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5474A -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5474A
KR20110085474A KR1020100005285A KR20100005285A KR20110085474A KR 20110085474 A KR20110085474 A KR 20110085474A KR 1020100005285 A KR1020100005285 A KR 1020100005285A KR 20100005285 A KR20100005285 A KR 20100005285A KR 20110085474 A KR20110085474 A KR 20110085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handle
opening
mov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6852B1 (ko
Inventor
정장훈
Original Assignee
정장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훈 filed Critical 정장훈
Priority to KR1020100005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8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06B2009/543Horizontally moving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06B2009/546Roller fly screens connected to end- or bottom-bar of roller shu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망을 가로로 걷고 펼치는(열고 닫는) 방식의 출입문용 방충망에 장착되어, 탄성력을 극복하고 망이 닫혀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장치로서, 손잡이로 겸용하여 사용되면서 방충망이 장착되는 문틀의 간섭을 받지 않으며, 시공시 뒤집어 장착하는 실수로 인한 재시공의 염려가 없는,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잠금장치는, 개폐지주(20)에 조립되는 손잡이편-이동걸림편 블록(70)과 우측의 세로틀(12b)에 조립되는 고정걸림턱(81)을 구비한 고정걸림편(80)을 포함하고, 손잡이편-이동걸림편 블록(70)은, 손잡이편(71), 이동걸림편(72), 스프링(73) 및 유지편(74)을 포함한다. 손잡이편(71)의 손잡이(71a)를 잡고 개폐지주(20)를 당겨 우측 세로틀(12b)에 밀착시키면, 손잡이편(71)의 이동 없이 이동걸림편(72)이 하강 및 상승하여 이동걸림턱(72a)이 고정걸림턱(81)에 걸리는 잠금상태가 되고, 잠금상태에서 손잡이(71a)를 아래로 내리면 손잡이편(71)과 이동걸림편(72)이 함께 하강 및 상승하여 이동걸림턱(72a)이 고정걸림턱(81)으로부터 풀리는 열림상태가 된다.

Description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Locking Device of Moth-proof Net for Door}
본 발명은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망을 가로로 걷고 펼치는(열고 닫는) 방식의 출입문용 방충망에 장착되어, 탄성력을 극복하고 망이 닫혀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장치로서, 손잡이로 겸용하여 사용되면서 방충망이 장착되는 문틀의 간섭을 받지 않으며, 시공시 뒤집어 장착하는 실수로 인한 재시공의 염려가 없는,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관 출입문과 같이 사람의 왕래가 있는 장소에 설치되는 방충망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54559호(2004. 06. 25. 공고)의 '출입문용 방충망'이 있으며, 본 발명자는 상기 '559의 발명을 개선한 실용신안등록 제400990호(2005. 11. 04 등록)의 '출입문용 방충망'을 제안한 바 있다.
도9와 도10은 본 발명자가 제안한 상기 종래 방충망의 분해 사시도 및 작동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용 방충망(100)은, 안내홈(113)이 형성된 상하 가로틀(111)과 가로틀(111)을 연결하는 세로틀(112)을 구비하는 프레임(110), 가로틀(111)의 안내홈(113)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지주(120), 개폐지주(120)와 좌측 세로틀(112) 사이에 안내홈(113)을 따라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말대(130), 중간부분은 말대(130)에 고정되고 일단은 개폐지주(120)에 고정되며 타단은 말대(130)를 중심으로 개폐지주(120)의 반대쪽에 있는 우측 세로틀(112)에 고정되어서 개폐지주(120)의 좌우 이동에 따라 말대(130)에 대해 감기고 풀림으로써 걷고 펼치어져 개폐되는 망(140), 말대(130)에 감겨서 망(140)이 접혀지는(개방되는) 쪽으로 말대(1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50), 및 개폐지주(120)의 좌우이동을 록킹하여 망(140)을 펼쳐진 상태로 유지하는 잠금장치(1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9에서 도면부호 114는 프레임(110)을 연결하는 연결구, 도면부호 116은 가로틀(111)과 망(140)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기 위한 커버, 도면부호 151은 말대(130)를 상측 가로들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현수 상태로 유지하는 현수롤러, 도면부호 152는 스프링(15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구이다.
