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768Y1 - 환기창 셔터조절레버의 절첩시스템 - Google Patents

환기창 셔터조절레버의 절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768Y1
KR200458768Y1 KR2020110010394U KR20110010394U KR200458768Y1 KR 200458768 Y1 KR200458768 Y1 KR 200458768Y1 KR 2020110010394 U KR2020110010394 U KR 2020110010394U KR 20110010394 U KR20110010394 U KR 20110010394U KR 200458768 Y1 KR200458768 Y1 KR 2004587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lever
shaft
handle
control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561U (ko
Inventor
서한호
조윤순
Original Assignee
서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한호 filed Critical 서한호
Priority to KR2020110010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768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5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5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7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parallelly-movabl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기창 셔터조절레버의 절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성에 있어서, 사각의 창틀프레임(10)과, 상기 창틀프레임(10)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끔 장착된 다수의 셔터(11)와, 상기 셔터(11)를 회전 조절하는 조절레버(20) 및 레버가이드(30)로 이루어진 환기창(100)에 있어서, 상기 조절레버(20)를 절첩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조절레버(20)는 셔터회전축(2a)과 레버축(2b)으로 분리 구성하되, 셔터회전축(2a) 일단에 셔터축돌부(12)에 끼워져 조립되는 ㄷ형 삽입부(21)를, 타단에는 삽입돌부(22)을 형성하고, 레버축(2b)에는 상기 셔터회전축(2a)의 삽입돌부(22)에 끼워져 힌지 조립되어 절도 있게 절첩될 수 있도록 삽입홈(23)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레버축(2b)에 압축스프링(24)을 이용하여 손잡이(25)를 삽입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조절레버(20)의 손잡이(25)를 세워 잡아당기면 셔터회전축(2a)과 레버축(2b)의 조립부위 즉, 삽입돌부(22) 및 삽입홈(23)이 노출되어 절첩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셔터회전축(2a)과 레버축(2b)이 일직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손잡이(25)를 놓으면 압축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해 손잡이(25)가 전진되어 조립부위를 감싸 지지하게 됨으로서 조절레버(20)로서 셔터의 개폐각도를 조작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창틀프레임(10) 표면에 롤방충망(200)을 안정적으로 설치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따르게 된다.

