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331B1 - 배연창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배연창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331B1
KR102086331B1 KR1020180054786A KR20180054786A KR102086331B1 KR 102086331 B1 KR102086331 B1 KR 102086331B1 KR 1020180054786 A KR1020180054786 A KR 1020180054786A KR 20180054786 A KR20180054786 A KR 20180054786A KR 102086331 B1 KR102086331 B1 KR 102086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rod
window
support
reduction moto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308A (ko
Inventor
기 동 조
Original Assignee
조기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동 filed Critical 조기동
Priority to KR1020180054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33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0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05Y2201/70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3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 E05Y2800/232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of motors an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연창자동개폐장치는,
일측면에 이동편가이드장공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 측면마감캡을 결합하여서 된 개폐장치하우징의 내부 하단에는 상면 중앙선상에 설치요홈이 형성된 받침틀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틀을 형성하는 설치요홈에는 감속모터가 장착된 감속모터장착대와 스크루봉의 양단에 장착되는 스크루봉장착대를 설치하고, 감속모터의 회전축과 스크루봉의 일단과의 사이를유니버셜조인트로 연결하며, 상기 스크루봉에는 배연창개폐용 이동간이 장착된 슬라이딩이동블럭을 나사 결합하여 감속모터의 작동에 의해 스크루봉이 정역으로 회전하면 이동편이 장착된 슬라이딩이동블럭이 전후진 이동하도록 형성하되,
받침틀의 상면에 형성되는 설치요홈의 폭과 감속모터설치대 및 스크루봉설치대의 폭을 일치시켜 감속모터설치대 및 스크루봉설치대를 설치요홈의 중앙선상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감속모터와 스크루봉에서 흔들림과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받침틀의 높이를 높게하여 받침틀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배선공간의 높이도 높게하여 배선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동간의 전면 또는 배면의 하측에 2단절곡형성된 배연창용 이동간을 장착하고 받침틀의 상단지지편의 상면에는 계단형단면을 형성하여 이동간의 밑면을 계단형단면이 받쳐 지지하여 줌으로써 배연창용 이동간이 훤활하게 이동(전후진)할 수 있게하고 감속모터의 손상을 방지하며, 감속모터와 스크루봉을 연결하는 유니버셜조인트는 양단의 단부죠인트금구와 사이에 중간장착금구를 개입시켜 연결하여 줌으로써 감속모터 또는 스크루봉에서 각각 발생하는 진동이 서로에게 전이되지 않도록 하고감속모터는 수명이 단축되는 것과 스크루봉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면서 소음도 줄일 수 있으며, 감속모터의 작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면서 이동간을 전후진 이동시키는 스크루봉의 나사산을 4조 이상의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으로 형성하여 배연창용 이동간의 이동속도를 빠르게 하여 배연창을 신속하게 개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배연창자동개폐장치{A AUTO LOCKING ON-Off APPARATUS FOR WINDOW}
본 발명은 배연창으로 사용되는 창문(미닫이형 또는 여닫이형)을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배연창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일측면에 이동편가이드장공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 측면마감캡을 결합하여서 된 개폐장치하우징의 내부 하단에는 상면 중앙선상에 설치요홈이 형성된 받침틀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틀을 형성하는 설치요홈에는 감속모터가 장착된 감속모터장착대와 스크루봉의 양단에 장착되는 스크루봉장착대를 설치하고, 감속모터의 회전축과 스크루봉의 일단과의 사이를 유니버셜조인트로 연결하며, 상기 스크루봉에는 배연창개폐용 이동간이 장착된 슬라이딩이동블럭을 나사 결합하여 감속모터의 작동에 의해 스크루봉이 정역으로 회전하면 이동편이 장착된 슬라이딩이동블럭이 전후진 이동하도록 형성하되,
