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645B1 -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6645B1 KR101426645B1 KR1020130020625A KR20130020625A KR101426645B1 KR 101426645 B1 KR101426645 B1 KR 101426645B1 KR 1020130020625 A KR1020130020625 A KR 1020130020625A KR 20130020625 A KR20130020625 A KR 20130020625A KR 101426645 B1 KR101426645 B1 KR 1014266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opening
- window
- chain
- window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2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10—Covers; Hous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창문에 결합된 체인을 수용하는 체인모듈과 상기 체인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창문을 개폐 가능하게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은, 단부의 일측이 상기 체인이 출입 가능하게 관통된 개구부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하우징과; 일측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상호 착탈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일관하여 연속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운반비, 조립비 등의 제작비를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이 간단하고 편리하고 보관 등이 용이하여 소요되는 공간이 크게 필요하지 않는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일관하여 연속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운반비, 조립비 등의 제작비를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이 간단하고 편리하고 보관 등이 용이하여 소요되는 공간이 크게 필요하지 않는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자동 제연창 개폐장치용 하우징, 자동형 슬라이딩 창문 개폐 장치용 하우징의 구조를 개선한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고층건물 등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실내 가구나 내장재 등의 연소로 인하여 대량의 연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연기에는 유독가스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로 인한 인적 피해는 열에 의한 피해보다는 유독가스를 포함한 연기에 의한 질식으로 인한 것이 대부분이다.
즉, 화재가 일어나게 되면 많은 양의 유독가스를 포함한 연기가 순간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유독한 연기가 피난 경로로 유출되면서 피난 경로를 통한 피난을 어렵게 하여 많은 사상자가 생겨날 뿐 아니라, 화재 진압 및 인명구조 작업에 큰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아파트 등에는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가 건물 전체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관련 법규에 의해 제연구역(전실)이 갖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보통 화재가 발생하면 제연구역의 도어와 창문은 자동으로 닫히게 되며, 이와 함께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제연구역으로 유입하여 화재가 발생한 곳의 공기압보다 제연구역의 공기압을 높여주도록 되어 있다. 이에, 연기를 포함한 유독가스가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피난 경로 내지 통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제연구역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평상시 개방되어 외부와 제연구역을 환기시켜주고 화재시 폐쇄되어 외부와 제연구역을 차단 가능하게 창문을 자동적으로 개폐하는 창문 개폐 장치와, 화재 발생시 외부의 공기를 유입 가능하게 통로를 개방하고 제연구역의 내압을 상승시키는 급기부와, 각 세대와 피난계단 사이에 설치되는 방화용 도어와, 이러한 각종 장치 내지 기구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아파트 등의 각 세대 중 어느 한 곳에서 센서 등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창문을 폐쇄하고, 급기부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급기하여 제연구역의 내압을 상승시키는 한편, 방화용 도어를 폐쇄하여 화재 발생 구역과 피난계단 사이에 만들어져 있는 전실을 제연구역으로의 기능을 유지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실내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제연구역은 밀폐된 상태로 조성됨과 더불어 급기부의 급기 작용에 의해 제연구역의 내압이 일정 압력(예를 들면, 40Pa ~ 60Pa)이상으로 상승된다. 이에, 실내공간의 화재 발생에 의해 발생된 유독가스가 제연구역 및 피난계단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창문 개폐 장치의 일예는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15954호(2000. 12. 27)이며, 종래기술의 도 2의 하우징은 압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긴 막대 사각 형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창문 개폐 장치용 하우징이 사각형으로 압출되어 있으며, 하우징을 관통하는 체인이 출입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공정을 거쳐야 한다. 즉, 압출을 하고 나서 사각형의 측면을 관통하는 개구부를 밀링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즉, 통상의 창문 개폐 장치용 하우징의 제작 과정은 하우징을 길게 압출을 하고 나서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을 하고 주문된 창문 개폐 장치의 체인 위치를 결정한 후 하우징의 개구부를 밀링한 후 최종적으로 체인과 체인을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하우징에 조립하여 건물, 창문틀 등에 결합한 후 모터 및 각종 전기, 전자 제품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작동할 수 있도록 전기를 공급한다. 이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창문 개폐장치용 구동부 및 하우징을 조립하는 업체가 이러한 모든 공정을 하기 어려워 통상 밀링 공정은 밀링 전문업체인 외부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압출 공정은 통상 소량으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창문 개폐장치용 제작 업체에 보관하였다 필요시 원하는 위치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밀링 작업을 실시한다.