Description

환기창 셔터조절레버의 절첩시스템{a window for ventilation}
본 고안은 환기창 셔터의 개폐 및 개방각도를 조절할 때 사용하는 셔터조절레버를 절첩 가능하게 구성한 환기창 셔터조절레버의 절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다수의 셔터가 구비된 환기창은 셔터의 개폐가 용이하여 필요시 환기를 원활하게 시킬 수 있음은 물론, 비가 올 때 개방시켜 놓더라도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셔터에 의해 빗물의 실내 유입이 예방되는 등의 특징이 따른다.
위와 같은 특징이 있는 통상의 환기창은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의 창틀프레임(10)과, 좌우 창틀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셔터(11)를 지지하는 셔터장착판(10a)과, 상기 창틀프레임(10)의 좌우 내측에 장착된 셔터장착판(10a)에 회전가능하게 끔 장착된 다수의 셔터(11), 그리고 상기 셔터(11)를 회전 조절하는 조절레버(20) 및 레버가이드(30)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조절레버(20)는 셔터(11)를 작동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구성품이기는 하지만 통상 창틀프레임(10) 표면으로 지나치게 돌출되기 때문에 설치 후 외관이 단정하지 못하다.
또, 위와 같은 환기창은 개방시켰을 때 파리나 모기 등의 해충이 쉽게 실내로 들어오게 되는 폐단도 따르며, 창틀프레임(10) 표면으로 지나치게 돌출된 조절레버가 장애가 되어 롤 방충망을 설치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환기창의 셔터 조절레버가 절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구성함으로서 환기창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절첩시 외관이 깔끔하게 유지되게 하고 환기창의 전면에 방충망도 안정적으로 설치 사용할 수 있게 하려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사각의 창틀프레임(10)과, 좌우 창틀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셔터(11)를 지지하는 셔터장착판(10a)과, 상기 창틀프레임(10) 내측의 셔터장착판(10a)에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셔터(11)와, 상기 셔터(11)를 개폐하는 조절레버(20)와, 상기 조절레버(20)를 제어함으로서 셔터의 개폐 및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레버가이드(30)로 이루어진 환기창(100)에 있어서,
상기 조절레버(20)를 셔터회전축(2a)과 레버축(2b)으로 분리 구성하되, 셔터회전축(2a)에는 일단에 셔터축돌부(12)에 끼워져 조립되는 ㄷ형 삽입부(21)를, 타단에는 삽입돌부(22)을 형성하고, 레버축(2b)에는 상기 셔터회전축(2a)의 삽입돌부(22)에 끼워져 힌지 조립되어 절도 있게 절첩될 수 있도록 삽입홈(23)을 형성함과 동시에 반대쪽 단부에 걸림부(23a)를 형성하여 상기 레버축(2b)에 압축스프링(24)을 끼운 상태에서 관통구멍(25')과 단턱(25")을 가진 손잡이(25)에 끼운 뒤 셔터회전축(2a)의 삽입돌부(22)에 레버축(2b)의 선단 삽입홈(23)을 끼워 힌지 조립함으로서 조절레버(20)가 절첩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25) 선단부분 양측 또는 일 측에 걸림돌기(25a)를 더 형성하여 레버가이드(30)에 형성된 걸림요부(30')에 끼워져 작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셔터 개폐시 절도있게 조절되게 함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조절레버(20)의 절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절첩시켰을 때 손잡이(25)가 창틀프레임(10) 밖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건물에 시공하였을 때 외관이 단정해보임은 물론, 조절레버(20)가 절첩됨에 따라 롤 방충망(200)을 창틀프레임(10)에 바로 밀착 설치할 수 있어 롤 방충망(200)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한층 더 단정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따르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확대 횡 단면예시도로서 조절레버의 절첩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횡 단면예시도로서 조절레버를 절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 종단면예시도로서 조절레버의 상하 조절작용을 나타낸 것임.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2a : 셔터회전축 2b : 손잡이축
10 : 창틀프레임 10a : 셔터장착판 11 : 셔터
12 : 셔터축 돌부 20 : 조절레버 21: ㄷ형 삽입부
22 : 삽입돌부 23 : 삽입홈
24 : 압축스프링 25 : 손잡이 25': 관통구멍
25": 단턱
주지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재질로 된 사각의 창틀프레임(10) 내측에 다수의 셔터(11)가 장착되고, 창틀프레임(10) 정면 일 측에는 상기 셔터(11)의 개폐 및 개방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레버(20)와 레버가이드(30)가 장착된 환기창(100)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조절레버(20)를 셔터회전축(2a)과 손잡이축(2b)으로 각각 형성한 뒤 이를 절첩 가능하게 조립 구성하되, 절첩 후에는 조절레버(20)가 창틀프레임(10) 표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창틀프레임(10) 표면에 롤 방충망(40)도 설치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레버(20)는 셔터회전축(2a)과 손잡이축(2b)으로 구성하되, 셔터회전축(2a)에는 일단에 셔터(11)와 연결된 셔터축돌부(12)에 끼워져 회전시킬 수 있도록 ㄷ형 삽입부(2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삽입돌부(22)가 형성되며, 손잡이축(2b)에는 상기 셔터회전축(2a)의 삽입돌부(22)에 끼워져 힌지 조립되어 절도 있게 90˚로 절첩될 수 있도록 삽입홈(23)이 형성됨과 동시에 반대쪽 단부에는 걸림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축(2b)에 관통구멍(25')과 단턱(25")을 가진 손잡이(25)를 끼운 뒤 압축스프링(24)을 끼워 조절레버(20)를 구성한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손잡이(25)를 잡아당기면 손잡이(25) 내부의 단턱(25")과 체결부재(26) 사이에 개재된 압축스프링(24)이 압축되면서 레버축(2)의 절첩부위, 즉 셔터회전축(2a)과 손잡이버축(2b)이 결합된 삽입돌부(22)와 삽입홈(23) 부분이 노출되게 됨으로서 손잡이(25)를 창틀프레임(10) 내측으로 절첩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이 절첩된 조절레버(20)를 세울 때는 절첩되어 있는 손잡이(25)를 잡아 수직으로 세우면 되는데, 이 때 상기 손잡이(25) 내부에 위치한 압축스프링(24)이 복원되면서 손잡이(25)가 조절레버(20)의 절첩 부위로 전진하여 감싸 지지하게 됨으로서 조절레버가 안정적으로 세워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절레버(20)는 압축스프링(24)과 손잡이(25), 그리고 셔터회전축(2a)과 손잡이축(2b)의 유기적인 작용에 의해 절도 있게 절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손잡이(25) 선단부분 양측 또는 일 측에 걸림돌기(25')를 형성하면, 레버가이드(30)와 작용하여 셔터(11)의 개폐각도를 절도있고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셔터(11)를 개폐하고자 할 때는 손잡이(25)를 세운 뒤 상 또는 하방향으로 밀거나 당겨 셔터(11)를 원하는 각도로 개폐시키면 되는데, 이때 상기 손잡이(25)가 압축스프링(24)에 의해 전진되어 조절레버(20)의 절첩부위를 감싸 지지함으로서 셔터개폐가 안정적이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더불어 조절레버(20)를 상하로 조절할 때 손잡이(25) 선단에 형성된 걸림돌기(25a)가 레버가이드(30)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요부(30')에 작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셔터개방을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있어서 가장 큰 특징은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조절레버(20)를 절첩 가능하게 구성하였다는 점이고, 이로 인해 조절레버(20)를 절첩시켰을 때 손잡이(25)가 창틀프레임(10)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음으로서 창틀프레임(10) 표면에 롤 방충망(200)을 바로 장착시킬 수 있게 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롤 방충망(200)을 장착하지 않더라도 조절레버(20)의 손잡이(25)가 크게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단정해 보이는 이점도 따른다.