상기 개폐장치하우징의 내부에서 각 모서리에는 받침관체를 일체로 형성하여 받침틀을 받쳐 지지하고 측면마감캡을 용이하게 결합 설치하며, 상기 받침틀은 전체적인 높이를 높여 배선공간을 크게 확보하며, 상기 받침틀에 형성되는 설치요홈의 간격(폭)과 감속모터장착대 및 스크루봉장착대의 폭을 같게 하여 설치요홈에 감속모터장착대와 스크루봉장착대를 밀접하게 결합시켜 감속모터와 스크루봉을 동일 직선상에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유니버셜조인트는 양단의 단부죠인트금구와 사이에 중간장착금구를 개입시켜 연결하여 다관절유니버셜죠인트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감속모터 또는 스크루봉에서 각각 발생하는 진동이 서로에게 전이되지 않도록 하고 감속모터는 수명이 단축되는 것과 스크루봉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면서 소음도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스크루봉과 슬라이딩이동블럭의 암나사공에 형성된 나사산을 복수조로 형성하여 슬라이딩이동블럭의 전후진 이동속도를 빠르게 하여 배연창을 신속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배연창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도어) 및 창문은 건물의 내부와 바깥을 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열고 닫는 데 따라 밀고 당겨서 열고 닫는 여닫이문(여닫이 창)ㆍ옆으로 밀어서 열고 닫는 미닫이문(미닫이 창)ㆍ슬라이딩에 의해 열고 닫도록 된 미세기문(미서기문) 그리고 스윙도어(자유문) 및 오르내리기 창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상기와 같이 문 또는 창문의 일측 또는 창문(쌍 미닫이 문)이 중첩되는 중앙부분에는 보편적으로 문 또는 창문(이하 '문'으로 통칭함)를 임의로 개방하지 못하도록 하는 잠금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잠금장치는 사람의 손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조작하여야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는 국내의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1-16347호와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9-84464호가 알려져 있다.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1-16347호(자동창문잠금장치)는, 일측의 창문틀에 창문잠금고정수단을 설치하고, 다른 창문틀에 회전걸림수단을 설치하되 상기 창문잠금고정수단은 일측 창문틀에 선단부가 굴곡부로 형성되고 다수의 자석이 매설된 지지부재를 결착하며; 상기 회전걸림수단은 상기 창문틀에 설치되는 보관케이스의 내부에 회전걸림부재를 고정부재와 함께 탄성부재에 의해 탄발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회전걸림부재를 힌지에 의해 보관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것으로서, 창문을 닫게 되면 탄성부재에 의해 탄발되는 회전걸림수단의 회전걸림부재가 창문잠금고정수단의 지지부재에 걸어져 잠금되고, 잠금 상태에서는 고정부재와 함께 역으로 회전시켜 잠김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창문을 닫으면 탄성부재에 의해 탄발되는 회전걸림부재가 창문잠금고정수단의 지지부재에 걸어지도록 된 것이므로 창문을 개방할 때에는 사람이 직접 작동시켜 잠금 상태를 해제시켜야 하고, 잠금 여부를 사람이 직접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특히 출입문(도어)과 창문이 많은 건물에서는 관리자가 창문의 잠금 상태를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관리실에서 확인할 수 없으므로 모든 창문을 직접 방문하여 일일이 확인하여야 한다.
또,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9-84464호(창문 자동 잠금장치)는, 창문틀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복귀스프링에 의해 탄발되도록 걸림공이 뚫어진 피걸림부재를 구비하고, 창문에는 선단의 걸림돌기가 노출되도록 걸림부재를 설치한 것으로서, 창문이 닫으면 창문의 걸림돌기가 창문틀에 설치된 피걸림부재의 걸림공에 삽입되고, 걸림돌기가 걸림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동모터를 정역으로 작동시키면 회전축이 정역으로 회전되면서 피걸림부재를 상하로 이동시켜 피걸림부재가 걸림돌기에 걸려 억류(록킹)되거나 피걸림부재가 걸림돌기의 억류상태를 벗어나(록킹 해제)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피걸림부재와 걸림부재(걸림돌기)가 창문틀 또는 창문의 내부에 감추어져 있으므로 창문이 닫아져 있더라도 창문의 잠금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하기가 불가능하고, 창문의 잠금 또는 해제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사람이 직접 확인할 수 없으며, 특히 출입문(도어)과 창문이 많은 건물에서는 관리자가 창문의 잠금 상태를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관리실에서 확인할 수 없으므로 모든 창문을 직접 방문하여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수고와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창문 자동잠금장치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인은 실용신안등록 제20-0431192호(창문 자동개폐장치)와 실용신안등록 제20-0465862호(문 자동개폐장치)를 제안하였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31192호(창문 자동개폐장치)는, 감속모터의 작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는 스크루봉을 장치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스크루봉에는 슬라이딩이동블럭을 나사 결합하여 감속모터의 작동에 의해 스크루봉이 정역으로 회전하면 수직록킹편이 장착된 슬라이딩이동블럭이 가이드수단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전후진 이동하며, 장치틀을 창문틀에 설치하도록 된 작동틀뭉치와; 장착판에 수평록킹바가 형성되고, 슬라이딩이동블럭과 함께 이동(좌우 또는 전후)하는 수직록킹편이 수평록 킹바의 내부로 유입되어 록킹되거나 외부로 이동하여 록킹상태를 해제하도록 된 것이다.
