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954Y1 - 체인 내장형 환기창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체인 내장형 환기창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954Y1
KR200215954Y1 KR2020000027990U KR20000027990U KR200215954Y1 KR 200215954 Y1 KR200215954 Y1 KR 200215954Y1 KR 2020000027990 U KR2020000027990 U KR 2020000027990U KR 20000027990 U KR20000027990 U KR 20000027990U KR 200215954 Y1 KR200215954 Y1 KR 2002159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housing
worm wheel
ventilation window
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일배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일배연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일배연창
Priority to KR2020000027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9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9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954Y1/ko

Link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체인이 내장된 작은 부피의 바형 구조로 이루어져 설치시 좁은 공간만을 점유하는 동시에 환기창 창틀의 내측을 향한 면에 인입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하며, 그 내부에서 인출되는 높은 강도의 체인을 통해 환기창을 개폐하므로 안정된 지지력을 보이게 되는 체인 내장형 환기창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창틀의 폭방향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모터(20), 감속기(30), 기어박스(40) 및 체인(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모터(20)의 구동력이 상기 감속기(30)에 의해 감소되며, 상기 감속기(30)와 결합되는 기어박스(40) 내부의 기어들이 회전하면서 상기 체인(60)을 하우징(10) 외부로 인출하여 환기창을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체인 내장형 환기창 자동개폐장치{Window automatic opening and shuting equipment of chain motor type}
본 고안은 환기창 개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인이 내장된 작은 부피의 바형 구조로 이루어져 설치시 좁은 공간만을 점유하는 동시에 환기창 창틀의 내측을 향한 면에 인입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하며, 그 내부에서 인출되는 높은 강도의 체인을 통해 환기창을 개폐하므로 안정된 지지력을 보이게 되는 체인 내장형 환기창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 규모를 갖는 건물의 경우, 건물 내부의 환기 및 통풍의 용도로 사용될 뿐만아니라, 화재시에 건물 내부의 물품 및 건축 자재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유독가스가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연 기능을 보유하므로서, 실내 공기가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화재시 유독가스로 인한 질식사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환기창이 제공된다. 그리고, 이러한 환기창은 자동개폐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화재감지기와 연계되어 화재 발생시 자동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같은 환기창 자동 개폐장치로는, 환기창의 창틀 및 환기창 테두리부에 그 양단을 힌지 고정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로드가 외력에 의해 전개 또는 압입되면서 환기창을 개폐하는 로드 타입과, 환기창의 창틀이나 기타 상기 창틀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에 와이어를 내장시키고, 상기 와이어의 인출을 통해 환기창을 개방하는 와이어 타입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환기창 개폐장치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지적되는 것으로서, 상기 로드 타입의 경우, 로드는 전개공간이 필요한 동시에 이같은 로드를 전개시키기 위한 장치가 필요한 것이므로 그 구조적 특성상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할 수 밖에 없는 것이며, 이같은 로드가 환기창 개방시 창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므로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것이었다.
또한, 상기 와이어 타입의 경우, 와이어는 그 강도면에서 취약하여 안정된 지지력을 보이지 못하게 되므로, 환기창의 개방시 안정된 지지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며, 고층 건물이나 그밖에 풍압이 높은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 정도가 더욱 심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환기창 창틀의 그 내측을 향한 면에 창틀 외부로 돌출됨 없이 매끄럽게 결합되는 바형 구조로 이루어져 그 내측으로는 굴곡이 자유로우며 지지력이 우수한 체인와이어를 내장하고 있어, 설치에 따른 공간 점유율이 작은 동시에 외관상 미려하고, 그 내측에서 인출되는 강도 높은 체인와이에 의해 환기창 개방시 안정된 지지력을 보유하게 되는 체인 내장형 환기창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자동개폐장치가 환기창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개폐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개폐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개폐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창틀 2: 환기창 테두리부 10: 하우징 20: 모터 21: 제어부 30: 감속기 31: 회전축 40,40a: 기어박스 41: 웜 42: 윔 휠 43: 종동기어 44: 끼움홀 45: 보강테 46: 연결축 47: 지지축 48: 탄성체 49,49a: 지지관 50,50a: 체인케이스 51: 회전공간부 52: 가이드 레일 53: 인출구 54: 리미트 스위치 60,60a: 체인 61: 고정핀 62: 고정브래킷 63: 고정클립 64: 절개홈부 70: 출력축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창틀의 폭방향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며,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연결된 제어부의 제어 동작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그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와 연결되어 회전 동작하는 웜 및 