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291Y1 -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291Y1
KR200270291Y1 KR2019980009788U KR19980009788U KR200270291Y1 KR 200270291 Y1 KR200270291 Y1 KR 200270291Y1 KR 2019980009788 U KR2019980009788 U KR 2019980009788U KR 19980009788 U KR19980009788 U KR 19980009788U KR 200270291 Y1 KR200270291 Y1 KR 2002702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frame
locking
control lev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388U (ko
Inventor
호 식 박
Original Assignee
호 식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 식 박 filed Critical 호 식 박
Priority to KR2019980009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29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03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3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2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291Y1/ko

Link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 회전링크를 동작시키는 승강레버를 각 회전링크와 편심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어 각 셔터를 회전시키는 조절레버가 간헐적으로 회전 조작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승강레버의 구성을 간소화 함과 동시에 각 셔터가 임의로 개폐되지 않도록한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로 떨어진 한쌍의 수직 및 수평의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환기구에 셔터가 회동되면서 개폐 가능하게 다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일측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각 셔터의 단부와 연결된 회전링크가 구비되며 상기 각 회전링크가 동시에 움직이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승강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어느 한 회전링크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전면으로 돌출되고 회동될 때 상기 각 셔터를 함께 회동시키는 조절레버를 구비하는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반원호형으로 돌출된 면에 다단으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레버의 돌출된 선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는 로킹안내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레버의 선단부에 끼워지고 상기 각 걸림홈에 다단으로 걸리는 걸림돌기를 갖는 로커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레버의 선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로커를 가압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각 걸림홈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스프링을 갖는 손잡이가 구비된다.

Description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본 고안은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셔터를 개폐시키는 조절레버의 회전이 간헐적으로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각 셔터를 연결하는 승강레버의 구성을 간소화하면서 개폐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할수 있는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창은 다단의 셔터가 구비되어 이들 셔터의 개폐에 따라 실내공기의 환기가 조절된다. 이러한 환기창은 본 고안자에 의해 선출원된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97-62745호에 개시된바 있다. 이는 환기창이 구성되도록 서로 일정간격 떨어진 한쌍의 수평 및 수직 프레임(1)에 의해 환기구(2)가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는 수직의 프레임(1)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다단의 셔터(3)가 설치되어 환기구(2)가 개폐된다.
이처럼 구성된 환기창은 수직의 프레임(1) 내부에 각 셔터(3)의 단부와 연결된 회전링크가 구비되고 각 회전링크와 편심된 상태로 이들을 연결하여 승강되는 승강레버가 구비돼 있다. 그리고 수직의 프레임(1) 전방에 어느 한 회전링크와 연결된 레버(4)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레버(4)를 상,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각 셔터(3)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환기구(2)가 개폐된다.
그러나 선출원된 환기창은 수직의 프레임(1) 내부에 마련된 승강레버가 각 회전링크와 편심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이는 구조를 단순화 시키기 위한 것이나, 어느 한 셔터(3)를 강제로 회전 시키면 다른 셔터(3) 들이 함께 회전됨으로 셔터를 회전 조절하는 레버(4)의 기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환기창이 대형화될 경우 각 셔터가 차지하는 면적이 크게 되며 이 경우 강풍이 불면 각 셔터(3)가 임의로 개폐될수 있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선출원된 환기창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각 회전링크를 동작시키는 승강레버를 각 회전링크와 편심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어 각 셔터를 회전시키는 조절레버가 간헐적으로 회전 조작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승강레버의 