또 실용신안등록 제20-0465862호(문 자동개폐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굴대 설치된 스크루봉을 감속모터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시켜 스크루봉에 나사 결합된 이동간을 좌우로 이동시켜 창문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되, 실외에 센싱수단을 구비하여 실외의 기후 상황을 감지하여 상기 감속모터를 작동시키고, 개방범위를 설정하는 이격된 한 쌍의 마이크로스위치에서 하나를 이동장치에 장착하여 그 위치를 가변시켜 개방범위를 임의로 설정하며, 이동간에 고정된 이동편과 창문에 장착된 창문고정장석의 결합상태를 해제시켜 수동으로 창문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창문(문)자동개폐장치는, 받침틀의 상면에 형성되는 설치요홈의 폭과 감속모터설치대 및 스크루봉설치대의 폭이 불일치하여 감속모터설치대 및 스크루봉설치대를 설치요홈의 중앙선상에 정확하게 설치하기가 용이치 못하였고, 설치를 정확하게 하지 못하면 감속모터와 스크루봉이 일직선으로 설치되지 못하여 흔들림과 소음이 발생하였으며, 받침틀의 높이가 낮아 받침틀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배선공간의 높이가 너무 낮아 배선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었으며, 이동간의 측면에 이동편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창문고정장석을 통해 배연창(창문)에 장착되어 힘을 많이 받게 되는 이동간이 전후진 이동할 때에 이동간을 받쳐 지지하지 못하게 되고 그로인해 이동간이 훤활하게 이동(전후진)할 수 없게 되어 결국 감속모터가 쉽게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감속모터와 스크루봉을 연결하는 유니버셜조인트는 단부죠인트금구끼를 직접 연결하였으므로 감속모터 또는 스크루봉에서 각각 발생하는 진동이 서로에게 전이되어 감속모터는 수명이 단축되고 스크루봉은 원활하게 회전하지 못하였으며 소음도 크게 발생하였으며, 감속모터의 작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면서 이동간을 전후진 이동시키는 스크루봉의 나사산이 단독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동간의 속도가 느리게 되고 그로인해 배연창을 신속하게 개폐시킬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시킨 배연창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연창자동개폐장치는, 일측면에 이동편가이드장공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 측면마감캡을 결합하여서 된 개폐장치하우징의 내부 하단에는 상면 중앙선상에 설치요홈이 형성된 받침틀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틀을 형성하는 설치요홈에는 감속모터가 장착된 감속모터장착대와 스크루봉의 양단에 장착되는 스크루봉장착대를 설치하고, 감속모터의 회전축과 스크루봉의 일단과의 사이를유니버셜조인트로 연결하며, 상기 스크루봉에는 배연창개폐용 이동간이 장착된 슬라이딩이동블럭을 나사 결합하여 감속모터의 작동에 의해 스크루봉이 정역으로 회전하면 이동편이 장착된 슬라이딩이동블럭이 전후진 이동하도록 형성하되,
상기 개폐장치하우징의 내부에서 각 모서리에는 받침관체를 일체로 형성하여 받침틀을 받쳐 지지하고 측면마감캡을 용이하게 결합 설치하며, 상기 받침틀은 전체적인 높이를 높여 배선공간을 크게 확보하며, 상기 받침틀에 형성되는 설치요홈의 간격(폭)과 감속모터장착대 및 스크루봉장착대의 폭을 같게 하여 설치요홈에 감속모터장착대와 스크루봉장착대를 밀접하게 결합시켜 감속모터와 스크루봉을 동일 직선상에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유니버셜조인트는 양단의 단부죠인트금구와 사이에 중간장착금구를 개입시켜 연결하여 줌으로서 다관절유니버셜죠인트로 형성하며, 상기 스크루봉과 이동블럭의 암나사공에 형성된 나사산을 복수조로 형성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창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받침틀의 상면에 형성되는 설치요홈의 폭과 감속모터설치대 및 스크루봉설치대의 폭을 일치시켜 감속모터설치대 및 스크루봉설치대를 설치요홈의 중앙선상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감속모터와 스크루봉에서 흔들림과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받침틀의 높이를 높게하여 받침틀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배선공간의 높이도 높게하여 배선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동간의 전면 또는 배면의 하측에 2단절곡형성된 배연창용 이동간을 장착하고 받침틀의 상단지지편의 상면에는 계단형단면을 형성하여 이동간의 밑면을 계단형단면이 받쳐 지지하여 줌으로써 배연창용 이동간이 훤활하게 이동(전후진)할 수 있게하고 감속모터의 손상을 방지하며, 감속모터와 스크루봉을 연결하는 다관절유니버셜죠인트는 양단의 단부죠인트금구와 사이에 중간장착금구를 개입시켜 연결하여 줌으로써 감속모터 또는 스크루봉에서 각각 발생하는 진동이 서로에게 전이되지 않도록 하고 감속모터는 수명이 단축되는 것과 스크루봉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면서 소음도 줄일 수 있으며, 감속모터의 작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면서 이동간을 전후진 이동시키는 스크루봉과 이동간의 나사산을 4조 이상의 복수조나사산으로 형성하여 배연창용 이동간의 이동속도를 빠르게 하여 배연창을 신속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개선한 배연창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일측면에 이동편가이드장공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 측면마감캡을 결합하여서 된 개폐장치하우징의 내부 하단에는 상면 중앙선상에 설치요홈이 형성된 받침틀을 설치하되, 측면마감캡은 측면마감캡을 소정의 두께로 유지되는 사각형으로 형성하되 각 모서리의 외면을 둥글게 형성하고 각 모서리에는 볼트스크루삽입공을 외면에서 내면을 향하여 형성하며, 상기 받침틀을 형성하는 설치요홈에는 감속모터가 장착된 감속모터장착대와 스크루봉의 양단에 장착되는 스크루봉장착대를 설치하며, 감속모터의 회전축과 스크루봉의 일단과의 사이를 유니버셜조인트로 연결하되 유니버셜조인트는 양단의 단부죠인트금구와 사이에 중간장착금구를 개입시켜 연결하며, 상기 스크루봉에는 배연창개폐용 이동간이 장착된 슬라이딩이동블럭을 나사 결합하여 감속모터의 작동에 의해 스크루봉이 정역으로 회전하면 이동편이 장착된 슬라이딩이동블럭이 전후진 이동하도록 형성하되, 상기 개폐장치하우징의 내부에서 각 모서리에는 받침관체를 일체로 형성하여 받침틀을 받쳐 지지하고 측면마감캡을 용이하게 결합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개폐장치하우징의 내면 간격(d1)과 받침틀의 폭(W1)을 동일하게 형성하며, 받침틀에 형성되는 설치요홈의 간격(d2)과 감속모터장착대의 폭(W2), 스크루봉장착대의 (W3) 및 슬라이딩이동블럭을 형성하는 슬라이딩블록의 폭(W4)을 동일하게 하여 설치요홈에 설치되는 감속모터장착대와 스크루봉장착대 및 슬라이딩이동블럭을 동일 직선상에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스크루봉에 형성된 나사산을 복수조로 형성하여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으로 형성하고 슬라이딩이동블럭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암나사공을 복수조나사산 암나사공으로 형성하여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에 복수조나사산 암나사공을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개폐장치하우징의 양단에 결합 장착되는 측면마감캡은;
