잠금돌기(21)가 돌출 형성되는 키부재(17); 상기 회전레버(11)와 키부재(17)를 양방향에서 덮은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레버(11)의 타단부와 상대적인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면에는 상기 키돌기(19)가 끼워지는 브이(V)자형 안내홈(29)이 마련되는 한쌍의 손잡이커버(25,25'); 상기 키부재(17)로 하여금 상기 회전레버(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려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기창 개폐장치{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Of Ventilation Window}
본 발명은 환기창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외벽에 실내의 환기를 위하여 설치되는 환기창에서 손잡이를 작동하여 다수의 셔터를 개폐 조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또는 산업용 건물에 있어서 종래에는 창문을 열면 되기 때문에 환기를 위해 별도의 환기창이 필요 없었다. 그러나 아파트를 포함한 건물들이 갈수록 고층화되고 있다. 그래서 창문을 열 수 없는 구조의 건물도 많으며 이 경우 환기창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중앙냉방식이 아닌 아파트의 경우에는 각 가구마다 개별적으로 에어컨을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각 가구마다 에어컨 실외기가 설치되어야 하는데, 실외기가 외부로 드러나게끔 설치되는 것은 미관상 좋지 못하다.
그러므로 근래에는 평상시 실외기의 전면을 커버하고 있다가 에어컨 사용시에만 실외기 전면을 개방하도록 환기창이 이용되고 있기도 하다. 이 환기창은 건물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실외기를 보호하는 등 여러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므로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 보급되고 있는 환기창은 블라인드와 같이 평행하게 기동하는 다수개의 셔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에서 손잡이를 이용하여 셔터를 조정함으로써 환기창을 개폐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침입자가 환기창 셔터를 통해 외부에서 임의로 환기창을 조작할 수 있게 하면 보안상 위험하므로 환기창의 셔터를 실내에서만 조작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특허출원 제10-2008-0122363호, 제20-2010-0047297호가 그러하다. 종래의 환기창용 잠금장치는 통상 버턴을 누르거나 레버를 잡아당기거나 하는 등의 사전 동작을 거친 다음 비로소 손잡이를 위 또는 아래로 내리면서 셔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사전 동작을 좀 더 편리하게 취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안이 있어 왔다.
그러나 사용자 입장에서는 이러한 잠금장치의 작동 방식이 환기창 제조업체마다 상이하기도 하고, 환기창을 조정하는데 잠금장치가 있을 거라고는 미처 생각하지 못하기도 하고, 잠금장치에 대한 사용법을 숙지하지 못하기도 한다.
따라서 무리하게 손잡이를 내리거나 올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이 환기창의 고장을 유발시키는 주된 원인이 되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047297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122363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7-0017269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4-0018487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아파트 또는 상업용 건물의 환기창을 개폐하기 위한 환기창 개폐장치의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작동법을 모르고 그냥 손잡이를 작동시켜도 환기장치가 파손되지 않고 개폐될 수 있게 하는 자동식 환기창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환기창의 프레임 내부에 일률적으로 거동하면서 환기창을 개방 또는 폐쇄하게끔 서로 연동되어 있는 다수의 셔터에 연결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환기창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고정 부착되는 것으로서, 실내 공간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 및 상기 곡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걸림홈을 제공하는 베이스;
일단은 상기 프레임 내부로 인입되어 셔터 연결구를 통해 상기 셔터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끔 상기 실내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회전레버; 상기 회전레버의 외부에 끼워지되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서, 양측면에 키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전방으로는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잠금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키부재; 상기 회전레버와 키부재를 양방향에서 덮은 상태로 고정되어 손잡이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레버의 타단부와 상대적인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면에는 상기 키돌기가 끼워지는 브이(V)자(또는 유(U)자, 이하 같음)형 안내홈이 마련되는 한쌍의 손잡이커버; 상기 키부재로 하여금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 중심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창 개폐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탄성수단은 브이(V)자(또는 유(U)자, 이하 같음) 형태로 좌우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상기 키부재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커버에 지지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키부재는 상기 회전레버의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구간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면 상에서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커버를 포함하고 있는 손잡이에 의해 상기 잠금돌기가 탄성적으로 돌출하면서 상기 걸림홈에 끼워질 때, '찰칵'하면서 소음을 유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별다른 사전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 손잡이를 위 또는 아래로 당기게 되면, 잠금장치가 스스로 해제됨으로써 셔터를 조작할 수 있게 되는 환기창용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강압으로 손잡이를 작동함으로써 개폐장치가 파손되는 문제를 없앨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환기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환기창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환기창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환기창 개폐장치의 동작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내는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레버와 키부재의 연결관계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며, 도 4 이하를 참조하여 작동 설명을 한다.