도9의 출입문용 방충망(100)은, 말대(130)를 회전시켜서 망(140)이 말대(130)에 감겨 접혀지게 하는 쪽(개방 쪽)으로 스프링(150)의 탄성이 작용하므로, 개폐지주(120)를 잠금장치(160)로 우측 세로틀(112)에 고정시켜 두지 않으면, 스프링의 탄성으로 말대(130)에 망(140)이 감기면서 개폐지주(120)는 좌측 세로틀(112) 쪽으로 이동하여 있게 되어 방충망(100)은 개방상태로 된다.
출입문용 방충망(100)을 펼치고자 할 경우, 스프링(150)의 탄성을 극복할 수 있은 힘으로 개폐지주(12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망(140)이 말대(130)로부터 풀리고 펼쳐지면서 망(140)은 폐쇄상태가 되며, 이런 폐쇄상태는 잠금장치(160)에 의해 유지되고, 잠금장치(160)를 해제하면 스프링(150)에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 말대(130)가 회전하면서 망(140)을 자동으로 감아서 걷어지게 된다.
즉, 본 출입문용 방충망(100)은 스프링(150)의 탄성에 의해 망(140)을 감아 접는 구조이므로, 스프링(150)의 탄성에도 불구하고 망(140)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켜주기 위해서 잠금장치(160)가 필요한 것이다.
도11은 도9의 방충망에 적용된 예시적인 종래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잠금장치(160)는, 방충망(100)의 우측 세로틀(112)에 탄성적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걸림턱(161), 우측 세로틀(112)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이동걸림턱(161)을 탄성적으로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게 우측 세로틀(112)의 전후에 형성된 작동부(162), 이동걸림턱(161)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163), 및 스프링(163)의 하단을 세로틀(112)에 고정시키는 고정구(16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지주(120)에는 이동걸림턱(161)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이동걸림턱(161)이 선택적으로 걸리는 고정걸림턱(165)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잠금장치(160)는, 개폐지주(120)를 당겨 망(140)을 치게 되면 고정걸림턱(165)이 이동걸림턱(161)에 부딪치면서 이동걸림턱(161)은 스프링(163)의 탄성을 극복하고 약간 내려갔다가 다시 위로 올라오면서 고정걸림턱(165)에 걸려 잠금상태가 되고, 방충망(100)의 앞이나 뒤에서 작동부(162)를 내리면 스프링(163)의 탄성을 극복하고 이동걸림턱(161)이 아래로 내려오면서 고정걸림턱(165)과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방충망이 열리게 된다.
도9와 같은 형식의 출입문용 방충망(100)은, 출입문의 사이즈를 측정한 후에 해당 사이즈에 맞게 방충망을 제작하는 맞춤식보다는, 통상적인 사이즈의 출입문을 커버할 수 있는 충분한 사이즈로 방충망을 미리 제작하여 공급하면, 공사현장에서 출입문의 크기에 맞게 프레임(110), 개폐지주(120), 말대(130) 및 망(140) 등을 절단하여 조립 시공하고, 사용 중에 방충망의 설치 위치가 변경될 경우 새로운 출입문의 크기에 맞게 다시 절단하여 재설치하기도 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바, 이와 같은 출입문용 방충망(100)에 사용되는 잠금장치(160)는 그 설치와 사용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다.
즉, 도11의 종래의 잠금장치(160)는, 작동부(162)를 설치하기 위해 우측 세로틀(112)의 소정 위치를 절단하여 절취부(112a)를 형성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또한 잠금장치(160)의 설치위치를 옮기고자 할 경우에는 새로이 절취부(112a)를 형성하여야 하고, 옮긴 후에 기존의 절취부의 자국으로 인하여 미관이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자는 도11의 종래 잠금장치(160)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제419329호(2006. 06. 19. 공고)를 제안했으며, 본 제안의 잠금장치(200)는, 도12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세로틀(202)의 조립부(203)에 형성된 슬릿(204)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로 구속되고 개패지주(206)에 설치된 고정걸림턱(207)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이동걸림턱(211)이 구비된 작동부(210), 작동부(210)의 하부에서 조립부(203)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작동부(210)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21)가 형성된 지지부(220), 지지부(220)를 우측 세로틀(202)에 고정시키는 고정구(230), 및 지지부(220)의 하단과 작동부(210) 사이에 장착되어 작동부(210)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작동부(210)에는 작동시 손으로 잡는 손잡이(213)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13에서 도면부호 250은 말대, 260은 망, 270은 스프링이다.
이로써 도12의 잠금장치(200)는 그 설치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도11의 잠금장치의 문제점인 절취부(112a)를 발생시키지 않고 설치위치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향유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도11 및 도12의 종래의 잠금장치들(160, 200)은 여전히 몇 가지 문제점이 있으며, 그 문제점들은 아래와 같다.