그와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웜 휠, 그리고 상기 웜 휠에서 연장한 연결축 상에 결합되어 웜 휠과 동시에 회전하는 종동기어를 내장하되, 상기 웜 휠은 탄성체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웜과 치차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종동기어가 삽입되는 회전공간부를 형성한 채 상기 기어박스와 결합되며, 상기 회전공간부와 연통되는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고 있는 체인케이스와; 일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이루어져 그 일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창문틀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절첩 방향면이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되어 종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체인케이스에 형성된 인출구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기어박스 및 체인케이스 내에 수납된 체인은 하나의 단위체를 형성하여 상기 웜으로부터 연장되는 출력축 상에 각기 결합되는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기어박스와 체인케이스 내에 수납된 체인은, 상기 하우징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기 동일한 간격을 유지한 채 좌우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구조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웜 휠과 종동기어를 연결하는 연결축은, 그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노출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웜과 웜 휠의 치차 결합을 해제시켜 상기 웜 휠 및 종동기어가 양방향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리셋스위치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자동개폐장치가 환기창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개폐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개폐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우징(10), 모터(20), 감속기(30), 기어박스(40), 체인케이스(50) 및 체인(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은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같은 하우징(10)은 설치되는 환기창 창틀(1)의 양측을 연결하는 폭과 동일한 길이로 제작되어 그 양단이 창틀(1) 내면에 밀착된 채 창틀(1)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도록 하므로서, 설치시 좁은 면적을 점유한 채 구조적인 안정감을 주며, 외관상으로도 미려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같은 하우징(10)의 재질로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을 압출 성형하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하우징(10)의 내측으로 모터(20)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20)의 구동은 연기나 온도 등으로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와 연결된 제어부(21)의 제어동작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터(20)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그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기(30)가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감속기와(30) 결합되는 기어 박스(40)가 제공되는 것으로, 상기 기어 박스(40)에는 웜(41)과 웜 휠(42) 및 종동기어(43)가 내장되는 것이다.
이같은 기어 박스(40)의 내부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감속기(30)에서 인출되는 회전축(31)이 상기 기어 박스(4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이같은 감속기(30)의 회전축(31)에 웜(41)이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웜(41)과 치차 결합되어 웜(41)의 회전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웜 휠(42)이 제공되는 것이며, 상기 웜(41)과 웜 휠(42)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웜 휠(42)을 감싸는 상태로 보강테(45)가 돌설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웜 휠(42)의 상하면에는 두개의 축이 각기 연장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 상부로는 후술되는 종동기어(43)를 향해 연장되는 연결축(46)이 구비되고, 그 하부로는 후술되는 탄성체(48)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47)이 연장되도록 구성하였다.
먼저, 상기 연결축(46)은 그 단면이 각을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웜 휠(42)의 하부에 위치하는 종동기어(43)의 중앙부에 상기 연결축(46)을 삽입하기 위한 끼움홀(44)이 천공되며, 이같은 끼움홀(44)에 상기 연결축(48)의 상부가 끼워져 결합되므로서 상기 웜 휠(42) 및 종동기어(43)는 상호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47)에는 그 둘레면을 감싸는 상태로 탄성체(48)가 끼워지는 것으로, 이같은 탄성체(48)는 기어 박스(40)의 내면과 상기 웜 휠(42)의 표면 사이에 탄설되어 상기 연결축(46)이 상기 끼움홀(44)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웜 휠(42)과 종동기어(43)가 상기 연결축(46)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4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웜(41)과 웜 휠(42)은 치차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웜 휠(42)은 상기 웜(41)의 회전과 연동되는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48)의 탄성력보다 강한 힘으로 상기 연결축(46)을 밀게되면 상기 연결축(46)은 하방향으로 눌리면서 상기 웜 휠(42)은 웜(41)과의 치차 결합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같이 웜 휠(42)과 웜(41)의 치차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웜(41)에 의해 일방향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웜 휠(42) 및 그와 연결되는 종동기어(43)가 웜(41)의 규제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연결축(46)을 상기 기어박스(40) 및 하우징(10)의 표면을 