즉, 통상의 장문 개폐 장치를 제작, 조립하는 업체에서는 하우징을 필요한 길이만큼 보관하였다 설치 현장의 크기에 적절한 창문 개폐 장치의 체인 위치를 결정하고 체인 출입용 개구부의 밀링 작업을 위하여 반출하고 밀링 작업 후 재반입한 후 체인, 모터 등을 하우징 내측에 조립하여 창문 개폐 장치를 제작해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운반비 등의 경제적 비용도 많이 소요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관하여 연속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반비, 조립비 등의 제작비를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이 간단하고 편리하고 보관 등이 용이하여 소요되는 공간이 크게 필요치 않는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문에 대응하는 각기 다른 체인 위치를 갖는 제품의 설계에서 제작 완료까지의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납기를 단축할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에 결합된 체인을 수용하는 체인모듈과 상기 체인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창문을 개폐 가능하게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은, 단부의 일측이 상기 체인이 출입 가능하게 관통된 개구부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하우징과; 일측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상호 착탈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일측은 상기 제1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리되어 상기 개구부의 나머지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개구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개구브래킷은 슬라이딩 안내되어 결합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 브래킷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제1 맞물림부와; 상기 개구 브래킷과 상기 제2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제2 맞물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맞물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구동모듈과 상기 체인모듈이 결합되는 사이를 안내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관하여 연속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운반비, 조립비 등의 제작비를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이 간단하고 편리하고 보관 등이 용이하여 소요되는 공간이 크게 필요치 않는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문에 대응하는 각기 다른 체인 위치를 갖는 제품의 설계에서 제작 완료까지의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납기를 단축할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창문 개폐장치가 창문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창문개폐장치의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구동모듈, 동력전달모듈, 체인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하우징의 분해사시도,
도 4는 하우징의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 장치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하우징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창문개폐장치의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구동모듈, 동력전달모듈, 체인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하우징의 분해사시도,
도 4는 하우징의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 장치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하우징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100, 이하에서 ‘창문 개폐장치’라 한다)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창문 개폐장치가 창문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창문개폐장치의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구동모듈, 동력전달모듈, 체인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하우징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하우징의 단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 장치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하우징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100)의 좌표를 구동모듈(103)과 동력전달모듈(105) 및 체인모듈(107)의 길이방향인 도 2의 좌우방향을 ‘X’ 방향, 도 2의 전후방향을 ‘Z’ 방향, 도 2의 상하방향을 ‘Y’ 방향이라고 한다.
창문 개폐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20)이 지지되는 창문틀(10)에 결합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창문(20)과 결합되어 상기 창문(20)을 개폐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된 체인(109)과, 상기 체인(109)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109)을 출입시키는 스프로킷(미도시)과, 상기 스프로킷과 상기 체인(109)을 수용하는 체인모듈(107)과,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체인(109)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03a)와 모터(103a)의 회전력을 감소시키는 감속기(103b)를 포함하는 구동모듈(103)과, 상기 구동모듈(103)과 상기 체인(109)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모듈(103)의 회전력을 상기 스프로킷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미도시)를 수용하는 동력전달모듈(105)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단부의 일측이 체인(109)이 출입 가능하게 관통된 개구부(112)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110)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하우징(111)과, 일측은 상기 제1 하우징(111)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개구부(112)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외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2 하우징(113)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111)과 상기 제2 하우징(113)은 상호 착탈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다. 또한, 하우징(110)은, 일측은 상기 제1 하우징(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 하우징(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리되어 상기 개구부(112)의 나머지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개구브래킷(115)을 구비한다.