첫째, 전술한 형식의 방충망(100)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의 문틀(400)에 지지하여 장착되는 바, 도12와 도13의 잠금장치(200)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스프링(240)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 가능한 이동걸림턱(211)이 우측 세로틀(202)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로틀(202)을 문틀(400)에 설치하면, 잠금장치(200)의 손잡이(213)가 문틀(400)에 인접하게 있게 되고, 따라서 예를 들어 실외에서 손잡이(213)를 잡고 내리는 것에는 불편이 없지만 실내에서 손잡이(213)를 작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213)가 문틀(400)에 가려져 작동이 어렵다.
손잡이(213)가 문틀(400)에 가리지 않도록 하려면, 세로틀(202)을 안쪽(도14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설치하여야 하지만, 그러면 이동시키는 만큼 세로틀(202)이 출입문의 입부를 가려서 입구가 좁아지게 되므로 실제로는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둘째, 종래의 방충망에 적용된 상기 잠금장치는, 도12와 도13의 잠금장치(200)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작동부(210) 등을 세로틀(202)에 조립한 상태로 작업 현장에 공급하고 현장에서 3개의 다른 틀과 짜서 전체의 4각 프레임을 조립하는바, 이동걸림턱(211)이 상하의 구별이 있음에도, 시공을 하다보면 세로틀(202)을 상하 뒤집어서 조립해버리는 실수를 가끔 하게 되고, 이런 실수를 할 경우, 전체의 프레임을 분리한 후에 다시 조립해야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상기 첫 번째 문제점은, 도12와 도13과는 반대로, 작동부(210) 등을 우측 세로틀(202)이 아닌 개폐지주(206)에 설치하고 고정걸림턱(207)을 우측 세로틀(202)에 설치하면 쉽게 해소될 것이라 생각할 수 있으나, 작동부(210)의 손잡이(213)를 잡고 망을 닫을 때 개폐지주(206)에 가하는 횡방향의 힘과 이동걸림턱(211)이 고정걸림턱(207)을 넘어 갈 때 발생하는 아래쪽으로의 종방향 힘이 동시에 손에 전달되기 때문에, 잠금장치가 잠기는 순단 손잡이(213)를 놓쳐 버릴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출입문용 방충망에 적용하기 적합한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망을 가로로 치고 닫는 출입문용 방충망에 적용하기 적합한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로 겸용하여 사용되고, 그 작동이 방충망이 장착된 문틀의 간섭을 받지 않으며, 시공시 뒤집어 장착하는 실수로 인한 재시공의 염려가 없는,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는, 상하 가로틀과 상기 상하 가로틀을 상하 연결하는 좌우 세로틀을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좌우 세로틀의 사이에서 상기 가로틀을 따라 좌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지주, 상기 개폐지주와 좌측의 상기 세로틀 사이에 좌우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말대, 중간부분은 상기 말대에 고정되고 일단은 상기 개폐지주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좌측의 상기 세로틀에 고정되어서 상기 개폐지주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말대에 대해 감기고 풀림으로써 걷고 펼치지는 망, 상기 망이 상기 말대에 감겨서 상기 망이 걷어지는 쪽으로 상기 말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출입문용 방충망에서, 상기 망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개폐지주를 우측의 상기 세로틀에 고정시켜 상기 스프링의 탄성을 극복하고 상기 망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는, 상기 개폐지주에 조립되는 손잡이편-이동걸림편 블록과 우측의 상기 세로틀에 조립되는 고정걸림턱을 구비한 고정걸림편을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편-이동걸림편 블록은, 손잡이편, 이동걸림편, 스프링 및 유지편을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편은, 상기 개폐지주의 조립슬릿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개폐지주의 전후에 각각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걸림편은, 상기 손잡이편에 형성된 장착공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그 이동걸림턱이 상기 장착공에 대해 입출된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이동걸림편의 이동걸림턱이 상기 장착공에서 노출되어 상기 고정걸림턱에 걸릴 수 있는 쪽으로 상기 이동걸림편에 탄성력을 가한다.