구성을 간소화 함과 동시에 각 셔터가 임의로 개폐되지 않도록한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비교적 두께가 얇은 프레임의 전면에 로킹안내부재를 체결하여 각 셔터를 회전 제어하는 조절레버가 간헐적으로 걸리도록 할 때 프레임의 내측면에 로킹안내부재의 체결력을 보강하기위한 보강편을 구비함으로써, 로킹안내부가 프레임의 전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각 셔터의 회전제어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되는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환기창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환기창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환기창의 일부 조립상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 환기창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 환기창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프레임 11 : 환기구
12 : 셔터 14 : 회전링크
16 : 승강레버 17 : 조절레버
20 : 로킹안내부재 21 : 걸림홈
23 : 로커 23a : 걸림돌기
25 : 손잡이 26 : 스프링
28 : 보강편 30 : 돌기
31 : 걸이구멍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서로 떨어진 한쌍의 수직 및 수평의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환기구에 셔터가 회동되면서 개폐 가능하게 다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일측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각 셔터의 단부와 연결된 회전링크가 구비되며 상기 각 회전링크가 동시에 움직이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승강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어느 한 회전링크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전면으로 돌출되고 회동될 때 상기 각 셔터를 함께 회동시키는 조절레버를 구비하는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반원호형으로 돌출된 면에 다단으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레버의 돌출된 선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는 로킹안내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레버의 선단부에 끼워지고 상기 각 걸림홈에 다단으로 걸리는 걸림돌기를 갖는 로커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레버의 선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로커를 가압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각 걸림홈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스프링을 갖는 손잡이가 구비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환기창의 분리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 환기창의 일부 조립상태 사시도 이다. 본 고안 환기창은 서로 일정간격 떨어진 한쌍의 수평 및 수직 프레임(10)에 의해 환기구(11)가 중앙에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의 프레임(10) 대향면 양측에 다단으로 셔터(1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기구(11)가 개폐된다.
이러한 셔터의 개폐장치는 셔터(12)의 양단 중앙에 형성된 구멍(13)과 대응되도록 수직의 프레임(10) 대향면에 다단으로 구멍(10a)이 형성되며 이들 구멍(10a)(13)에 끼워져 해당 셔터(12)를 회전시키는 핀(15)을 갖는 회전링크(14)가 수직의 프레임(10) 내부에 셔터의 개수만큼 구비된다.
또한 각 회전링크(14)를 편심된 상태로 연결하는 승강레버(16)가 구비되며, 어느 한 회전링크(14)의 외주면에 끼워지도록 구멍(18)을 갖는 조절레버(17)가 구비된다. 조절레버(17)는 어느 한 회전링크(14)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선단부가 프레임(1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프레임(10)의 전면에는 조절레버(17)의 선단부가 돌출되도록 가이드구멍(19)이 형성되며 이 가이드구멍(19)은 조절레버(17)가 회전링크(14)에 끼워진 상태에서 핀(15)을 중심으로 회동될 때 간섭되지 않는 크기의 장방형으로 구성된다.
이같은 개폐장치에 있어서, 각 셔터를 간헐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는 다음과 같다. 가이드구멍(19) 및 가이드구멍(19)을 통하여 프레임의 전면으로 돌출된 조절레버(17)의 선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셔터(12)의 전면에 로킹안내부재(20)가 구비된다. 로킹안내부재(20)는 반원호형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돌출된 반원호형면에 서로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다단의 걸림홈(21)이 형성되고, 로킹안내부재(2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나사못(27)이 끼워져 프레임(10)의 전면에 체결되는 체결구(22)가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10)의 내측면에는 가이드구멍(19)을 감싸는 형태로 보강편(28)이 마련된다. 보강편(28)은 나사못(27)이 프레임(10)에 체결될 때 함께 체결되도록 구멍(29)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못(27)의 체결길이를 길게하여 그 체결력을 보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강편(28)에는 길이방향 양단에 걸이구멍(31)이 각각 형성되어 프레임(10)의 내측면에 돌출된 돌기(30)에 끼워져 걸린다. 조립과정에서 보강편의 걸이구멍(31)이 돌기(30)에 끼워지면 돌기의 선단부를 압착하여 걸이구멍이 돌기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한다. 이처럼 하면 보강편(28)이 프레임(10)의 내측에 임시로 부착된 상태가 되며 로킹안내부재(20)를 프레임(10)에서 조립/분해할때와 관계없이 항상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되어 분실의 우려가 감소된다.