창문 개폐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10)을 지지하는 창문틀(20)에 결합되며, 창문(10)과는 체인(120)의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결합된다. 즉, 창문 개폐장치(100)는 하우징(110)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창문틀(10)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100)는 제연구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용도의 창문 개폐용으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창문 개폐장치(100)는 구동모듈(103)을 구비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사용자는 창문(10)의 손잡이를 이용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창문(10)을 개폐할 수 있다. 만약, 화재 발생 시에는 미도시된 중앙 제어실에서 창문 개폐장치(100)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시 제연구역의 환기 등을 위하여 창문 개폐장치(100)를 수동으로도 개폐할 수 있는 구조이다. 창문 개폐 장치(100)는 힌지식으로 열고 닫는 형식, 슬라이딩식으로 열고 닫는 형식 등의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도 3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창문 개폐장치(100)의 구동모듈(103)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여 창문 개폐장치(100)의 길이방향으로 창문 개폐장치(100)를 슬라이딩 안내 할 수 있는 슬라이딩 안내부(117)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창문 개폐장치(100)가 하우징(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인 ‘Y’축선 방향으로 분리 내지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창문 개폐장치(100)의 체인모듈(107)과 동력전달모듈(105)이 상호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Y’축선 방향의 이동 내지 분리가 하우징(110)에 의하여 제한되기 때문에 체인모듈(107)과 동력전달모듈(105)이 결합된 상태에서 ‘Y’축선 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하도록 별도의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 내지 고정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구동모듈(103)은 모터(103a)와 감속기(103b)가 결합되어 있으며, 감속기(103b)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동력전달모듈(105)은 구동모듈(103)에서 체인(109)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미도시된 기어, 기어가 결합된 회전축, 베어링 등을 수용하고 이들 부품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모듈(105)은 외부에서 또는 내부에서 감지된 신호, 보내는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103a),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미도시된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할 수 있다.
체인모듈(107)은 체인(109)을 수용하여 안내하고 있으며, 체인모듈(107) 내측에 체인(109)과 결합되어 체인(109)에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미도시된 스프로킷을 내측에 수용하여 지지한다. 체인모듈(107) 내측에는 체인(109)이 안내될 수 있는 체인가이드(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동력전달모듈(105), 체인모듈(107)은 통상 플라스틱 재질로 압출 성형되어 제조된다. 이하에서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3)의 일실시예를 도 2,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창문에서 바라본 하우징(110)에 수용된 구동모듈(103) 등의 사시도로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이 하우징(110)이다.
이하에서 도 2 및 도 3과 같이 하우징(110)은 X 축선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긴 직육면체로 가정하고 도 2 및 도 3을 기준으로 정면에서 보이는 부분을 정면부, 평면에서 보이는 부분을 평면부, 배면에서 보이는 부분을 배면부, 저면에서 보이는 부분을 저면부, 우측 및 좌측에서 보이는 부분을 우측부, 좌측부로 각각 편의상 칭한다.
하우징(110)은, 또,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3)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하우징 맞물림부(130)와, 제1 하우징(111)과 개구브래킷(115)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제1 맞물림부(150) 및 제2 하우징(113)과 개구브래킷(115)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제2 맞물림부(170)를 구비한다.
제1 하우징(111)은 하우징(110) 외관 중에서도 배면부와 저면부 그리고 정면부 하측의 일부로 개구부(112)의 일부, 평면부의 후방 일측을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 하우징(111)은 정면부 하측에 일측이 쐐기와 같이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개구브래킷(115)과 결합될 수 있는 제1 걸림부(15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하우징은 압출하는 과정에서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강도를 보완하기 위한 미도시된 리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하우징(111)은 평면부 후방에 ‘T'자형의 홈을 갖는 하우징 물림부(13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하우징(111) 배면부 내측에 슬라이딩 안내부(117)가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2 하우징(113)은 하우징(110) 외관 중에서도 평면부와 정면부 상측의 일부로 개구부(112)의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2 하우징(113)은 정면부 하측에 일측이 쐐기와 같이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개구브래킷(115)과 결합될 수 있는 제2 걸림부(17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 하우징은 압출하는 과정에서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강도를 보완하기 위한 미도시된 리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하우징(113)은 평면부 후방에 ‘T'자형으로 하우징 물림부(135)와 맞물리는 하우징 걸림부(13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2 하우징(113) 정면부 내측에 슬라이딩 안내부(117)가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개구브래킷(115)은 개구부(112)에 대응한 폭으로 마련되어 개구부(112)를 형성하도록 개구부(112)를 제외하고 정면부의 길이방향으로 개구부(112)의 X축 방향으로 상측은 제2 하우징(113)의 제2 걸림부(173)에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제2 물림부(175)에 의해 결합되고, 하측은 제1 하우징(111)의 제1 걸림부(153)에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제1 물림부(155)에 결합된다.
