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929Y1 -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929Y1
KR200316929Y1 KR20-2003-0009270U KR20030009270U KR200316929Y1 KR 200316929 Y1 KR200316929 Y1 KR 200316929Y1 KR 20030009270 U KR20030009270 U KR 20030009270U KR 200316929 Y1 KR200316929 Y1 KR 2003169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late
locking
handl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9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석
Original Assignee
박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석 filed Critical 박재석
Priority to KR20-2003-0009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9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9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9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셔터를 개폐시켜 주는 조절레버를 누름 작동이 없는 상태에서도 셔터의 개폐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시켜 줄수 있도록 한 환기창용 셔텨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직사각 형체의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 내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축공(21)에 끼워진 회동축(31)을 중심으로 임의 회동하는 다수개의 슬레이트(30)와; 상기 프레임중 수직으로 세워진 측면의 프레임(20)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다수개의 회동축에 각각 결합된 회동캠(31) 양측에 수직으로 결합시켜 수직 이동 위치에 따라 다수개의 슬레이트가 동시에 회동할수 있도록 하는 슬레이트회동부(40)와: 상기 슬레이트회동부와 일단이 결합되고, 선단은 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슬레이트의 개폐를 작동시켜 주는 작동부(50)와; 상기 작동부가 관통한 상태로 하여 프레임의 전면에 체결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부의 선단에 고정된 손잡이(54)의 회동을 다단으로 안내하여 주는 로킹부(6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a window ventilation shutter for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셔터를 개폐시켜 주는 조절레버를 누름 작동이 없는 상태에서도 셔터의 개폐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시켜 줄수 있도록 한 환기창용 셔텨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창은 건물의 베란다, 보일러실등과 같이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켜 주고자 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개폐레버의 작동에 의해 다수개의 슬레이트가 개폐되도록 하여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켜 줄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환기창인 실용신안등록 제270291호는 알루미늄 재질로 하여 사용용도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로 하여 사각의 틀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시켜 각각의 힌지축을 기점으로 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슬레이트와; 측면의 프레임중 일측의 프레임내에 위치시켜 다수개의 슬레이트를 연결시켜 동일하게 회동될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와; 상기의 작동부와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실내측 방향인 프레임의 외측으로 손잡이가 노출되도록 하여 인위적인 회동 각동에 따라 슬레이트를 개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환기창에 있어 다수개의 슬레이트를 개폐시켜 줄수 있는 개폐부재는 슬레이트를 연결시켜 주는 회전축에 형성된 회전링크중 중간지점에 위치하는 하나의 회전링크가 끼워져 고정될수 있도록 끼움공이 형성된 조절레버와; 프레임에 체결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조절레버가 관통한 상태에서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전면으로 반원호형으로 돌출시켜 이의 전면에 일정한 간격의 걸림홈이 형성된 로킹안내부재와; 상기 조절레버의 선단측을 통해 끼워져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걸림홈에 끼워져 걸릴수 있도록 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로커와; 조절레버의 선단측에 끼움 고정시켜 주는 손잡이와; 상기 로커와 손잡이 사이에 탄지시켜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로커를 이동시켜 걸림돌기가 걸림홈내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종래의 환기창은 손잡이와 로커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탄성부의 탄성압력에 의해 로커의 선단측에 위하고 있는 걸림돌기가 로킹안내부재의 걸림홈에 끼워지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조절레버가 임의적으로 회동되지 않으므로 슬레이트의 개폐를 수행시켜 주지 못하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레이트의 개폐를 수행시켜 주고자 할 경우 실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로커를 잡아 당겨주게 되면 당김력에 의해 탄성부를 압축하면서 로커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로커가 이동하게 되면 걸림홈내에 끼워져 있던 걸림돌기가 걸림홈으로 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걸림돌기가 걸림홈으로 부터 이격되면 손잡이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켜 주게 되면 조절레버가 회전링크를 기점으로 하여 회전함에 따라 슬레이트가 조절레버의 회전각도에 의해 회전하면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환기창은 슬레이트를 회동시켜 줄수 있는 조절레버의 후단에 형성된 구멍이 회전링크에 끼워지도록 되어있어 프레임을 조립시켜 주기전에 조절레버의 구멍이 회전링크에 끼움 결합되도록 한 다음 프레임을 조리시켜 주도록 되어있어 사용도중 조절레버의 파손이 발생하여 교체및 수리를 하고자 할 경우 프레임까지 분해시켜 준 상태에서 교체및 수리를 하여 주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슬레이트를 개폐시켜 주기 위해서는 조절레버의 선단측에 고정된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을 이용하여 로커를 잡아당겨 이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걸림홈으로 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만 조절레버가 회동하여 슬레이트를 개폐시켜 주도록 되어 있어 어린이나 노약자는 탄성부에 의해 탄지된 로커를 용이하게 잡아당겨 주기가 힘들었으며, 성인이라도 사고 또는 선천적으로 손가락이 없는 장애인이 슬레이트를 개폐시켜 주고자 할 경우 손바닥으로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로커를 잡아 당겨줄수 없어 사용에 많은 제약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레이트를 개폐시켜 줄수 있는 조절레버가 프레임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슬레이트와 결합되어 있는 회전링크와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시켜 줄수 있도록 하여 환기창을 제작할때나, 사용도중 조절레버를 교체및 수리하고자 할때 프레임을 분해시켜 주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교체및 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슬레이트의 개폐를 수행하고자 할때 조절레버 선단에 형성된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상,하로 회동시켜 주기만 하면 조절레버가 회동하면서 슬레이트가 개폐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개폐된 슬레이트의 회동각도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환기창의 전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부분확대 평단면도.