로킹안내부재(20)에 의해 감싸진 형태로 프레임(10)의 전면으로 돌출된 조절레버(17)의 선단부에 로커(23) 및 손잡이(25)가 각각 구비된다. 로커(23)는 조절레버(17)의 선단부에 끼워져 이동되도록 구멍(24)이 형성되고 로킹안내부재의 걸림홈(21)에 다단으로 걸리도록 걸림돌기(23a)가 형성된다. 손잡이(25)는 조절레버(17)의 선단부에 나사못으로 체결 고정되며 손잡이(25)와 로커(23)의 사이에 스프링(26)이 마련되어 로커(23)는 로킹안내부재(20) 쪽으로 항상 가압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다단으로 구비된 셔터(12)가 각각의 회전링크(14)와 결합되고 이들 회전링크는 수직으로 이동되는 승강레버(16)에 의해 결합되어 이들 각 셔터를 동시에 회전시킨다. 그리고 어느 한 회전링크(14)의 외주면에 구멍(18)이 끼워져 결합되는 조절레버(17)가 프레임(10)의 전면으로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며 프레임에는 돌출된 조절레버가 회동 가능하도록 장방형의 가이드구멍(19)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구멍(19)을 감싸는 형태로 로킹안내부재(20)가 마련되며 조절레버(17)의 선단부는 로킹안내부재(2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그 선단부에는 로커(23)와 손잡이(25)가 각각 결합된다.
본 고안의 셔터 개폐과정 및 로킹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커(23)의 걸림돌기(23a)가 로킹안내부재(20)의 걸림홈(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조절레버(17)는 임의로 회전되지 않는다. 이때 조절레버(17)의 구멍(18)과 결합된 각 셔터(12)는 그 개폐상태가 유지되며 외력이 셔터에 가해지더라도 그 상태가 유지된다.
도 5 및 도 7은 조절레버(17)가 회동중인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로커(23)를 도면상 좌측으로 당기면 스프링(26)이 압축되면서 로커는 이동된다. 이때 걸림돌기(23a)가 걸림홈(21)에서 이탈되며 조절레버(17)는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조절레버()를 상측으로 올리면 셔터(12)는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반대로 하면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조절된다. 또한 조절레버(10)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당겨진 로커(23)를 놓으면 스프링(26)의 복원력에 의해 로커(23)는 로킹안내부재(20) 쪽으로 강제 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걸림돌기(23a)가 근처의 걸림홈(21)에 끼워져 걸리고 조절레버(17)는 멈춘다.
위의 과정에서 로커(23)를 당긴 상태로 조절레버(17)를 회전시키면 셔터(12)가 원하는 각도로 개폐조절 되고 그 조절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변하지 않게된다. 또한 로킹안내부재(20)는 프레임(10)에 체결될 때 그 체결력이 보강되도록 프레임의 내측면에 보강편(28)이 구비되고, 보강편(28)에 형성된 걸이구멍(31)이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30)에 결합되어 임의로 이탈되지 않으므로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프레임의 내측면에 각 셔터와 연결된 회전링크가 구비되고 수직으로 이동되는 승강레버가 이들 회전링크와 편심된 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어느 한 회전링크와 연결된 조절레버가 프레임의 전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프레임의 전면에 돌출된 조절레버의 선단부를 감싸는 원호형의 로킹안내부재가 마련되고 조절레버의 선단부에는 로킹안내부재의 원호형면에 다단으로 형성된 각 걸림홈에 간헐적으로 걸리는 로커가 구비된다. 따라서 로커가 로킹안내부재에 걸린 상태에서 조절레버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으므로 셔터의 개폐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수 있으며, 특히 각 셔터와 연결된 회전링크를 연결하는 승강레버의 구조를 간소화할수 있다. 그리고 로킹안내부재는 프레임의 전면에 체결될 때 프레임의 내측면으로 구비된 보강편에 의해 그 체결력이 보강됨으로 신뢰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서로 떨어진 한쌍의 수직 및 수평의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환기구에 셔터가 회동되면서 개폐 가능하게 다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일측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각 셔터의 단부와 연결된 회전링크가 구비되며 상기 각 회전링크가 동시에 움직이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승강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어느 한 회전링크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전면으로 돌출되고 회동될 때 상기 각 셔터를 함께 회동시키는 조절레버를 구비하는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반원호형으로 돌출된 면에 다단으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레버의 돌출된 선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는 로킹안내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레버의 