상기 측면마감캡의 내면에서 볼트스크루삽입공과 볼트스크루삽입공과의 사이의 가장자리에는 결속편을 각각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창자동개폐장치(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연창자동개폐장치는,
일측면에 이동편가이드장공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 측면마감캡을 결합하여서 된 개폐장치하우징의 내부 하단에는 상면 중앙선상에 설치요홈이 형성된 받침틀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틀을 형성하는 설치요홈에는 감속모터가 장착된 감속모터장착대와 스크루봉의 양단에 장착되는 스크루봉장착대를 설치하고, 감속모터의 회전축과 스크루봉의 일단과의 사이를유니버셜조인트로 연결하며, 상기 스크루봉에는 배연창개폐용 이동간이 장착된 슬라이딩이동블럭을 나사 결합하여 감속모터의 작동에 의해 스크루봉이 정역으로 회전하면 이동편이 장착된 슬라이딩이동블럭이 전후진 이동하도록 형성하되,
상기 개폐장치하우징의 내부에서 각 모서리에는 받침관체를 일체로 형성하여 받침틀을 받쳐 지지하고, 측면마감캡을 용이하게 결합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틀은 전체적인 높이를 높여 배선공간을 크게 확보하며, 상기 받침틀에 형성되는 설치요홈의 간격(폭)과 감속모터장착대 및 스크루봉장착대의 폭을 같게 하여 설치요홈에 감속모터장착대와 스크루봉장착대를 밀접하게 결합시켜 감속모터와 스크루봉을 동일 직선상에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유니버셜조인트는 양단의 단부죠인트금구와 사이에 중간장착금구를 개입하여 연결시켜 다관절유니버셜죠인트로형성하며, 상기 스크루봉에 형성된 나사산을 복수조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받침틀의 상면에 형성되는 설치요홈의 폭과 감속모터설치대 및 스크루봉설치대의 폭을 일치시켜 감속모터설치대 및 스크루봉설치대를 설치요홈의 중앙선상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감속모터와 스크루봉에서 흔들림과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받침틀의 높이를 높게하여 받침틀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배선공간의 높이도 높게하여 배선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동간의 전면 또는 배면의 하측에 2단절곡형성된 배연창용 이동간을 장착하고 받침틀의 상단지지편의 상면에는 계단형단면을 형성하여 이동간의 밑면을 계단형단면이 받쳐 지지하여 줌으로써 배연창용 이동간이 훤활하게 이동(전후진)할 수 있게하고 감속모터의 손상을 방지하며, 감속모터와 스크루봉을 연결하는 유니버셜조인트는 양단의 단부죠인트금구와 사이에 중간장착금구를 개입하여 연결시켜 다관절유니버셜죠인트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감속모터 또는 스크루봉에서 각각 발생하는 진동이 서로에게 전이되지 않도록 하고감속모터는 수명이 단축되는 것과 스크루봉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면서 소음도 줄일 수 있으며, 감속모터의 작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면서 이동간을 전후진 이동시키는 스크루봉의 나사산을 4조 이상의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으로 형성하여 배연창용 이동간의 이동속도를 빠르게 하여 배연창을 신속하게 개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연창자동개폐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연창자동개폐장치에서 개폐장치하우징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연창자동개폐장치에서 받침틀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연창자동개폐장치에서 받침틀과 슬라이딩이동블럭 및 배연창개폐용 이동간의 결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연창자동개폐장치에서 다관절유니버셜죠인트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및 결합상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연창자동개폐장치에서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종단면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연창자동개폐장치(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연창자동개폐장치(1)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연창자동개폐장치(1)에서 개폐장치하우징(10)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연창자동개폐장치(1)에서 받침틀(60)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연창자동개폐장치(1)에서 받침틀(60)과 슬라이딩이동블럭(25) 및 배연창개폐용 이동간(50)의 결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연창자동개폐장치(1)에서 다관절유니버셜죠인트(30)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및 결합상태도이며,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연창자동개폐장치(1)에서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하,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배연창자동개폐장치(1)의 구조(구성)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연창자동개폐장치(1)는, 내부에 차후에 설명되는 각종 장치가 설치되는 개폐장치하우징(10)과 상기 개폐장치하우징(10)의 양단에 결합 장착되는 측면마감캡(15), 상기 개폐장치하우징(10)의 내부에서 하측에 설치되는 받침틀(60), 상기 받침틀(60)에 형성된 설치요홈(61-1)에 장착되는 감속모터(40)와 감속모터장착대(45), 및 한 쌍의 스크루봉장착대(21)가 양단에 장착되어 상기 설치요홈(61-1)에 설치되는 복수조나사산스크루봉(20), 상기 감속모터(40)의 회전축과 복수조나사산스크루봉(20)의 일단을 일체형으로 연결하여 감속모터(40)의 회전력을 복수조나사산스크루봉(20)에 전동시키는 다관절유니버셜죠인트(30), 상기 복수조나사산스크루봉(20)에 나사 결합되어 좌우(좌우) 이동하는 슬라이딩이동블럭(25)과 상기 슬라이딩이동블럭(25)에 장착되어 배연창(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장착된 창문고정장석(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과 연결되는 배연창개폐용 이동간(50)으로 크게 구분하여 형성하였다.