상기 유지편은, 상기 스프링이 상기 이동걸림편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스프링의 하단을 구속하고, 상기 개폐지주에 대한 상기 손잡이편의 상하 이동폭을 제한하며, 상기 손잡이편-이동걸림편 블록을 상기 개폐지주의 일정 위치에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는, 상기 손잡이를 잡고 상기 개폐지주를 당겨 상기 우측 세로틀에 밀착시키면, 상기 손잡이편의 이동 없이 상기 이동걸림편이 하강 및 상승하여 상기 이동걸림턱이 상기 고정걸림턱에 걸리는 잠금상태가 되고;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를 아래로 내리면 상기 손잡이편과 상기 이동걸림편이 함께 하강 및 상승하여 상기 이동걸림턱이 상기 고정걸림턱으로부터 풀리는 열림상태가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걸림편에는 중간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걸림편은 상기 단차가 상기 장착공에 걸리는 위치까지만 상부로 상승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지편은, 길게 신장된 신장부, 상기 신장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편의 상단에 걸리는 상턱, 상기 신장부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하단을 제한하는 돌기, 및 상기 신장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유지편을 상기 개폐지주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공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프링은 상기 이동걸림편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삽입홈의 입구 쪽에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장착공과 상기 안착홈에 끼워진 상기 돌기에 의해 포위되어 그 위치가 유지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걸림편의 상기 고정걸림편을 상하 대칭으로 2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는, 작동하기 편리한 손잡이로 겸용하여 사용될 뿐만 아니라, 방충망을 출입문의 문틀에 설치함에 있어서 출입문의 입구가 좁아지게 하지 않게 하면서도 문틀에 의해 그 작동이 방해되지 않고, 시공시 세로틀을 뒤집어 조립하는 실수를 하여도 재시공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가 적용된 방충망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가 적용된 방충망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잠금장치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적용된 손잡이편-이동걸림편 블록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잠금장치의 조립 상태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잠금장치의 작동도,
도8은 본 발명의 잠금장치가 장착된 방충망이 설치된 출입문의 개략도,
도9와 도10은 종래 방충망의 분해 사시도 및 작동도,
도11은 예시적인 종래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12와 다른 예시적인 종래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13은 도12의 잠금장치가 장착된 방충망의 평면도,
도14는 종래 잠금장치가 장착된 방충망이 설치된 출입문의 개략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60)는, 스프링(50)의 탄성을 이용하여 횡방향(가로)으로 걷고 펼치는 방식의 출입문용 방충망(1)에 사용하기 적합한 잠금장치이다.
앞서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잠금장치(60)가 적용되는 방충망(1)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가로틀(11)과 상하 가로틀(11)을 상하로 연결하는 좌우 세로틀(12)을 구비하는 4각의 프레임(10), 좌우 세로틀(12)의 사이에서 가로틀(11)을 따라 좌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지주(20), 개폐지주(20)와 좌측의 세로틀(12a) 사이에 좌우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말대(30), 중간부분은 말대(30)에 고정되고 일단은 개폐지주(20)에 고정되며 타단은 좌측의 세로틀(12a)에 고정되어서 개폐지주(20)의 좌우 이동에 따라 말대(30)에 감기고 풀림으로써 걷고 펼쳐지고(열고 닫히는) 망(40), 망(40)이 말대(30)에 감겨서 망(40)이 걷어지는 쪽으로 말대(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방충망이다.
도1에서 도면부호 2는 프레임(10)을 연결하는 연결구이고, 도면부호 3은 가로틀(11)과 망(40)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기 위한 커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60)는, 망(40)이 펼쳐진(닫힌) 상태에서 개폐지주(20)를 우측의 세로틀(12b)에 고정시킴으로써 스프링(50)의 탄성을 극복하고 망(40)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60)는, 손잡이편-이동걸림편 블록(70)과, 고정걸림편(8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60)는, 전술한 종래의 잠금장치와는 반대로, 손잡이편-이동걸림편 블록(70)은 개폐지주(20)에 조립되고, 고정걸림편(80)은 우측의 세로틀(12b)에 조립된다.
아울러 손잡이편-이동걸림편 블록(70)은 망(40)을 개폐할 때 손으로 잡는 손잡이로서의 작용과 함께 개폐지주(20)와 함께 좌우로 이동하여 우측의 세로틀(12b)에 조립된 고정걸림편(80)에 걸리고 풀리는 잠금 작용을 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좌우'와 '상하'의 방향은 단지 첨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의 편의상 한정한 것이며, 방충망의 개폐방향 등에 따라 좌우와 상하는 반대일 수 있다.
상기 손잡이편-이동걸림편 블록(70)은, 손잡이편(71), 이동걸림편(72), 스프링(73) 및 유지편(74)의 조립으로 이루어진다.