도 4a 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부분확대측단면도로서, 슬레이트를 회동시켜 주는 상태도.
도 4b 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부분확대측단면도로서, 슬레이트가 열린상태의 정지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프레임 30:슬레이트
31:회동축 40:슬레이트회동부
41:회동캠 50:작동부
51:걸림편 52:레버
53:록킹핀 54:손잡이
60:로킹부 61:고정편
62:호형면 63:가이드홀
64:걸림홈 65:탄성부
66:걸림돌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전체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로서, 환기창(10)은 직사각 형체의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 내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축공(21)에 끼워진 회동축(31)을 중심으로 임의 회동하는 다수개의 슬레이트(30)와; 상기 프레임중 수직으로 세워진 측면의 프레임(20)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다수개의 회동축에 각각 결합된 회동캠(41) 양측에 고정핀(42)으로 인해 수직으로 세워져 다수개의 슬레이트가 동시에 회동할수 있도록 하는 슬레이트회동부(40)와: 상기 슬레이트회동부와 일단이 결합되고, 선단은 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된 가이드홀(22)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슬레이트의 개폐를 작동시켜 주는 작동부(50)와; 상기 작동부가 관통한 상태로 하여 프레임의 전면에 체결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부의 선단에 고정된 손잡이(54)의 회동을 다단으로 안내하여 주는 로킹부(6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의 작동부(50)는 회동캠(41) 일면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턱(43)에 슬라이드에 의해 끼움 결합될수 있도록 후단면이 개방된 걸림편(51)과: 상기 걸림편의 선단면에 일체로 연장시켜 로킹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레버(52)와; 상기 레버의 중간지점에 관통시켜 로킹부의 내면에 걸려 걸림편이 걸림턱으로 부터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록킹핀(53)과; 상기 조절레버의 선단측에 손으로 편안하게 잡을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54)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로킹부(60)는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는 고정편(61) 전면에 반원형으로 돌출시켜 중간지점에 조절레버가 이동할수 있는 가이드홀(63)이 형성된 호형면(62)과; 상기 호형면의 전면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내측으로 요입된 호형의 걸림홈(64)과; 상기 호형면과 근접되도록 한 손잡이(54)의 후면에 형성된 삽입홀(54a)내에 끼워진 탄성부(65)의 탄성력에 의해 호형면에 면접지된 상태에서 손잡이이의 위치에 따라 걸림홈(64)내에 걸려 슬레이트의 회동을 정지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걸림돌기(66)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은 수직의 프레임(20) 중간지점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축공(21)에 슬레이트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31)이 각각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수평의 프레임을 수직의 프레임 상,하단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볼트에 의해 결합시켜 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직의 프레임(20) 내측으로 돌출된 회동축 양측에 수직의 슬레이트회동부(40)가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회동축에 회동캠(41)을 결합시켜 주되, 상기 회동캠의 양측에 돌출된 고정핀(42)이 슬레이트회동부(40)의 끼움공에 끼움 고정될수 있도록 하므로서, 회동캠과 슬레이트회동부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의 회동캠은 회동축과 일체로 회동이 이루어지되, 이의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슬레이트회동부(40)는 회동캠의 회동 방향에 따라 고정핀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승,하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프레임을 조립시켜 준 다음 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된 개방구를 통해 레버(52)의 후단부를 관통시켜 걸림편(51)이 후단 개방면을 통해 돌출턱(43)에 끼움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조절레버의 중간지점에 형성된 관통공에 록킹핀(53)을 고정시켜 준다.