상기에서 내부에 차후에 설명되는 각종 장치가 설치되는 개폐장치하우징(10)은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금속재(알루미늄재질)로 성형되고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된 사각형관체하우징(11)의 일면(전면 또는 배면)에서 중앙선상에는 이동가이드장공(12)을 형성하되, 상기 사각형관체하우징(11)의 내면에서 각 모서리에는 받침관체(13)를 동일한 높이(h1)로 형성하였고, 각 받침관체(13)의 중앙에는 볼크스크루체결공(14)을 각각 형성하였다.
상기 개폐장치하우징(10)의 양단에 결합 장착되는 측면마감캡(15)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측면마감캡(15)을 소정의 두께로 유지되고 모서리의 외면을 둥글게 형성하였고, 측면마감캡(15)의 각 모서리에는 볼트스크루삽입공(16)을 외면에서 내면을 향하여 형성하되 각 볼트스크루삽입공(16)은 개폐장치하우징(10)에 형성된 받침관체(13)의 볼트스크루체결공(14)과 일치되도록 하였으며, 측면마감캡(15)의 내면에서 각 사면의 가장자리에는 결속편(17)을 각각 형성하여 측면마감캡(15)을 개폐장치하우징(10)의 단부에 결합하였을 때에 볼트스크루체결공(14)과 볼트스크루체결공(14)과의 사이에서 개폐장치하우징(10)의 내면에 밀접하게 결합되도록 하였다.
상기 개폐장치하우징(10)의 내부에서 하측에 설치되는 받침틀(60)은 도 1과 도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일정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방침평판(61)의 양측에는 한 쌍의 수직지지대(62)를 일체로 형성하여 양측 수직지지대(62)와 수직지지대(62)와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d2)이 유지되도록 하였고, 각 수직지지대(62)의 외면에서 중간부와 상단에는 하단지지편(64)과 상단지지편(64)을 나란하게 형성하여 이들 하단지지편(64)과 상단지지편(64)과의 사이에는 배선공간(65)이 크게 형성되도록 하였다.
특히, 하단지지편(64)을 받침평판(61)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하여 하단지지편(64)의 하단면이 수직지지대(62)의 하단과는 일정한 높이(h2)를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수직지지대(62)의 하단 높이(h2)는 사각형관체하우징(11)의 내면에서 각 모서리에 형성된 받침관체(13)의 높이(h1)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받침틀(60)을 사각형관체하우징(11)의 내측에서 받침관체(13)의 상측에 안치(결합)하였을 때에 양측의 각 하단지지편(64)이 받침관체(13)의 위에 연접되고 안전하게 안치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받침평판(61)의 밑면 중앙에는 중앙받침블럭(61-2)을 형성하되, 중앙받침블럭(61-2)의 밑면을 수직지지대(62)의 하단면과 일치되게 형성하여 받침틀(60)을 사각형관체하우징(11)의 내측에서 받침관체(13)의 상측에 안치(결합)하였을 때에 중앙받침블럭(61-2)이 사각형관체하우징(11)의 내면에 당접(연접)되어 안전하게 안치되고, 설치요홈(61-1)에 설치되는 각종장치(감속모터와 유지버셜죠인트 및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 등)를 안전하게 받쳐 지지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상단지지편(63)의 상면에는 내측에서부터 외측으로 1단면(63-1)과 2단면(63-2) 및 3단면(63-3)을 단층이 지도록 점진적으로 높게 형성하여,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배연창개폐용 이동간(50)의 절곡이동간(51)이 1단면(63-1)과 2단면(63-2) 및 3단면(63-3) 중에서 어느 일면에 받쳐 지지되도록 하여 배연창개폐용 이동간(50)이 안전하고 흔들림 없이 개폐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받침틀(60)에 형성된 설치요홈(61-1)에 장착되는 감속모터(40)의 감속모터장착대(45)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감속모터(40)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3000RPM으로 하고, 감속비를 30:1 ~ 50:1로 하여 강한 토오크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감속모터장착대(45)를 " ㄴ"형으로 형성하되, 감속모터장착대(45)의 폭(W2)을 받침틀(60)에서 설치요홈(61-1)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수직지지대(62)와 수직지지대(62)와의 간격(d2)과 동일하게 하여, 감속모터장착대(45)를 설치요홈(61-1)에 안치하였을 때에 감속모터장착대(45)가 수직지지대(62)와 수직지지대(62)와의 사이에 밀접하게 당접(연접)되면서 안치되도록 하였다.