손잡이편(71)은, 개폐지주(20)에 형성된 조립슬릿(21)에 끼워져 상하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개폐지주(20)의 전후방에 각각 손잡이(71a)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새시로 된 개폐지주(20)의 좌측은 망(40)의 일단이 고정되고 망이 감긴 말대(30)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제공되고, 개폐지주(20)의 우측은 손잡이편-이동걸림편 블록(70)의 장착 공간이 되는 바, 예시된 구체예에서 개폐지주(20)의 조립슬릿(21)은 우측이 개방된 디귿자형 요홈(21a)을 형성하는 2개의 나란한 횡날(21b)과 횡날(21b)의 대량 중심을 열십자로 가로지르는 2개의 종날(21c)을 구비한다.
도시된 예의 손잡이편(71)은, 2개의 횡날(21b)과 종날(21c)이 삽입되는 슬롯(71c)이 형성되어 슬롯(71c)에 횡날과 종날을 삽입함으로써, 개폐지주(2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전방과 후방에 각각 손잡이(71a)가 대칭 형성되어 출입문의 실내와 실외 쪽에 배치되고, 손잡이편(71)의 상단에는 장착공(71b)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에 이동걸림턱(72a)이 돌출 형성된 이동걸림편(72)은, 손잡이편(71)과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손잡이편(71)에 형성된 장착공(71b)에 아래로부터 위로 삽입 장착된다. 이동걸림편(72)은, 하강하여 이동걸림턱(72a)이 장착공(71b)의 안으로 들어간 상태와 상승하여 이동걸림턱(72a)이 장착공(71b)으로부터 노출된 상태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다.
이동걸림편(72)은 그 대략 중간에 단차(72c)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동걸림턱(72a)이 장착공(71b)으로 일정 길이 노출되는 정도까지만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 이상의 상측 이동은 단차(72c)가 장착공(71b)에 걸려 제한된다.
스프링(73)은 이동걸림턱(72a)이 장착공(71b)에서 노출되는 쪽으로 이동걸림편(72)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동걸림편(72)에는 아래쪽으로 개방된 일정 깊이의 삽입홈(72b)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홈(72b)에 스프링(73)을 삽입 장착하여 스프링(73)의 탄성으로 이동걸림편(72)이 위로 올라가려는 편향력을 받게 한다. 따라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이동걸림턱(72a)은 장착공(71b)으로부터 노출된 상태에 위치하려 한다.
유지편(74)은 개폐지주(20)에 대한 손잡이편(71)의 상하 이동폭을 제한하고, 스프링(73)이 이동걸림편(72)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스프링(73)의 하단을 구속하며, 손잡이편-이동걸림편 블록(70)을 개폐지주(20)의 원하는 일정 위치에 유지(고정)시키는 부재이다.
예시된 구체예에서, 유지편(74)은 길게 신장된 신장부(74a), 신장부(74a)의 상부에 형성되어 손잡이편(71)의 상단에 걸리는 상턱(74b), 신장부(74a)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어 스프링(73)의 하단을 제한하는 돌기(74c), 및 신장부(74a)의 하측에 형성된 나사공(74d)을 포함한다.
또한 예시된 예에서는, 이동걸림편(72)의 삽입홈(72b)의 입구 쪽에 안착홈(72d)이 형성되어 있고, 안착홈(72d)에 돌기(74c)가 안착된다. 스프링(73)은 장착공(71b) 그리고 안착홈(72d)에 끼워진 돌기(74c)에 의해 포위되어 그 정위치가 유지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손잡이편-이동걸림편 블록(70)은, 손잡이편(71)의 장착공(71b)에 이동걸림편(72)을 삽입하고, 이동걸림편(72)의 삽입홈(72b)에 스프링(73)을 삽입하고, 유지편(74)의 돌기(74c)를 안착홈(72d)에 끼워 스프링(73)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턱(74b)을 손잡이편(71)의 상단에 걸어서 조립한다.
조립된 손잡이편-이동걸림편 블록(70)은, 손잡이편(71)의 슬롯(71c)에 개폐지주(20)의 횡날(21b)과 종날(21c)을 삽입하여 개폐지주(2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조립하고, 개폐지주(20)의 적당한 위치에서 나사공(74d)에 예컨대 나사못과 같은 피스(75)를 체결하면, 손잡이편-이동걸림편 블록(70)이 개폐지주(20)에 조립된다. 손잡이편(71)의 창(71d)은 피스(75)를 체결할 수 있는 접근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런 조립 완성성태에서 유지편(74)은 피스(75)에 의해 개폐지주(20)에 움직이지 않게 완전히 고정된다.