그리고, 프레임의 전면에 고정편(61)을 결합시켜 주게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편에 형성된 가이드홀(63)을 통해 프레임 전면으로 노출된 레버가 관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프레임과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 고정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고정편의 조립이 완료되면 레버의 선단부에 손잡이(54)를 고정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손잡이의 후면 일측에 형성된 삽입홀(54a)에 탄성부(65)와 걸림돌기(66)가 위치하도록 한 상태로 하여 고정시켜 주면 되는 것으로, 탄성부의 탄성압력이 작용되는 걸림돌기(66)는 호형면(62)이나 이에 일정한 각도록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64)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서,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환기창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설치후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서, 슬레이트(3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레버(52)의 선단부가 상단측에 위치한 상태에 있으므로, 일정한 간격으로 조립된 슬레이트의 상,하단면이 서로 겹쳐진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외부로 부터 먼지나 바람등이 실내측으로 유입되지 않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레이트를 열어주고자 할 경우 손잡이만을 잡은 상태에서 하부로 내려주게 되면 손잡이에 전달되는 누름력에 의해 레버(52)가 회동캠(41)을 중심으로 하부를 향하여 회동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레버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걸림홈(64)내에 위치하고 있던 걸림돌기(66)가 탄성부(65)를 압축하면서 삽입홀(54a)내로 밀려들어감에 따라 도 4a 에 도시된 바와같이 걸림홈(64)으로 부터 이격되어 호형면(62)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걸림돌기(66)가 도 4b 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른 걸림홈(64)에 위치하게 되면 탄성부의 압력에 의해 걸림홈내에 밀려들어가는 작동을 반복하면서 레버가 회동캠을 중심으로 회동함에 따라 슬레이트(30)가 열려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슬레이트의 열림 각도가 조절되면 눌러주고 있던 손잡이(54)로 부터 손을 때어주게 되면 압력이 전달되지 않아 슬레이트가 열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열려진 슬레이트를 닫아주거나 열린 각도를 조절시켜 주고자 할 경우 전자와 동일한 작동에 의해 손잡이만을 잡은 상태에서 상부로 올려주거나, 하부로 내려주기만 하면 슬레이트의 개폐가 자유롭게 조절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슬레이트의 개폐를 수행할수 있는 손잡이에 형성되어 있는 로킹부가 손잡이의 누름력이 발생하면 이의 누름력에 의해 호형면에 형성된 걸림홈내에 끼워져 걸려 있는 걸림볼이 탄성부를 압축시켜면서 걸림홈으로 부터 빠려나와 호형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누름력이 해제되면 탄상부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홈내에 걸리게 되어 있어 많은 힘을 들이지 않은 상태에서 조절레버를 회동시켜 슬레이트의 개폐를 수행할수 있으므로 인해 어린이나 노약자 또는 손가락이 없는 신체적인 장애를 갖고있는 사람도 어려움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슬레이트의회동을 수행시켜 주는 조절레버를 프레임을 통해 회동캠에 삽입 결합시켜 줄수 있도록 되어있어 사용도중 조절레버의 수리및 교체를 하고자 할 경우 프레임을 분해시켜 주지 않고 프레임의 전면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편만을 분리시켜 준 상태에서 레버를 분리 조질시켜 줄수 있어 수리및 교체가 용이하므로서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켜 줄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직사각 형체의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 내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축공(21)에 끼워진 회동축(31)을 중심으로 임의 회동하는 다수개의 슬레이트(30)와; 상기 프레임중 수직으로 세워진 측면의 프레임(20)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다수개의 회동축에 각각 결합된 회동캠(31) 양측에 수직으로 결합시켜 수직 이동 위치에 따라 다수개의 슬레이트가 동시에 회동할수 있도록 하는 슬레이트회동부(40)와: 상기 슬레이트회동부와 일단이 결합되고, 선단은 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슬레이트의 개폐를 작동시켜 주는 작동부(50)와; 상기 작동부가 관통한 상태로 하여 프레임의 전면에 체결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부의 선단에 고정된 손잡이(54)의 회동을 다단으로 안내하여 주는 로킹부(6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작동부(50)는 회동캠(41) 일면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턱(43)에 슬라이드에 의해 끼움 결합될수 