차례로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하므로서, 이같은 연결축(46)의 노출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웜(41)과 웜 휠(42)의 치차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윔 휠(42)과 종동기어(43)의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되는 기어 박스(40)와 결합되는 체인케이스(50)가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체인케이스(50)의 일측에는 상기 종동기어(43)가 끼워져 구동될 수 있는 회전공간부(51)가 형성되며, 이같은 회전공간부(51)와 연통되는 상태로 가이드 레일(52)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레일(52)은 직선의 레일이 그 단부를 호형으로 절곡하면서 내측 방향을 향해 순차적으로 감겨지는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체인케이스(50)의 가이드 레일(52)을 따라 체인(60)이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체인(60)은 풍압을 포함한 외부 충격에 대해서 충분한 강도를 보유하는 상태로 일방향으로만 절첩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즉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되는 가이드 레일(52)을 따라 감겨지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체인케이스(50)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절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같은 체인(60)의 절첩 방향면은 상기 종동기어(43)와 치합되므로서, 상기 체인(60)은 상기 종동기어(43)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52)의 내외측으로 감김 및 풀림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종동기어(43)가 삽입되는 회전공간부(51)에는 인출구(53)가 형성되며, 이같은 인출구(53)를 통해 상기와 같이 감김 및 풀림 동작되는 체인(60)이 환기창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전후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인(60)이 상기 체인케이스(50)의 외부로 완전히 인출되면서 상기 종동기어(43)와의 치차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종동기어(43)와 인접하는 체인케이스 부위에 리미트 스위치(54)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같은 리미트 스위치(54)는 평상시에는 상기 체인(60)의 무게에 의해 가압되어 그 접점이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체인(60)이 체인케이스(50) 외측으로 점차적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접점 위치를 벗어남에 따라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리미트 스위치(54)의 접점이 개방 상태로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체인(60)이 소정 위치 이상 이동하여 그 내측 단부가 상기 리미트 스위치(54)를 벗어나게 되면, 리미트 스위치(54)의 개방에 의해 상기 모터(20)의 구동이 정지되면서 상기 종동기어(43)의 회전이 멈춰져 상기 체인(60)은 체인케이스(50) 외부로의 인출이 정지되면서 상기 종동기어(43)와 치차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같은 체인(60)의 외측 단부는 환기창의 테두리부(2)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인(60)의 단부에는 고정핀(61)이 결합되고, 상기 환기창 테두리부(2)에는 상기 고정핀(61)이 끼워지도록 절개홈부(64)를 갖는 고정브래킷(62)이 제공되며, 이같은 고정브래킷(62)과 고정핀(61)을 차례로 관통하도록 고정클립(63)이 체결되므로서, 상기 체인(60)과 환기창 테두리부(2)가 결합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밖에 상기 체인(60)과 환기창 테두리부(2)와의 결합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환기창 개폐기가 단일 체인을 갖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한 것이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창틀의 크기 및 구조상의 안정감 등을 고려하여 한 쌍 내지 그 이상의 체인을 갖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체인이 단일 구조로 이루어져 환기창 테두리부의 어느 한 쪽에 치우치도록 결합되거나 중앙부에 결합되는 경우, 환기창에 높은 풍압이 가해지거나 그밖에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그 힘이 상기 단일 체인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으로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환기창이 휘어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큰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 체인이 적어도 한 쌍의 구조를 이루도록 하므로서 그 지지력이 일방향으로 집중됨 없이 안정적인 지지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같은 체인이 환기창 테두리부의 좌우측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각기 이격되는 한 쌍의 구조를 이루도록 하였으며, 그 구체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감속기(30)와 결합된 기어박스(40)의 외측으로는 상기 기어박스(40)의 웜(41)과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 지지관(49)이 제공되며, 이같은 지지관(49)에 출력축(70)이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관(49)의 내면 및 상기 출력축(70)의 형상은 각이 지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출력축(70)은 상기 지지관(49) 내측에서 공회전됨 없이 지지관(49)과 동시에 회전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같은 지지관의 내면 및 출력축이 육각 형상을 이루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출력축(70)과 연결되는 또 하나의 기어박스(40a)가 제공되는 것이며, 이같은 기어박스(40a) 역시 그 외측에 상기 출력축(70)과 연결되는 지지관(49a)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출력축(70)과 연결되는 기어박스(40a)는 상술한 감속기(30)와 연결되는 기어박스(4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이고, 이같은 기어박스(40a)에 체인(60a)을 내장한 체인케이스(50a)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어박스(40a), 체인케이스(50a) 및 체인(60a)은 상술한 모터(20) 및 감속기(30)에 의해 동작하는 기어박스(40), 체인케이스(50) 및 체인(6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다.