한편, 이동걸림편(72)은 상승하여 단차(72c)가 장착공(71b)에 걸리는 상부위치와 하강하여 안착홈(72d)이 돌기(74c)에 걸리는 하부위치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스프링(73)의 탄성에 의해 이동걸림턱(72a)은 상부위치에서 장착공(71b)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노출되어 있고, 이때 노출된 이동걸림턱(72a)을 아래로 누르면 손잡이편(71)은 움직이지 않고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걸림편(72)만이 손잡이편(71)에 대해 탄성적으로 하부위치까지 아래로 내려가 들어가고, 누르는 힘이 사라지면 고정된 손잡이편(71)에 대해 이동걸림편(72)이 다시 노출된 상태로 올라간다.
반면, 손잡이편(71)과 이동걸림편(72)이 스프링(73)의 탄성에 의해 상부위치로 올라와 있는 상태에서, 손으로 손잡이(71a)를 개폐지주(20)에 대해 아래로 누르면, 손잡이편(71)의 장착공(71b)에서 이동걸림편(72)의 단차(72c)에 걸려 있기 때문에 손잡이편(71)과 이동걸림편(72)이 함께 하부위치까지 내려가고, 누르는 힘이 사라지면 스프링(73)의 탄성에 의해 손잡이편(71)과 이동걸림편(72)이 함께 상부위치로 복귀한다.
고정걸림턱(81)이 형성된 고정걸림편(80)은 우측의 세로틀(12b)에 고정되며, 그 고정구조는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세로틀(12b)에 형성된 조립슬릿(12c)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하여 나사공(82)에 피스(83)를 체결하여 적당한 위치에 고정하고 있다. 물론 세로틀(12b)에 대한 고정걸림편(80)의 고정위치는 그 고정걸림턱(81)이 이동걸림턱(72a)의 위치에 대응하게 되는 위치이다.
이하,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망(40)을 펼쳐 닫기 위해 손잡이편(71)의 손잡이(71a)를 잡고 개폐지주(20)를 우측 세로틀(12b) 쪽으로 당기면, 망이 닫힌 상태에서 이동걸림편(72)의 이동걸림턱(72a)은 고정걸림편(80)의 고정걸림턱(81)에 접한 상태가 된다(도7의 A).
이런 상태에서 손잡이편(71)을 더욱 우측으로 당기면, 이동걸림턱(72a)과 고정걸림턱(81)의 접면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걸림턱(72a)은 스프링(73)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고정된 고정걸림턱(81)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아래로 내려가고(도7의 B), 결국 이동걸림턱(72a)이 고정걸림턱(81)을 타고 넘어가게 되면, 이동걸림턱(72a)이 고정걸림턱(81)을 지나쳐 고정걸림턱(81)의 가압이 사라지게 되므로 이동걸림턱(72a)은 스프링(73)의 탄성에 의해 다시 상부위치로 북귀하면서 망(40)은 닫힌 상태로 록킹된다(도7의 C).
이런 망(40)을 닫는 과정에서는 이동걸림편(72)에만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이동걸림편(72)만이 하강 및 상승 이동할 뿐 손잡이편(71)은 상하이동을 하지 아니하므로, 사용자는 손잡이(71a)를 잡고 개폐지주(20)를 우측 세로틀(12b)로 당기는 힘만 주면 된다.
이후 닫혔던 망(40)을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편의 손잡이(71a)를 아래로 누르면(도7의 D), 손잡이편(71)과 함께 이동걸림편(72)이 아래로 내려가면서 고정걸림턱(81)에 대한 이동걸림턱(72a)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걸림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손잡이(71a)에서 손을 놓으면, 스프링(50)의 탄성에 의해 말대(30)에 망(40)이 감기면서 개폐지주(20)는 우측 세로틀(12b)을 떠나 좌측 세로틀(12a) 쪽으로 이동하므로, 사용자는 손잡이(71a)를 누르는 작동만으로 개방 작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어떤 과정에서도 유지편(74)은 움직이지 않고 개폐지주(20)에 고정된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60)는, 개폐지주(20)에 설치되는 손잡이편-이동걸림편 블록(70)에 손잡이(71a)가 존재하는 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4)에 방충망을 설치함에 있어서 세로틀(12, 12b)을 문틀(4)의 사이즈에 꼭 맞게 맞추면, 개폐지주(20)는 문틀(4)로부터 이격되어 있게 되므로, 종래의 잠금장치와는 달리 실내외 양측에서 손잡이(71a)를 조작하는 것에 어려움이 없다.