본 발명의 환기창 개폐장치(1)는 환기창(100)의 프레임(101)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률적으로 거동하면서 환기창(100)을 개방 또는 폐쇄하게끔 서로 연동되어 있는 다수의 셔터(103)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환기창 개폐장치(1)는 프레임(101)의 내면 일측에 고정 설치된다. 프레임(101)의 구조 및 셔터(103)의 작동방식은 공지사항으로서 상기한 선행기술문헌을 참조하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환기창 개폐장치(1)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사출 성형된 베이스(3)가 프레임(101)의 측면에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세로방향으로 고정 부착된다. 베이스(3)는 실내 공간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5) 및 곡면(5)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된 걸림홈(7)을 제공한다. 베이스(3)에는 세로방향으로 슬릿(9)이 마련된다. 이 슬릿(9)은 프레임(101) 내부로 통하는 통로이다. 따라서 프레임(101)에도 슬릿(9)에 해당되는 위치에 기다란 구멍(102, 도 2 참조)이 뚫려 있어야 할 것이다.
회전레버(11)가 일단은 프레임(101) 내부로 인입되어 셔터(103)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끔 실내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회전레버(11)는 강성을 요하므로 보통 금속판재를 프레스로 성형하여 제공된다. 포크 형태로 되어 있는 회전레버(11)의 일단은 슬릿(9) 및 기다란 구멍(102)을 통하여 프레임(101) 내부에 끼워져 셔터 연결구(105)를 통해 셔터(103)에 연결된다. 회전레버(11)의 타단은 중심에 끼움공(13)이 마련된 원판 형태로 되어 있다.
회전레버(11)의 가운데 부분에는 걸림편(15)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레버(11)는 이 걸림편(15)에 의해 베이스(3)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회전레버(11)는 슬릿(9)의 형성방향, 즉 수직방향을 따라서만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키부재(17)가 회전레버(11)의 외부에, 특히 베이스(3)로부터 돌출된 부위에 끼워진다. 키부재(17)는 케이싱 형태이며, 그의 양측면에 키돌기(19)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의 전방으로는 베이스의 걸림홈(7)에 끼워지는 잠금돌기(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회전레버(11)의 베이스(3)로부터 돌출된 부위는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11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키부재(17)는 회전레버(11)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레버(11)의 유동방향(슬릿(9)의 형성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 유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키부재(17)는 회전레버(11)에 끼워져 잠금돌기(21)가 걸림홈(7)에 끼워진 상태에서도 일측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레버(11)의 회전면 상에서, 상하로 비교적 자유롭게 일정한 각도 범위에서, 까딱까딱 움직일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키부재의 내측면(17a)은 내부를 향해 불룩하게 만곡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회전레버(11)와의 사이에서 구름접촉을 유도하여 원활하게 화살표 방향으로 좌우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 쌍의 손잡이커버(25,25')가 손잡이(23)를 구성한다. 한 쌍의 손잡이커버(25,25')가 회전레버(11)와 키부재(17)를 덮도록 서로 맞댄 상태로 고정된다. 한 쌍의 손잡이커버(25,25')는 결합부위를 제외하고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못(27)으로 고정될 수 있다. 손잡이커버(25,25')의 가운데 부분에는 회전레버(11)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회전레버결합부(28)가 마련되는데, 도시된 바에 의하면 나사못(27)에 의해 회전레버(11)와 손잡이커버(25,25')가 한꺼번에 결합된다. 그리고 손잡이커버(25,25')와 회전레버(11)는 회전레버(11)의 타단부에 마련된 끼움공(13)을 중심으로 상대적인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손잡이커버(25,25')의 각 내측면에는 키돌기(19)가 끼워지는 브이(V)자형 안내홈(29)이 마련된다.