즉, 상기 기어박스, 체인케이스 및 체인은 세개의 부재가 하나의 단위체를 이루는 것이며, 이렇게 구성된 단위체가 본 실시예의 하우징 내측에 그 단부로부터 각기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 좌우 대칭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이같은 단위체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창틀의 크기 및 구조적인 안정감 등을 고려하여 그 숫자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상기 단위체는 하나의 출력축 상에 연결되어 동시에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환기창의 개폐를 위해 제어부(21)로 신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21)의 센서부를 통해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21)는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출력신호를 보내 모터(20)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터(20)의 구동력은 감속기(30)를 통해 그 속도가 감소된 상태로 기어박스(40)의 웜에 전달되어 웜(41)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웜(41)과 결합되어 있는 출력축(70)이 동시에 회전되면서 그 회전력이 기타 기어박스(40a)의 웜에 전달되는 것으로서, 즉 상기 모터(20)의 구동에 의해 하우징(10) 내측에 설치된 모든 기어박스가 동시에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웜(41)의 회전에 의해 그와 치차 결합되어 있는 웜 휠(42)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웜 휠(42)과 연결축(46)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종동기어(43)가 웜 휠(42)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종동기어(43)가 회전되면서 그와 치합되어 있는 체인(60)을 밀어주게 되므로 체인케이스(50)의 가이드 레일(52)에 감겨있던 상기 체인(60)이 순차적으로 풀어지면서 체인케이스(50)의 인출구(53) 및 상기 하우징(10)의 개방공(11)을 통해 환기창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체인(60)의 단부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환기창은 개방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체인(60)은 일방향으로만 절첩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환기창을 밀어주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높은 강도를 보유한 체인(60)에 의해 환기창은 개방된 상태에서 안정적인 지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같이 개방된 환기창을 폐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모터(20)를 환기창 개방시와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웜(41)과 윔 휠(42) 및 종동기어(4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체인(60)이 하우징(10)의 개방공(11) 및 체인케이스(50)의 인출구(53)를 통해 체인케이스(50)의 가이드 레일(52)을 따라 감겨지도록 하여 상기 환기창이 당겨지면서 폐쇄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1)를 포함하여 모터(20)에 공급되는 전원이 정전이나 그밖에 다른 이유로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환기창을 개폐해야 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웜 휠(42)의 연결축(46)을 하방향으로 눌러주게 된다. 그러면 기어박스(40) 내부에 웜(41)과 치차 결합되어 있는 웜 휠(42)이 하측으로 눌리면서 상기 웜(41)과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웜 휠(42) 및 그와 연결된 종동기어(43)가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면서 상기 체인(60)이 수동적인 힘에 의해 체인케이스(50)의 내외측으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환기창을 수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연결축(46)은 상기 체인(60)의 작동을 수동으로 전환시키는 리셋스위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체인 내장형 환기창 개폐장치에 의하여, 환기창 개폐장치가 하나의 독립된 형태로 이루어져 창틀에 고정되는 것이므로 설치작업이 용이할 뿐만아니라, 이같은 개폐장치가 작은 부피의 바 형태로 이루어져 창틀 외부로 돌출됨 없이 매끄러운 결합구조를 갖는 것이므로 외관상으로 미려해 시각적인 효과가 향상되는 동시에 설치에 따른 공간 점유율이 작아 외부 여건에 크게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강도가 높은 체인을 통해 환기창을 개폐하는 것이므로, 높은 풍압이나 기타 외부의 충격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높아 환기창 개방시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층 건물이나 기타 풍압이 높은 지역에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창틀의 폭방향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며,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연결된 제어부의 제어 동작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그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와 연결되어 회전 동작하는 웜 및 그와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웜 휠, 그리고 상기 웜 휠에서 연장한 연결축 상에 결합되어 웜 휠과 동시에 회전하는 종동기어를 내장하되, 상기 웜 휠은 탄성체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웜과 치차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종동기어가 삽입되는 회전공간부를 형성한 채 상기 기어박스와 결합되며, 상기 회전공간부와 연통되는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고 있는 체인케이스와; 일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이루어져 그 일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창문틀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절첩 방향면이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되어 종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체인케이스에 형성된 인출구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기어박스 및 체인케이스 내에 수납되는 체인은 하나의 단위체를 형성하여 상기 웜으로부터 연장되는 출력축 상에 각기 결합되는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내장형 환기창 자동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 및 체인케이스 내에 수납되는 체인은, 상기 하우징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기 동일한 간격을 유지한 채 좌우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구조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내장형 환기창 자동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웜 휠과 종동기어를 연결하는 연결축은,
    그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노출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웜과 웜 휠의 치차 결합을 해제시켜 상기 웜 휠 및 종동기어가 양방향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리셋스위치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내장형 환기창 자동개폐장치.