바람직하게 고정걸림편(80)은 상기 고정걸림편(81)이 상하로 대칭적으로 2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걸림편(81)을 상하 대칭으로 2개 형성한 것은, 방충망의 조립시공현장에서 고정걸림편(80)이 조립된 상태의 우측 세로틀(12b)을 착오로 상하를 반대로 하여 가로틀(11)에 조립하여 버렸을 경우라도, 우측 세로틀(12b)을 분해하여 새로 조립하는 번거로움 없이 피스(83)만 풀고 고정걸림편(80)의 위치를 상하로 조정한 후에 피스(83)를 다시 조이는 간단한 방법으로 착오 시공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1: 출입문용 방충망 4: 문틀
10: 프레임 11: 가로틀
12, 12a, 12b: 세로틀 12c: 조립슬릿
20: 개폐지주 21: 조립슬릿
21a: 요홈 21b: 횡날
21c: 종날 30: 말대
40: 망 50: 스프링
60: 본 고안의 잠금장치 70: 손잡이편-이동걸림편 블록
71: 손잡이편 71a: 손잡이
71b: 장착공 71c: 슬롯
71d: 창 72: 이동걸림편
72a: 이동걸림턱 72b: 삽입홈
72c: 단자 72d: 안착홈
73: 스프링 74: 유지편
74a: 신장부 74b: 상턱
74c: 돌기 74d, 82: 나사공
75, 83: 피스 80: 고정걸림편
81: 고정걸림턱

Claims (5)

  1. 상하 가로틀(11)과 상기 상하 가로틀(11)을 상하 연결하는 좌우 세로틀(12)을 구비하는 프레임(10), 상기 좌우 세로틀(12)의 사이에서 상기 가로틀(11)을 따라 좌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지주(20), 상기 개폐지주(20)와 좌측의 상기 세로틀(12a) 사이에 좌우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말대(30), 중간부분은 상기 말대(30)에 고정되고 일단은 상기 개폐지주(20)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좌측의 상기 세로틀(12a)에 고정되어서 상기 개폐지주(2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말대(30)에 대해 감기고 풀림으로써 걷고 펼치지는 망(40), 상기 망(40)이 상기 말대(30)에 감겨서 상기 망(40)이 걷어지는 쪽으로 상기 말대(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0);을 포함하는 출입문용 방충망에서, 상기 망(40)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개폐지주(20)를 우측의 상기 세로틀(12b)에 고정시켜 상기 스프링(50)의 탄성을 극복하고 상기 망(40)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장치(60)에 있어서,
    상기 개폐지주(20)에 조립되는 손잡이편-이동걸림편 블록(70)과 우측의 상기 세로틀(12b)에 조립되는 고정걸림턱(81)을 구비한 고정걸림편(80)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손잡이편-이동걸림편 블록(70)은:
    상기 개폐지주(20)의 조립슬릿(21)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개폐지주(20)의 전후에 각각 손잡이(71a)가 형성된 손잡이편(71);
    상기 손잡이편(71)에 형성된 장착공(71b)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그 이동걸림턱(72a)이 상기 장착공(71b)에 대해 입출되는 이동걸림편(72);
    상기 이동걸림편(72)의 상기 이동걸림턱(72a)이 상기 장착공(71b)에서 노출되어 상기 고정걸림턱(81)에 걸릴 수 있는 쪽으로 상기 이동걸림편(72)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73); 및
    상기 스프링(73)이 상기 이동걸림편(72)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스프링(73)의 하단을 구속하고, 상기 개폐지주(20)에 대한 상기 손잡이편(71)의 상하 이동폭을 제한하며, 상기 손잡이편-이동걸림편 블록(70)을 상기 개폐지주(20)의 일정 위치에 유지시키는 유지편(74); 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71a)를 잡고 상기 개폐지주(20)를 당겨 상기 우측 세로틀(12b)에 밀착시키면, 상기 손잡이편(71)의 이동 없이 상기 이동걸림편(72)이 하강 및 상승하여 상기 이동걸림턱(72a)이 상기 고정걸림턱(81)에 걸리는 잠금상태가 되고;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손잡이(71a)를 아래로 내리면 상기 손잡이편(71)과 상기 이동걸림편(72)이 함께 하강 및 상승하여 상기 이동걸림턱(72a)이 상기 고정걸림턱(81)으로부터 풀리는 열림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걸림편(72)에는 중간에 단차(72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걸림편(72)은 상기 단차(72c)가 상기 장착공(71b)에 걸리는 위치까지만 상부로 상승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편(74)은, 길게 신장된 신장부(74a), 상기 신장부(74a)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편(71)의 상단에 걸리는 상턱(74b), 상기 신장부(74a)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73)의 하단을 제한하는 돌기(74c), 및 상기 신장부(74a)의 형성되어 상기 