제1 하우징(111), 제2 하우징(113) 및 개구브래킷(115)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 맞물림부(130), 제1 맞물림부(150) 및 제2 맞물림부(170)에 의해 상호 슬라이딩 안내되면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우징 맞물림부(130)는 제1 하우징(111)에 ‘T'자형 홈으로 형성된 하우징 물림부(135)와, 제2 하우징(113)에 하우징 물림부(135)에 맞물리도록 'T'자형으로 형성된 하우징 걸림부(133)를 구비한다. 하우징 물림부(135)와 하우징 걸림부(133)는 각각 반대로 위치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하우징 맞물림부(130)의 형상도 예를 들면, ‘H’자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다만,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3)이 상호 결합된 후에 개구브래킷(115)이 결합되기 전에 상호 결합된 구동모듈(103), 동력전달모듈(105) 및 체인모듈(107)이 하우징(110) 내측으로 결합되므로 제1 하우징(111)에 결합된 제2 하우징(113)이 상하 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거의 없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하우징 맞물림부(130)의 형상이‘T'자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맞물림부(150, 170)는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3)에 일측에 쐐기형으로 경사진 면을 갖는 제1 및 제2 걸림부(153, 173)와, 개구브래킷(115)에 제1 및 제2 걸림부(153, 173)에 맞물리도록 일측에 쐐기형 경사진 면을 갖는 제1 및 제2 물림부(155, 175)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걸림부(153, 173)와 제1 및 제2 물림부(155, 175)는 각각 반대로 위치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하우징(110)의 우측부와 좌측부를 막도록 플라스틱 등으로 성형된 하우징캡(118)을 구비한다.
그리고, 설명하지 않은 쐐기형 돌출 부분인 119는 창문틀, 벽체 등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물 결합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 장치(100)의 결합 과정을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1)에 제2 하우징(113)을 하우징 맞물림부(130)가 상호 맞물리도록 하여 X 축선 방향을 따라 어느 하나에 대하여 다른 하나를 밀면서 상호 결합을 한다. 이에, 제1 하우징(111)에 대하여 제2 하우징(113)은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체인모듈(107)의 두께 내지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도 5(a)의 ‘GAP' 참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3)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내측의 공간으로 슬라이딩 안내부(117)의 안내를 받아 상측은 동력전달모듈(105)이 위치하고 하측은 체인모듈(107)이 위치하고 체인(109)은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밀어 넣는다. 그리고, 체인(109)이 출입하는 위치에 체인(109)을 하우징(110)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개구부캡(112a)을 정면부의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3)에 각각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캡(112a)의 좌측 및 우측에서 개구 브래킷(115a, 115b)을 각각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3)의 길이 방향으로 개구부캡(112a)을 향하여 결합시켜 하우징(110)의 개구부(112)가 형성된 정면부, 평면부, 배면부, 저면부의 외관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좌측부와 우측부를 각각 하우징캡(118)을 결합하여 좌측 및 우측의 개구를 막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 장치용 하우징(210)의 단면을 도 6에 도시한다.
도 6의 하우징(210)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이 평면부이며 평면부가 가운데 비어있는 공동부(216)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참조번호는 전술한 참조번호에 대응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구체적인 구성과 조립과정 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설명을 생략한다.