선단부에 끼워지고 상기 각 걸림홈에 다단으로 걸리는 걸림돌기를 갖는 로커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레버의 선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로커를 가압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각 걸림홈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스프링을 갖는 손잡이를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로킹안내부재가 나사못으로 체결될 때 나사못의 체결길이를 연장시켜 체결력을 보강하는 보강편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편에 형성된 걸이구멍이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에 끼워져 걸리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KR2019980009788U 1998-06-09 1998-06-09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KR2002702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788U KR200270291Y1 (ko) 1998-06-09 1998-06-09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788U KR200270291Y1 (ko) 1998-06-09 1998-06-09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388U KR20000000388U (ko) 2000-01-15
KR200270291Y1 true KR200270291Y1 (ko) 2002-05-09

Family

ID=69516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788U KR200270291Y1 (ko) 1998-06-09 1998-06-09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29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592B1 (ko) 2006-10-19 2008-03-13 이상면 환기창 유니트
KR200446079Y1 (ko) 2009-05-26 2009-09-24 이정애 외부 갤러리창
KR101079636B1 (ko) 2010-01-15 2011-11-04 안건형 시스템루버의 손잡이 작동장치
KR101503744B1 (ko) * 2013-09-04 2015-03-18 박재석 환기창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089B1 (ko) * 2002-01-16 2005-04-20 (주)테크날시스템 루버시스템 작동 장치
KR101334036B1 (ko) * 2012-02-14 2013-11-28 (주)삼광피에스 압력 과승 방지 루버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592B1 (ko) 2006-10-19 2008-03-13 이상면 환기창 유니트
KR200446079Y1 (ko) 2009-05-26 2009-09-24 이정애 외부 갤러리창
KR101079636B1 (ko) 2010-01-15 2011-11-04 안건형 시스템루버의 손잡이 작동장치
KR101503744B1 (ko) * 2013-09-04 2015-03-18 박재석 환기창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388U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5946B2 (en) Mortise lock having double locking function
US4937976A (en) Window operator and hinge structure
US6041547A (en) Shutter with side pull control bar
WO2006121245A1 (en) A device for controlling winding speed of winding roll for screen or shade
EP1056921B1 (en) Roll-up shutter
KR200270291Y1 (ko)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US7963573B2 (en) Locking device and a method of assembling same
US6761204B1 (en) Winding wheel
KR100484089B1 (ko) 루버시스템 작동 장치
KR102211878B1 (ko)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KR102217482B1 (ko)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KR200316929Y1 (ko)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KR200346760Y1 (ko) 창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KR0119877Y1 (ko) 건물의 환기구용 셔터
JP4086155B2 (ja) 開き窓
KR100422190B1 (ko) 자물쇠뭉치의 좌,우 선택설치가 용이한 전자식도어록장치
KR100488663B1 (ko) 도어 개방시 선택적으로 연동되는 도어연동구조
KR200236039Y1 (ko) 자물쇠뭉치의 좌,우 선택설치가 용이한 전자식도어록장치
JP4588272B2 (ja) 給気ダンパー装置
KR200187795Y1 (ko) 슬라이드 도어의 잠금장치
JP3112344U (ja) 引き戸
KR200326569Y1 (ko) 슬랫회전조절기어
AU2003204589B2 (en) Roll-up shutter
JP2001288949A (ja) 非常進入窓用の換気ステー
JPH03375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701

Effective date: 2004090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