KR2020000027990U 2000-10-07 2000-10-07 체인 내장형 환기창 자동개폐장치 KR2002159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990U KR200215954Y1 (ko) 2000-10-07 2000-10-07 체인 내장형 환기창 자동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990U KR200215954Y1 (ko) 2000-10-07 2000-10-07 체인 내장형 환기창 자동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954Y1 true KR200215954Y1 (ko) 2001-03-15

Family

ID=73058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990U KR200215954Y1 (ko) 2000-10-07 2000-10-07 체인 내장형 환기창 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954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319B1 (ko) * 2009-01-29 2009-09-03 주식회사 대륙기업 브라켓이 설치된 체인 내장형 배연창 자동 개폐장치용 하우징
KR100946398B1 (ko) * 2009-06-09 2010-03-08 원일오토(주) 배연창의 개폐장치
KR100946399B1 (ko) * 2009-06-09 2010-03-08 원일오토(주) 완충부재가 구비된 배연창의 개폐장치
KR101040403B1 (ko) 2009-05-06 2011-06-09 주식회사 한일배연창 체인 내장형 환기창 자동개폐장치
KR101187938B1 (ko) 2012-02-06 2012-10-04 박준우 창문용 자동 폐쇄 장치
KR200473671Y1 (ko) * 2012-11-06 2014-07-17 (주) 금강씨에스 창문 잠금기능을 갖는 창문 자동 폐쇄장치
KR101426645B1 (ko) * 2013-02-26 2014-08-06 박준우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
KR101496614B1 (ko) 2014-03-27 2015-02-25 박준우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101534935B1 (ko) * 2013-10-31 2015-07-07 윤정식 여닫이창문 개폐장치
KR20170019181A (ko) 2015-08-11 2017-02-21 윤정식 여닫이창문 자동개폐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319B1 (ko) * 2009-01-29 2009-09-03 주식회사 대륙기업 브라켓이 설치된 체인 내장형 배연창 자동 개폐장치용 하우징
KR101040403B1 (ko) 2009-05-06 2011-06-09 주식회사 한일배연창 체인 내장형 환기창 자동개폐장치
KR100946398B1 (ko) * 2009-06-09 2010-03-08 원일오토(주) 배연창의 개폐장치
KR100946399B1 (ko) * 2009-06-09 2010-03-08 원일오토(주) 완충부재가 구비된 배연창의 개폐장치
KR101187938B1 (ko) 2012-02-06 2012-10-04 박준우 창문용 자동 폐쇄 장치
WO2013119011A1 (ko) * 2012-02-06 2013-08-15 Park Jun Woo 창문용 자동 폐쇄 장치
KR200473671Y1 (ko) * 2012-11-06 2014-07-17 (주) 금강씨에스 창문 잠금기능을 갖는 창문 자동 폐쇄장치
KR101426645B1 (ko) * 2013-02-26 2014-08-06 박준우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
KR101534935B1 (ko) * 2013-10-31 2015-07-07 윤정식 여닫이창문 개폐장치
KR101496614B1 (ko) 2014-03-27 2015-02-25 박준우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20170019181A (ko) 2015-08-11 2017-02-21 윤정식 여닫이창문 자동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5954Y1 (ko) 체인 내장형 환기창 자동개폐장치
CA2280450C (en) Bi-fold door lift apparatus
KR101040403B1 (ko) 체인 내장형 환기창 자동개폐장치
US7681618B2 (en) System for operating a plain blind
WO1998017888A1 (fr) Store a systeme d'equilibrage et dispositif d'equilibrage
WO2006059657A1 (ja) 折戸の吊設機構及びこの吊設機構を用いた折戸システム
CN112095823A (zh) 一种阻隔式建筑防火隔离系统
KR20090056291A (ko) 펜스 개폐 구조체
JPH1072987A (ja) 両側又は両側及び中間操作可能ロールスクリーン
CN2444038Y (zh) 手动机械自然排烟、换气窗开闭系统
JPH10131611A (ja) 窓の開閉操作装置
JP5143385B2 (ja) 開閉装置の巻取軸構造
CN220014236U (zh) 一种模块化滑移启闭智能天窗
CN211258374U (zh) 单玻璃式防火观察窗
KR102468330B1 (ko) 블라인드 구동장치
JP3075618U (ja) 面格子装置
KR100424971B1 (ko) 환기창의 자동 개폐장치
EP0640279A1 (en) A winding/unwinding device for sheets or generally webs, for padding the vault of closed metal constructions, especially growing greenhouses and sports facilities
CN215292226U (zh) 一种防火卷帘门
KR0120205Y1 (ko) 햇빛 차단기능을 갖는 건물용 투시창
CN218509282U (zh) 一种电动开窗器和开窗系统
CN220955389U (zh) 一种结构改进的中空玻璃内置百叶窗内操控器结构
KR970002371Y1 (ko) 비닐하우스환기용 비닐개폐기의 브레이크장치
JP2023084726A (ja) 窓開閉システム
KR200239652Y1 (ko) 축결합장치_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