즉, 도 6의 하우징(210)은 전술한 실시예에 비하여 보다 중하중용으로 비교적 창문 개폐 장치(100)의 길이가 길어 창문이나 문을 개폐하는데 많은 하중을 필요로 하는데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 장치용 하우징(310)의 단면을 도 7에 도시한다.
도 7의 하우징(310)은 예를 들면, 배연창의 창문이고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의 힌지식 창문을 열고 닫는 형식이 아니고 슬라이딩식 창문을 열고 닫는 형식에 적용되는 것이다.
도 7의 하우징(310)은 전술한 바와 달리 내측에 형성된 리브의 방향만 상이할 뿐 구조는 전술한 바와 거의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도 7의 참조번호는 전술한 참조번호에 대응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조립과정 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설명을 생략한다.
이에,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과정을 단순하게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하우징 압출 및 밀링 작업은 창문 개폐 장치를 제조하는 업체에서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1) 압출 업체에서 하우징 압출 - (2) 제조업체(편의상 창문 개폐 장치 제조, 조립을 하는 업체를 의미한다)로 운반 - (3) 제조업체에서 절단 - (4) 수주 - (5) 설계 - (6) 하우징 밀링업체 운반 - (7) 하우징 밀링 - (8) 하우징 제조업체 운반 - (9) 하우징과 구동모듈 등 조립 - (10) 창문 개폐 장치 완성” 이라는 순서로 공정이 이루어진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1) 압출 업체에서 하우징 압출 - (2) 제조업체로 운반 - (3) 제조업체에서 절단 - (4) 수주 - (5) 설계 - (6) 하우징 및 구동모듈 등 조립 - (7) 창문 개폐 장치 완성 하우징 조립 - (8) 창문 개폐 장치 완성”이라는 순서로 공정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1), 제2 하우징(113) 및 개구브래킷(115)을 조립하는 과정이 있지만, 이러한 추가적인 공정은 종래기술의 ‘(6) 하우징 밀링업체 운반 - (7) 하우징 밀링 - (8) 하우징 제조업체 운반’ 등의 공정에 따른 비용, 시간, 작업의 관리성, 연속성 등을 고려하면 시간적인 면과 비용적인 측면에서 종래기술에 비하여 본 발명이 훨씬 경제적이고 작업의 연속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경제성 향상과 업체 자체에서 인원과 시간을 투입하여 작업에 연속성을 가질 수 있어 납기 준수 등에 따른 신뢰감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일관하여 연속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운반비, 조립비 등의 제작비를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이 간단하고 편리하고 보관 등이 용이하여 소요되는 공간이 크게 필요하지 않는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문에 대응하는 각기 다른 체인 위치를 갖는 제품의 설계에서 제작 완료까지의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납기를 단축할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창문 개폐 장치 103 : 구동 모듈
105 : 동력전달모듈 107 : 체인모듈
109 : 체인
110 : 하우징 111 : 제1 하우징
112 : 개구부 112a : 개구부캡
113 : 제2 하우징 115 : 개구브래킷
117 : 슬라이딩 안내부 119 : 구조물 결합부
130 : 하우징 맞물림부 133 : 하우징 걸림부
135 : 하우징 물림부 150 : 제1 맞물림부
153 : 제1 걸림부 155 : 제1 물림부
170 : 제2 맞물림부 173 : 제2 걸림부
175 : 제2 물림부
105 : 동력전달모듈 107 : 체인모듈
109 : 체인
110 : 하우징 111 : 제1 하우징
112 : 개구부 112a : 개구부캡
113 : 제2 하우징 115 : 개구브래킷
117 : 슬라이딩 안내부 119 : 구조물 결합부
130 : 하우징 맞물림부 133 : 하우징 걸림부
135 : 하우징 물림부 150 : 제1 맞물림부
153 : 제1 걸림부 155 : 제1 물림부
170 : 제2 맞물림부 173 : 제2 걸림부
175 : 제2 물림부
Claims (7)
- 창문에 결합된 체인을 수용하는 체인모듈과 상기 체인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창문을 개폐 가능하게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은,
단부의 일측이 상기 체인이 출입 가능하게 관통된 개구부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하우징과;
일측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상호 착탈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고,
일측은 상기 제1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리되어 상기 개구부의 나머지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개구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 창문에 결합된 체인을 수용하는 체인모듈과 상기 체인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창문을 개폐 가능하게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은,
단부의 일측이 상기 체인이 출입 가능하게 관통된 개구부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하우징과;