또, 상기 받침틀(60)에 형성된 설치요홈(61-1)에 장착되는 복수조나사산스크루봉(20)의 스크루봉장착대(21)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스크루봉장착대(21)를 " ㄴ"형으로 형성하되, 스크루봉장착대(21)의 폭(W3)을 받침틀(60)에서 설치요홈(61-1)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수직지지대(62)와 수직지지대(62)와의 간격(d2)과 동일하게 하여, 스크루봉장착대(21)를 설치요홈(61-1)에 안치하였을 때에 스크루봉장착대(21)가 수직지지대(62)와 수직지지대(62)와의 사이에 밀접하게 당접(연접)되면서 안치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받침틀(60)에 형성된 설치요홈(61-1)에 장착되는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에 나사 결합되어 설치되는 슬라이동이동블럭(25)은 도 1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이동블럭(26)의 내부 중앙에는 복수조나사산 암나사공(28)을 형성하여 복수조나사산스크루봉(20)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이동블럭(26)의 하측부에는 슬라이딩블록(27)을 일체로 형성하되, 슬라이딩블록(27)의 폭(W4)을 받침틀(60)에서 설치요홈(61-1)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수직지지대(62)와 수직지지대(62)와의 간격(d2)과 동일하게 하여, 슬라이딩블록(27)을 설치요홈(61-1)에 안치하였을 때에 슬라이딩블록(27)이 수직지지대(62)와 수직지지대(62)와의 사이에 밀접하게 연접되면서 안치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26)의 슬라이딩블록(27)에서 전면 또는 배면 중에서 어느 일면의 상측부에는 이동간장착편(29)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이동간장착편(29)의 상측에는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배연창개폐용 이동간(50)을 장착하였다.
상기 슬라이딩이동블럭(25)의 이동간장착편(29)에 장착되어 배연창(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장착된 창문고정장석(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과 연결되는 배연창개폐용 이동간(50)은 도 1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평판으로 형성된 장착편(52)의 일단에는 절곡작동간(51)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절곡작동간(51)의 단부에는 중앙에 셋팅공(54)이 세로방향으로 뚫어진 셋팅편(53)을 일체로 형성하였다.
상기 평판으로 형성된 장착편(52)을 볼트스크루(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와 같은 장착수단을 이용하여 슬라이딩이동블럭(25)의 이동간장착편(29)에 장착하고, 셋팅편(53)의 셋팅공(54)에는 장칙핀(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이용하여 배연창에 장착되는 창문고정장석(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장착하여 준다.
한편 한 쌍의 스크루봉장착대(21)에 의해 양단이 장착되어 받침틀(60)의 설치요홈(61-1)에 설치되는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은 도 6a 내지 도 6d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은 스크루봉(21)의 외주에 복수조로 회권 형성되는 나사산(22)을 홀수 또는 짝수로 형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6a 내지 도 6d에 예시된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은 스크루봉(21)의 외주에 복수조로 회권 형성되는 나사산(22)을 짝수로 형성한 것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 6a는 스크루봉(21)의 외주에 회권 형성되는 나사산(22)을 4조로 하여 4조나사산 스크루봉(20-1)으로 형성한 것이고, 도 6b는 스크루봉(21)의 외주에 회권 형성되는 나사산(22)을 6조로 하여 6조나사산 스크루봉(20-2)으로 형성한 것이며, 도 6c는 스크루봉(21)의 외주에 회권 형성되는 나사산(22)을 6조로 하여 6조나사산 스크루봉(20-3)으로 형성한 것이며, 도 6d는 스크루봉(21)의 외주에 회권 형성되는 나사산(22)을 10조로 하여 10조나사산 스크루봉(20-4)으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은 스크루봉(21)의 외주에 회권 형성되는 나사산(22)을 홀수(3조, 5조, 7조, 9조의 나사산)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슬라이딩이동블럭(25)에서 이동블럭(26)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암나사공도 복수조로 형성되는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과 일치되도록 복수조나사산 암나사공(28)으로 형성하여, 나사산이 동일한 복수조로 형성된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과 복수조나사산 암나사공(28)의 슬라이딩이동블럭을 나사 결합하여 설치한다,
상기 감속모터(40)의 회전축과 복수조나사산스크루봉(20)의 일단을 일체형으로 연결하여 감속모터(40)의 회전력을 복수조나사산스크루봉(20)에 전동시키는 다관절유니버셜죠인트(30)는 도 1 및 도 5a와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다관절유니버셜죠인트(30)는 중앙장착금구(31)의 양측에 중간접속봉(35)을 개입시켜 한 쌍의 단부조인트금구(36)을 대향되게 장착한 것이 주지적인 특징이다.
상기 중앙장착금구(31)는 양측면에 장착공(32-1)(33-1)이 뚫어진 한 쌍씩의 장착편(32)(33)을 이격시켜 대향되게 일체로 각각 형성하였고, 단부조인트금구(36)는 장착공(37-1)이 뚫어진 한 쌍의 장착편(37)을 이격시켜 대향되게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중간접속봉(35)은 한 쌍의 장착공(35-1)(35-2)을 양단에서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각각 뚫어 주었다.
상기 중앙장착금구(31)의 일측면에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 장착편(33)과 장착편(33)과의 사이에는 중간접속봉(35)의 일단을 각각 삽입하여 장착공(33-1)(35-1)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결속핀(39)을 끼워 결속시켰고, 각 중간접속봉(35)의 타측면에 형성된 장착편(32)과 장착편(32)과의 사이에는 단부죠인트금구(36)의 장착편(37)을 각각 결합하여 장착공(32-1)(37-1)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결속핀(39)을 끼워 결속시켰다.