한편, 키부재(17)로 하여금 회전레버(11)의 회전 중심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탄성수단이 제공된다. 탄성수단은 브이(V)자 형태로 손잡이(23)의 회전면 상에 손잡이(23)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키부재(17)에 지지되고 타단은 손잡이커버(25,25')에 지지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31,31')일 수 있다. 코일스프링(31,31')의 일단을 끼우기 위해 키부재(17)의 양 측면에는 제1스프링결합돌기(33)가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커버(25,25')의 내부 좌우측에는 코일스프링(31,31')의 타단을 끼우기 위해 제2스프링결합돌기(35)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주로 참조하여 작용을 설명한다.
기본적 사항으로서 셔터 연결구(105)가 지면(紙面)에 수직한 축을 중심을 회전되게 되면 셔터(103)가 조정되고 따라서 환기창(100)이 개폐된다. 결국 본 발명의 환기창 개폐장치(1)는 셔터 연결구(105)를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라고 볼 수 있다.
도 7은 키부재(17)와 회전레버(11)가 도면상 수평하게 놓여 있으며, 각 중심선이 일치하고 있다. 잠금돌기(21)는 걸림홈(7)의 중앙부에 끼워져 있으며, 키돌기(19) 역시 안내홈(29)의 중심에 위치해 있다. 이 상태에서 침입자가 건물 외부에서 환기창의 셔터(103)를 잡고 돌리는 경우, 그의 외력이 키부재(17)까지 온전하게 전달되지 않는다. 키부재(17)는 회전레버(11)에 대하여 자유롭게 상대적으로 유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외력은 키부재(17)를 회전시킬 정도까지 이를 수 없다. 따라서 외부에서는 셔터(103)를 통해 환기창(100)을 개폐할 수 없게 된다.
도 5는 손잡이(23)를 도면상 아래로 잡아당기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커버(25,25')는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따라서 한 쌍의 코일스프링(31,31')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힘이 작용한다. 단지 코일스프링(31,31')에 의해서만 균형을 이루고 있던 키부재(17)는 편향된 힘을 받게 되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따라서 키돌기(19) 역시 안내홈(29)의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도 6은 도 5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힘을 더 가한 상태를 나타낸다.
일단 안내홈(29)의 일측으로 기울어진 키돌기(19)는 유사한 방향으로 힘이 주어지므로 안내홈(29)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키돌기(19)가 안내홈(29)의 끝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끝이 둥글게 되어 있는 잠금돌기(21)는 역시 둥글게 되어 있는 걸림홈(7)으로부터 미끄러지면서 이탈되게 된다. 따라서 이후부터 손잡이(23)에 동일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돌기(21)가 베이스의 곡면(5)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손잡이(23)와 함께 이동되게 된다.