일측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일측은 상기 제1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리되어 상기 개구부의 나머지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개구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개구브래킷은 슬라이딩 안내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브래킷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제1 맞물림부와;
상기 개구 브래킷과 상기 제2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제2 맞물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맞물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구동모듈과 상기 체인모듈이 결합되는 사이를 안내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 상기 제1항 또는 상기 제2항의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0625A KR101426645B1 (ko) | 2013-02-26 | 2013-02-26 |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0625A KR101426645B1 (ko) | 2013-02-26 | 2013-02-26 |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26645B1 true KR101426645B1 (ko) | 2014-08-06 |
Family
ID=51749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0625A KR101426645B1 (ko) | 2013-02-26 | 2013-02-26 |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664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3575A (ko) | 2017-02-14 | 2018-08-22 |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8462Y1 (ko) * | 1987-03-31 | 1990-09-22 | 주식회사 고건산업 | 단열커텐용 커텐틀재 |
KR200215954Y1 (ko) * | 2000-10-07 | 2001-03-15 | 주식회사한일배연창 | 체인 내장형 환기창 자동개폐장치 |
KR100914254B1 (ko) * | 2009-03-06 | 2009-08-26 | 김판곤 | 미닫이식 창문의 개폐장치 |
-
2013
- 2013-02-26 KR KR1020130020625A patent/KR10142664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8462Y1 (ko) * | 1987-03-31 | 1990-09-22 | 주식회사 고건산업 | 단열커텐용 커텐틀재 |
KR200215954Y1 (ko) * | 2000-10-07 | 2001-03-15 | 주식회사한일배연창 | 체인 내장형 환기창 자동개폐장치 |
KR100914254B1 (ko) * | 2009-03-06 | 2009-08-26 | 김판곤 | 미닫이식 창문의 개폐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3575A (ko) | 2017-02-14 | 2018-08-22 |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89664B1 (ko) | 구동부 및 감속부를 개선한 창문 폐쇄 장치 | |
KR101377300B1 (ko) |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 |
US8528255B2 (en) | Outward opening window unit | |
US20090025296A1 (en) | Sliding door and window operating system | |
KR101416074B1 (ko) | 소조립 모듈별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창문 개폐 장치 | |
KR101692149B1 (ko) | 자동 폐쇄 장치 | |
JP5551000B2 (ja) | 換気装置 | |
JP2008185305A (ja) | 電装箱及び冷却貯蔵庫 | |
KR101426645B1 (ko) | 창문 개폐장치용 조립형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 | |
KR20160142605A (ko) | 창문에 설치되는 실내공기 환풍장치 | |
CN106175162A (zh) | 一种档案管理用档案柜监控装置 | |
CN208396531U (zh) | 弹性自动闭窗器以及安装上述闭窗器的耐火窗、防火窗 | |
JP2012180712A (ja) | ウィンドウ装置 | |
MX2014008185A (es) | Dispositivo de ventilacion. | |
KR101901404B1 (ko) |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 |
CN204611962U (zh) | 分体落地式空调器室内机和空调器 | |
KR100341459B1 (ko) | 공기조화기의 셔터 개폐장치 | |
US10969117B2 (en) | Extendible and retractable cooking smoke shielding and guiding apparatus | |
KR101469409B1 (ko) |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 |
JP2007224691A (ja) | 窓 | |
JP2014228203A (ja) | 窓構造 | |
CN211115596U (zh) | 一种新型节能防火门窗 | |
KR200469863Y1 (ko) | 벽부형 진열장 | |
KR200491010Y1 (ko) | 좌우구분없이 설치가능한 미서기형 배연창 자동개폐장치 | |
CN112178891A (zh) | 一种基于数据挖掘的空调系统控制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 |