상기 양측의 각 단부조인트금구(36)에는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감속모터(40)의 모터축(41)과 스크루봉(20)의 단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설치공(38)으로 결속핀(39)을 끼워 결속시켰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연창자동개폐장치(1)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연창자동개폐장치(1)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미닫이형 배연창의 창틀 또는 여닫이형 배연창의 창틀에 장착(설치)하여 미닫이형 배연창 또는 여닫이형 배연창을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조작(ON/OFF)에 의해 감속모터(40)를 정역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시킬 때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연창자동개폐장치(1)에서 수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조작(ON상태로)하면, 감속모터(40)가 정방향으로 작동하여 모터축(41)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모터의 회전속도를 3000 RPM으로 하고, 감속비를 30:1 ~ 50:1로 하였으므로 강한 토오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감속모터(40)의 모터축(41)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모터축(41)의 동력이 유니버셜죠인트(30)를 통해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을 회전시키게 되며,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이 회전하게 되면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에 나사 결합된 슬라이딩이동블럭(25)과 함께 배연창개폐용 이동간(50)이 개폐장치하우징(10)의 이동편가이드장공(12)을 따라 이동하여 배연창(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감속모터(40)의 작동에 의해 유니버셜죠인트(30)와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이 회전할 때에 감속모터(40)와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이 감속모터장착대(45)와 스크루봉장착대(21)에 의해 받침틀(60)의 설치홈(61-1)에 일직선으로 장착(설치)되어 있으므로 감속모터(40)와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은 흔들림이나 요동이 발생하지 않지 않은 상태에서 작동(회전)하게 된다.
특히 감속모터(40)의 모터축(41)과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이 다관절다관절유니버셜죠인트(30)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감속모터(40)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이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진동이 다관절다관절유니버셜죠인트(30)에 의해 소멸되어 서로 상대방의 방향으로 전이되지 않게 되고, 또한 소음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연창자동개폐장치(1)에서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역방향으로 조작(OFF상태로)하면, 감속모터(40)가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모터축(41)을 역회전시키게 된다.
감속모터(40)의 모터축(41)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모터축(41)의 동력이 유니버셜죠인트(30)를 통해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이 역회전하게 되면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에 나사 결합된 슬라이딩이동블럭(25)과 함께 배연창개폐용 이동간(50)이 개폐장치하우징(10)의 이동편가이드장공(12)을 따라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방되어 있는 배연창(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감속모터(40)의 역작동에 의해 유니버셜죠인트(30)와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이 역회전할 때에 감속모터(40)와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이 감속모터장착대(45)와 스크루봉장착대(21)에 의해 받침틀(60)의 설치홈(61-1)에 일직선으로 장착(설치)되어 있으므로 감속모터(40)와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은 흔들림이나 요동이 발생하지 않지 않은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작동(회전)하게 된다.
특히 감속모터(40)의 모터축(41)과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이 다관절다관절유니버셜죠인트(30)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감속모터(40)가 역방향으로 작동(회전)할 때에 발생하는 진동과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20)이 역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진동이 다관절다관절유니버셜죠인트(30)에 의해 소멸되어 서로 상대방의 방향으로 전이되지 않게 되고, 또한 소음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배연창자동개폐장치 10: 개폐장치하우징
11: 사각형관체하우징 12: 이동편가이드장공
13: 받침관체 15: 측면마감캡
17: 결속편 20: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
21: 스크루봉장착대 25: 슬라이딩이동블럭
26: 이동블럭 27: 슬라이딩블럭
28: 복수조나사산 암나사공 29: 이동간장착편
30: 다관절유니버셜죠인트 31: 중앙장착금구
35: 중간접속봉 36: 단부죠인트금구
32. 33. 37: 장착편 39: 결속핀
40: 감속모터 45: 감속모터장착대
50: 배연창개폐용 이동간 51: 절곡이동간
52: 장착편 53: 셋팅편
60: 받침틀 61: 받침평판
61-1: 중앙받침블럭 62: 수직지지대
63: 상단지지편 63-1: 1단면
63-2: 2단면 63-3: 3단면
64: 하단지지편 65: 배선공간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일측면에 이동편가이드장공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 측면마감캡을 결합하여서 된 개폐장치하우징의 내부 하단에는 상면 중앙선상에 설치요홈이 형성된 받침틀을 설치하되, 측면마감캡은 측면마감캡을 소정의 두께로 유지되는 사각형으로 형성하되 각 모서리의 외면을 둥글게 형성하고 각 모서리에는 볼트스크루삽입공을 외면에서 내면을 향하여 형성하며, 상기 받침틀을 형성하는 설치요홈에는 감속모터가 장착된 감속모터장착대와 스크루봉의 양단에 장착되는 스크루봉장착대를 설치하며, 감속모터의 회전축과 스크루봉의 일단과의 사이를 유니버셜조인트로 연결하되 유니버셜조인트는 양단의 단부죠인트금구와 사이에 중간장착금구를 개입시켜 연결하며, 상기 스크루봉에는 배연창개폐용 이동간이 장착된 슬라이딩이동블럭을 나사 결합하여 감속모터의 작동에 의해 스크루봉이 정역으로 회전하면 이동편이 장착된 슬라이딩이동블럭이 전후진 이동하도록 형성하되, 상기 개폐장치하우징의 내부에서 각 모서리에는 받침관체를 일체로 형성하여 받침틀을 받쳐 지지하고 측면마감캡을 용이하게 결합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개폐장치하우징의 내면 간격(d1)과 받침틀의 폭(W1)을 동일하게 형성하며, 받침틀에 형성되는 설치요홈의 간격(d2)과 감속모터장착대의 폭(W2), 스크루봉장착대의 (W3) 및 슬라이딩이동블럭을 형성하는 슬라이딩블록의 폭(W4)을 동일하게 하여 설치요홈에 설치되는 감속모터장착대와 스크루봉장착대 및 슬라이딩이동블럭을 동일 직선상에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스크루봉에 형성된 나사산을 복수조로 형성하여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으로 형성하고 슬라이딩이동블럭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암나사공을 복수조나사산 암나사공으로 형성하여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에 복수조나사산 암나사공을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개폐장치하우징의 양단에 결합 장착되는 측면마감캡은;