있도록 후단면이 개방된 걸림편(51)과: 상기 걸림편의 선단면에 일체로 연장시켜 로킹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레버(52)와; 상기 레버의 중간지점에 관통시켜 로킹부의 내면에 걸려 걸림편이 돌출턱으로 부터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록킹핀(53)과; 상기 레버의 선단측에 손으로 편안하게 잡을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5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로킹부(60)는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는 고정편(61) 전면에 반원형으로 돌출시켜 중간지점에 레버가 이동할수 있는 가이드홀(63)이 형성된 호형면(62)과; 상기 호형면의 전면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내측으로 요입된 호형의 걸림홈(64)과; 상기 호형면과 근접되도록 한 손잡이(54)의 후면에 형성된 삽입홀(54a)내에 끼워진 탄성부(65)의 탄성력에 의해 호형면에 면접지된 상태에서 손잡이이의 위치에 따라 걸림홈(64)내에 걸려 슬레이트의 회동을 정지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원형의 걸림돌기(66)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KR20-2003-0009270U 2003-03-27 2003-03-27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KR2003169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270U KR200316929Y1 (ko) 2003-03-27 2003-03-27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270U KR200316929Y1 (ko) 2003-03-27 2003-03-27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929Y1 true KR200316929Y1 (ko) 2003-06-18

Family

ID=49334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9270U KR200316929Y1 (ko) 2003-03-27 2003-03-27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92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592B1 (ko) 2006-10-19 2008-03-13 이상면 환기창 유니트
KR100966170B1 (ko) * 2008-02-13 2010-07-01 주식회사 다산월드 환기창용 셔터개폐장치
KR200458768Y1 (ko) 2011-11-22 2012-03-07 서한호 환기창 셔터조절레버의 절첩시스템
KR20220056485A (ko) * 2020-10-28 2022-05-06 양봉규 루버용 자동 및 수동 겸용 개폐장치
KR102489130B1 (ko) * 2022-07-29 2023-01-18 새론테크 주식회사 투명 안전 난간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592B1 (ko) 2006-10-19 2008-03-13 이상면 환기창 유니트
KR100966170B1 (ko) * 2008-02-13 2010-07-01 주식회사 다산월드 환기창용 셔터개폐장치
KR200458768Y1 (ko) 2011-11-22 2012-03-07 서한호 환기창 셔터조절레버의 절첩시스템
KR20220056485A (ko) * 2020-10-28 2022-05-06 양봉규 루버용 자동 및 수동 겸용 개폐장치
KR102566422B1 (ko) * 2020-10-28 2023-08-11 양봉규 루버용 자동 및 수동 겸용 개폐장치
KR102489130B1 (ko) * 2022-07-29 2023-01-18 새론테크 주식회사 투명 안전 난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704B1 (ko) 슬라이딩 바아의 이동에 의한 랙 기어 운동 단속 장치 및이를 이용한 임의 각도에서 잠금이 가능한 턴 방식의 창호개폐장치
KR200316929Y1 (ko)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KR20110105505A (ko) 창호용 통풍장치의 개폐 조절기
KR20110058762A (ko) 환기창의 셔터 개폐장치
JP2014051841A (ja) 折り畳み式パネルユニット
EP1451426B1 (en) Device consisting of a stay device and a lock device plus a window construction with such a device
KR200416599Y1 (ko) 윗 열기와 여닫이 겸용 시스템창호의 안전장치
KR200270291Y1 (ko)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KR102086331B1 (ko) 배연창자동개폐장치
KR101990513B1 (ko) 도어락 모티스
KR200484451Y1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JP6680976B2 (ja) 窓開閉装置及び開閉窓
KR20030062090A (ko) 루버시스템 작동 장치
KR102424335B1 (ko) 도어의 열림 각도 고정 장치
JP3112344U (ja) 引き戸
CN220247314U (zh) 一种带有通风开关结构的门窗幕墙
KR102474768B1 (ko)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KR102115153B1 (ko) 창호용 멀티 핸들의 슬라이드 락킹장치
JPH0714609Y2 (ja) 上げ下げ障子の連動装置
WO2023004989A1 (zh) 一种遮阳篷用快装式侧边百叶隔断机构
WO2021251353A1 (ja) ヒンジ及び扉機構
JP3796697B2 (ja) すべり蝶軸付段窓の同調開閉手段
KR200248477Y1 (ko) 여닫이용 창문 개폐장치
JP3042395U (ja) ルーバーの翼板回転制御用部品
JPS5914829Y2 (ja) 操作摘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