유지편(74)을 상기 개폐지주(20)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공(74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73)은 상기 이동걸림편(72)에 형성된 삽입홈(72b)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삽입홈(72b)의 입구 쪽에 안착홈(72d)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73)은 상기 장착공(71b)과 상기 안착홈(72d)에 끼워진 상기 돌기(74c)에 의해 포위되어 그 위치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걸림편(80)의 상기 고정걸림편(81)을 상하 대칭으로 2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
KR1020100005285A 2010-01-20 2010-01-20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 KR101096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285A KR101096852B1 (ko) 2010-01-20 2010-01-20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285A KR101096852B1 (ko) 2010-01-20 2010-01-20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474A true KR20110085474A (ko) 2011-07-27
KR101096852B1 KR101096852B1 (ko) 2011-12-22

Family

ID=44922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285A KR101096852B1 (ko) 2010-01-20 2010-01-20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8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265Y1 (ko) * 2010-02-17 2012-03-23 케이에스스크린(주) 방충망 개폐장치
KR102091708B1 (ko) * 2019-05-13 2020-03-20 주식회사 미래알루미늄 절단과 조립이 용이한 방충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285B1 (ko) 2013-05-09 2015-12-11 주식회사 효성금속 다기능 방충망 및 손잡이 겸용 잠금장치를 갖춘 안전창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0862A (en) 1981-11-27 1984-11-06 W & F Manufacturing, Inc. Latching and locking mechanism for sliding door
KR200234135Y1 (ko) 2001-03-02 2001-09-28 홍인학 출입문용 방충망의 개폐장치
JP4150657B2 (ja) 2003-11-14 2008-09-17 セイキ住工株式会社 横引き収納式網戸
JP4724370B2 (ja) 2004-02-24 2011-07-13 不二サッシ株式会社 引き障子の施錠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265Y1 (ko) * 2010-02-17 2012-03-23 케이에스스크린(주) 방충망 개폐장치
KR102091708B1 (ko) * 2019-05-13 2020-03-20 주식회사 미래알루미늄 절단과 조립이 용이한 방충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6852B1 (ko)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3831B1 (en) Movable mosquito screen, particularly for windows, doors and the like
KR101096852B1 (ko)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
KR200400990Y1 (ko) 출입문용 방충망
KR200419329Y1 (ko) 잠금장치
KR102023481B1 (ko) 창호의 가변식 스토퍼
KR200458768Y1 (ko) 환기창 셔터조절레버의 절첩시스템
KR20140006475U (ko) 방충망 개폐장치
KR200459265Y1 (ko) 방충망 개폐장치
KR101358945B1 (ko) 출입문용 방충망의 캐터필러 구조
KR100870117B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WO2006038302A1 (ja) 横引き網戸
KR200477448Y1 (ko) 롤 타입 방충망
JP5420291B2 (ja) 建物開口部用スクリーン装置
KR200483044Y1 (ko) 롤 타입 방충망의 손잡이 고정 구조
JP5970382B2 (ja) 建具および突出維持部品
KR200476585Y1 (ko) 롤 방충망의 핸들바 고정 및 해제장치
EP2511467A1 (en) Holder of a string, in particular for guiding a fabric roller shade
JP6166677B2 (ja) スクリーン装置
KR200419330Y1 (ko) 방충망의 현수롤러블록
KR101184326B1 (ko) 방충망 장치의 망 이탈 방지용 사이드바
KR101151646B1 (ko) 미닫이식 창문 개폐장치
KR200237001Y1 (ko) 롤러식방충망의 록킹장치
JP2004244936A (ja) シャッター
KR20100005221U (ko) 출입문용 방충망의 자동열림장치
KR20200114953A (ko) 슬라이딩 높이 조절 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