    상기 측면마감캡의 내면에서 볼트스크루삽입공과 볼트스크루삽입공과의 사이의 가장자리에는 결속편을 각각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창자동개폐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개폐장치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받침틀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방침평판의 양측에는 한 쌍의 수직지지대를 일체로 형성하여 양측 수직지지대와 수직지지대와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d2)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각 수직지지대의 외면에서 중간부와 상단에는 하단지지편과 상단지지편을 나란하게 형성하여 이들 하단지지편과 상단지지편과의 사이에는 배선공간이 크게 형성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하단지지편을 받침평판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하여 하단지지편의 하단면과 수직지지대의 하단과 형성되는 높이(h2)를 사각형관체하우징의 내면 모서리에 형성된 받침관체의 높이(h1)와 동일하게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창자동개폐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복수조나사산 스크루봉에 나사 결합되는 슬라이딩이동블럭은;
    이동블럭의 하측에 슬라이딩블록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이동블럭의 중앙에 형성되는 암나사공을 복수조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복수조나사산 암나사공으로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럭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딩블록의 전면 또는 배면 중에서 어느 일면에는 이동간장착편을 일체로 형성한 것과;
    상기 이동간장착편의 상측에는 별도로 형성된 배연창개폐용 이동간을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창자동개폐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4에 있어서, 개폐장치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받침틀은;
    상단지지편의 상면에는 내측에서 부터 외측으로 1단면과 2단면 및 3단면을 단층이 지도록 점진적으로 높게 형성하고, 배연창개폐용 이동간을 형성하는 절곡이동간이 1단면과 2단면 및 3단면 중에서 어느 일면에 받쳐 지지 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받침평판의 밑면 중앙에 중앙받침블럭을 일체로 형성하되, 중앙받침블럭의 밑면을 수직지지대의 하단면과 일치되게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창자동개폐장치.
KR1020180054786A 2018-05-14 2018-05-14 배연창자동개폐장치 KR102086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786A KR102086331B1 (ko) 2018-05-14 2018-05-14 배연창자동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786A KR102086331B1 (ko) 2018-05-14 2018-05-14 배연창자동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308A KR20190130308A (ko) 2019-11-22
KR102086331B1 true KR102086331B1 (ko) 2020-03-09

Family

ID=68730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786A KR102086331B1 (ko) 2018-05-14 2018-05-14 배연창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3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1911B (zh) * 2022-02-23 2023-09-12 哈尔滨昇悦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化设备的plc控制器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237Y1 (ko) 2002-03-26 2002-06-20 지상철 유니버설 조인트
KR200431192Y1 (ko) * 2006-07-21 2006-11-23 기 동 조 창문 자동개폐장치
CN205778152U (zh) * 2016-05-16 2016-12-07 王御蕴 电动门窗的横向驱动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999B1 (ko) * 2014-08-29 2017-04-14 한국울트라 주식회사 조립식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237Y1 (ko) 2002-03-26 2002-06-20 지상철 유니버설 조인트
KR200431192Y1 (ko) * 2006-07-21 2006-11-23 기 동 조 창문 자동개폐장치
CN205778152U (zh) * 2016-05-16 2016-12-07 王御蕴 电动门窗的横向驱动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308A (ko) 2019-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67041B (zh) 出风结构及空调器
EP0965715A2 (en) Door assembly
KR20120006113A (ko) 여닫이문 자동개폐장치
KR102086331B1 (ko) 배연창자동개폐장치
IL188255A (en) Shutter window for air inlet and light blocker
CN102859101B (zh) 窗和门的锁紧装置
CN209761210U (zh) 折叠门
EP2307652A1 (en) Screening device with a locking mechanism for a tilt device
CN210013600U (zh) 锁定机构及门窗结构
JP3683520B2 (ja) スラットの揺動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雨戸
KR102094605B1 (ko) 방화문용 제어장치
JPH1018488A (ja) カーテンウォール
CN213740713U (zh) 一种摆闸
JP6680976B2 (ja) 窓開閉装置及び開閉窓
JPH11303537A (ja) ルーバー面格子
CN210217583U (zh) 具有自动锁脱保护的电动卷帘门
CN213122585U (zh) 一种无缝天花幕
CN1200194C (zh) 一种可双向开启的插芯式门锁
CN219733137U (zh) 一种门窗导轨
JP5435933B2 (ja) 扉開放支援装置
CN210508780U (zh) 一种温控门窗闭合装置
CN219281517U (zh) 一种自动锁闭结构及窗扇结构
CN221032218U (zh) 可推拉和平开的门窗
CN215907669U (zh) 温控装置及隐形式温控闭窗器
CN217400777U (zh) 一种新型百叶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