손잡이(23)가 계속 이동하여 잠금돌기(21)가 다음 걸림홈(7')까지 이동되면 잠금돌기(21)는 다시금 탄성적으로 돌출하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걸림홈(7')에 '찰칵'하면서 끼워지게 된다. 잠금돌기(21)의 탄발력에 의해 이처럼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은 사용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즉 잠금상태가 이루어졌다는 신호가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환기창 개폐장치(1)는 도 4에서 도 8의 과정을 통해 셔터를 조정할 수 있게 하며, 이 과정에서 잠금장치를 해제하거나 가동시키는 별도의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1 : 환기창 개폐장치 3 : 베이스
5 : 곡면 7,7' : 걸림홈
9 : 슬릿(slit) 11 : 회전레버
13 : 끼움공 15 : 걸림편
17 : 키부재 19 : 키돌기
21 : 잠금돌기 23 : 손잡이
25,25' : 손잡이커버 27 : 나사못
29 : 안내홈 31 ,31' : 코일스프링
33,35 : 제1,2스프링결합돌기
100 : 환기창 101 : 환기창 프레임
103 : 셔터 105 : 셔터 연결구

Claims (4)

  1. 환기창(100)의 프레임(101) 내부에서 일률적으로 거동하면서 환기창(100)을 개방 또는 폐쇄하게끔 서로 연동되어 있는 다수의 셔터(103)에 연결되도록 상기 프레임(10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환기창 개폐장치(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1)의 측면에 고정 부착되는 것으로서, 실내 공간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5) 및 상기 곡면(5)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걸림홈(7)을 제공하는 베이스(3);
    일단은 상기 프레임(101) 내부로 인입되어 셔터 연결구(105)를 통해 상기 셔터(103)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끔 실내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회전레버(11);
    상기 회전레버(11)에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회전레버(11)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서, 양측면에 키돌기(19)가 돌출 형성되며 전방으로는 상기 걸림홈(7)에 끼워지는 잠금돌기(21)가 돌출 형성되는 키부재(17);
    상기 회전레버(11)와 키부재(17)를 양방향에서 덮은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손잡이(23)를 구성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레버(11)의 타단부와 상대적인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면에는 상기 키돌기(19)가 끼워지는 브이(V)자 또는 유(U)자형 안내홈(29)이 마련되는 한쌍의 손잡이커버(25,25');
    상기 키부재(17)로 하여금 상기 회전레버(11)의 회전 중심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일단은 상기 키부재(17)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커버(25,25')에 지지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31,31')으로 구성된 탄성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창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31,31')은 브이(V)자 또는 유(U)자 형태로 상기 손잡이(23)의 회전면 상에 상기 손잡이(23)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창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부재(17)는 상기 회전레버(11)의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11a) 구간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레버(11)의 회전면 상에서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창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3)에 의해 상기 잠금돌기(21)가 탄성적으로 돌출하면서 상기 걸림홈(7)에 끼워질 때, '찰칵'하면서 소음을 유발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창 개폐장치.
KR1020130105933A 2013-09-04 2013-09-04 환기창 개폐장치 KR101503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933A KR101503744B1 (ko) 2013-09-04 2013-09-04 환기창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933A KR101503744B1 (ko) 2013-09-04 2013-09-04 환기창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501A KR20150027501A (ko) 2015-03-12
KR101503744B1 true KR101503744B1 (ko) 2015-03-18

Family

ID=53022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933A KR101503744B1 (ko) 2013-09-04 2013-09-04 환기창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7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883B1 (ko) * 2021-12-17 2024-01-25 (주)엘엑스하우시스 루버 개폐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291Y1 (ko) * 1998-06-09 2002-05-09 호 식 박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291Y1 (ko) * 1998-06-09 2002-05-09 호 식 박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501A (ko)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9066B2 (ja) 建具及び換気弁操作部品
KR101503744B1 (ko) 환기창 개폐장치
WO2012137466A1 (ja) 差圧作動式の換気口
EP1950370A1 (en) Locking device for door and window shutters and the like
KR101771422B1 (ko) 미닫이문용 손잡이
KR20210124624A (ko) 수동 및 자동 겸용 루버 장치
KR101314780B1 (ko)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
KR100719767B1 (ko) 공동주택의 외면 세척형 창문
JP6723096B2 (ja) 建具
JP6491938B2 (ja) 換気装置
KR200481687Y1 (ko) 환기창용 셔터 개폐장치의 결로 방지 장치
JP6184152B2 (ja) 建具及び換気弁操作部品
KR101904449B1 (ko) 미닫이형 이중창문
KR101884249B1 (ko) 부분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20210000058U (ko)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
KR101661462B1 (ko) 미닫이 문 잠금장치
KR100929813B1 (ko) 루버 및 그 개폐구조
KR100709147B1 (ko) 미서기 잠금장치의 보조 손잡이
KR101577358B1 (ko) 미서기창
JP7178166B2 (ja) 障子開放補助装置、これを取り付けた建具及び建築物
KR102019597B1 (ko) 방화문용 도어클로저의 제어장치
KR20100112790A (ko) 창문 고정장치
KR20230092308A (ko) 루버 개폐장치
JP2006132880A (ja) プッシュ式レジスター
TWM474790U (zh) 外推窗安全開口限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