Claims (2)

  1. 사각의 창틀프레임(10)과, 좌우 창틀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셔터(11)를 지지하는 셔터장착판(10a)과, 상기 창틀프레임(10) 내측의 셔터장착판(10a)에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셔터(11)와, 상기 셔터(11)를 개폐하는 조절레버(20)와, 상기 조절레버(20)를 제어함으로서 셔터의 개폐 및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레버가이드(30)로 이루어진 환기창(100)에 있어서,
    상기 조절레버(20)는 셔터회전축(2a)과 레버축(2b)으로 분리 구성하되, 셔터회전축(2a)에는 일단에 셔터축돌부(12)에 끼워져 조립되는 ㄷ형 삽입부(21)를, 타단에는 삽입돌부(22)를 형성하고, 레버축(2b)에는 상기 셔터회전축(2a)의 삽입돌부(22)에 끼워져 힌지 조립되어 절도 있게 절첩될 수 있도록 삽입홈(23)을 형성함과 동시에 반대쪽 단부에 걸림부(23a)를 형성하여 상기 레버축(2b)을 관통구멍(25')과 단턱(25")을 가진 손잡이(25)에 압축스프링(24)과 함께 끼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창 셔터 조절레버의 절첩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5) 선단부분 양측 또는 일 측에 레버가이드의 걸림돌기(25')를 더 형성하여 레버가이드(30)에 형성된 걸림요부(30')에 작용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조절레버의 절첩시스템.
KR2020110010394U 2011-11-22 2011-11-22 환기창 셔터조절레버의 절첩시스템 KR2004587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394U KR200458768Y1 (ko) 2011-11-22 2011-11-22 환기창 셔터조절레버의 절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394U KR200458768Y1 (ko) 2011-11-22 2011-11-22 환기창 셔터조절레버의 절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561U KR20110011561U (ko) 2011-12-14
KR200458768Y1 true KR200458768Y1 (ko) 2012-03-07

Family

ID=53676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394U KR200458768Y1 (ko) 2011-11-22 2011-11-22 환기창 셔터조절레버의 절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76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253B1 (ko) * 2019-06-04 2022-09-16 김종오 환기창의 잠금장치
CN111351125B (zh) * 2020-02-24 2021-06-08 南通金池塑胶有限公司 一种空调出风口用导风板及连杆组装设备
KR102261315B1 (ko) * 2020-04-23 2021-06-07 김종오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루버장치
KR102392106B1 (ko) * 2021-08-18 2022-04-27 정정우 루버 자동 각도조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929Y1 (ko) 2003-03-27 2003-06-18 박재석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KR200372390Y1 (ko) 2004-09-23 2005-01-14 호 식 박 로킹유닛 및 이를 채용한 환기창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929Y1 (ko) 2003-03-27 2003-06-18 박재석 환기창용 셔터의 개폐장치
KR200372390Y1 (ko) 2004-09-23 2005-01-14 호 식 박 로킹유닛 및 이를 채용한 환기창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561U (ko)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8768Y1 (ko) 환기창 셔터조절레버의 절첩시스템
US8770257B2 (en) Slat rotation, slat winding and unwinding control device of window blind
KR200409014Y1 (ko) 창문용 자동잠금장치
KR101796670B1 (ko) 롤형 방충장치의 조립구조
KR100946957B1 (ko) 설치가 용이한 방충망틀
WO2014045222A1 (en) Locking apparatus for curtains, movable walls, mosquito nets and the like
KR200419329Y1 (ko) 잠금장치
KR200389392Y1 (ko) 개폐식 방충망의 핸들 잠금장치
KR20110058762A (ko) 환기창의 셔터 개폐장치
KR20090094421A (ko) 개폐식 방충망의 록 장치
KR102030741B1 (ko) 롤방충망의 록킹구조
JP4073937B2 (ja) 窓枠における網戸の取付装置
KR20110004789U (ko) 환기창 셔터조절레버의 절첩시스템
AU2016204069A1 (en) Automatic Closing Structure for Slats of Sash
JP5032098B2 (ja) 引戸の障子開放装置
KR200487195Y1 (ko) 롤스크린을 구비한 방충문
JP4478521B2 (ja) ロール網戸
KR20180044758A (ko) 롤스크린용 잠금장치
WO2016088143A1 (en) Automatic stop for doors and window shutters provided with adjustable structure
KR20140006475U (ko) 방충망 개폐장치
KR20190124220A (ko) 롤업스크린 및 그 스크린 포지셔닝 장치
KR200493379Y1 (ko) 방진 및 방충 기능이 구비된 창호
KR20110085474A (ko)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
KR102444253B1 (ko) 환기창의 잠금장치
KR101314780B1 (ko) 길이 가변형 루버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